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덴 동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덴 동산은 '환희의 동산' 또는 '태고의 정원'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로, 창세기에 따르면 야훼가 아담을 창조하여 살게 한 곳이다. 동산에는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가 있었으며, 아담과 하와는 뱀의 유혹에 빠져 선악과를 먹고 에덴에서 추방되었다. 성경은 에덴의 위치를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이 흐르는 지역으로 묘사하며, 다양한 추정 위치가 존재한다. 종교적으로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천상의 낙원 또는 지상의 정원으로 묘사되며, 문학 작품과 예술 작품의 소재로 널리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덴 동산 - 실낙원
존 밀턴의 《실낙원》은 창세기를 바탕으로 사탄의 반란과 인류의 타락, 구원의 가능성을 다룬 5음보격 암시경 서사시로, 자유 의지, 선악, 죄와 구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며 기독교 문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지만 논쟁적인 해석과 비평의 역사를 지닌다. - 에덴 동산 - 선악과
선악과는 여러 종교 경전과 신화에 등장하는 금단의 열매로, 창세기에서는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금지한 열매이며, 이를 어긴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났고, 꾸란에서는 이 열매를 먹으면 죄인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해석과 함께 유혹과 탐닉의 은유로도 사용된다. - 기독교 우주론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기독교 우주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신화의 장소 - 판테온
판테온은 본래 모든 신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다신교 사회의 신전이나 신들의 목록을 의미했으나, 르네상스 이후 종교적 의미를 벗어나 사회에 공헌한 위대한 인물들을 기리는 건축물 또는 그러한 인물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 신화의 장소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에덴 동산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낙원 |
언어별 명칭 | 히브리어: גַּן־עֵדֶן (Gan Eden) 그리스어: Εδέμ (Edem) 라틴어: Paradisus (파라디수스) |
추가 명칭 | 히브리어: גַּן־יְהֹוֶה (Gan YHWH) 히브리어: גַּן־אֱלֹהִים (Gan Elohim) |
개요 | |
설명 | 성경에 나오는 하느님의 동산. 비옥하고 물이 잘 공급되는 평원 또는 스텝을 의미하는 아카드어 'edinnu'와 수메르어 'edin'에서 유래. 라틴어로는 'paradisum voluptatis'라고 함. |
성경적 묘사 | |
관련 구절 | 창세기 13:10 이사야서 51:3 에제키엘 36:35 요엘 2:3 |
위치 (추정) | |
일반적 견해 | 비옥한 초승달 지대 |
기타 | 미주리 주 텔라사르 |
2. 어원
에덴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에서 유래했으며, 그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페르시아어 ‘헤덴(Heden)’에서 유래하여 ‘환희의 동산’, ‘태고의 정원’이라는 뜻을 가진다는 설과, 수메르어의 에디누(edinu: 평지, 황무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77] 에덴은 히브리어로는 '즐거움'을, 아카드어로는 '정원'을 의미하기도 한다.
창세기 2장 4절부터 3장 24절까지는 야훼-엘로힘(여기서는 "주 하나님"으로 번역됨)이 첫 사람 아담을 창조하고 그를 "동쪽의 에덴"에 있는 동산에 두는 이야기로 시작한다.[14] 에덴 동산은 "동쪽"(창 2:8)에 위치하며, 야훼는 아담이 이곳을 경작하고 지키도록 했다(창 2:15).
한편, '낙원'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paradise'는 프랑스어 paradis|파라디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paradisus, paradisum|파라디수스, 파라디숨la를 거쳐 고대 그리스어 παράδεισος|파라데이소스grc에서 왔다. 그리스어 단어는 고대 이란어 형태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는 '담으로 둘러싸인 구역'을 뜻하는 원시 이란어 ''*parādaiĵah-''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고대 페르시아어 𐎱𐎼𐎭𐎹𐎭𐎠𐎶|파리다이담peo과 아베스타어 𐬞𐬀𐬌𐬭𐬌⸱𐬛𐬀𐬉𐬰𐬀|파이리다에자ae와 관련이 있다.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주변(pairi-)을 둘러쌓아 만든(diz) 구역'이다. 'pairi-'는 그리스어 περί|페리grc와 같은 어원을 가지며, '-diz'는 '만들다, 형성하다, 벽을 건설하다'는 의미로 그리스어 τεῖχος|테이코스grc(벽)와 관련 있다. 궁극적으로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dheigʷ''(들러붙어 세우다)와 ''*per''(주변)에서 파생되었다.
