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쿼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쿼야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활동한 체로키족으로, 체로키 문자를 창안하여 체로키어의 문어 표기를 가능하게 한 인물이다. 그는 은세공인으로 활동하며 백인과의 교류를 통해 문자의 필요성을 느껴, 상형 문자를 거쳐 표음 문자에 기반한 86개의 음절 문자를 개발했다. 이 문자는 1825년 체로키 민족에 의해 공식 채택되었고, 체로키 신문 발행에 사용되는 등 체로키 민족의 정체성 유지와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시쿼야의 업적은 국제적으로도 영향을 미쳐, 다른 언어의 문자 개발에도 영감을 주었으며, 현재까지도 기념물, 박물관, 지명 등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출생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 18세기 출생 - 콘플랜터
콘플랜터는 세네카족의 전쟁 지도자이자 외교관으로서, 미국과의 관계 개선 및 세네카족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했으며, 조약 체결을 통해 평화와 토지 보존을 추구했지만 말년에는 미국 문화에 환멸을 느껴 전통 회귀를 꾀한 인물이다. - 멕시코의 실종 사건 - 앰브로즈 비어스
앰브로즈 비어스는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단편 소설 작가, 시인으로, 남북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과 풍자적인 문체로 유명하며, 《악마의 사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1913년 멕시코에서 실종되었다. - 멕시코의 실종 사건 - 2014년 이괄라 집단 납치
2014년 이괄라 집단 납치는 2014년 9월 26일 멕시코 이괄라에서 아요치나파 농촌 사범학교 학생 43명이 실종된 사건으로, 이괄라 시 경찰의 발포와 시장 부인 행사 방해 시도 학생 단체와의 충돌이 있었으며,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증거 부족과 고문 의혹으로 국제 사회와 피해자 가족들이 독립적인 진실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체로키 네이션 사람 - 윌 로저스
윌 로저스는 1879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한 체로키족 혈통의 미국의 배우, 유머 작가, 칼럼니스트, 사회 평론가로, 로프 기술을 시작으로 영화,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며 미국적 가치관을 대변하고 사회와 정치 문제를 풍자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비행 중 사고로 사망했다. - 체로키 네이션 사람 - 킴벌리 티히
킴벌리 티히는 오바마 행정부의 아메리카 원주민 문제 담당 선임 정책 고문이자 체로키 네이션 비즈니스 부사장으로 활동한 미국의 정치인으로, 로저스 주립 대학교, 노스이스턴 주립 대학교, 아이오와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하고 여성 폭력 방지법 재승인에 기여했으며 체로키 네이션의 미국 하원 대표 후보로 지명되었다.
시쿼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ᏍᏏᏉᏯ / ᏎᏉᏯ |
다른 이름 | 조지 게스, 조지 기스트 |
출생 | 1770년경 |
출생지 | 테네시주 녹스빌 근처의 체로키족 마을 투스키기 |
사망 | 1843년 8월 |
사망 장소 | 멕시코 코아우일라주 사라고사 근처의 산 페르난도 데 로사 |
국적 | 체로키족, 미국 |
민족 | 체로키족 |
배우자 | 샐리 벤지 (1815년 결혼) |
자녀 | 2명 |
직업 | 은세공인 대장장이 교육가 전사 정치인 발명가 언어학자 |
업적 | |
주요 업적 | 체로키 문자 창시 |
이름 | |
체로키어 | ᏍᏏᏉᏯ (Ssiquoya), ᏎᏉᏯ (Sequoya) |
로마자 표기 | Ssiquoya, Sequoya |
발음 | IPA: /səˈkwɔɪə/, 체로키어: /seɡʷoja/ |
영어 | George Guess |
2. 생애
세쿼이아의 삶에 대한 사실을 설명하는 주요 문서는 거의 없다. 일부 일화는 구전으로 전해졌지만, 이는 종종 특정한 시기와 장소에 대해 상반되거나 모호하다.
