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도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도환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체육인으로, 대구 출신이며 메이지 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후 대한체육회 회장 서리, 대한반공청년단 단장을 역임했다. 5·16 군사 정변 이후 투옥되었으나 출옥 후 신민당에 입당하여 국회의원을 지냈고, 대한유도회 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며 체육계에도 기여했다. 1988년 정계에서 은퇴했으며, 200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월 신씨 - 신기남
    신기남은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15, 16, 17,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열린우리당 의장,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소설가로도 데뷔했다.
  • 영월 신씨 - 신건 (법조인)
    신건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국가정보원장을 거쳐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를 제기하다가 2015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혁명재판 기결수 - 송지영
    송지영은 남경중앙대학 출신으로 조선일보 논설위원을 거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언론 및 문화계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 혁명재판 기결수 - 최인규 (1919년)
    최인규는 연희전문학교와 뉴욕대학교를 졸업 후 대한교역공사와 한국무역진흥주식회사에서 근무하다 자유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제4대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3·15 부정선거의 총책임자로 지목되어 4·19 혁명 이후 구속, 5·16 군사정변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 - 안종범
    안종범은 경제학자 출신으로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와 새누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박근혜 정부에서 경제수석비서관과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을 역임했으나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 4년형을 확정받은 정치인이다.
신도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신도환
출생일1922년 5월 25일
사망일2004년 3월 24일 (향년 81세)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정치인, 유도인
학력
학교일본 메이지 대학 법학과 학사
정치 경력
의원 선수5
의원 대수4·8·9·10·12
정당무소속
경력자유당 당무위원
신민당 당무위원
신한민주당 당무위원

2. 생애

대구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성장했다. 대구 달성보통학교,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하고, 1943년 메이지 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1950년대에 도쿄 대학 법학부와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법 과정을 수료했다.[1]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같은 해 대한체육회 회장 서리를 맡았고, 이듬해 대한반공청년단을 설립하여 단장을 역임했다. 대한반공청년단은 3·15 부정선거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대생 피습 사건"에 폭력배 동원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0년 부정선거 관련 혐의로 사형구형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 그러나 이듬해 5·16 군사 정변 이후 군사재판에서 20년의 유기형을 선고받아 8년 3개월 동안 투옥되었다.

출옥 후 유진산이 이끌던 신민당에 입당하여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로 다시 당선되었고, 박정희 대통령 시대에 야당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대구 지역구에서 4선을 했다. 1976년 2등 체육훈장 맹호장을 수훈했고, 신민당 정무위원, 사무총장, 최고위원, 1975년 5월부터 1980년 9월까지 제21·22·23대 대한유도회 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 범태평양 유도 연맹 회장 등의 요직을 맡았으며, 198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양김이 당을 떠난 뒤 신한민주당 총재를 역임한 것을 마지막으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에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후 유도 고단자회 회장, 대한체육회 고문, 체육인동우회 이사장, 이승만 박사 기념사업 회장을 역임했다.[1] 2004년 3월 24일 노환으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대구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성장했다. 대구 달성보통학교와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했다. 1943년 일본 메이지 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1950년대에 도쿄 대학 법학부와 컬럼비아 대학교 국제법 과정을 수료했다.[1]

2. 2. 정치 활동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대한체육회 회장 서리를 맡았고, 이듬해 대한반공청년단을 설립하여 단장을 역임했다. 대한반공청년단은 3·15 부정선거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대생 피습 사건에 폭력배 동원에 관여한 것으로 간주되어 1960년 부정선거 관련 혐의로 사형구형받았으나 무죄로 풀려났다. 그러나 이듬해 5·16 군사 정변 이후 군사재판에서 20년의 유기형을 선고받아 8년 3개월 동안 투옥되었다.

출옥 후 유진산이 이끌던 신민당에 입당하여,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국구로 다시 당선되었고, 박정희 대통령 시대에 야당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대구 지역구에서 4선을 했다. 1976년 2등 체육훈장 맹호장을 수훈했고, 그 외에 신민당 정무위원, 사무총장, 최고위원, 1975년 5월부터 1980년 9월까지 제21·22·23대 대한유도회 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 범태평양 유도 연맹 회장 등의 요직을 맡았으며, 198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양김이 당을 떠난 뒤 신한민주당 총재를 역임한 것을 마지막으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전에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

선거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제4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대구시 갑무소속15,623표 (55.90%)1위당선초선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신민당4,969,050표 (44.4%)전국구 14번당선재선
제9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대구시 동구·남구신민당35,105표 (19.83%)2위당선3선
제10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대구시 동구·남구신민당67,625표 (23.43%)2위당선4선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남구·수성구신한민주당69,723표 (24.12%)2위당선5선


2. 3. 체육계 활동

1958년 대한체육회 회장 서리를 맡았다.[1] 1975년 5월부터 1980년 9월까지 제21·22·23대 대한유도회 회장을 역임했다.[1]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 범태평양 유도 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1] 1976년 2등 체육훈장 맹호장을 수훈했다.[1] 정계 은퇴 후 유도 고단자회 회장, 대한체육회 고문, 체육인동우회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1]

2. 4. 사망

신도환은 2004년 3월 24일 노환으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이승만과의 관계

신도환은 이승만 대통령을 존경하여 정계 은퇴 후 이승만 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역임했다.[1] 그러나 3·15 부정선거4·19 혁명의 도화선이 된 "고대생 피습 사건"에 폭력배 동원에 관여한 대한반공청년단의 단장을 맡았던 이력에서 볼 수 있듯, 이승만 정권의 부정부패와 독재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던 것으로 보인다.[1]

4. 평가

신도환은 5선 국회의원을 지낸 중진 정치인이었지만, 3·15 부정선거4·19 혁명 당시 폭력배 동원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은 그의 정치 경력에 큰 오점으로 남아있다. 야당 정치인으로서 박정희 정권의 독재에 맞서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체육계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다.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선 여부비고
1958년총선무소속15,623표 (55.90%)1위당선초선
1971년총선신민당4,969,050표 (44.4%)전국구 14번당선재선
1973년총선신민당35,105표 (19.83%)2위당선3선
1978년총선신민당67,625표 (23.43%)2위당선4선
1985년총선신한민주당69,723표 (24.12%)2위당선5선


6. 저서


  • 《천하를 준다 해도》(1991년)

7. 신도환을 연기한 배우

신도환한국어을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7. 1.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3-23
[2] 웹사이트 신도환(辛道煥) https://encykorea.ak[...] 2023-03-23
[3] 웹사이트 金澤壽(김택수)화장 梁正模(양정모)선수에 최고 體育(체육)훈장「靑龍章(청용장)」 金澤壽(김택수)화장 梁正模(양정모)선수에 최고 體育(체육)훈장「靑龍章(청용장)」 https://newslibrary.[...] 1976-08-19
[4] 웹사이트 대한유도회 - 연혁 http://judo.sports.o[...] 2023-03-23
[5] 웹사이트 삶과 추억 신도환 前 의원 별세 https://www.joongang[...] 2004-03-24
[6] 웹사이트 신도환 전신민당 최고의원 별세 http://www.kyongbuk.[...] 2004-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