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타한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아나타한''은 1944년 일본인 선원과 군인, 여성 1명이 전쟁 중 아나타한 섬에 표류한 사건을 바탕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이들은 1951년 미 해군에 항복할 때까지 섬에서 고립된 생활을 했으며, 유일한 여성 히가 가즈코를 둘러싼 남성들 간의 갈등과 폭력, 죽음을 다루고 있다. 1952년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 감독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흥행에 실패했지만, 프랑수아 트뤼포 등 평론가들에게는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리아나 제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윈드토커 (영화)
오우삼 감독이 연출하고 니콜라스 케이지 등이 출연한 영화 《윈드토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병대에서 나바호족 암호 통신병들을 보호하는 해병대원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태평양 전쟁에서 나바호 암호가 미군의 승리에 기여한 역할을 조명하지만, 엇갈린 평가와 나바호족 캐릭터 묘사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 북마리아나 제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태평양의 기적 - 폭스라 불렸던 남자
《태평양의 기적 - 폭스라 불렸던 남자》는 히라야마 히데유키 감독의 2011년 일본 영화로, 돈 존스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사이판 전투 후 512일간 저항한 오바 사카에 대위 부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전쟁 미화 논란에도 불구하고 감동적인 스토리와 배우들의 연기력으로 다양한 반응을 얻었다. - 일본의 전쟁 드라마 영화 - 영원의 제로 (영화)
햐쿠타 나오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13년 일본 영화 영원의 제로는 태평양 전쟁 말기, 살아 돌아가겠다는 신념을 가진 파일럿 미야베 큐조의 삶과 그를 둘러싼 이야기를 그린 야마자키 타카시 감독의 작품으로, 흥행 성공과 함께 가미카제 특공대 미화 논란이 있었으며 일본 아카데미상 8개 부문을 수상했다. - 일본의 전쟁 드라마 영화 -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
2018년 개봉한 오카다 마리 감독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이별의 아침에 약속의 꽃을 장식하자》는 불로장생 종족 이오르프의 소녀 마키아가 인간 아이 아리엘을 만나 겪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요시다 아키히코가 캐릭터 원안을, 이시이 유리코가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 감독을 맡았으며 상하이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애니메이션상을 수상했다. - 조셉 폰 스턴버그 감독 영화 - 모로코 (영화)
모로코는 나이트클럽 가수와 외인부대 군인의 사랑을 그린 1930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로, 작품성을 인정받아 다양한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에 올랐으며 국립 영화 보존 등록부에 등재되었다. - 조셉 폰 스턴버그 감독 영화 - 마카오 (영화)
마카오 (영화)는 1952년 개봉한 영화로, 마카오 항구에서 살인 사건에 연루된 세 명의 낯선 이들이 부패한 경찰과 암흑가 보스의 음모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룬다.
아나타한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Anatahan (아나타한) |
장르 | 드라마 전쟁 |
기반 작품 | 아나타한 (마루야마 시즈오) |
제작 | |
제작사 | 다이와 프로덕션 |
제작자 | 다키무라 가즈오 |
감독 | |
감독 | 조세프 폰 스턴버그 |
각본 | |
각본 | 조세프 폰 스턴버그 아사노 다쓰오 |
출연 | |
출연 | 네기시 아케미 스가누마 다다시 나카야마 쇼지 |
내레이터 | 조세프 폰 스턴버그 |
스태프 | |
촬영 | 조세프 폰 스턴버그 |
편집 | 미야타 미쓰조 |
음악 | 이후쿠베 아키라 |
배급 | |
배급사 | 도호 |
개봉 | |
개봉일 | (일본) (미국) |
기타 | |
상영 시간 | 92분 |
제작 국가 | 일본 |
언어 | 영어 일본어 |
제작비 | $375,000 |
2. 사건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태평양 전쟁의 전황은 일본에 불리하게 돌아갔다. 1944년 6월, 일본군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미국과 격전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많은 일본군 함선과 민간 선박들이 격침되었다. 같은 해 6월 12일, 일본과 뉴기니 사이에서 일본 수송선 소규모 함대가 미국 비행기의 공격을 받았다.[5] 이 공격으로 12명의 선원, 일부 군인, 그리고 징용된 어부들만이 인근 정글 섬인 아나타한 섬에 도달하여, 이후 7년 동안 그곳에 갇히게 된다.
