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데레우스 눈치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출판한 천문학 저서로, 망원경을 이용한 천체 관측 결과를 담고 있다. 이 책은 달 표면, 별자리, 목성의 위성(갈릴레이 위성) 등 다양한 천체에 대한 관측 기록과 그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의 지동설 논쟁에 영향을 미쳤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천문학 연구와 과학적 방법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까지도 과학철학의 중요한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0년 책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1610년 책 - 금병매
금병매는 송나라 시대의 서문경과 그의 처첩들을 통해 인간의 탐욕, 성욕, 권력욕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중국 고전 소설이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갈릴레이 불변성
갈릴레이 불변성은 뉴턴 역학에서 뉴턴 운동 법칙이 갈릴레이 변환으로 연결된 모든 좌표계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념으로, 뉴턴 상대성이라고도 불리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은 로런츠 변환을 제시하며 재검토되었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 - 피사 국제공항
피사 국제공항은 이탈리아 피사에 위치하며, 민간 항공 운항과 군사 시설로 사용되고, 피사 중앙역과 연결되는 셔틀 서비스가 운행되며, 다양한 항공 노선이 있는 공항이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시데레우스 눈치우스 |
원제 | Sidereus Nuncius |
저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
국가 | 베네치아 공화국 (현재 이탈리아) |
언어 | 신 라틴어 |
주제 | 천문학 |
출판사 | 토마스 바글리오니 |
출판일 | 1610년 3월 13일 |
2. 망원경
최초로 망원경을 제작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불투명하지만, 독일-네덜란드인 렌즈 제작자인 한스 리퍼시가 발명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608년 네덜란드 미델뷔르흐의 안경 제작자 한스 리퍼시가 망원경 특허를 얻으려고 시도했다.[5]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 소식을 듣고 직접 망원경을 제작했다.[6]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달, 오리온, 플레이아데스 성단, 황소자리 등 특정 별자리에 대한 70개 이상의 그림과 도표를 포함하고 있으며, 관측 내용에 대한 설명과 이론도 담고 있다.
갈릴레오가 망원경을 밤하늘에 처음으로 향한 사람은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6] 그의 연구는 망원경을 이용한 천체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연구였다.[7] 갈릴레오의 초기 망원경은 8배에서 10배의 선형 배율을 가지고 있었고, 직접 갈아 만든 렌즈로 만들어졌다.[8] 그는 이후 20배의 선형 배율을 가진 망원경을 제작하여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관측에 사용하였다.[9][3]
3. 구성
갈릴레오는 네덜란드에서 발명된 망원경을 바탕으로 망원경을 직접 만들었으며, 이를 이용해 달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그림으로 남겼다. 달 관측 데이터를 통해 달까지의 거리와 크기를 추론했으며, 오리온 대성운, 게자리의 프레세페 성단 등도 스케치했다. 또한, 목성과 그 주변을 이동하는 4개의 위성에 대한 관측 기록도 남겼다.
