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의 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의 다리는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위치한 석회암 퇴적물과 모래톱으로 이루어진 해저 지형이다. 현지에서는 "라마의 다리" 또는 "람 세투"로 불리며, 힌두교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라마 왕자가 시타를 구하기 위해 건설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질학적으로는 최후 빙하기 해수면 하강으로 육지가 된 후,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힌두교와 이슬람교에서 종교적 중요성을 지니며,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 및 팔크 해협 교량 건설과 관련된 논란이 존재한다. 이 구조물의 기원에 대해서는 과학적, 종교적, 정치적 관점 간의 갈등이 있으며, 특히 라마의 다리 건설 주장에 대한 과학적 증거 부족으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지형 - 포크 해협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있는 포크 해협은 얕은 수심과 라마 세투 군도로 인해 대형 선박 통행이 어려워 해운 운하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환경 및 종교적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 - 스리랑카-인도 국경 - 만나르만
만나르 만은 아시아 남동쪽 끝에 위치한 해역으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해안 생태계를 자랑하며, 진주 조개 서식지로 유명하지만 인구 증가와 어업 활동으로 해양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어 국립공원 및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스리랑카-인도 국경 - 포크 해협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있는 포크 해협은 얕은 수심과 라마 세투 군도로 인해 대형 선박 통행이 어려워 해운 운하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환경 및 종교적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 - 스리랑카의 지형 - 시기리야
시기리야는 5세기 카사파 1세가 건설한 스리랑카의 고대 암벽 요새이자 왕궁, 요새, 정원 등으로 구성된 복합 도시 유적으로, 암벽 정상의 궁궐, 프레스코화, 거울 벽 등으로 유명하며 불교 수도원으로 사용되다 19세기 재발견 후 스리랑카의 대표적인 역사 유적이 되었다. - 스리랑카의 지형 - 포크 해협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있는 포크 해협은 얕은 수심과 라마 세투 군도로 인해 대형 선박 통행이 어려워 해운 운하 건설이 제안되었으나, 환경 및 종교적 반대에 직면하고 있다.
아담의 다리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아담의 다리 라마의 다리 |
로마자 표기 | Adam's Bridge Rama's Bridge, Rama Setu |
싱할라어 | ආදම්ගේ පාලම (ādamgē pālama) රාමගේ පාලම (rāmagē pālama) |
타밀어 | ஆதாம் பாலம் (ātām pālam) இராமர் பாலம் (Irāmar pālam) |
산스크리트어 | रामसेतु (rāmasetu) |
설명 |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의 얕은 여울의 사슬 |
위치 | 인도양 |
길이 | 약 48km |
수심 | 1m |
2. 명칭
현지에서는 "라마의 다리"라고 불리며, 타밀어로 "이라마르 파람(இராமர் பாலம்|Irāmar Pālamta)", 힌디어 등으로 "람 세투(रामसेतु|Ram setuhi)"라고 한다. 이는 인도의 고대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라마 왕자가 시타 공주를 구하기 위해 랑카섬으로 건너갈 때, 이곳에 다리를 놓았다는 전승에 근거한다.[42] 《라마야나》 2-22-76 절에서 이 다리를 '''세투반다남(Setubandhanam)'''이라고 칭하는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43]
힌두교의 고대 서사시 《라마야나》에는 라마 신이 바나라(원숭이) 군대의 도움을 받아 랑카 섬으로 가서 아내 시타를 구출하기 위해 다리를 건설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42] 이 다리는 "라마 세투" 또는 "세투반다남"이라고 불리며, 힌두교 신자들에게 중요한 성지로 여겨진다.[43]
인도 본토에서 팜반 섬까지는 팜반 다리가 연결되어 도로와 철도가 놓여 있다. 팜반 섬에서 스리랑카의 만나르 섬(탈라이만나르)까지는 페리가 운항했었지만, 양국 간 분쟁으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아담의 다리라는 이름은 알 비루니 시대(c. 1030) 즈음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2] 이는 아담이 에덴 동산에서 추방된 후 이 다리를 통해 인도 반도로 건너왔다는 이슬람의 믿음에 근거한 것으로 보이며, 성경의 아담이 지구로 떨어진 곳인 아담스 피크가 스리랑카에 위치하고 있다는 믿음에서 유래했다.[3] 이븐 코르다드베의 《키타브 알-마살리크 와-알-마마리크》(c. 850)는 이 구조를 '세트 반다이'(Set Bandhai, 문자 그대로 '바다의 다리')라고 언급한다.[2] 18세기의 네덜란드 지도에도 '바다의 다리'로 기재되었으며, 아담스 브리지(Adam's Bridge)로 명명한 것은 1804년의 영국 지도이다. 이는 스리랑카에 있는 아담스피크에, 이 세상의 첫 인간인 아담이 갈 때 건너갔다는 전설에 근거한다.