2. 1. 아나타한 섬
1944년 6월, 미크로네시아의 마리아나 제도에 있는 아나타한 섬에 일본인 선원과 군인 30명, 일본인 여성 1명이 전쟁 중 조난당했다.[5] 이들은 일본이 연합군에 패배한 지 6년 후인 1951년 미 해군 구조대에 항복할 때까지 섬에 숨어 지냈다.[5]2. 2. 표류
1944년 6월 12일, 일본 수송선단이 미국군의 공격을 받아 침몰하면서, 선원, 군인, 징용 어부 등 30여 명이 아나타한 섬에 표류하게 되었다.[5] 이들 중에는 유일한 여성인 히가 가즈코(영화에서는 게이코)와 그녀의 남편(영화에서는 히사카베)도 포함되어 있었다.3. 섬에서의 생활 (1944년 ~ 1951년)
1944년 6월 12일, 일본과 뉴기니 사이에서 일본 수송선 소규모 함대가 미국 비행기의 공격을 받았다. 12명의 선원, 일부 군인, 징집된 어부들은 인근 아나타한 섬에 표류하여 7년 동안 갇히게 되었다. 섬에는 버려진 코프라 농장의 감독관과 젊은 일본 여성(히가 가즈코, 게이코)만이 살고 있었다.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4년, 군에 징용된 가다랑어 어선이 미군 전투기의 공격을 받아 침몰하면서 십수 명의 생존자가 사이판 북쪽 무인도로 알려진 아나타한 섬에 표류했다.[1] 섬에는 히사카베라는 남자와 게이코가 함께 살고 있었는데, 남성 인구가 갑자기 늘어나면서 남자들은 게이코에게 관심을 가졌지만, 질투심 많은 히사카베와의 사이에서 문제가 발생했다.[1]
초기에는 전 준위가 훈련을 시행하며 질서를 유지하려 했으나, 치명적인 체면 손실을 겪으면서 권력과 여성을 차지하기 위한 투쟁이 시작되었다. 섬에 추락한 B-29 폭격기 잔해에서 권총을 발견한 남자들은 게이코를 둘러싸고 살인을 저지르기 시작했고, 1951년 구조될 때까지 5명의 남자가 사망했다.
3. 1. 권력 투쟁과 갈등
섬에 도착한 직후에는 전 준위가 리더 역할을 했지만, 그가 사고로 권위를 잃게 되면서 생존자들 사이에서 권력 투쟁이 시작되었다. 특히, 미군 비행기 잔해에서 발견된 두 자루의 권총은 갈등을 더욱 격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 2. 히가 가즈코를 둘러싼 비극
아나타한 섬에 표류한 남성들 사이에서 유일한 여성이었던 히가 가즈코(게이코)는 남성들의 성적 대상이 되었다. 그녀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은 폭력과 살인으로 이어졌다. 여러 명의 남성들이 의문사하거나 실종되었는데, 이는 히가 가즈코를 둘러싼 갈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1]태평양 전쟁 말기, 미군 전투기의 공격으로 침몰한 일본 어선 선원 등 십수 명의 생존자가 아나타한 섬에 표류했다. 섬에는 히사카베라는 남자와 게이코라는 여자가 살고 있었는데, 남성 인구가 늘면서 게이코에게 관심이 집중되었고, 질투심 많은 히사카베와 문제가 발생했다.[1]
