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세페 성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세페 성단은 게자리에 위치한 산개 성단으로, 고대부터 알려져 관측되어 왔다. 아라토스, 히파르코스, 프톨레마이오스 등 고대 천문학자들이 기록했으며,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40개 이상의 별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했다. 메시에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적시기' 또는 '적시'로 불리며 죽은 사람의 혼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졌다. 현재는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하며, 2012년에는 프레세페 성단 내에서 외계 행성 두 개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자리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게자리 - 거해궁
    거해궁은 황도대의 네 번째 별자리로, 6월 22일부터 7월 22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의 별자리이며, 점성술에서 물의 원소, 감정, 직관, 보호 본능 등을 상징한다.
  • 오리온자리 팔 - 플레이아데스 성단
    플레이아데스 성단(M45)은 황소자리에 위치한 밝은 산개성단으로, 10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 1억 년 정도의 나이를 가지고 있고, 주변에는 반사성운이 존재하며, 약 44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다양한 문화권에서 고유한 명칭과 신화를 가지고 있다.
  • 오리온자리 팔 - 오리온 성운
    오리온자리에 위치한 밝은 확산 성운인 오리온 성운(M42)은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하며, 중심부에는 트라페지움 성단이 존재하고, 수많은 어린 별과 원시행성계 원반을 포함하는 활발한 별 생성 영역이다.
  • 산개성단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산개성단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프레세페 성단
기본 정보
게자리의 벌집 성단 (북쪽이 오른쪽)
게자리의 벌집 성단 (북쪽이 오른쪽)
다른 이름프레세페
M44
NGC 2632
Cr 189
벌집
구유
관측 정보
별자리게자리
적경 (J2000.0)08시 40.4분
적위 (J2000.0)+19° 59′
시선 속도-33.57km/s
거리610 광년 (187 파섹)
겉보기 등급3.7
겉보기 크기95′
물리적 특성
질량태양 질량의 ~500–600배
반지름3.5 파섹
나이~6억–7억 년
식별
분류II,2,m

2. 역사

프레세페 성단은 육안으로도 희미하게 볼 수 있어 고대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었다. 고대 그리스의 시인 아라토스는 기원전 260~270년경 자신의 시 ''Phainomaina''에서 이 성단을 Ἄχλυς|아클루스grc("작은 안개")라고 불렀으며[40][15], 성단이 희미하게 보이면 비가 올 징조라고 기록하기도 했다. 기원전 130년경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자신의 성표에 이 천체를 Νεφέλιον|네펠리온grc("작은 구름")이라는 이름으로 포함시켰다.[40][15]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저서 알마게스트에서 프레세페 성단을 자신이 기록한 일곱 개의 '성운들'(nebulae) 중 하나로 언급하며, "게자리의 가슴에 있는 성운 덩어리"라고 묘사했다.[41][42][17]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은 이 성단을 디오니소스실레노스티탄족과의 전투에서 타고 갔던 당나귀 두 마리, 즉 근처의 별 아셀루스 보레알리스(북쪽 당나귀)와 아셀루스 오스트랄리스(남쪽 당나귀)가 먹이를 먹는 '여물통'(Praesepe|프레세페lat)으로 여겼다.[39][14]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이십팔수귀수(鬼宿)에 해당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 성단을 마차를 탄 귀신이나 악마로 보았으며, 그 모습을 '버드나무꽃차례에서 날아온 꽃가루로 이루어진 구름'에 비유하기도 했다. 또한 '적시기'(積屍氣, 쌓인 시체에서 나오는 기운) 또는 줄여서 '적시'(積屍, 쌓인 시체)라는 이름으로 불렀는데[40][15], 이는 죽은 사람의 혼이 모이는 곳이나 하늘로 올라가는 통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요한 바이어는 1603년에 출판된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서 이 천체를 성운처럼 묘사하고 그리스 문자 엡실론(ε)으로 표기했다. 이 표기는 현재 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인 엡실론 게자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18]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609년 망원경을 이용하여 이 성단을 최초로 관측하고, 이것이 단일 천체가 아니라 4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진 집단임을 확인했다.[37] 그는 "프레세페라고 불리는 성운은 하나의 별이 아니라 40개 이상의 작은 별의 집단"이라고 기록했다.