3. 지질학적 기원과 진화
최후 빙기(115,000–11,700년 서기 이전) 동안 해수면이 현재보다 최대 120m 아래로 내려가면서, 얕은 팔크 해협(최대 수심 35m) 전체가 말라 육지가 되어 인도 아대륙과 스리랑카를 연결했다. 홀로세 동안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약 7,000년 전쯤 해협은 아담스 브리지 지역을 포함하여 물에 잠겼다. 아담스 브리지의 섬들은 약 5,000년 전부터 이 지역의 해수면 하강에 따라 다시 수면 위로 나타났다.[5]
이 다리는 인도의 팜반 섬 끝자락인 다누슈코디에서 여울의 연쇄로 시작하여 스리랑카의 만나르 섬에서 끝난다. 팜반 섬은 2km 길이의 팜반 다리를 통해 인도 본토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만나르 섬은 둑길로 스리랑카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아담스 브리지의 본질과 기원에 대한 많은 불확실성은 포괄적인 현장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아담스 브리지는 주로 표면이 단단하고 모래 둑으로 내려갈수록 거칠고 부드러워지는 일련의 평행한 사암 및 역암 선반으로 구성되어 있다.[6]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의 우주 응용 센터(SAC)의 해양 및 수자원 그룹은 아담스 브리지가 103개의 작은 패치 리프(patch reef)로 구성되어 있다고 결론 내렸다.[6] 한 연구는 유스타시스적 융기(eustatic emergence)를 나타낼 증거가 불충분하며 남인도의 융기된 암초는 아마도 국지적인 융기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잠정적으로 결론 내렸다.[7]
4. 힌두교의 종교적 중요성
일반적으로 랑카는 현재의 스리랑카와 동일시된다.[4] 그러나 이러한 동일시는 《라마야나》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몇몇 구절은 이에 반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23] 1천년기의 몇몇 산스크리트 자료들은 랑카와 스리랑카의 차이점을 강조한다.[4] 힌두 서사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존 브로킹턴은 로버트 P. 골드먼의 의견에 동의하며, 《라마야나》의 대부분을 "일종의 정교한 동화"로 보고 역사성을 탐구하려는 시도는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한다.[24]
현존하는 역사적 자료에서 두 섬 사이의 동일시는 난디바르만 2세 (8세기 후반 재위)의 카사쿠디 구리판에서 처음 나타나며, 그의 조상 중 한 명이 스리랑카를 정복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 그 후 초라 왕조 시대에 《라마야나》가 자체적인 생명력을 얻게 되면서, 초라 왕조는 섬을 침략하려는 제국주의적 야망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 동일시를 제시했다.[4] 이후 자프나의 아리아차크라바르티 왕조는 자신들을 다리의 수호자로 제시하는 데 이 연결을 이용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마야나》에 대한 두 개의 유명한 중세 주석서인 라마누지야 (c. 1500, 라마누자 저)와 타트바디피카 (c. 1550, 마헤스와라티르타 저)는 랑카와 스리랑카를 계속해서 구분했다.[25]
현지에서는 "라마의 다리"라고 불리며, 타밀어로 "이라마르 파람(இராமர் பாலம்|Irāmar Pālamta)", 힌디어 등으로 "람 세투(रामसेतु|Ram setuhi)"라고 한다. 이는 인도의 고대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라마 왕자가 시타 공주를 구하기 위해 랑카섬으로 건너갈 때 이곳에 다리를 놓았다는 전승에 근거한다.