세쿼이아는 다리를 절게 되었는데, 그 원인과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전투 중 부상, 사냥 사고 등 다양한 추측이 있으며, "무릎 관절의 수종성 문제" 또는 "복수"를 앓았다는 기록도 있다.[8] 이로 인해 그는 농부나 전사가 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타고난 지능을 보였으며, 어린 시절 낙농장 하우스를 위한 우유통과 스키머를 고안하고 만들었다.[8]
성인이 된 후, 세쿼이아는 은세공인이 되어 모피 상인과 상인들이 가지고 다니는 은화로 다양한 품목을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작품에 서명하지 않아 그의 작품으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세쿼이아는 어머니의 무역소를 인수하여 운영하기도 했다. 그의 상점은 체로키 남성들의 사교 장소가 되었지만, 그는 술에 빠져 한동안 농장과 무역 사업을 소홀히 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곧 새로운 관심사를 찾았고, 그림을 그리고 대장장이가 되어 철제 농기구를 수리했다. 그는 독학으로 자신의 도구, 대장간, 풀무를 만들었고, 물건을 수리하거나 자신이 만든 물건을 판매하며 성공적인 사업을 했다.[8]
1813년부터 1814년까지, 시쿼야는 기디온 모건 대령이 지휘하는 체로키 연대의 전사로 참전하여 호스슈 벤드 전투에 참여했다.[5] 그의 백인 동료들은 그를 조지 게스(George Guess) 또는 조지 기스트(George Gist)라고 불렀다. 이 전투는 1812년 전쟁 기간 동안 크릭인들이 민족 내 권력을 주장하고 유럽계 미국인들을 몰아내기 위해 시작한 크릭 전쟁의 일부였다. 시쿼야는 복무하면서 문자가 없는 것의 불리함을 목격했고, 이는 체로키 언어에 대한 읽고 쓰는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그의 결심을 굳건하게 했다.
1817년, 시쿼야는 체로키족이 남동부의 토지를 아칸소의 토지와 교환하는 조약에 서명했다. 그러나 1819년, 그는 조약을 철회했는데, 이로 인해 그의 첫 번째 앨라배마 집을 잃게 되었고, 윌스타운 (현대의 포트 페인) 앨라배마로 이주하게 되었다.[5]
2. 1. 초기 생애
세쿼이아는 1778년경 테네시 주 토스케기의 체로키 마을에서 태어났다.[6] 인류학자이자 역사학자인 제임스 무니는 세쿼이아가 어린 시절을 어머니와 함께 보냈다고 그의 사촌의 말을 인용하여 전했다.[6] 그의 이름은 "돼지"를 의미하는 체로키 단어 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6] 다른 설에 따르면 (돼지 또는 주머니쥐)와 "장소, 울타리"를 의미하는 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도 있다.[6] 이는 그의 어린 시절 기형이나 장애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6] 그의 후손에 따르면, 그는 '' ("안에 새가 있다")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나, 농장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해 세쿼이아 ("안에 돼지가 있다")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7]그의 어머니 우테(Wut-teh)는 체로키 부족장의 딸, 누이 또는 조카딸로 추정된다.[8] 역사학자들은 그녀가 올드 태슬과 더블헤드 형제로 확인된 추장들과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8] 존 와츠는 두 추장의 조카였으므로 우테와 와츠는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8] 세쿼이아는 어머니로부터 체로키 언어와 상인으로서의 첫 직업 등 모든 것을 배웠다.[8]
세쿼이아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8] 에밋 스타의 1917년 저서 ''체로키의 초기 역사''를 인용하여 세쿼이아의 아버지가 슈바벤 출신의 버지니아 모피 상인인 나다니엘 가이스트, 가이스트 또는 기스트라고 말하는 설,[8] 1768년 체로키 국가에 들어가 결혼하여 자녀를 낳은 면허 없는 독일인 행상인 조지 기스트였을 수 있다는 설,[8] 나다니엘 기스트로, 크리스토퍼 기스트의 아들이자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조지 워싱턴과 관련된 대륙군의 장교였다는 설 등이 있다.[8] ''체로키 피닉스''는 1828년에 세쿼이아의 아버지가 혼혈이고 그의 할아버지가 백인이었다고 보도했다.[8]
세쿼이아는 아버지가 태어나기 전에 부재했으며, 어머니 우테는 그 후 결혼하지 않았다.[8] 세쿼이아에게는 형제가 없었고 그의 어머니가 그를 혼자 키웠다.[8] 세쿼이아는 학교에 다닌 적이 없고 영어를 배운 적이 없으며, 그와 우테는 체로키 언어만 사용했다.[8] 그는 어린 시절 소를 돌보고 정원에서 일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고, 그의 어머니는 무역소를 운영했다.[8]
세쿼이아는 어린 시절 다리를 절게 되었는데, 정확한 원인과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8] 전투 중 부상, 사냥 사고 등 다양한 추측이 있으며, ''체로키 옹호자''의 초기 판에서는 "무릎 관절의 수종성 문제" 또는 "복수"를 앓았다는 기록이 있다.[8] 다리를 절게 되면서 그는 농부나 전사가 될 수 없었다.[8]