3. 1. 달
갈릴레오는 달을 관측하면서 명암경계선(terminator)이 달의 어두운 부분에서는 부드럽고, 밝은 부분에서는 불규칙적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이를 통해 어두운 지역은 낮고 평탄하며, 밝은 지역은 험하고 산이 많다고 추측했다.[3] 갈릴레오는 달의 산 높이를 측정하여 적어도 4마일(약 6.4km)은 된다고 판단했는데, 이는 꽤 정확한 측정이었다. 그의 연구는 달의 시각적 정보를 새롭게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달 표면과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월면학 발전에도 기여했다.[2]
3. 2. 별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통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최소 10배 이상 많은 별을 관측했다고 보고했으며, 오리온자리와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별자리 지도를 발표하여 새롭게 관측된 별들을 보여주었다. 맨눈으로 관측하는 사람들은 황소자리 성단에서 6개의 별만 볼 수 있었지만,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통해 35개의 별을 관측했는데, 이는 거의 6배에 달하는 수였다.[10] 망원경을 오리온자리로 향했을 때는 이전에 관측되었던 9개의 별 대신 80개의 별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거의 9배에 달하는 수였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에서 갈릴레오는 망원경 없이 본 별들과 망원경으로 본 별들을 구분하여 이 두 별자리를 수정하고 재현했다.[10] 또한, 프톨레마이오스의 별 목록에 있는 일부 "흐릿한" 별들을 관측했을 때, 그것들이 흐릿한 것이 아니라 많은 작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통해 그는 성운과 은하수가 "수많은 별들이 무리지어 모여 있는 집합체"이며, 맨눈으로는 너무 작고 멀리 떨어져 있어 개별 별로 분해될 수 없다는 것을 추론했다.[9]
3. 3. 메디치가의 별 (목성의 위성)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마지막 부분에서 갈릴레오는 목성 주위에 선처럼 보이는 4개의 별들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첫날 밤 그는 선처럼 보이는 3개의 별들이 목성 주위를 타원 궤도로 공전하는 것을 관측하였고, 다음날 밤에 1개의 별을 더 관측함으로써 목성 주위를 도는 4개의 별들을 발견했다.[11][3] 갈릴레오는 1610년 1월 말부터 3월 초까지 목성의 위치와 목성의 동반자 별들을 관측했던 기록을 남겼다. 그 별들은 밤마다 위치를 바꿔갔지만 목성 주위에서 선을 이루며 나타남으로써 갈릴레오는 그들이 목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고 믿게 했다. 1월 11일에 4일의 관측을 끝내고 그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나는 수많은 관측을 통해 수성, 금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것처럼 목성 주위를 도는 3개의 별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불규칙하게 목성 주위를 도는 1개의 항성이 더 있어서 3개가 아니라 4개의 별이 공전하고 있다는 것도 발견했다. 그리고 회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관측자는 매 시간마다 위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12]
갈릴레오가 그린 그림에서 그는 목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원을 사용했고, 4개의 별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별표를 사용했다. 그는 이 두 종류의 항성집단이 구별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고, 행성과 위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두 단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에서도 올바르게 사용되었다.[13]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출판 당시에 갈릴레오는 파도바 대학교의 수학자였고 더 좋은 망원경들을 제작하라는 압박을 받고 있었다. 그는 피렌체로 돌아가고 싶어 했고, 그 곳에서 후원을 받고자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를 자신의 옛 친구인 나중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이 된 코시모 2세 데 메디치에게 바쳤다. 또한 그는 네 명의 메디치 형제들을 기념하기 위해서 그가 발견한 4개의 목성 위성들을 메디치가의 별이라고 이름 붙였다.[3] 이로 인해 그는 피사 대학교의 가장 높은 자리의 수학자이자 철학자가 되었다.[9] 하지만 위성들의 이름을 지은 그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고, 결국 갈릴레이 위성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4. 교회와의 다툼
갈릴레오가 그린 불완전한 달의 모습은 프톨레마이오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완벽하고 변하지 않는 우주의 모습과 상반되었다. 《시데레우스 눈치우스》가 출판되기 전에는 코페르니쿠스식의 지동설 모형이 가톨릭 교회에서 수학적, 가설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하지만 갈릴레오가 코페르니쿠스식 모형을 이론이 아닌 실제로 여기며 말하자, 사람들은 혼란스럽고 경건하지 못한 모형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코페르니쿠스식 모형은 태양이 떠오르고 지구는 움직이지 않는다고 여기던 성서에 도전하는 것이라고 여겨졌다.[17][18]
갈릴레오는 지동설을 주장하여 가톨릭 교회와 갈등을 빚었고, 1633년 종교 재판에 회부되어 가택 연금형을 선고받았다. 1633년까지 갈릴레오가 코페르니쿠스적 견해를 지지하는 다른 저술들을 출판한 것이 유죄 판결의 주된 원인이었다.[2]
5. 이후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출판되자마자 찬사와 불신이 섞인 다양한 반응을 얻었으며, 이탈리아와 영국 전역으로 빠르게 퍼져나갔다. 이 책에 대한 반응으로 아담 엘스하이머의 《이집트로의 도피》(1610년),[14] 로도비코 치골리의 《성모 승천》(1612년), 안드레아 사키의 《신성한 지혜》(1631년)와 같은 세 작품의 예술 작품이 만들어졌다.[9] 또한, 새로운 형태의 천문학적 과학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많은 시와 글이 출판되었다.