5. 이슬람교의 종교적 중요성
6. 교통
6. 1.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
아담스 브리지(라마 세투) 인근 해역은 수심이 1m로 얕아[5] 팔크 해협을 통과하는 큰 배들의 항해에 큰 장애물이 되었다. 기원전 1천 년기부터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교역이 활발했지만, 작은 보트와 딩기(dinghy)에 국한되었다. 서쪽에서 온 대형 외양선은 인도의 동쪽 해안에 도달하기 위해 스리랑카 주변을 항해해야 했다.[8] 18세기 후반, 영국의 지리학자 제임스 르넬 소령은 라미세람 해협 준설을 제안했지만,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8]
1823년, 아서 코튼 경은 팜반 해협을 조사했고, 1480년 폭풍으로 아담스 브리지 연결이 끊어졌다는 기록을 발견했다. 코튼은 해협 준설을 제안했지만, 1828년에 심 소령이 암석 폭파 및 제거 작업을 지시하기 전까지는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9][10] 1837년에는 F. T. 파월, 에더시, 그리브, 크리스토퍼 중위와 제도사 펠릭스 존스가 아담스 브리지에 대한 상세한 해양 조사를 수행했고, 이듬해 해협 준설 작업이 재개되었다.[8][11] 그러나 19세기와 그 이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량 선박 외에는 해협을 통과할 수 없었다.
인도 정부는 독립 이전 9개, 독립 이후 5개의 위원회를 구성하여 세투사무드람 운하 프로젝트의 노선을 제안했다. 대부분은 라메스와람 섬을 가로지르는 육상 통로를 제안했고, 아담의 다리를 가로지르는 노선은 권고하지 않았다.[12] 1956년 세투사무드람 프로젝트 위원회도 육상 통로의 장점을 들어 아담의 다리 절단 대신 육상 통로를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13]
2005년, 인도 정부는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이 프로젝트는 단누슈코디 근처의 얕은 해저를 준설하여 팔크 해협을 가로지르는 선박 통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운하는 스리랑카 섬을 우회하는 항해 시간을 400km 이상(거의 30시간) 단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바라티야 자나타 당(BJP), 전인도 안나 드라비다 문네트라 카작함(AIADMK), 라스트리야 자나타 달(RJD), 자나타 달 (세속)(JD(S)) 및 일부 힌두교 단체들은 아담의 다리가 라마야나에 묘사된 신성한 제방이라는 종교적인 이유로 준설에 반대하며, 아담의 다리에 피해를 주지 않는 대체 노선을 제안했다.[14][15] 당시 주 및 중앙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반대했으며, 이 프로젝트의 강력한 지지자인 연방 해운부 장관 T. R. 발루는 현재 제안이 경제적,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며 다른 대안은 없다고 주장했다.[16][17][18]
준설 반대는 생태 및 해양 자원 영향, 토륨 매장량 손실, 쓰나미 피해 위험 증가 등 환경적, 경제적 우려도 제기되었다.[19] 일부 단체는 과학적 연구 부족을 이유로 프로젝트에 반대했다.[20]
6. 2. 팔크 해협 교량 건설 제안
팔크 해협 교량은 아담의 다리 위 또는 그와 평행하게 팔크 해협을 가로지를 계획인 도로 및 철도 해상 교량 및 터널이다. 이 교량은 인도의 팜반 섬 끝자락에 있는 다누슈코디에서 스리랑카의 만나르 섬에 있는 탈라이만나르까지 이어지며, 산업/경제적 목적과 관광 진흥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2002년 인도와 스리랑카 정부가 처음으로 진지하게 제안했으며, 당시 타밀 나두 주지사의 안보 관련 반대로 보류되었다가 2023년에 다시 진지하게 검토되었다.[21] 2024년 8월 현재, 타당성 조사가 완료 단계에 접어들었다.[22]
인도 본토에서 팜반 다리가 2km 떨어진 Pamban Island|팜반 섬영어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도로와 철도가 놓여 있다. 이 섬에서 스리랑카의 만나르 섬(탈라이만나르)까지 페리가 운항한다. 첸나이에서 콜롬보까지 철도·페리·철도를 갈아타는 표를 살 수 있지만, 양국의 분쟁으로 인해 서비스가 종종 중단된다. 인도 정부는 대형 선박의 항해를 위해 2001년에 준설 계획을 세웠지만, 종교, 경제, 환경 등의 이유로 반대에 부딪혀 실현되지 못했다.