2. 2. 체로키 문자 창안
체로키 문자는 1825년에 체로키어를 표기하는 공식 문자로 채택되었다.[2] 이는 알파벳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현재 세쿼이아 나무의 이름은 '''시쿼야'''에게서 유래되었다고 한다.시쿼야는 백인들의 문자 언어가 지식 범위를 넓히고, 다양한 미디어를 접하며, 더 나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체로키족을 위한 문자 언어를 만들고자 했다.[2]
1809년경, 시쿼야는 체로키 문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은세공인이었던 시쿼야는 유럽계 미국인들과 교류하며 그들의 문자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그들의 서신을 "말하는 잎"이라고 불렀다. 그는 종이가 멀리 떨어진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임을 알았지만, 대부분의 체로키족은 글쓰기를 마법이나 특별한 재능으로 여겼다.[11] 시쿼야는 이러한 생각을 거부하고 체로키족도 종이로 말하는 방법을 발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11]
처음에는 언어의 모든 단어가 문자나 기호를 갖는 상형 문자 또는 표어 문자 체계를 시도했다. 그러나 너무 많은 그림을 기억해야 했기에 비실용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이후 그는 각 음절에 대한 기호를 개발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성경을 참고했으며, 영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문자를 차용했다. 1821년까지 그는 각 자음-모음 시퀀스 또는 체로키어의 음절을 나타내는 86개의 기호(나중에 85개로 간소화)를 완성했다. 기호는 각 열이 각 모음이고 각 행이 각 자음인 차트 형태로 배열되었다.[12] 체로키 문자를 연구한 학자 자닌 스캔카렐리는 "이 음절 문자의 대부분은 라틴 알파벳, 키릴 문자, 그리스 문자, 혹은 아라비아 숫자와 비슷한 외관을 하고 있지만, 음가에는 전혀 관련성이 없다."라고 말했다.[48]
2. 2. 1. 체로키 문자 보급
1809년경, 시쿼야는 체로키 민족을 위한 문자 체계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체로키어를 표기하기 위해 처음에는 각 단어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 방식을 시도했으나, 너무 많은 문자를 기억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했다.[8] 그의 아내는 초기 작품을 마법이라 여겨 불태우기도 했다.[8]이후 시쿼야는 각 음절을 나타내는 기호를 만드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그는 성경을 참고하고 영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문자를 차용하여 1821년까지 86개의 기호(이후 85개로 간소화)를 만들었다. 이 기호들은 각 자음-모음 시퀀스, 즉 체로키어의 음절을 나타내며, 차트 형태로 배열되었다.[12]
시쿼야는 자신의 여섯 살 된 딸 아요케(Ayokeh, Ayoka로도 표기)에게 처음으로 체로키 문자를 가르쳤다.[12] 이들은 마을 족장에게 재판을 받았으나, 서로에게 편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소통하여 새로운 소통 방식을 증명해 보였다. 결국 마을 사람들은 시쿼야의 문자를 배우기 시작했다.[8]
그는 아칸소 준주로 이동하여 그곳의 체로키 지도자들에게 문자의 유용성을 설득했다. 그는 지도자들에게 단어를 말하게 하고, 그것을 적은 다음 딸에게 다시 읽게 하는 방식으로 증명했다. 지도자들은 세쿼야가 지역 주민들에게 문자를 가르치는 것을 허락했고, 몇 달 간의 수업 후 받아쓰기 시험을 통해 문자 체계의 실용성을 확인했다.[13]
시쿼야가 동부로 돌아왔을 때, 그는 아칸소 체로키 지도자의 연설이 담긴 편지를 통해 동부 체로키족에게도 문자를 배우도록 설득했다. 이후 체로키 문자는 빠르게 퍼져나갔다.[13][14]
1825년, 체로키족은 체로키 문자를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17] 1830년에는 체로키족의 90%가 체로키 문자를 읽고 쓸 수 있게 되었다.[15][16] 1828년에는 체로키 문자와 영어로 작성된 최초의 신문인 체로키 피닉스가 창간되었다.[17]
2. 3. 후기 생애
1828년, 시쿼야는 워싱턴 D.C.로 가서, 계획된 인디언 준주(현재의 오클라호마)의 토지에 대한 조약을 협상하기 위한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19] 이 여행에서 그는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대표들을 만났고, 이 만남을 통해 여러 부족이 사용할 수 있는 공통 문자 체계 개발을 구상하게 되었다.[19] 그는 현재의 애리조나와 뉴멕시코 지역으로 가서 그곳의 부족들을 만나기 시작했다.1829년, 시쿼야는 빅 스킨 베이유로 이주하여 시쿼야의 오두막을 지었다. 이 오두막은 그의 남은 생애 동안 그의 집이 되었으며, 1965년에 국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었다.[19] (현재의 오클라호마주 샐리소 시는 이 근처에서 발전했다.) 이 집은 오클라호마 역사 협회에서 운영하다가 2016년 11월 9일에 체로키 네이션에 의해 매입되었다.[20]
