맨위로가기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8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 1월 1일 기준 1읍, 19면, 135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1883년 개항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1981년 인천시가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인천직할시가 인천광역시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강화군과 옹진군이 편입되었다. 이후에도 행정동 통폐합 및 분동을 통해 현재의 행정 구역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시도별 행정 구역 -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은 25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각 구는 고유한 행정 체계, 다양한 특징, 역사, 문화, 관광 자원을 지니고 있으며 여러 행정동으로 세분화되어 인구와 면적 등이 상이하다.
  • 대한민국의 시도별 행정 구역 -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은 18개의 시·군으로 구성되며, 미수복 지역을 제외한 인구와 면적 정보를 표로 제공하고, 과거 행정 구역 변동이 있었다.
  • 꼬리표 지도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꼬리표 지도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 연수구
    연수구는 1995년 인천광역시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약 38만 5천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고, 인천대학교,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등의 교육기관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등을 포함한 교통망을 갖춘 구이다.
  •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 남동구
    인천광역시 남동구는 1988년 남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자치구로, 약 50만 명이 거주하며 주요 교통망과 시설, 교육기관 등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다.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지도
개요
광역시인천광역시
면적1,068.17 km²
하위 행정 구역8구, 2군
행정 구역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목록
중구인천광역시 중구의 행정 구역
동구인천광역시 동구의 행정 구역
미추홀구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행정 구역
연수구인천광역시 연수구의 행정 구역
남동구인천광역시 남동구의 행정 구역
부평구인천광역시 부평구의 행정 구역
계양구인천광역시 계양구의 행정 구역
서구인천광역시 서구의 행정 구역
강화군인천광역시 강화군의 행정 구역
옹진군인천광역시 옹진군의 행정 구역

2.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는 8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2]

자치구·군한자인구 (명)[2]세대[2]면적 (km2)
중구中區130,80662,485140.3
동구東區64,87528,6197.2
미추홀구彌鄒忽區412,471185,20624.8
연수구延壽區357,244135,28754.9
남동구南洞區534,871220,60257.1
부평구富平區517,029212,35632.0
계양구桂陽區306,613123,36445.6
서구西區543,075215,631116.9
강화군江華郡69,13032,975411.4
옹진군甕津郡20,71411,651172.9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2,956,8281,228,1761,063.1


2. 1. 구



인천광역시는 8개의 구와 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2]

자치구·군한자인구 (명)[2]세대[2]면적 (km2)
중구中區130,80662,485140.3
동구東區64,87528,6197.2
미추홀구彌鄒忽區412,471185,20624.8
연수구延壽區357,244135,28754.9
남동구南洞區534,871220,60257.1
부평구富平區517,029212,35632.0
계양구桂陽區306,613123,36445.6
서구西區543,075215,631116.9
강화군江華郡69,13032,975411.4
옹진군甕津郡20,71411,651172.9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2,956,8281,228,1761,063.1


2. 2. 군

인천광역시에는 2개의 군이 있다.[2][1] 강화군옹진군이 이에 해당한다.[2][1]