7. 기원 주장에 대한 논란
인도의 라마야나 설화에 따르면, 라마 신이 아담의 다리를 건설했다는 종교적 믿음이 있다. 그러나 이는 과학적 사실과 충돌하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인도 정부는 세투사무드람 해운 운하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아담의 다리를 통과하는 노선을 계획했다. 이에 대해 바라티야 자나타 당(BJP), 전인도 안나 드라비다 문네트라 카작함(AIADMK) 등 여러 정당과 힌두교 단체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반대했다. 이들은 아담의 다리가 라마야나에 묘사된 제방이라고 주장하며, 운하 건설이 이를 훼손할 것이라고 우려했다.[14][15] 반면, 당시 정부와 연방 해운부 장관 T. R. 발루는 현재의 노선이 경제적, 환경적으로 타당하며 다른 대안은 없다고 주장했다.[16][17][18]
전 인도 지질 조사소 소장 등을 비롯한 일부는 아담의 다리가 인공 구조물이라고 주장했지만,[28][29][30][31] 인도 고고학 조사소는 이를 뒷받침할 증거를 찾지 못했다.[36] NASA 역시 위성 사진이 아담의 다리의 기원이나 인간의 개입 여부를 판단하는 데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고 밝혔다.[35] 인도 정부 또한 2007년 인도 대법원에 아담의 다리가 라마에 의해 건설되었다는 역사적 증거가 없다고 진술했다.[37]
이러한 논란은 종교적 신념과 과학적 사실 사이의 갈등을 보여준다. 2007년 스리랑카 관광 개발청이 종교 관광을 장려하기 위해 아담의 다리를 "라마야나 트레일"의 일부로 포함시키려 하자, 일부 스리랑카 역사가들은 이를 역사 왜곡이라고 비판했다.[40] 이처럼 아담의 다리는 종교적,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면서 논란이 증폭되기도 했다.[41]
참조
[1]
encyclopedia
Adam's bridge
https://www.britanni[...]
2007-09-14
[2]
서적
Ceylon: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Island, Historical, Physical, Statistical. Containing the Most Recent Information
https://archive.org/[...]
Chapman & Hall
1876
[3]
서적
Islam Translated: Literature, Conversion, and the Arabic Cosmopolis of South and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4]
간행물
Explorations in the Transmission of the Ramayana in Sri Lanka
https://www.tandfonl[...]
2019
[5]
간행물
Evolution of Ramasetu region as a link between India and Sri Lanka during the late Pleistocene and Holocene
https://www.cambridg[...]
2023-01
[6]
간행물
IRS views the Adams bridge (bridging India and Sri Lanka)
2003-12-01
[7]
간행물
Raised Reefs of Ramanathapuram, South India
[8]
서적
Asia's Maritime Bead Trade: 300 B.C.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서적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Trübner & co.