1769년 3월 4일, 샤를 메시에는 프레세페 성단을 메시에 천체 목록에 M44로 등재했다. 메시에 목록의 다른 천체들은 대부분 혜성과 혼동하기 쉬운 희미한 것들이었지만, 프레세페 성단은 오리온 성운(M42)이나 플레이아데스 성단(M45)처럼 상대적으로 밝고 잘 알려진 천체였기 때문에 목록에 포함된 이유에 대해 여러 추측이 있다. 한 가지 가능성은 당시 천문학계의 경쟁자였던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1755년에 발표한 42개의 천체 목록보다 더 많은 천체를 수록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러 잘 알려진 밝은 천체들을 추가했다는 것이다.[38][13]

빌헬름 슈어가 1894년에 그린 프레세페 성단 지도


1894년에는 괴팅겐 천문대의 대장이었던 빌헬름 슈어가 이 성단의 상세한 지도를 제작했다.

1989년에 발사된 ESA인공위성 히파르코스는 프레세페 성단에 속한 별들의 시차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이 관측 결과를 통해 성단까지의 거리는 약 577 광년, 나이는 약 7억 3천만 년으로 밝혀졌다. 프레세페 성단은 나이와 고유 운동 방향이 황소자리에 있는 산개성단히아데스 성단과 매우 유사하여, 두 성단이 같은 성간 구름에서 비슷한 시기에 함께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3. 위치 및 관측

프레세페 성단은 게자리의 중심부, 구체적으로는 게자리의 γ, η, θ, δ 별이 이루는 사변형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성단까지의 거리는 약 593 광년(182 파섹)으로 추정되며,[48][49] 밝게 보이는 중심부의 지름은 약 23 광년(7 파섹)이다.[50] 성단에는 577개의 별이 속해 있고,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초속 41km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이 성단은 매년 2월부터 5월까지 초저녁, 게자리가 남쪽 하늘 가장 높은 곳(남중)에 위치할 때 가장 쉽게 관측할 수 있다. 달이 없는 맑은 밤에는 육안으로도 작고 흐릿한 구름처럼 보이며, 시력이 좋은 사람은 몇 개의 별을 구분할 수도 있다. 시지름은 약 1.5°로, 쌍안경이나 저배율 소형 망원경으로 보면 성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뚜렷하게 볼 수 있어 관측에 적합하다. 더 큰 망원경으로는 수백 개의 별들을 분해해서 볼 수 있고, 붉은색이나 주황색의 밝은 별들도 확인할 수 있다. 플레이아데스 성단(M45)과는 달리, 적색 거성이나 백색 왜성도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는 1609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이용해 프레세페를 처음으로 관측하고 40개의 별을 식별했다. 1769년 샤를 메시에는 이 성단의 위치를 측정하여 자신의 목록에 M44로 추가했다. 메시에가 오리온 성운이나 플레이아데스 성단처럼 비교적 밝고 잘 알려진 프레세페를 자신의 목록에 포함한 이유는, 당시 경쟁자였던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보다 더 많은 천체 목록을 만들고자 했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13] 빌헬름 슈어는 1894년에 성단의 지도를 제작하기도 했다.

4. 형태와 조성

여타 모든 성단들과 마찬가지로 프레세페 역시 질량 분리 과정을 거쳤다.[46][50][52][7][11][19] 이는 밝고 무거운 항성들은 성단 중심부에 집중되며 어둡고 가벼운 항성들은 성단의 헤일로(코로나로 부를 때도 있음) 부분에 몰린다는 뜻이다. 프레세페의 핵 부분 반지름은 11.4ly(3.5 파섹), 질량 50%가 몰린 범위의 반지름은 약 12.7ly(3.9 파섹), 조석 반지름은 대략 39ly(12 파섹)이다.[46][50][7][11] 그러나 조석 반지름 범위에는 성단의 진짜 구성원이 아니라 그저 지나가는 중인 항성들 역시 다수 포함되어 있다.

