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쐐기풀과는 관목, 덩굴 식물, 초본 또는 드물게 교목 형태를 띠는 식물 과이다. 잎은 턱잎을 가지며 자극성 털을 가질 수 있고, 풍매화이며, 쏘임은 불쾌감을 줄 수 있지만, 치명적인 경우는 드물다. 쐐기풀과는 4개의 분기도로 나뉘며, APG II 시스템에서는 장미목에 포함된다. 쐐기풀과 식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선충 등에 의한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쐐기풀과 - 쐐기풀속
쐐기풀속은 쐐기풀과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50여 종이 분포하는 속씨식물 속으로, 쏘는 털이 있는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식용, 약용, 섬유용 등으로 활용된다. - 쐐기풀과 - 서양쐐기풀
서양쐐기풀은 자극성 털이 있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식용, 의학, 섬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1789년 기재된 식물 - 마디풀과
마디풀과는 석죽목에 속하며 북반구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물 과로, 팽대한 마디와 엽초, 작은 방사대칭 꽃, 4~6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된 화피를 가지며, 마디풀아과, 심메리아아과, 에리오고눔아과의 세 아과로 나뉘고, 메밀, 채소, 향신료, 약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중요한 작물을 포함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쐐기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술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계통군) | 속씨식물군 |
강 (계통군)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장미목 |
과 | 쐐기풀과 |
학명 | Urticaceae |
명명자 | Juss., 1789 |
하위 분류 계급 | 아과 |
이명 | Cecropiaceae C.C.Berg |
설명 | |
영어 | IPA: |
2. 특징
쐐기풀과의 식물은 필레아와 같은 관목, 쐐기풀, 담쟁이덩굴과 같은 초본, 드물게는 덴드로크니데, 세크로피아와 같은 교목일 수 있다. 잎은 대개 밋밋하며 턱잎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자극성(쏘는) 털이 흔히 존재한다. 쐐기풀과는 일반적으로 단성화이며 자웅동주 또는 자웅이주일 수 있다. 이들은 풍매화이며, 대부분은 수술이 성숙하고 꽃밥이 폭발적으로 펴질 때 꽃가루를 퍼뜨리는 특이하고 눈에 띄게 특화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APG II 체계는 쐐기풀과를 장미목에 포함시키지만, 이전에는 느릅나무과, 뽕나무과, 삼과와 함께 쐐기풀목으로 분류했다. APG는 "구" 쐐기풀목을 단계통군으로 보지만, 독립적인 목으로는 인정하지 않는다.[10][11]
쐐기풀과 종에 의해 쏘이면 종종 불쾌감을 유발하지만,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을 거의 가하지 않으며, 쏘임으로 인한 사망은 매우 드물다. 사람의 사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으로는 덴드로크니데 코르다타[4][5]와 쐐기풀 페록스[6]가 있다.
3. 분류
현대 분자계통학은 쐐기풀과를 크게 4개의 분기도로 나눈다.[27]
3. 1. 하위 분류
쐐기풀과는 여러 족과 속으로 분류된다.
그 외에 분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한 속도 있다.
3. 1. 1. 개물통이족 (Parietarieae)
개물통이족(Parietarieae)[30]에는 다음 속들이 속한다.3. 1. 2. 모시풀족 (Boehmerieae)
속(Genus) | 학명 및 명명자 | 비고 |
---|---|---|
모시풀속 | Boehmeria Jacq.[31] | 약 80여 종. 모시풀(남방모시풀 B. nivea)은 한산 등지에서 재배, 모시 제작에 사용. 야에야마라세이타소우, 개모시풀, 니오우야부마오, 라세이타소우 (B. biloba), 버들잎모시풀, 오가사와라모시풀 (B. boniensis), 붉은잎모시풀 (B. spicata), 참개모시풀 (B. tricuspis) 등. |
바위모시속(하도노키속) | Oreocnide Miq.[31] | 4종. 이와가네 (O. frutescens), 하도노키 등. |
Archiboehmeria | C.J.Chen[31] | |
Astrothalamus | C.B.Rob.[31] | |
Chamabainia | Wight[31] | |
Cypholophus | Wedd.[31] | |
으름덩굴속 | Debregeasia Gaudich.[31] | 4종. 으름덩굴 (동남아시아-북아프리카 분포). |
Gibbsia | Rendle[31] | |
줄모시풀속 | Gonostegia Turcz.[31] | 5종. 줄모시풀 (G. hirta) 등. |
Hemistylus | Benth.[31] | |
Neodistemon | Babu & A.N.Henry[31] | |
Neraudia | Gaudich.[31] | |
Nothocnide | Blume[31] | |
Phenax | Wedd.[31] | |
누노마오속 | Pipturus Wedd.[31] | 30종. 오오이와가네 (P. arborescens) 등. |
오오바히메마오속 | Pouzolzia Gaudich.[31] | 70종. 얀바루츠루마오 (P. zeylanica) 등. |
Rousselia | Gaudich.[31] | |
Sarcochlamys | Gaudich.[31] |
3. 1. 3. 몽울풀족 (Elatostemateae)
- 몽울풀속(''Elatostema'' J.R.Forst. & G.Forst.)[32]
- 물통이속(''Pilea'' Lindl.)[32]
- 펠리온나무속(''Pellionia'' Gaudich.)[32]
- ''Gyrotaenia'' Griseb.[32]
- ''Lecanthus'' Wedd.[32]
- ''Myriocarpa'' Benth.[32]
- ''Petelotiella'' Gagnep.[32]
- ''Procris'' Comm. ex Juss.[32]
3. 1. 4. 쐐기풀족 (Urticeae)
나도물통이속(*Nanocnide* Blume)[33]쐐기풀속(*Urtica* L.)[33]
혹쐐기풀속(*Laportea* Gaudich.)[33]
- Dendrocnide* Miq.[33]
- Discocnide* Chew[33]
- Girardinia* Gaudich.[33]
- Hesperocnide* Torr.[33]
- Obetia* Gaudich.[33]
- Poikilospermum* Zipp. ex Miq.[33]
- Touchardia* Gaudich.[33]
- Urera* Gaudich.[33]
- Zhengyia* T.Deng, D.G.Zhang & H.Sun[33]
쐐기풀속 쐐기풀(*Urtica thunbergiana*)과 혹쐐기풀속 식물 등이 한국에 자생하며, 어린순은 식용, 전초는 약재로 사용된다.