1839년, 체로키족이 인디언 준주로 이주하는 문제로 분열되었을 때, 시쿼야는 제시 부시헤드와 함께 체로키 네이션을 재통합하려 했다.[21] 시쿼야는 서부 체로키족을, 부시헤드는 동부 체로키족을 대표하여, 1839년 6월 20일 타카토카에서 열린 부족 회의에서 공동 호소했다. 그들은 재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체로키족이 참여하는 새로운 의회를 개최하기 위한 구두 투표를 얻는 데 성공했고, 이를 통해 연합 법과 새로운 체로키 헌법이 만들어졌다.[21]
시쿼야는 분열된 체로키 민족의 재통합을 꿈꿨다. 1842년 봄, 그는 멕시코로 도망간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체로키 부족들을 찾아 그들을 체로키 민족으로 돌아오도록 설득하기 위한 여행을 시작했다. 당시 체로키 민족은 대부분 인디언 준주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는 아들 티시(추살레타)를 포함한 여러 체로키 남성들과 동행했다.[11]
1843년에서 1845년 사이 어느 시점에, 그는 멕시코 코아우일라 주 산 페르난도 데 로사스(San Fernando de Rosas, 현재의 사라고사)로 가는 여행 중 추정되는 호흡기 감염으로 사망했다.[11] 1845년에 작성된 한 편지에는 동행한 체로키인이 그가 1843년 8월에 사망했다고 진술했다.[11]
1938년, 체로키 민족 수장 J. B. 밀람은 멕시코에서 시쿼야의 무덤을 찾기 위한 탐험대를 지원했다.[23] 1939년 1월, 텍사스 주 이글 패스에서 출발한 탐험대는 멕시코 코아우일라 주에 있는 담수 샘 근처에서 묘지를 발견했지만, 그 묘지가 시쿼야의 것이라고 확실하게 단정할 수는 없었다.[24]
3. 업적 및 영향
시쿼야는 체로키 문자 창시를 통해 체로키 민족과 다른 언어권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28년, 시쿼야는 워싱턴 D.C.에 가서 인디언 준주의 토지에 대한 조약을 협상하기 위한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찰스 버드 킹이 그린 공식 초상화의 모델이 되었으며, 왼손에 음절 문자 사본을 들고 긴 담뱃대를 피우고 있었다. 그는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대표들을 만나, 이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절 문자를 만들고자 했다. 이후 시쿼야는 현재의 애리조나와 뉴멕시코 지역으로 가서 그곳의 부족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1829년, 시쿼야는 빅 스킨 베이유로 이사하여 시쿼야의 오두막을 지었다. 이 오두막은 1965년에 국립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었으며,[19] 오클라호마 역사 협회에서 운영하다가 2016년 11월 9일에 체로키 네이션에 의해 매입되었다.[20]
시쿼야는 분열된 체로키 민족의 재통합을 꿈꿨다. 1842년 봄, 그는 멕시코로 도망간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체로키 부족들을 찾아 그들을 체로키 민족으로 돌아오도록 설득하기 위한 여행을 시작했다. 그는 아들 티시(추살레타)를 포함한 여러 체로키 남성들과 동행했다.[11]
1843년에서 1845년 사이, 멕시코 코아우일라 주 산 페르난도 데 로사스로 가는 여행 중 추정되는 호흡기 감염으로 사망했다. 1845년에 작성된 한 편지에는 동행한 체로키인이 그가 1843년에 사망했다고 진술했다.[11] 산 페르난도 데 로사스 마을은 나중에 사라고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38년, 체로키 민족 수장 J. B. 밀람은 멕시코에서 시쿼야의 무덤을 찾기 위한 탐험대를 지원했다.[23] 1939년 1월, 텍사스 주 이글 패스에서 체로키 및 비체로키 학자들의 일행이 출발했으나, 그 묘지가 시쿼야의 것이라고 확실하게 단정할 수는 없었다.[24] 2011년, ''머스코지 피닉스''는 1903년에 발견된 묘지에 관한 기사를 게재했는데, 발견자들은 그곳이 시쿼야의 무덤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그곳은 멕시코 국경에서 훨씬 북쪽에 있었다.[25]
시쿼야의 업적은 미국 전역과 다양한 분야에서 기려지고 있다.

- 박물관:
- 카네기 미술관 (건축관, 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세쿼이아 알파벳 전시
- 테네시 주 동부 먼로 군 세쿼이아 탄생 박물관: 그의 생애와 체로키 문화 전시.[28][29]
- 1964년, 국립 카우보이 & 서부 유산 박물관 위대한 서부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30]
- 그림과 사진:
- 헨리 인만이 그린 세쿼이아 초상화(1830년경)는 현재 미국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 전시.[31]
- 2017년 사카가위아 달러 동전 뒷면에 묘사.