자치군한자인구 (명)[2]세대[2]면적 (km2)
강화군江華郡69,13032,975411.4
옹진군甕津郡20,71411,651172.9



350px

2. 3. 경제자유구역

인천경제자유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역사

날짜내용비고
1883년개항되면서 부내(府內), 먼우금(遠又邇), 주안(朱雁), 남촌(南村), 조동(鳥洞), 신현(新峴), 황등천(黃等川), 전반(田反), 이포(梨浦), 다소(多所)의 10개 면을 통합하여 인천(仁川)을 이룸.[4]
1895년 5월 26일23부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 설치.[5]인천부
1910년 10월 1일일제는 대한제국에 대한 1910년 8월 29일의 강제합병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6]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인천부를 분할하여, 항구 주변의 도심지만을 인천부로 남기고, 그밖의 나머지 면을 부평군과 병합하여 부천군으로 개편.[7]
1914년 9월 1일월미도를 인천부에 재편입.[8]
1936년 10월 1일부천군 다주면 일부와 문학면 일부가 인천부에 재편입.[9]
1940년 4월 1일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 일원을 인천부에 (재)편입.[10]
1949년 8월 15일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를 인천시(仁川市)로 개칭.[11]지방자치제 실시
1962년 5월 21일57개 행정동 설치.[4][12]
1962년 9월 1일2개 행정동 설치. (59개동)[4][13]
1963년 1월 1일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로 편입.[4][14]
1968년 1월 1일구(區)제 실시로 중구, 동구, 남구, 북구의 4개 구 설치.[4][15] 남동출장소, 서곶출장소 설치.[4][16]
1970년 7월 1일9개 행정동 설치. (75개동)[4][18]
1973년 7월 1일동구 월미도중구에 편입.[4][19]
1977년 5월 10일39개 행정동 명칭변경.[4][20]
1978년 7월 1일북구 백석동을 검암동으로 명칭 변경.[4][21]
1979년 1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76개동)[4][22]
1979년 5월 1일3개 행정동 설치. (79개동)[4][23]
1981년 7월 1일인천시를 경기도에서 분리하여 인천직할시로 승격.[4][24]인천직할시
1982년 9월 1일6개 행정동 설치. (85개동)[4][25]
1983년 10월 1일2개 행정동 설치. (87개동)[4][26]
1983년 11월 26일2개 행정동 명칭변경.[4][27]
1985년 11월 25일동구 금곡동, 창영동을 통합 금창동 설치 및 7개 행정동 설치. (93개동)[4][28]
1987년 6월 15일1개 행정동 설치. (94개동)[4][29]
1988년 1월 1일남구남구남동구로, 북구북구서구로 분구하여 6개 구로 증설.[4][30]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이 중구에,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각각 편입.[31][32]
1989년 5월 15일1개 행정동 설치. 만수2동 → 만수2동, 만수4동으로 분동. (98개동)[32][38]
1990년 1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간석1동 → 간석1동, 간석4동으로 분동. (99개동)[32][39]
1990년 5월 1일
1991년 8월 16일1개 행정동 설치. (107개동)[32][44]
1991년 8월 26일3개 행정동 설치. (110개동)[32][45]
1991년 8월 27일1개 행정동 설치. 계산2동 → 계산2동, 계산3동으로 분동. (111개동)[32][46]
1992년 9월 1일3개 행정동 설치. (114개동)[32][47]
1992년 9월 5일1개 행정동 설치. (115개동)[32][48]
1993년 12월 1일
1994년 7월 1일
1995년 1월 1일인천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개칭.[52][55]인천광역시
1995년 3월 1일
1996년 1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동춘2동 → 동춘2동, 청량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7개동)[52][59]
1996년 3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문학동 → 문학동, 관교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8개동)[52][60]
1998년 10월 10일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25개동)[52][61]
1998년 10월 27일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22개동)[52][62]
1998년 10월 29일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20개동)[52][63]
1998년 10월 30일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19개동)[52][64]
1998년 11월 1일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16개동)[52][65]
1999년 7월 20일송림면을 연평면으로 명칭 변경. (1읍 19면 119개동)[52][66]
2001년 12월 28일1개 행정동 설치. 검단동 → 검단1동, 검단2동으로 분동. (1읍 19면 117개동)[52][67]
2003년 3월 1일
2003년 10월 13일출장소 통합. 영종·용유출장소→ 영종용유출장소[69][71]
2005년 9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검단1동, 검단2동 →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0개동)[69][72]
2005년 12월 30일1개 행정동 설치. 삼산동 → 삼산1동, 삼산2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1개동)[69][73]
2006년 6월 5일출장소 분리. 영종용유출장소→영종출장소, 용유출장소.[69][74]
2006년 9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검단1동 → 검단1동, 검단4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2개동)[69][75]
2006년 11월 26일중구·동구간 관할구역 변경.[69][76]
2007년 1월 1일1개 행정동 설치. 동춘2동 → 동춘2동, 송도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3개동)[69][77]
2009년 2월 1일
2009년 6월 5일
2009년 7월 20일
2010년 6월 10일
2011년 5월 20일
2012년 1월 1일
2012년 7월 9일
2013년 7월 5일
2014년 9월 24일
2015년 4월 1일
2016년 7월 1일
2018년 1월 1일
2018년 7월 1일
2018년 11월 5일
2019년 1월 1일
2019년 11월 4일
2020년 10월 26일
2021년 6월 1일
2021년 7월 1일
2024년 1월 1일