메디치 별(목성의 위성)의 발견은 다른 천문학자들을 매료시켰고, 그들은 직접 위성을 관측하고자 했다. 이러한 노력은 "독립적인 연구자들에 의한 실험의 재현 가능성이라는 현대 과학적 요구 사항의 토대를 마련했다. 검증 대 반증 가능성은 《시데레우스 눈치우스》의 발표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13]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회의적이었다. 메디치 별에 대한 일반적인 반응은 망원경 렌즈 결함으로 인한 환상이라는 것이었고, 이는 위성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었다.[13] 당시의 광학 이론으로는 망원경이 감각을 속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증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갈릴레오의 관측을 처음부터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었던 사람은 소수에 불과했다.[15] 갈릴레오의 보고서에 대한 옹호는 국가적 문제가 되었고, 궁정 자체가 유럽 주요 궁정으로 보낼 망원경 제작에 자금을 지원하며 갈릴레오의 관측 결과 확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갈릴레오의 발견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최초의 천문학자는 요하네스 케플러였는데, 그는 1610년 4월 갈릴레오의 신뢰성을 지지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 케플러가 갈릴레오의 발견을 독자적으로 확인한 것은 1610년 8월이었다.[16]
토마스 해리엇, 조제프 골티에 드 라 바텔, 니콜라 클로드 파브리 드 페르레스크, 시몬 마리우스 등 여러 천문학자들이 1610년 가을 목성이 다시 보이게 된 후 메디치 별의 존재를 확인하는 내용을 발표했다. 티코 브라헤와 함께 공부했던 독일 천문학자 마리우스는 자신의 관측 결과를 담은 책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마리우스는 《무두스 요비알리스》(1614년 출판)에서 자신이 갈릴레오보다 먼저 목성의 네 개 위성을 발견했고 1609년부터 관측해 왔다고 주장하며 갈릴레오를 공격했다. 마리우스는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이름을 자신이 지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갈릴레오는 마리우스가 율리우스력을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자신의 관측일이 그레고리력으로 1610년 1월 7일이고, 율리우스력으로는 1609년 12월 28일임을 밝혔다.[13] 현재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는 갈릴레오가 발견한 네 개 위성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1626년, 독일 예수회 천문학자 요한 아담 샬 폰 벨이 중국어와 라틴어로 《원징설》(망원경 설명)을 출판하면서 망원경에 대한 지식이 중국으로 퍼져나갔다.
갈릴레오는 이러한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지동설을 주장했다. 이는 푸코의 진자 실험, 광행차 관측, 그리고 지구 조석 관측을 통해 증명되었다.
갈릴레오는 관성의 법칙과 운동의 법칙 등을 실험적인 방법으로 발견했으며, 실증을 중시하는 현대 과학적 방법론을 실천한 최초의 근대적 과학자로 평가받는다.