- 동상 및 기념물:
- 미국 국립 조각상 전당 세쿼이아 동상 기증(1917년, 비니 리엄 제작).[32]
- 조지아 주 캘훈 체로키 국가 추장 세쿼이아 기념비 건립(1932년 9월).[33]
- 미국 의회 도서관 리 로리 제작 ''세쿼이아'' 부조 설치(1939년).
- 노스캐롤라이나 주 체로키인 박물관 앞 세쿼이아 기념비 설치.

- 랜드마크: 세쿼이아의 오두막은 1965년 오클라호마에서 국가 사적지로 지정.
- 기타:
- 1980년 12월 20일, 미국 우정청 위대한 미국인 시리즈 19¢ 우표 발행.[34][35]
- 잭 킬패트릭은 세쿼이아가 체로키 사람들의 상상 속에서 차지하는 숭고한 위치를 언급.[24]
- 조니 캐시 1964년 노래 "말하는 잎"에서 세쿼이아 노래.[36]
- 세쿼이아는 1950년부터 노스캐롤라이나 주 체로키에서 공연되어 온 야외극 ''이 언덕들에게''에 잠시 등장.
1824년, 동부 체로키 총회는 음절 문자를 기리기 위해 세쿼이아에게 큰 은메달을 수여했다.
3. 1. 체로키 민족에 대한 기여
체로키 문자를 창시하여 체로키어를 표기하고 1825년에 체로키족의 공식적인 글말로 자리잡게 했다. 이는 알파벳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은세공인이었던 시쿼야는 유럽계 미국인들과 정기적으로 교류하며 그들의 문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그들의 서신을 "말하는 잎"이라고 불렀으며, 문자가 멀리 떨어진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대부분의 체로키족은 글쓰기를 마법이나 특별한 재능으로 여겼지만, 시쿼야는 체로키족도 종이로 말하는 방법을 발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11]

시쿼야는 1809년경부터 체로키어 표기 체계를 만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상형 문자나 표어 문자 체계를 시도했지만, 너무 많은 그림을 기억해야 했기에 비실용적이었다. 그의 아내는 초기 작품을 마법이라고 믿고 불태우기도 했다.[8]
결국 그는 각 음절에 대한 기호를 개발하는 방식을 택했다. 성경을 참고하고 영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문자를 차용하여 1821년까지 86개의 기호(나중에 85개로 간소화)를 만들었다. 각 기호는 자음-모음 시퀀스 또는 체로키어의 음절을 나타낸다.[12]

1825년, 체로키족은 이 문자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여 기능적인 문자를 갖춘 최초의 원주민 집단 중 하나가 되었다. 그해 말까지 성경과 찬송가가 체로키어로 번역되었다. 1826년에는 체로키 민족 법률 사본이 체로키어로 번역 및 인쇄되었다.
1828년에는 종교 팸플릿, 교육 자료, 법률 문서 등이 음절 문자를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북미 최초의 이중 언어 신문인 ''체로키 피닉스''가 창간되었다.[17] 이 신문은 흩어져 있던 체로키 민족의 단결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음절 문자는 100년 이상 동안 신문, 책, 종교 텍스트 및 달력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8]
체로키 민족이 최초의 인쇄기를 구입했을 때, 시쿼야가 손으로 쓴 일부 기호는 수정되어 로마자에서 가져온 형태로 대체되었다.[17]
1825년, 체로키족이 그의 음절 문자를 받아들인 후, 시쿼야는 아칸소 준주의 체로키족 땅으로 가서 대장장이 작업장과 염전 사업을 시작하고,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음절 문자를 계속 가르쳤다.
1839년, 체로키족이 인디언 준주로 이주하는 문제로 분열되었을 때, 시쿼야는 제시 부시헤드와 함께 체로키 네이션을 재통합하려 했다. 1839년 6월 20일 타카토카에서 열린 부족 회의에서 공동 호소하여 재통합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고 연합 법과 새로운 체로키 헌법을 만들었다.[21]
3. 2. 국제적 영향
세쿼야의 업적은 국제적으로 영향을 미쳐, 문자가 없었던 다른 언어들의 음절 문자 창안에 영감을 주었다. 문맹이었던 체로키인이 음절 문자를 만들었다는 소식은 미국과 그 영토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알래스카 북부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한 선교사는 이 소식을 접하고 크리 문자를 만들었다. 이러한 음절 문자는 캐나다 전역의 다른 원주민 집단이 그들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해 음절 문자를 채택하도록 영감을 주었다.[26]문자를 해독할 수 있었던 한 체로키인은 라이베리아로 이주하여 자신의 민족의 음절 문자에 대해 이야기했다. 라이베리아의 바사어 사용자는 영감을 받아 자신의 음절 문자를 만들었고, 서아프리카의 다른 원주민 집단들도 이를 따라 자신들만의 음절 문자를 만들었다.[26]
중국의 한 선교사는 크리 문자에 대해 읽고 중국의 현지 언어를 표기하는 데 있어 그 사례를 따르도록 영감을 받았다. 시쿼야의 업적 확산의 결과, 총 21개의 알려진 문자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65개 이상의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26]
4. 유산
시쿼야의 업적은 미국 전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기려지고 있다.