프레세페 성단의 광역 이미지


프레세페 성단에는 전부 다 합쳐서 최소 중력적으로 묶인 항성들이 1000 개가 있고 이들의 질량은 대략 태양의 500 ~ 600 배에 이른다.[46][50][7][11]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성단의 구성원일 가능성이 높은 1010 개 항성들 중 68%가 적색왜성이며, 30%는 태양 비슷한 분광형 F/G/K의 항성들이고, 약 2%가 분광형 A의 밝은 항성들이라 한다.[46][7] 성단에는 거성 다섯 개도 있는데 이들 중 넷의 분광형은 K0 III이고 나머지 하나는 G0 III이다.[43][46][53][4][20]

지금까지 성단에서 발견된 백색왜성은 전부 11 개로 이들은 과거 성단에서 가장 질량이 큰 항성들이 진화의 최종 단계에 이른 것이며 주계열이었을 시절 이들의 분광형은 B였을 것이다.[44][5] 그러나 프레세페에 갈색왜성은 극히 드문데,[54] 이들은 과거 헤일로 영역에 있었지만 조석력 때문에 성단을 이탈한 것 같다.[46][7] 갈색 왜성은 식쌍성계 AD 3116에서 발견되었다.

성단 전체의 겉보기 등급은 3.7이다. 성단에서 아주 밝은 별들은 청백색 빛을 뿜으며 겉보기 등급은 6 ~ 6.5이다. 42 게자리는 구성원으로 확인되었다.

혜성 C/2001 Q4 (NEAT)가 프레세페 성단 옆을 지나가는 사진

5. 행성

2012년 9월, 프레세페 성단에서 별개의 항성들을 공전하는 두 개의 외계 행성, Pr0201 b와 Pr0211 b가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성단 내에서 태양과 비슷한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이 처음으로 확인된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전에도 성단에서 행성이 발견된 적은 있었지만, 모항성이 태양과 유사한 경우는 없었다.[24][25]

이 행성들은 미국 조지아 대학교의 샘 퀸(Sam Quinn) 연구팀이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 센터의 데이빗 래섬(David Latham)과 협력하여 프레드 로렌스 휘플 천문대의 1.5m 망원경을 이용해 발견했다. 연구팀은 성단 내 53개 별의 시선 속도를 관측하여, 두 별(Pr 0201, Pr 0211)에서 도플러 편이를 확인하고 행성의 존재를 밝혀냈다.[24][25] 이 발견은 천체물리학 저널 서신에 게재되었다.[55][21]

발견된 두 행성은 모두 목성과 비슷한 질량을 가졌지만 모항성에 매우 가까이 붙어 공전하는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된다. Pr 0201 b는 목성 질량의 약 절반이며 공전 주기는 4.4일, Pr 0211 b는 목성 질량의 약 1.9배이며 공전 주기는 2.1일이다.[26] Pr 0201은 태양보다 약간 큰 F형 주계열성이고, Pr 0211은 태양보다 약간 작은 G형 주계열성이다.[26][32]

2016년에는 추가 관측을 통해 Pr 0211 항성계에서 두 번째 행성인 Pr 0211 c가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목성 질량의 약 8배에 달하며, 공전 주기는 약 5300일로 추정된다.[56][27] 이 발견으로 Pr 0211은 산개 성단에서 확인된 최초의 다중 행성계가 되었다.

이후 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K2 임무를 통해 프레세페 성단에서 더 많은 행성을 발견했다. K2-95, K2-100, K2-101, K2-102, K2-103, K2-104는 각각 하나의 행성을 가지고 있으며, K2-264는 두 개의 행성을 거느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레세페 성단과 같은 성단은 은하계에서 흔하게 존재하므로, 이러한 발견들은 성단 환경에서의 행성 형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며, 향후 유사한 관측을 통해 더 많은 외계 행성 후보가 발견될 것으로 기대된다.[24][25]

'''모항성 데이터'''