3. 1. 개항과 근대화

1883년 개항과 함께 인천은 부내, 먼우금, 주안, 남촌, 조동, 신현, 황등천, 전반, 이포, 다소의 10개 면을 통합하여 이루어졌다.[4] 1895년 5월 26일에는 23부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가 설치되었으며,[5]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대한제국 강제 병합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했다.[6]

1914년 4월 1일 인천부를 분할하여 항구 주변의 도심지만을 인천부로 남기고, 나머지 면은 부평군과 병합하여 부천군으로 개편하였다.[7] 1914년 9월 1일 월미도를 인천부에 재편입하였고,[8] 1936년 10월 1일 부천군 다주면 일부와 문학면 일부가 인천부에 재편입되었다.[9] 1940년 4월 1일 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 일원이 인천부에 다시 편입되었다.[10]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를 '''인천시'''로 개칭하였다.[11] 1968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구, 동구, 남구, 북구의 4개 구가 설치되었다.[4][15] 1973년 7월 1일 동구 월미도중구에 편입되었다.[4][19]

1981년 7월 1일 인천시는 경기도에서 분리되어 '''인천직할시'''로 승격되었다.[4][24] 1988년 1월 1일 남구에서 남동구가, 북구에서 서구가 분구되어 6개 구가 되었다.[4][30]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이 중구에,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각각 편입되었다.[31][32]

1995년 1월 1일 인천직할시는 '''인천광역시'''로 개칭되었고,[52][55] 3월 1일에는 북구가 부평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계양구연수구가 신설되었으며, 강화군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52][56]

이후 행정동 통폐합 및 분동을 거쳐 2024년 1월 1일 현재 1읍 19면 135개동으로 이루어져있다.

3. 2. 광역시 승격과 발전

1895년 5월 26일 23부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가 설치되었고[5],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대한제국에 대한 강제합병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하였다.[6] 1914년 4월 1일 인천부를 분할하여, 항구 주변의 도심지만을 인천부로 남기고, 그밖의 나머지 면을 부평군과 병합하여 부천군으로 개편하였으며,[7] 같은 해 9월 1일 월미도를 인천부에 재편입하였다.[8] 1936년 10월 1일 부천군 다주면 일부와 문학면 일부가 인천부에 재편입되었고,[9] 1940년 4월 1일 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 일원이 인천부에 다시 편입되었다.[10]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를 '''인천시'''(仁川市)로 개칭하였으며,[11] 1968년 1월 1일 구(區)제 실시로 중구, 동구, 남구, 북구 4개 구가 설치되었다.[4][15] 1981년 7월 1일 인천시를 경기도에서 분리하여 '''인천직할시'''로 승격하였고,[4][24] 1988년 1월 1일 남구북구에서 남동구서구가 각각 분구되어 6개 구가 되었다.[4][30] 1989년 1월 1일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이 중구에,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각각 편입되었다.[31][32]

1995년 1월 1일 인천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개칭되었고,[52][55] 1995년 3월 1일 북구가 부평구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계양구가 분구되었으며, 남구에서 연수구가 분구되었다. 또한, 강화군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면서 도농복합시 형태의 광역시가 되었다.[52][56] 이후 행정동의 설치와 통폐합이 여러차례 이루어졌다. 2018년 7월 1일에는 남구가 미추홀구로 명칭을 변경하였다.[90][91]