종전을 알리는 미군의 삐라를 믿지 않고, 섬에 추락한 B-29 폭격기 잔해에서 권총을 발견한 남자들은 게이코를 차지하기 위해 살인을 시작했다. 1949년, 히사카베가 살해당하고, 살아남은 남자들은 제비를 뽑아 게이코의 소유권을 결정했다. 신변의 위협을 느낀 게이코는 미군 배에 구조되어 귀국했고, 그녀의 편지로 남자들도 종전을 믿고 귀국했다.[1]
3. 3. 종전과 귀환
1945년 일본이 항복했지만, 섬의 생존자들은 이 사실을 믿지 않거나 알지 못하고 고립된 생활을 이어갔다.[5] 미군은 종전을 알리는 삐라를 뿌렸지만, 생존자들은 이를 모략으로 여겼다.[5] 1951년, 미군의 설득과 히가 가즈코의 탈출 이후, 남은 생존자들은 마침내 항복하고 일본으로 귀환했다.[5][6]4. 영화 "아나타한"
1944년 6월 12일, 일본과 뉴기니 사이에서 일본 수송선 함대가 미국 비행기의 공격을 받았다. 이로 인해 12명의 선원, 일부 군인, 징집된 어부들이 아나타한 섬에 표류하여 7년 동안 갇히게 된다. 섬의 유일한 거주자는 버려진 코프라 농장의 감독과 젊은 일본 여성이었다. 처음에는 전 준위에 의해 훈련이 시행되었지만, 권력과 여성 소유를 위한 투쟁이 시작된다. 두 남자가 미국 비행기 잔해에서 권총을 발견하고, 1951년 전쟁이 끝났음을 설득받아 구조될 때까지 남자 5명이 사망한다. 준위는 섬에 남고, 7명의 남자와 여성이 일본으로 돌아간다.[5]
미크로네시아 마리아나 제도의 아나타한에서 1944년 6월, 일본인 선원과 군인 30명, 일본인 여성 1명이 조난당했다. 1951년 미 해군 구조대에 항복할 때까지 20명이 생존하여 전후 일본으로 돌아갔다. 1951년 7월 16일자 ''라이프'' 잡지 기사 등 국제적인 관심은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가 이 이야기를 영화로 각색하는 계기가 되었다.[22]
1951년 말, 히가 가즈코를 둘러싼 남성 간의 경쟁으로 인한 죽음과 실종에 대한 선정적인 묘사가 드러났다.[6] 여론의 반발로 생존자에 대한 동정심은 식었고, 1952년 미국의 일본 점령 종료 후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전쟁의 고통에 대한 기억을 억누르려는 욕구가 생겨났다. 이러한 변화는 이듬해 일본에서 개봉된 ''아나타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7]
1953년 6월 일본 개봉을 앞두고, 슈테른베르크는 자신의 영화가 단순한 사건 재현이 아닌 예술 작품임을 강조하는 팜플렛을 배포했다. 그는 인간 고립에 대한 보편적인 우화를 창조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도쿄와 교토 시사회는 미지근한 반응을 얻었고, 일본어 영화에 영어 내레이션에 대한 자막은 제공되었지만, 미국 영화에서는 일본어 대사에 대한 자막이 제공되지 않았다.
프로듀서 가와키타 나가마사는 1953년 8월 제14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에 《아나타한의 사가》를 출품했지만, 미조구치 겐지 감독의 우게츠 이야기에 가려졌다. 유럽 배급을 위해 슈테른베르크의 내레이션은 일본 청년의 것으로 대체되었다.