3. 1. 5. 케크로피아족 (Cecropieae)
케크로피아족(Cecropieae Dumort.[34])은 과거 세크로피아과로 여겨지던 그룹(6속 270종[28])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세크로피아과는 옛날에는 뽕나무과에 포함되었으며, 크론키스트 체계에서는 독립된 과로 취급했다. 세크로피아는 아스테카 개미와 공생하는 개미집 식물로도 알려져 있다.속 | 종 수 | 분포 지역 |
---|---|---|
세크로피아속(Cecropia Loefl.) | 약 80종 | 신열대 |
Myrianthus P.Beauv. | 7종 | |
Coussapoa Aubl. | 50종 | 신열대 |
Pourouma Aubl. | 50종 | |
Musanga C.Sm. ex R.Br. | 2종 | 아프리카 |
Leucosyke Zoll. & Moritzi | 35종 | |
Maoutia Wedd. | 15종 | |
Gibbsia Rendle | 2종 | |
Metatrophis F.Br. | Metatrophis margaretae |
3. 1. 6. 포르스카올레아족 (Forsskaoleeae)
- 포르스카올레아속(''Forsskaolea'' L.)[35]
- ''Australina'' Gaudich.
- ''Didymodoxa'' E.Mey. ex Wedd.
- ''Droguetia'' Gaudich.
3. 1. 7. 기타 속
분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한 속은 다음과 같다.- ''Haroldiella'' J.Florence
- ''Hulletia'' King ex Hook.f.
- ''Metapilea'' W.T.Wang
- ''Metatrophis'' F.Br.
- ''Parsana'' Parsa & Maleki
4. 계통 분류
장미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6]
APG II 시스템은 쐐기풀과를 장미목에 포함시키지만, 이전의 시스템에서는 느릅나무과, 뽕나무과, 삼과와 함께 쐐기풀목의 일부로 간주했다. APG는 여전히 "구" 쐐기풀목을 단계통군으로 간주하지만, 자체적인 목으로 인정하지는 않는다.
현대의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쐐기풀과는 크게 4개의 분기도로 나뉜다.[10][11][12][13][14][15][16][17][18][19][20][21][27]
5. 화석 기록
쐐기풀과의 화석 기록은 단편적이며 주로 흩어진 열매를 기반으로 한다. 후기 백악기의 중앙 유럽에서 화석 수과를 기반으로 한 12종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은 현존하는 속인 ''괭이밥''(3종), ''데브레게아시아''(1종), ''포우졸지아''(3종)에 속하며, 3종은 멸종된 속인 ''Urticoidea''에 속했다.[7] 마스트리히트절의 콜롬비아 화석 식물군에서 Ceropieae족의 잎과 유사한 잎이 발견되었다.[8] 신생대의 이프르절 앨런비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 잎은 뚜렷한 털을 보존하고 있으며, 화석 기록에서 Urticeae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잎들은 이전 에오세 오카나간 고원 연구자들에 의해 원래 ''나무딸기''로 확인되었지만, Devore 외 (2020)는 줄기와 주요 잎맥을 따라 보존된 털을 단순한 털이나 가시가 아닌 자극성 털로 해석했다.[9]
6. 질병
쐐기풀과 식물은 여러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선충에 의한 질병에 취약하다.[23]
- 세균 잎 반점병: ''Xanthomonas campestris''에 의해 발생하며, ''Pellionia'', ''Pilea'' 및 기타 속에 영향을 미친다.