3. 3. 연표

날짜내용비고
1883년개항되면서 부내(府內), 먼우금(遠又邇), 주안(朱雁), 남촌(南村), 조동(鳥洞), 신현(新峴), 황등천(黃等川), 전반(田反), 이포(梨浦), 다소(多所)의 10개면을 통합하여 인천(仁川)을 이룸.[4]
1895년 5월 26일23부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 설치.[5]인천부
1910년 10월 1일일제는 대한제국에 대한 1910년 8월 29일의 강제합병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6]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인천부를 분할하여, 항구 주변의 도심지만을 인천부로 남기고, 그밖의 나머지 면을 부평군과 병합하여 부천군으로 개편.[7]
1914년 9월 1일월미도를 인천부에 재편입.[8]
1936년 10월 1일부천군 다주면 일부와 문학면 일부가 인천부에 재편입.[9]
1940년 4월 1일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 일원을 인천부에 (재)편입.[10]
1949년 8월 15일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를 인천시(仁川市)로 개칭.[11]지방자치제 실시
1963년 1월 1일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로 편입.[4][14]
1968년 1월 1일구(區)제 실시로 중구, 동구, 남구, 북구 4개 구 설치.[4][15] 남동, 서곶출장소 설치.[4][16]
1973년 7월 1일동구 월미도중구에 편입.[4][19]
1981년 7월 1일인천시를 경기도에서 분리하여 인천직할시로 승격.[4][24]인천직할시
1988년 1월 1일남구남구남동구로, 북구북구서구로 분구하여 6개 구로 증설.[4][30]
1989년 1월 1일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이 중구에,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각각 편입.[31][32] 영종·용유·계양출장소 설치[32][33][34]
1995년 1월 1일인천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개칭.[52][55]인천광역시
1995년 3월 1일북구 → 부평구로 명칭 변경, 북구부평구계양구로, 남구남구연수구로 분구. 경기도 강화군, 옹진군, 김포군 검단면을 인천광역시에 편입.[52][56]
1998년 10월과소동 통폐합: 중앙동·신포동 → 신포동, 신흥동·신선동 → 신흥동, 내경동·인현동 → 동인천동, 화평동 → 화수1·화평동, 송현1동·송현2동 → 송현1·2동, 송림3동·송림5동 → 송림3·5동, 검암동·경서동 → 검암경서동, 신현동·원창동 → 신현원창동, 작전3동·서운동 → 작전서운동, 장수동·서창동 → 장수서창동, 도림동·남촌동 → 남촌도림동, 논현동·고잔동 → 논현고잔동[52][61][62][63][64][65]
2003년 10월 13일영종·용유출장소 → 영종용유출장소로 통합[69][71]
2006년 6월 5일영종용유출장소 → 영종출장소, 용유출장소로 분리.[69][74]
2009년 2월 1일소규모동 통폐합: 숭의1동·숭의3동 → 숭의1·3동, 용현1동·용현4동 → 용현1·4동, 도화2동·도화3동 → 도화2·3동[69][78]
2018년 7월 1일남구에서 미추홀구로 개명.[90][91]
2021년 7월 1일북성동·송월동 → 개항동으로 통폐합.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Households and Housing Units (By administrative divisions(eup, myeon, dong) (Total levels 3)) http://kosis.kr/eng/[...] KOSIS 2017-01-10
[2] 문서 2019년 2월 말 주민등록 기준
[3] 웹사이트 연수문화원 - ◈ 먼우금이라는 지명 http://www.yeonsu.or[...]
[4] 간행물 2015 인천광역시 통계연보 - 인천광역시 행정구역 연혁 p.39
[5] 법령 칙령 제98호(1895. 5. 26. 공포)
[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공포. https://ko.wikisourc[...]
[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공포.)
[8] 법령 부령 제133호 (1914년 9월 1일 공포.)
[9] 법령 부령 제93호 (1936년 9월 26일 공포.)
[10]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40호 (1940년 3월 28일 공포.)
[11] 법령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공포.)
[12] 법령 시조례 제327호(1962년 5월 21일 공포.
[13] 법령 시조례 제332호(1962년 8월 18일 공포.)
[14] 법령 법률 제1175호 시·군 관할 구역 변경 및 면의 폐치에 관한 법률 (1962년 11월 21일 공포.)
[15] 법령 법률 제1919호 인천시 구 설치에 관한 법률 (1967년 3월 30일 공포.)
[16] 법령 시조례 제506호(1967년 12월 8일 공포.
[17] 법령 시조례 제515호 (1967년 12월 29일 공포.)
[18] 법령 시조례 제628호 (1970년 6월 30일 공포.)
[19]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20] 법령 시조례 제1075호(1977년 4월 18일 공포.)
[21] 법령 시조례 제1128호(1978년 6월 16일 공포.)