6. 현재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과학철학의 중요한 고전으로, 과학啓蒙서의 원점으로 여겨지며 400년 이상 지난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고 있다.[13]
7. 번역
시데레우스 눈치우스(Sidereus Nuncius)의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 에드워드 스태퍼드 칼로스(Edward Stafford Carlos)는 서문과 주석을 포함하여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항성 전령(The Sidereal messenger of Galileo Galilei)''을 번역했다. 이 번역본은 케플러의 굴절광학(Dioptrics) 서문 일부도 포함하며, 1880년 1월 런던, 워털루 플레이스, 옥스퍼드 캠브리지에서 출판되었다. [19]
- 스틸먼 드레이크(Stillman Drake)는 ''갈릴레오의 발견과 견해(Discoveries and Opinions of Galileo)''에서 갈릴레오의 ''항성 전령(Sidereus Nuncius)''을 번역했다. 이 책은 1957년 더블데이 앵커에서 출판되었다. [19]
- 스틸먼 드레이크는 ''망원경, 조류, 전술: 항성 전령과 세계 체계에 관한 갈릴레오의 대화(Telescopes, Tides, and Tactics: A Galilean Dialogue about The Starry Messenger and Systems of the World)''에서도 갈릴레오의 ''항성 전령(Sidereus Nuncius)''을 번역했다. 이 책은 1983년 런던 시카고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19]
- 라이스대학교 명예 교수 앨버트 반 헬던(Albert Van Helden)은 서문, 결론 및 주석을 포함하여 ''갈릴레오 갈릴레이, 항성 전령(Sidereus Nuncius), 또는 항성 전령(The Sidereal Messenger)''을 번역했다. 이 번역본은 1989년 시카고 및 런던 시카고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되었다. [19]
- 윌리엄 R. 셰이(William R. Shea)와 티치아나 바셀리(Tiziana Bascelli)는 ''갈릴레오의 항성 전령(Sidereus Nuncius) 또는 항성 메시지(Sidereal Message)''를 번역했다. 윌리엄 R. 셰이가 라틴어에서 번역했고, 윌리엄 R. 셰이와 티치아나 바셀리가 서문과 주석을 썼다. 이 책은 2009년 매사추세츠주 사가모어 비치 과학사 출판/미국에서 출판되었다. [19]
참조
[1]
잡지
A Very Rare Book
http://www.newyorker[...]
2016-01-11
[2]
논문
Sidereus nuncius; or, A Sidereal Message, by Galileo Galilei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9-01
[3]
뉴스
Faking Galileo
https://lareviewofbo[...]
Los Angeles Review of Books
2014-06-25
[4]
논문
The Title of Galileo's Sidereus nunciu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0-12-01
[5]
웹사이트
Museo della Specola, Bologna - Catalogue, telescopes, introduction
http://www.bo.astro.[...]
[6]
웹사이트
Telescope400 and The Three Galileos
http://telescope400.[...]
[7]
서적
The Three Galileos: The Man, the Spacecraft, the Telescope
https://link.springe[...]
[8]
논문
The telescope in the making, the Galileo first telescopic observations
2010-01-01 #추정 날짜
[9]
잡지
A New Heaven: Galileo and the Artists
1988-01-01 #추정 날짜
[10]
논문
Reading through Galileo's Telescope: Margaret Cavendish and the Experience of Reading
https://digitalcommo[...]
[11]
서적
Galileo trans Carlos
https://archive.org/[...]
1880-01-01 #추정 날짜
[12]
서적
Galileo trans Carlos
1880-01-01 #추정 날짜
[13]
논문
The Appearance of the Medicean Moons in 17th Century Charts and Books—How Long Did It Take?
2010-01-01 #추정 날짜
[14]
논문
Elsheimer's Flight into Egypt and the Night Sky in the Renaissance
1992-01-01 #추정 날짜
[15]
논문
Sidereus-Nuncius, or the Sidereal Messenger - Galilei, G
1990-01-01 #추정 날짜
[16]
서적
The Sleepwalkers
Penguin Books
[17]
문서
Book Reviews on the History of Science
Museo Galileo
2012-12-01 #추정 날짜
[18]
웹사이트
Sparknotes
http://www.sparknote[...]
[19]
웹사이트
Faculty page
http://search.ric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