모항성Pr 0201[28][29] (BD +20°2184)Pr 0211[30][31]
별자리게자리 (프레세페 성단)
V등급 (m)10.3312.15
천문학적 의의
의의성단 내에서 발견된 최초의 행성계
궤도 요소와 성질 (2016년 6월 1일 기준)
행성 수12
위치 (J2000.0)
적경08h 41m 44.0s08h 42m 11.0s
적위+20°13′37″+19°16′37″
거리 (pc)170.0170.0
물리적 성질
시직경 (R)1.167 (± 0.121)0.827 (± 0.012)
질량 (M)1.234 (± 0.034)0.935 (± 0.013)
분광형F7G9[32]
표면 온도 (K)6174.0 (± 50.0)
금속량 Fe/H0.187 (± 0.038)
나이 (백만 년)578 (± 49)790 (± 30)



'''외계 행성 후보 데이터'''

별 이름질량 (MJ)궤도 장반경 (AU)공전 주기 (일)궤도 이심률궤도 경사각 (°)근점 인자 (°)근점 통과 시각 (JD)행성 반지름발견 방법발견 연도
Pr 0201 b[33]0.54 (± 0.039)4.4264 (± 0.007)2455992.861 (± 0.053)시선 속도법2012년
Pr 0211 b[34]1.88 (± 0.02)0.03184 (± 0.00015)2.14609 (± 2e-05)0.017 (± 0.01)329.0 (± 35.0)2456678.6 (± 0.2)시선 속도법2012년
Pr 0211 c[35]7.95 (± 0.25)5.8 ( -1.4 +2.9 )5300.0 ( -1800.0 +4450.0 )0.7 (± 0.1)103.0 (± 6.0)2456709.0 (± 16.0)시선 속도법2016년


6. 한국과의 관계

프레세페 성단은 동아시아의 별자리이십팔수귀수(鬼宿)에 해당한다. 귀수는 이름처럼 귀신이나 죽음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 별자리로 여겨졌다. 또한 이 성단은 '적시기'(積屍氣) 또는 이를 줄여 '적시'(積屍)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는데[40], 이는 '쌓인 시체에서 나오는 기운' 또는 '쌓인 시체' 자체를 의미한다. 일부 기록에서는 이 '적시기'가 시체 더미에서 나오는 도깨비불 같은 인광(燐光)을 가리킨다고도 설명한다.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이 성단을 죽은 사람의 영혼이 모이는 곳이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갈 때 거쳐 가는 통로로 생각하기도 했다.[23]