[22] 법령 시조례 제1146호(1978년 11월 16일 공포.)
[23] 법령 시조례 제1187호(1979년 4월 30일 공포.)
[24] 법령 법률 제3424호 대구광역시 및 인천광역시 설치에 관한 법률 (1981년 4월 13일 공포.)
[25] 법령 시조례 제1569호(1982년 7월 23일 공포.)
[26] 법령 시조례 제1649호(1983년 8월 26일 공포.)
[27] 법령 시조례 제1657호(1983년 11월 26일 공포.)
[28] 법령 시조례 제1895호(1985년 9월 19일 공포.)
[29] 법령 시조례 제2055호(1987년 6월 12일 공포.)
[30] 법령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 송파구 등 13개 구 설치와 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87년 12월 31일 공포.)
[31] 법령 법률 제4051호 부산광역시 강서구 설치 및 시 · 도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8년 12월 31일 공포.)
[32] 간행물 2015 인천광역시 통계연보 - 인천광역시 행정구역 연혁 p.40
[33] 법령 중구 조례 제94호 ((1988년 12월 31일 공포.)
[34] 법령 북구 조례 제95호(1988년 12월 31일 공포.)
[35] 법령 중구 조례 제98호 ((1988년 12월 31일 공포.)
[36] 조례 북구 조례 제100호 1988-12-31
[37]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557호 1988-12-22
[38] 조례 남동구 조례 제135호 1989-05-10
[39] 조례 남동구 조례 제163호 1989-12-29
[40] 조례 북구 조례 제182호 1989-12-30
[41] 조례 서구 조례 제171호 1989-12-29
[42] 조례 북구 조례 제190호 1990-04-30
[43] 조례 서구 조례 제178호 1990-05-04
[44] 조례 서구 조례 제227호 1991-08-16
[45] 조례 남동구 조례 제236호 1991-08-26
[46] 조례 북구 조례 제241호 1991-08-27
[47] 조례 북구 조례 제292호 1992-08-31
[48] 조례 서구 조례 제264호 1992-09-05
[49] 조례 남동구 조례 제314호 1993-11-27
[50] 조례 북구 조례 제322호 1993-12-01
[51] 조례 남구 조례 제323호 1994-07-21
[52] 간행물 2015 인천광역시 통계연보 - 인천광역시 행정구역 연혁
[53] 조례 북구 조례 제339호 1994-07-01
[54] 조례 서구 조례 제307호 1993-07-19
[55] 법률 법률 제4789호 1994-12-20
[56] 법률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 · 광역시 · 도간 관할 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57] 조례 서구 조례 제340호 1995-02-28
[58] 조례 연수구 조례 제343호 1995-03-15
[59] 조례 연수구 조례 제107호 1995-12-30
[60] 조례 남구 조례 제380호 1995-12-30
[61] 조례 중구 조례 제438호 1998-10-10
[62] 조례 동구 조례 제421호 1998-10-27
[63] 조례 서구 조례 제489호 1998-10-29
[64] 조례 계양구 조례 제207호 1998-10-30
[65] 조례 남동구 조례 제182호 1998-11-01
[66] 조례 옹진군 조례 제1512호 1999-07-20
[67] 조례 서구 조례 제675호 2001-12-28
[68] 조례 연수구 조례 제384호 2003-02-21
[69] 간행물 2015 인천광역시 통계연보 - 인천광역시 행정구역 연혁
[70] 조례 계양구 조례 제417호 2003-03-01
[71] 조례 중구 조례 제670호 2003-10-13
[72] 조례 서구 조례 제804호 2005-08-12
[73] 조례 부평구 조례 제899호 2005-12-30
[74] 조례 중구 조례 제758호 2006-06-05
[75] 조례 서구 조례 제843호 2006-08-04
[76] 법령 대통령령 제19712호 2006-10-26
[77] 조례 연수구 조례 제532호 2007-12-29
[78] 조례 남구 조례 제948호 2009-01-05
[79] 조례 강화군 조례 제1969호 2009-06-05
[80] 조례 남동구 조례 제938호 2009-04-27
[81] 조례 서구 조례 제1042호 2010-04-09
[82] 조례 남동구 조례 제1052호 2011-05-13
[83] 조례 중구 조례 제971호 2011-12-14
[84] 조례 연수구 조례 제726호 2011-12-29
[85] 조례 서구 조례 제1153호 2012-06-28
[86] 조례 서구 조례 제1193, 1192호 2012-07-05
[87] 조례 연수구 조례 제849호 2014-09-24
[88] 조례 계양구 조례 제920호 2015-03-27
[89] 조례 구조례 1395호 인천광역시 서구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16-07-01
[90] 웹인용 인천광역시남구명칭변경에관한법률 http://www.law.go.kr[...] 2019-09-02
[91] 뉴스 인천 남구, '미추홀구'로 개명…7월부터 시행 https://www.yna.co.k[...] 2019-09-02
[92] 문서 계양면·영종면 일부(운남리) 제외
[93] 문서 영종면·용유면 제외
[94] 문서 운남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