1954년 미국에서 제한적으로 개봉되어 소규모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비평가들은 슈테른베르크가 일본인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이야기를 각색한 이유에 의문을 제기했고,[22] 키네마 준보를 포함한 비평적 평가는 대체로 적대적이었다. ''이브닝 포스트''의 패트릭 플리트는 "둔하고 지루하다"고 혹평했고,[24] 키타가와 후유히코는 슈테른베르크가 도덕적 상대주의를 보이며 일본 전후 정서와 동떨어져 있다고 비난했다.[20]
반면, 짐 모리슨은 UCLA 영화과 학생 시절 슈테른베르크의 강의를 들었고,[25] 프랑수아 트뤼포는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미국 영화 10편 중 하나로 꼽았다.[26]
4. 1. 제작 배경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 감독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크로네시아의 마리아나 제도 중 하나인 아나타한 섬에서 조난된 일본인 선원과 군인 30명, 그리고 일본인 여성 1명이 겪은 실화를 바탕으로 이 영화를 제작했다.[5] 이들은 일본이 연합군에게 패배한 지 6년 후인 1951년 미 해군 구조대에 항복할 때까지 숨어 지냈다.[5] 1951년 말, 아나타한 섬에서 유일한 여성이었던 히가 가즈코를 차지하기 위한 남성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발생한 죽음과 실종에 대한 선정적인 개인적 설명이 드러났고,[6] 이러한 선정적인 묘사는 여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생존자에 대한 동정심은 식었다.[7]1951년 7월 16일자 ''라이프'' 잡지의 기사를 포함한 국제적인 관심은 슈테른베르크가 이 이야기를 허구 영화로 각색하도록 영감을 주었다.[22] 1952년 8월 일본에 도착한 슈테른베르크는 아나타한 사건에 대한 수많은 영문 번역본을 검토했는데, 그중 일부는 극적이고 선정적이었으며, 생존자 마루야마 미치로의 회고록을 영화에 각색하기로 결정했다. 각본가 아사노 타츠오가 영화 대사에 현지 방언을 추가하기 위해 참여했다. 슈테른베르크는 서사적 요구 사항에 따라 참가자의 수를 남성 13명과 여성 1명으로 줄였고, 이들이 고립된 채 보낸 7년의 세월을 모두 담아냈다. 1944년에 실제로 표류한 사람은 30~32명으로 보고되었으며, 그중 20명이 생존했다.[13]
스턴버그는 여왕벌이라는 별명을 가진 히가와 남자들 간의 러브 스토리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극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생태를 곤충에 비유한 관찰기적인 의미도 부여했다. 영화에서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가명이 붙여졌고, 가즈코는 게이코로 설정되었다.
4. 2. 제작 과정
다이와 프로덕션은 1952년 영화 ''아나타한'' 제작을 위해 설립된 일본 독립 영화 제작사이다. 가와키타 나가마사, 오사와 요시오,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가 공동 경영했다.[8][9] 가와키타는 1928년 도와 무역 회사를 설립, UFA GmbH의 일본 대표로 활동했으며, 1936년에는 아르놀트 판크와 합작하여 일본-독일 선전 영화 ''사무라이의 딸''을 제작했다.[10]
1937년 슈테른베르크는 일본을 방문하여 가와키타, 판크와 협업을 논의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가와키타와 오사와는 전쟁 기간 동안 일본 제국에 봉사하며 선전 영화를 제작했고, 1945년 일본 패망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SCAP)에 의해 B급 전범으로 지정되어 1950년까지 영화 산업에서 활동하지 못했다.[11]
1951년 슈테른베르크는 가와키타와 다시 연락, 1952년 도호를 배급사로 하여 아나타한 사건을 바탕으로 한 영화 제작에 합의했다. 타키무라 카즈오가 제작자로, 츠부라야 에이지가 특수 효과 감독으로, 이후쿠베 아키라가 영화 음악 및 음향 효과를 담당했다.[12] 오카자키 코조는 프리 프로덕션 기간 동안 영화 촬영 기사로 투입되었다.