[10]
서적
General Sir Arthur Cotton, R. E., K. C. S. I.: His Life and Work
https://archive.org/[...]
Hodder & Stoughton
[11]
서적
Memoirs of hydrography
https://archive.org/[...]
Keay
[12]
웹사이트
Sethusamudram Corporation Limited–History
http://sethusamudram[...]
[13]
뉴스
Use land based channel and do not cut through Adam bridge:Sethu samudram project committee report to Union Government
https://web.archive.[...]
india-forum.com
2007-10-15
[14]
웹사이트
Ram Setu a matter of faith, needs to be protected: Lalu
http://www.newkerala[...]
2007-09-24
[15]
웹사이트
Rama is 'divine personality' says Gowda
https://web.archive.[...]
2007-09-24
[16]
웹사이트
IndianExpress.com–Sethu: DMK chief sticks to his stand
https://web.archive.[...]
2016-02-08
[17]
웹사이트
Latest India News @ NewKerala.Com, India
http://www.newkerala[...]
[18]
웹사이트
indianexpress.com
https://web.archive.[...]
2016-02-08
[19]
웹사이트
Thorium reserves to be disturbed if Ramar Sethu is destroyed
http://www.hindu.com[...]
2007-09-24
[20]
웹사이트
The Sethusamudram canal project
https://www.rediff.c[...]
[21]
웹사이트
Bridge that could boost India and Sri Lanka ties
https://www.hindusta[...]
2024-07-08
[22]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y on proposal to establish land connectivity with India in final stages, says Sri Lankan President
https://indianexpres[...]
2024-07-09
[23]
서적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 Epic of Ancient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서적
Rāma the Steadfast: An Early Form of the Rāmāyaṇa
Penguin
[25]
서적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 Epic of Ancient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서적
Banishment and Belonging: Exile and Diaspora in Sarandib, Lanka and Ceyl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Adams Bridge
https://www.encyclop[...]
2018-05-23
[28]
웹사이트
rediff.com: Adam's Bridge is a man-made structure
http://specials.redi[...]
[29]
웹사이트
Ram himself destroyed Setu, govt tells SC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12-10-23
[30]
웹사이트
Indian Council of Historical Research to look for material evidence of Rama Setu - India News
https://timesofindia[...]
2022-10-29
[31]
웹사이트
Raptures over Ram Setu video underline what's wrong with our government and sections of the media
https://scroll.in/ar[...]
2017-12-20
[32]
웹사이트
A bridge that Lord Ram built - myth or reality?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19-04-10
[33]
웹사이트
A Post-Truth Take on the Ram Setu
https://thewire.in/m[...]
2019-04-10
[34]
뉴스
'Place faith in science, and not in faith-based culture'
https://www.thehindu[...]
2021-03-07
[35]
뉴스
Space photos no proof of Ram Setu: NASA
https://web.archive.[...]
2007-09-18
[36]
뉴스
Myth vs Science
https://frontline.th[...]
2020-04-12
[37]
뉴스
No evidence to prove existence of Ram
https://www.rediff.c[...]
2020-04-12
[38]
뉴스
Twenty research scholars to get training to find 'truth' of Ram Sethu
https://indianexpres[...]
2020-04-12
[39]
뉴스
ICHR not to conduct study whether Ram Setu man made, natural
https://timesofindia[...]
2020-02-11
[40]
뉴스
Selling off the history via the 'Ramayana Trail'
http://www.dailymirr[...]
Wijeya Newspapers Ltd
2010-07-23
[41]
간행물
Hindu Nationalism and the (Not So Easy) Art of Being Outraged: The Ram Setu Controversy
http://journals.open[...]
2008
[42]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McFarland & Company
[43]
웹인용
Valmiki Ramayan calls mythological bridge built by Lord Rama as Setubandhanam
http://www.valmikira[...]
2013-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