- 과학: 캘리포니아의 거대한 나무인 해안 거대삼나무(세쿼이아 세페르비렌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7]
- 박물관:
-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의 카네기 미술관 건축관에는 시쿼야 알파벳이 전시되어 있다.
- 테네시주 동부 먼로 군에는 시쿼야 탄생 박물관이 있어 그의 생애와 체로키 문화를 보여준다.[28][29]
- 1964년, 시쿼야는 국립 카우보이 & 서부 유산 박물관의 위대한 서부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30]
- 그림과 사진:
- 화가 헨리 인만이 그린 시쿼야의 초상화(1830년경)는 현재 미국 국립 초상화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31]
- 2017년 사카가위아 달러 동전 뒷면에는 시쿼야가 묘사되어 있다.
- 동상 및 기념물:
- 오클라호마는 1917년 미국 국립 조각상 전당에 세쿼이아 동상을 기증했는데, 이는 원주민을 대표하는 첫 번째 동상이었다. 이 동상은 비니 리엄이 제작했으며, 워싱턴 D.C.의 국회의사당 원형 홀에 전시되어 있다.[32]
- 1932년 9월, 조지아주 캘훈에 체로키 국가의 추장 시쿼야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33]
- 1939년, 리 로리가 제작한 ''세쿼이아'' 부조가 미국 의회 도서관에 세워졌다.
- 노스캐롤라이나주 체로키인 박물관 앞에는 시쿼야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 랜드마크:
- 시쿼야의 오두막은 그가 1829년부터 1844년까지 살았던 곳으로, 1965년 오클라호마에서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 기타:
- 1980년 12월 20일, 미국 우정청은 위대한 미국인 시리즈에서 그를 기리는 19¢ 우표를 발행했다.[34][35]
- 체로키 작곡가이자 음악학자인 잭 킬패트릭은 시쿼야가 체로키 사람들의 상상 속에서 차지하는 숭고한 위치에 대해 "시쿼야는 항상 황야에 있었다. 그는 돌아다녔지만 사냥꾼은 아니었다. 나는 그가 무엇을 찾고 있었는지 궁금하다."라고 썼다.[24]
- 조니 캐시는 1964년 노래 "말하는 잎"에서 시쿼야에 대해 노래했다.[36]
- 시쿼야는 1950년부터 노스캐롤라이나 주 체로키에서 공연되어 온 야외극인 ''이 언덕들에게''에 잠시 등장한다.
- 1824년, 동부 체로키 총회는 음절 문자를 기리기 위해 세쿼야에게 큰 은메달을 수여했다.
- 중서부와 남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작은 미시시피 화살촉은 1968년 제임스 브라운에 의해 시쿼야(Sequoyah)로 명명되었다.
- 세쿼이아 나무는 1847년 오스트리아 생물학자 슈테판 엔들리허에 의해 ''세쿼이아 자이언티아''(Sequoia gigantea)로 명명되었다. 21세기 오스트리아 연구에 따르면, 출판된 언어학자이기도 한 엔들리허는 시쿼야의 작품에 익숙했다.[39] 추장 시쿼야 참조.
- 나무의 잎에서 증류하여 발견된 결정성 화학 화합물은 1880년 게오르크 룽게와 Th. 슈타인카울러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세쿼이엔(sequoiene)으로 명명되었다.[40]
- 세쿼이아 천공기 나방(sesiid moth)의 유충은 ''Bembecia sequoiae''로 명명되었다.[11][41]
- 1905년 시쿼야 헌법 회의 동안, 제안된 시쿼야 주는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1906년 오클라호마 준주와 합쳐져 새로운 오클라호마 주를 형성했다.[11][42][43]
- 시쿼야가 현재의 오클라호마에 거주했던 지역의 이름은 1851년 시쿼야 구역으로 변경되었다. 오클라호마가 1906년 연방에 가입했을 때, 해당 지역은 시쿼야 카운티로 기록되었다.[11]
- 시쿼야 연구 센터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저술과 문학을 수집하고 보관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 그레이트 스모키 산맥의 마운트 시쿼야.