1952년 8월, 슈테른베르크는 아나타한 사건에 대한 여러 영문 번역본을 검토, 생존자 마루야마 미치로의 회고록을 각색하기로 결정했다. 각본가 아사노 타츠오가 참여했으며, 슈테른베르크는 실제 표류자 30~32명(생존자 20명) 중 참가자 수를 남성 13명과 여성 1명으로 줄였다.[13]
도호 스튜디오 시설 사용 허가를 얻지 못해 교토 오카자키 산업 단지에 야외 세트가 건설되었다. 슈테른베르크는 모든 제작 측면을 통제하며 공동 작업 과정을 시작했다.[13][14][15] 그는 할리우드가 아닌 극동에서 촬영하는 이유를 묻자 "나는 시인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16]
"아나타한 차트"라는 스토리보드가 준비되어 배우의 흐름도는 감정, 행동, 대화의 타이밍과 강도를 나타내기 위해 색상으로 구분되었다. 슈테른베르크는 일본어를, 스태프와 배우들은 영어를 하지 못하는 언어 장벽과 관련된 오해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연기력과 상관없이 외모만 보고" 배우를 선택했다.[17]
1952년 12월 촬영이 시작되어 1953년 2월 종료되었다. 영화의 거의 전체가 교토의 세트에서 촬영되었다.[17] 영화 배우들은 일본어를 사용하며, 슈테른베르크의 내레이션은 영어로 제공된다.[22]
1951년 생존자들이 귀국하여 전모가 드러난 "아나타한의 여왕 사건"을 영화화했다. 1953년 4월에는 히가 본인이 주연한 실록 영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가 만들어졌다. 스턴버그는 실화 그대로의 스토리로 되돌리고, 여왕벌이라는 별명을 가진 히가와 남자들 간의 러브 스토리에 중점을 두었다. 극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생태를 곤충에 비유한 관찰기적인 의미도 부여했다. 영화에서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가명이 붙여졌고, 가즈코는 게이코로 설정되었다.
스턴버그의 수용처는 다이와 프로덕션이었고, 타키무라 가즈오가 프로듀스를 담당했지만, 도호가 지원했다. 오카자키 히로조 등 이 작품으로 실력을 쌓은 스태프도 많다. 엔도 에이지가 특수 효과를 담당, 흑백 화면으로 열대 정글을 표현하기 위해 나무와 잎에 형광 페인트를 칠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이후쿠베 아키라는 즉흥 연주를 요청받아, 필름을 보면서 피아노 솔로를 연주했다. 촬영은 교토 오카자키 공원에 있는 교토시 권업관의 전시 시설 건물을 빌려 거대한 아나타한 섬 세트를 건설하여 진행되었다.
니치게키 댄싱 팀(NDT)에 소속되어 있던 네기시 아케미를 비롯하여, 나카야마 쇼지, 곤도 히로시 등의 캐스트는 모두 신인 배우이다. 네기시는 이 작품으로 데뷔 후 육체파 여배우로 활약했지만, 후년에는 연기파로 전향했다. 스토리 소개나 일본인 배우의 대사를 번역하는 영어 내레이션은 스턴버그에 의한 것이다. 일본 개봉 당시에는 일본어 자막이 없었다.