참조

[1] 웹사이트 NGC 2632 http://simbad.u-stra[...] 2020-06-11
[2] 웹사이트 Messier 44 http://messier.seds.[...] 2009-12-10
[3] 웹사이트 Messier 44: Observations and Descriptions http://www.maa.clell[...]
[4] 논문 The proper motion and the distance of the Praesepe cluster 1927
[5] 논문 New Praesepe white dwarfs and the initial mass-final mass relation 2006
[6] 논문 Brown dwarfs and low-mass stars in the Pleiades and Praesepe: Membership and binarity 2003
[7] 논문 The stellar populations of Praesepe and Coma Berenices 2007
[8] 웹사이트 WEBDA http://www.univie.ac[...]
[9] 간행물 Parallaxes and proper motions for 20 open clusters as based on the new Hipparcos catalogue http://adsabs.harvar[...] 2009
[10] 간행물 Deep Infrared ZAMS Fits to Benchmark Open Clusters Hosting delta Scuti Stars http://adsabs.harvar[...] 2011
[11] 논문 Structure of the Praesepe Star Cluster 2002
[12] 논문 The Hyades: Distance, structure, dynamics, and age 1998
[13] 웹사이트 Messier Questions & Answers http://messier.seds.[...] SEDS 2005-03-01
[14] 웹사이트 M44 http://messier.seds.[...] SEDS 2005-02-06
[15] 서적 Star Names http://www.constella[...] 1889
[16]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the Deep Sky Objects http://messier.seds.[...]
[17] 웹사이트 Messier Object 44 http://messier.seds.[...] SEDS 2013-09-28
[18] 웹사이트 Cancer – the asses and the Manger http://www.ianridpat[...] 2023-11-19
[19] 논문 Star cluster ecology IV. Dissection of an open star cluster: Photometry 2001
[20] 논문 Binaries in the Praesepe and Coma star clusters and their implications for binary evolution 1999
[21] 웹사이트 First Planets Found Around Sun-Like Stars in a Cluster http://www.jpl.nasa.[...] 2012-09-14
[22] 웹사이트 かに座 / Cancer http://quasar.cc.osa[...] 大阪教育大学 2018-02-04
[23] 논문 プレセペ星団 M44 ニュートンプレス 2018-04
[24] 웹사이트 New Planets Found in Star Cluster - Would Have Dazzling Night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16-06-02
[25] 웹사이트 星団内の太陽型恒星に初の惑星発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ニュース 2016-06-02
[26] 논문 Two 'b's in the Beehive: The Discovery of the First Hot Jupiters in an Open Cluster https://iopscience.i[...] 2016-06-02
[27] 논문 The GAPS programme with HARPS-N at TNG - XI. Pr 0211 in M 44: the first multi-planet system in an open cluster http://www.aanda.org[...] 2016-06-02
[28] 웹사이트 star_name='Pr 0201' http://exoplanet.eu/[...] exoplanet TEAM 2016-06-02
[29] 웹사이트 NAME Pr 0201 - Variable Star https://simbad.u-st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6-02
[30] 웹사이트 star_name='Pr 0211' http://exoplanet.eu/[...] exoplanet TEAM 2016-06-02
[31] 웹사이트 NAME Pr 0211 - Variable Star https://simbad.u-st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6-06-02
[32] 논문 The Stellar Populations of Praesepe and Coma Berenices http://cdsads.u-stra[...] 2016-06-02
[33] 웹사이트 Planet Pr 0201 b http://exoplanet.eu/[...] exoplanet TEAM 2016-03-31
[34] 웹사이트 Planet Pr 0211 b http://exoplanet.eu/[...] exoplanet TEAM 2016-03-31
[35] 웹사이트 Planet Pr 0201 c http://exoplanet.eu/[...] exoplanet TEAM 2016-03-30
[36] 웹인용 Messier 44 http://messier.seds.[...] 2009-12-10
[37] 웹인용 Messier 44: Observations and Descriptions http://www.maa.clell[...] 2020-04-14
[38] 웹인용 Messier Questions & Answers http://messier.seds.[...] SEDS 1998
[39] 웹인용 M44 http://messier.seds.[...] SEDS 2005-02-06
[40] 서적 Star Names http://www.constella[...] 1889
[41] 웹인용 The Discovery of the Deep Sky Objects http://messier.seds.[...]
[42] 웹인용 Messier Object 44 http://messier.seds.[...] SEDS 2013-09-28
[43] 저널 The proper motion and the distance of the Praesepe cluster 1927
[44] 저널 New Praesepe white dwarfs and the initial mass-final mass relation 2006
[45] 저널 Brown dwarfs and low-mass stars in the Pleiades and Praesepe: Membership and binarity 2003
[46] 저널 The stellar populations of Praesepe and Coma Berenices 2007
[47] 웹사이트 WEBDA http://www.univie.ac[...]
[48] 간행물 "Parallaxes and proper motions for 20 open clusters as based on the new Hipparcos catalogue" 2009
[49] 간행물 "Deep Infrared ZAMS Fits to Benchmark Open Clusters Hosting delta Scuti Stars" http://adsabs.harvar[...] 2011
[50] 저널 Structure of the Praesepe Star Cluster 2002
[51] 저널 The Hyades: Distance, structure, dynamics, and age 1998
[52] 저널 Star cluster ecology IV. Dissection of an open star cluster: Photometry https://archive.org/[...] 2001
[53] 저널 Binaries in the Praesepe and Coma star clusters and their implications for binary evolution https://archive.org/[...] 1999
[54] 저널 A search for substellar members in the Praesepe and Sigma Orionis clusters 2006
[55] 웹인용 First Planets Found Around Sun-Like Stars in a Cluster http://www.jpl.nasa.[...] 2012-09-14
[56] 저널 The GAPS programme with HARPS-N at TNG http://www.aanda.org[...] 2016-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