- 아칸소주 페이엣빌의 마운트 시쿼야
- 테네시주 녹스빌의 시쿼야 힐스.
- 테네시 계곡 개발청 시쿼야 원자력 발전소
- 클린치 강 위의 노리스 댐에서 상류에 위치한 테네시주 노리스 호수의 시쿼야 마리나.
- USS ''시쿼야''
- 시쿼야 동굴과 엘리스 농가는 앨라배마주 밸리 헤드에 있다.[44]
- 시쿼야 컨트리 클럽,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45]
- 시쿼야 협의회 – 테네시주 북동부에 위치한 미국 보이 스카우트 협의회.
- 시쿼야 도서상
- macOS 시쿼야
- 많은 학교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 세쿼이아 칼리지, 캘리포니아주 비살리아
- 시쿼야 고등학교 (조지아), 조지아주 캔턴 (체로키 카운티)
- 시쿼야 고등학교 (오클라호마), 오클라호마주 테일쿼
- 시쿼야 고등학교 (테네시), 테네시주 매디슨빌
- 세쿼이아 고등학교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시티)
- 세쿼이야 초등학교, 오클라호마주 테일쿼
- 세쿼이야 초등학교, 오클라호마주 쇼니
- 세쿼이야 중학교, 캘리포니아주 시미 밸리
- 세쿼이야 초등학교, 오클라호마주 털사
- 세쿼이야 초등학교,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세쿼이야 초등학교, 아칸소주 러셀빌
- 세쿼이야 중학교, 오클라호마주 브로큰 애로우
- 세쿼이야 초등학교, 메릴랜드주 더우드
- 시쿼야 학교,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5. 가족
세쿼야는 처음 샐리 워터스(Sally Waters)라는 여성과 결혼하여 4명의 아이를 낳았고, 이후 Utiyu라는 여성과 3명의 자녀를 더 낳았다. 체로키족 사이에서는 일부다처제가 드문 일이 아니었기 때문에, ᏍᏏᏉᏯ|Sequoyahchr는 아마도 3명의 부인이 더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4]
6.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시쿼야의 업적은 한국의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와 비견될 만하다. 두 사람 모두 자신의 민족을 위해 독창적인 문자를 창안하여 문맹 퇴치와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시쿼야는 유럽계 미국인들과의 교류를 통해 문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로키족이 글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음절 문자를 창안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11]
시쿼야의 이야기는 소수 민족의 언어와 문화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디언 이주 정책과 인디언 기숙 학교와 같이 원주민 언어 사용을 억압하고 탄압했던 역사적 사례는,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이 존중받지 못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극을 보여준다.[37] 이러한 관점에서, 20세기 후반부터 체로키어 부흥 운동이 일어나고, 체로키 네이션에서 체로키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고 학교에서 가르치는 등의 노력은[18]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erokee Traditions Language & Literature
https://www.wcu.edu/[...]
2024-05-04
[2]
웹사이트
Sequoyah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3-19
[3]
서적
Deculturalization and the struggle for equality: a brief history of the education of dominated cultures in the United States
McGraw
2004
[4]
논문
The international impact of Sequoyah's Cherokee syllabary
https://www.jbe-plat[...]
2022-02-11
[5]
웹사이트
Sequoyah The Encyclopedia of Oklahoma History and Culture
https://www.okhistor[...]
2021-03-19
[6]
논문
The Life and Work of Sequoyah
https://gateway.okhi[...]
1930
[7]
웹사이트
"Searching for Sequoyah" interviews UKB Member
https://www.ukb-nsn.[...]
United Keetoowah Band of Cherokee Indians
2018-08-08
[8]
웹사이트
Sequoyah and the Creation of the Cherokee Syllabary
http://www.nationalg[...]
2021-03-19
[9]
웹사이트
1839 Cherokee Constitution born from Act of Union
https://www.cherokee[...]
2021-03-19
[10]
웹사이트
Sequoyah
http://encyclopediao[...]
2021-03-19
[11]
논문
The Life and Work of Sequoyah
https://web.archive.[...]
2017-11-20
[12]
뉴스
Carvings From Cherokee Script's Dawn
https://www.nytimes.[...]
2009-06-23
[13]
뉴스
Invention of the Cherokee Alphabet
1820-08-13
[14]
논문
Invention of a New Alphabet
1832-04-01
[15]
웹사이트
Cherokee Nation
https://www.ou.edu/g[...]
2024-11-20
[16]
웹사이트
Celebrating the ongoing fight to keep the Cherokee language alive
https://www.thesylva[...]
2024-11-20
[17]
웹사이트
Cherokee language Descrip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3-19
[18]
웹사이트
Cherokee language, writing system and pronunciation
https://omniglot.com[...]