4. 3. 영화의 특징
영화는 아나타한 섬에서 일어난 실제 사건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면서, 히가 가즈코(영화에서는 게이코)와 남성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17] 스턴버그 감독은 영어 내레이션을 통해 사건의 배경과 인물들의 심리를 설명한다.[22] 또한 극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생태를 곤충에 비유하여 관찰하는 듯한 느낌을 부여했다.4. 4. 평가
미국에서는 호평을 받았으나, 일본에서는 선정적인 사건을 다룬다는 점, 전후 일본 사회의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는 점 등에서 비판을 받았다.[22] 흥행에도 실패했다.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과 영화감독들은 이 영화의 예술적 성취를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키네마 준보에 게재된 여러 저널리스트의 원탁 토론을 포함하여 이 영화에 대한 비평적 평가는 일관되게 적대적이었다.[22] 영화 역사가 미즈노 사치코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이브닝 포스트''에 기고한 패트릭 플리트는 이 영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다루는 방식이 둔하고 때로는 지루하다"며 "이 영화는 '영화 예술'의 열렬한 팬들에게만 권하며, 그 이상으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고 혹평했다.[24]
비평가들은 또한 섬의 고독한 여성과 생존한 남성들에게 동정적인 태도를 보인 슈테른베르크를 비판했다. 이 영화에 대한 비난은 비평가 키타가와 후유히코로부터 특히 가혹했는데, 그는 슈테른베르크가 도덕적 상대주의를 보이고 일본의 전후 정서와 동떨어져 있다고 비난했다.[20]
반면, ''아나타한''은 짐 모리슨이 더 도어스 시절 슈테른베르크가 UCLA 교수였을 때 UCLA 영화과 학생이었고,[25] 프랑수아 트뤼포는 이 영화를 역대 최고의 미국 영화 10편 중 하나로 꼽았다고 한다.[26]
5. 사건의 영향과 의미
태평양 전쟁 말기, 히가 가즈코를 둘러싸고 아나타한 섬에서 벌어진 쟁탈전인 "아나타한의 여왕 사건"은 1951년 생존자들이 귀국하면서 그 전모가 드러났고, 전후 일본 매스컴은 이를 스캔들로 보도했다.[6] 1953년 4월에는 히가 본인이 주연한 실록 영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가 만들어졌는데, B급 엽기 영화라는 평가를 받았다.[7]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 감독은 미국의 신문에서 이 사건을 알게 된 후 영화화를 제안하여 『아나타한』 제작이 시작되었다. 스턴버그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와 달리 실화에 가깝게 스토리를 구성하고, 여왕벌이라는 별명을 가진 히가와 남자들 간의 사랑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극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생태를 곤충에 비유하여 관찰하는 듯한 의미도 부여했다. 영화에서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가명을 사용했고, 히가 가즈코는 게이코로 설정되었다.
스턴버그는 독립 프로덕션인 다이와 프로덕션과 함께 작업했고, 도호는 젊은 스태프를 파견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엔도 에이지는 특수 효과를 담당하여, 흑백 화면으로 열대 정글을 표현하기 위해 나무와 잎에 형광 페인트를 칠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냈다.[7] 이후쿠베 아키라는 즉흥 연주로 영화 음악을 담당했다. 촬영은 교토의 교토시 권업관에 거대한 아나타한 섬 세트를 건설하여 진행되었다.
니치게키 댄싱 팀 (NDT) 소속이었던 네기시 아케미를 비롯하여, 나카야마 쇼지, 곤도 히로시 등은 모두 스턴버그가 직접 발탁한 신인 배우들이었다. 네기시는 이 작품으로 데뷔 후 육체파 여배우로 활약했지만, 후에는 연기파로 전향했다. 영어 내레이션은 스턴버그가 직접 맡았지만, 일본 개봉 당시에는 일본어 자막이 없었다.[7]
미국에서는 호평을 받았지만, 일본에서는 흥행에 실패했고, 스턴버그의 실질적인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5. 1. 사회적 파장
아나타한 사건은 전후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언론은 이 사건을 선정적으로 보도했고, 생존자들은 대중의 관심과 비난을 동시에 받았다.[6] 특히 섬에서 유일한 여성인 히가 가즈코를 둘러싼 남성들의 경쟁으로 인한 죽음과 실종에 대한 선정적인 보도는 여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생존자들에 대한 동정심은 사라졌다.[7]1952년 미국의 일본 점령이 끝나고 일본이 정치적, 경제적 주권을 회복하면서, 전쟁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억누르려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이듬해 일본에서 개봉된 영화 ''아나타한''에 대한 인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7]
1953년 4월에는 히가 가즈코 본인이 주연한 실록 영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가 개봉되기도 했다. 이 영화는 히가를 둘러싼 남자들의 살육전을 과장되게 묘사하고, 섬에서 귀환하는 시기를 실제보다 빠르게 설정하는 등 B급 엽기 영화로 제작되었다.