- 탄저병: ''Colletotrichum capsici''에 의해 발생하며, ''Pilea''에 영향을 미치는 곰팡이 질병이다.
- 마이로테시움 잎 반점병: ''Myrothecium roridum''에 의해 발생하며, 쐐기풀과 식물뿐만 아니라 다른 속씨식물에도 영향을 미치는 곰팡이 질병이다.[24][25]
-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에 의해 발생하며, ''Pilea''에 영향을 미치는 물곰팡이 질병이다.
- 남부 역병: ''Athelia rolfsii''에 의해 발생하며, ''Pellionia''와 ''Pilea''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곰팡이 질병이다.
7.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Urticaceae'' Juss., nom. cons.
http://www.ars-grin.[...]
USDA, ARS, National Genetic Resources Program, National Germplasm Resources Laboratory, Beltsville, Maryland
2003-01-17
[2]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3]
논문
Phylogenetics and molecular clocks reveal the repeated evolution of ant-plants after the late Miocene in Africa and the early Miocene in Australasia and the Neotropics
[4]
웹사이트
Selective Stingers
http://www.ecosmagaz[...]
CSIRO
2000-10
[5]
논문
The Stinging Properties of Laportea
https://www.jstor.or[...]
1963
[6]
웹사이트
Poisonous native plants
http://www.teara.gov[...]
[7]
서적
Early Flowers and Angiosperm 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8-18
[8]
논문
Phylogeny of the Cecropieae (Urticaceae) and the evolution of an ant-plant mutualism
[9]
논문
Urticaceae leaves with stinging trichomes were already present in latest early Eocene Okanogan Highlands, British Columbia, Canada
[10]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nettle family (Urticaceae) inferred from multiple loci of three genomes and extensive generic sampling
[11]
논문
Ancestral state reconstruction reveals rampant homoplasy of diagnostic morphological characters in Urticaceae, conflicting with current classification schemes
[12]
논문
Phylogeny of the Urticales based on three molecular data sets, with emphasis on relationships within Urticaceae
http://2000.botanyco[...]
[13]
논문
Urticalean rosids: Circumscription, rosid ancestry, and phylogenetics based on ''rbcL'', ''trnL''–''F'', and ''ndhF'' sequences
http://www.bricol.ne[...]
[14]
논문
Phylogeny of ''Elatostema'' (Urticaceae) using chloroplast DNA data
https://www.research[...]
[15]
논문
On the origin of the fig: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oraceae from ''ndhF'' sequences
[16]
논문
Biogeography and divergence times in the mulberry family (Moraceae)
[17]
논문
The revision of species-rich genera: A phylogenetic framework for the strategic revision of ''Pilea'' (Urticaceae) based on cpDNA, nrDNA, and morphology
[18]
논문
Infra-familial phylogeny of Urticaceae, using chloroplast sequence data
[19]
논문
Nomenclature of tribes within the Urticaceae
[20]
논문
Generic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in Urticeae (Urticaceae) inferred from nuclear and plastid DNA regions
[21]
논문
Phylogeny of the Cecropieae (Urticaceae) and the evolution of an ant–plant mutualism
[22]
논문
''Zhengyia shennongensis'': A new bulbiliferous genus and species of the nettle family (Urticaceae) from central China exhibiting parallel evolution of the bulbil trait
[23]
웹사이트
Common Names of Plant Diseases: Diseases of Foliage Plants (House Plants): Urticaceae
http://www.apsnet.or[...]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1993-03-26
[24]
논문
Influence of host plant and isolate source on Myrothecium leaf spot of foliage plants
http://www.apsnet.or[...]
[25]
논문
Seed-borne species of ''Myrothecium'' and their pathogenic potential
[26]
웹사이트
Urticaceae
http://www.mobot.org[...]
[27]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nettle family (Urticaceae) inferred from multiple loci of three genomes and extensive generic sampling,
[28]
웹사이트
Cecropiaceae
http://delta-intkey.[...]
[29]
간행물
Genera Plantarum
[30]
간행물
Voyage autour du monde :entrepris par ordre du roi ... exécuté sur les corvettes de S. M. l'Uranie et la Physicienne, pendant les années 1817, 1818, 1819 et 1820
[31]
간행물
Voyage autour du monde :entrepris par ordre du roi ... exécuté sur les corvettes de S. M. l'Uranie et la Physicienne, pendant les années 1817, 1818, 1819 et 1820
[32]
간행물
Voyage autour du monde :entrepris par ordre du roi ... exécuté sur les corvettes de S. M. l'Uranie et la Physicienne, pendant les années 1817, 1818, 1819 et 1820
[33]
간행물
Synopsis Plantarum in Flora Gallica Descriptarum
[34]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35]
간행물
Voyage autour du monde :entrepris par ordre du roi ... exécuté sur les corvettes de S. M. l'Uranie et la Physicienne, pendant les années 1817, 1818, 1819 et 1820
[36]
저널
Multi-gene analysis provides a well-supported phylogeny of Rosales
20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