2021-03-19
[19]
간행물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ventory-Nomination: Sequoyah's Cabin
{{NHLS url|id=660006[...]
National Park Service
1975-12-09
[20]
웹사이트
Cherokee Nation purchases Sequoyah's cabin, Oklahoma Historical Society
http://indiancountry[...]
2016-11-10
[21]
웹사이트
1839 Cherokee Constitution born from Act of Union
https://www.cherokee[...]
2021-03-19
[22]
뉴스
Se-quo-yah, or George Guess
1845-01-22
[23]
웹사이트
J. B. Milam, McFarlin Library, University of Tulsa. Libraries & Cultures: Bookplate Archive.
http://www.gslis.ute[...]
2009-06-23
[24]
서적
Bartley Milam: Principal Chief of the Cherokee Nation
Indian University Press
1985
[25]
뉴스
Sequoyah's gravesite remains unknown
http://muskogeephoen[...]
2013-04-06
[26]
논문
The international impact of Sequoyah's Cherokee syllabary
https://www.jbe-plat[...]
2016-12-20
[27]
논문
Endlicher and Sequoia: Determination of the Etymological Origin of the Taxon
https://www.biodiver[...]
2017-08-01
[28]
뉴스
After decades, Eastern Band of Cherokee Indians asks federal government to return land
https://www.wbir.com[...]
2022-11-09
[29]
웹사이트
Sequoyah Museum: The Sequoyah Birthplace Museum
http://www.sequoyahm[...]
[30]
웹사이트
Hall of Great Westerners
https://nationalcowb[...]
2019-11-22
[31]
웹사이트
Sequoyah
https://npg.si.edu/o[...]
2020-03-11
[32]
웹사이트
Explore Capitol Hill
http://www.aoc.gov/c[...]
Architect of the Capitol
2013-04-04
[33]
웹사이트
Monument honoring Chief Sequoyah of the Cherokee Indian Nation. Calhoun, Georgia. September 1932.
http://digitalcollec[...]
Georgia State University Library
2016-11-04
[34]
웹사이트
Georgia on Stamps
http://georgiainfo.g[...]
2021-08-18
[35]
웹사이트
Sequoyah
https://postalmuseum[...]
2021-08-18
[36]
웹사이트
Songs of Renown: Johnny Cash "The Talking Leaves"
https://thestringer.[...]
2015-12-04
[37]
논문
Cherokee Self-Reliance
http://journals.sage[...]
2002-10-01
[38]
간행물
Endlicher's sequence: the naming of the genus Sequoia
2012-01-01
[39]
웹사이트
Endlicher and Sequoia: Determination of the Entymological Origin of the Taxon Sequoia
http://scholar.oxy.e[...]
Occidental College
2018-03-07
[40]
웹사이트
Berichte der Deutschen chemischen Gesellschaft zu Berlin
http://gallica.bnf.f[...]
1880-07-01
[41]
서적
Hiking Sequoia and Kings Canyon National Parks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Press
2002-01-01
[42]
웹사이트
Sequoyah Convention
http://digital.libra[...]
2010-05-30
[43]
웹사이트
Statehood Movement
http://digital.libra[...]
2010-05-30
[44]
웹사이트
Sequoyah Caverns and Ellis Homestead
http://www.sequoyahc[...]
[45]
웹사이트
Welcome to Sequoyah Country Club
http://www.sequoyahc[...]
2010-09-02
[46]
서적
Treasures of Gilcrease: Selections from the Permanent Collection
Gilcrease Museum
2003-01-01
[47]
서적
Beginning Cherokee: Talisgo Galiquogi Dideliquasdodi Tsalagi Digoweli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76-01-01
[48]
뉴스
Carvings From Cherokee Script’s Dawn
http://www.nytimes.c[...]
2009-06-22
[49]
웹사이트
Sequoyah
http://www.georgiaen[...]
2009-01-03
[50]
논문
On the Varieties of Indian History: Sequoyah and Traveller Bird
1974-01-01
[51]
간행물
Sault-ste-marie-and-the-war-of-1812
http://turtletalk.fi[...]
1999-03-01
[52]
간행물
The Father of Sequoyah: Nathaniel Gist
http://digital.libra[...]
1937-03-01
[53]
뉴스
Invention of the Cherokee Alphabet
1820-08-13
[54]
서적
Cherokee-English Dictionary: Tsalagi-Yonega Didehlogwasdohdi
Cherokee Nation
1975-01-01
[55]
논문
Invention of a new Alphabet
1832-04-01
[56]
웹사이트
McFarlin Library, University of Tulsa
http://www.gslis.ute[...]
2009-06-23
[57]
서적
Bartley Milam: Principal Chief of the Cherokee Nation
Indian University Press
198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