5. 2. 진상 규명 노력
1951년 생존자들이 귀국하면서 아나타한 섬에서 일어난 사건의 전모가 드러나자, 전후 일본 매스컴은 이를 선정적으로 보도하며 스캔들로 만들었다.[6] 1953년 4월에는 "아나타한의 독부"라고 불린 히가 가즈코 본인이 주연한 B급 엽기 영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감독: 요시다 토시코, 신다이토 영화)까지 제작되었다. 이 영화에서는 히가를 둘러싼 남자들의 살육전이 과장되게 묘사되었고, 섬에서 귀국하는 시기도 실제보다 빠르게 설정되었다.[7]이러한 선정적인 묘사는 여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생존자들에 대한 동정심은 식어갔다. 그러나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노력도 이어졌다. 생존자들의 증언, 관련 자료 조사 등이 이루어졌으나, 사건의 전모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5. 3. 문학과 예술의 소재
아나타한 사건은 인간의 본성, 극한 상황에서의 생존, 여성의 역할, 전쟁의 상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학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5] 1951년 생존자들이 귀국하여 사건의 전모가 드러나자, 언론은 이를 선정적으로 보도했고, 1953년에는 "아나타한의 독부"로 불린 히가 가즈코 본인이 주연한 B급 영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가 제작되기도 했다.[6]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 감독은 이 사건을 바탕으로 영화 아나타한을 제작했다. 그는 『아나타한 섬의 진상은 이것이다』와 달리 실화에 가깝게 묘사하고, 여왕벌이라는 별명을 가진 히가와 남자들 간의 사랑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극한 상황에 놓인 인간의 생태를 곤충에 비유하는 관찰기적 의미도 부여했다.[7] 영화에서는 등장인물 모두에게 가명을 사용했고, 히가 가즈코는 게이코로 설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Jmdb.ne.jp
http://www.jmdb.ne.j[...]
2009-02-10
[2]
간행물
"How We Beat 'Em Pix' Irk Nips, So They Slug U.S. With Own Hay-Makers"
https://archive.org/[...]
1953-08-19
[3]
웹사이트
"The Screen in Review; 'Ana-ta-han,' Filmed in Japan, at the Plaza"
https://www.nytimes.[...]
1954-05-18
[4]
웹사이트
"Screen: Von Sternberg's Coda"
https://www.nytimes.[...]
1977-05-19
[5]
문서
Rosenbaum
1978
[6]
문서
Mizuno
2009
[7]
문서
Mizuno
2009
[8]
문서
Mizuno
2009
[9]
문서
Baxter
1971
[10]
문서
Mizuno
2009
[11]
문서
Mizuno
2009
[12]
문서
Mizuno
2009
[13]
문서
Mizuno
2009
[14]
문서
Gallagher
2002
[15]
문서
Baxter
1971
[16]
문서
Sarris
1966
[17]
문서
Mizuno
2009
[18]
문서
Mizuno
2009
[19]
문서
Mizuno
2009
[20]
문서
Mizuno
2009
[21]
문서
Eyman
2017
[22]
문서
Mizuno
2009
[23]
문서
Mizuno
2009
[24]
뉴스
Royal Tour Epic Makes You You Are There Too
https://www.newspape[...]
1954-10-02
[25]
뉴스
Jim Morrison's favourite film is an unsung classic
https://faroutmagazi[...]
2022-03-18
[26]
뉴스
'Saga Of Anatahan' To Be Screened At HC
https://www.newspape[...]
1972-10-26
[27]
서적
"<保存版>別冊映画秘宝 東宝特撮女優大全集"
洋泉社
2014-09-24
[28]
웹사이트
Jmdb.ne.jp
http://www.jmdb.ne.j[...]
2009-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