기원전 6-5세기경 이 고대 이란어 단어는 아카드어로 '영토'를 뜻하는 파르데수(|pardesuakk)로 차용되었다. 이후 광대한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면서 여러 언어로 퍼져나갔다. 그리스어 παράδεισος|파라데이소스grc는 '동물원'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에서 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아람어로는 파르다이사(|pardaysaarc, 왕립 공원), 히브리어로도 차용되었다.
그러나 '담으로 둘러싸인 구역'이라는 본래 의미는 대부분의 이란어 사용에서 희미해지고, 일반적으로 담의 유무와 관계없이 농장이나 경작지를 뜻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현대 페르시아어에서는 pardis|파르디스fa와 그 파생어인 pālīz|팔리즈fa(또는 jālīz|잘리즈fa)가 채소밭을 의미한다.
3. 창세기의 기술
주 하나님이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모든 나무를 자라게 하셨으며,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게 하셨다.[15]
아담은 동산의 모든 나무 열매를 자유롭게 먹을 수 있었지만, 동산 중앙에 있는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만은 먹지 말라는 금기가 주어졌다. 만약 먹으면 반드시 죽게 될 것이라고 경고받았다. 이후 하나님은 아담의 갈비뼈로 여자(하와)를 만들어 아담의 동반자로 삼았다.
창세기 3장에서는 뱀이 하와를 유혹하여 금지된 열매를 먹게 한다.뱀은 주 하느님께서 만드신 모든 들짐승 가운데에서 가장 간교하였다. 그 뱀이 여자에게 물었다. “하느님께서 ‘너희는 동산의 어떤 나무에서든지 열매를 따 먹어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는데 정말이냐?” 여자가 뱀에게 대답하였다. “우리는 동산에 있는 나무 열매를 먹어도 된다. 그러나 동산 한가운데에 있는 나무 열매만은, ‘너희가 죽지 않으려거든 먹지도 만지지도 마라.’ 하고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러자 뱀이 여자에게 말하였다. “너희는 결코 죽지 않는다. 너희가 그것을 먹는 날, 너희 눈이 열려 하느님처럼 되어서 선과 악을 알게 될 줄을 하느님께서 아시고 그렇게 말씀하신 것이다.” 여자가 쳐다보니 그 나무 열매는 먹음직하고 소담스러워 보였다. 그뿐만 아니라 그것은 슬기롭게 해 줄 것처럼 탐스러웠다. 그래서 여자가 열매 하나를 따서 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자, 그도 그것을 먹었다. 그러자 그 둘은 눈이 열려 자기들이 알몸인 것을 알고, 무화과나무 잎을 엮어서 두렁이를 만들어 입었다.
(성경: 창세기 3:1-7)
이 사실을 알게 된 야훼는 뱀, 하와, 아담에게 각각 벌을 내렸다. 뱀은 모든 동물 가운데 가장 저주받아 배로 기어 다니며 흙을 먹고 살아야 하고, 하와는 큰 출산의 고통을 겪으며 남편의 다스림을 받아야 하며, 아담은 평생 땀 흘려 노동해야 땅에서 식량을 얻고 결국 죽어 흙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아담과 하와는 선악과를 먹고 선악을 알게 되었으므로, 생명 나무의 열매까지 먹고 영원히 살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에덴 동산에서 추방되었다(실낙원).[16]하느님께서는 '이제 이 사람이 우리들처럼 선과 악을 알게 되었으니, 손을 내밀어 생명나무 열매까지 따먹고 끝없이 살게 되어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하시고 에덴 동산에서 내쫓으셨다. 그리고 땅에서 나왔으므로 땅을 갈아 농사를 짓게 하셨다.
(성경: 창세기 3:22-23)
야훼는 생명 나무로 가는 길을 지키기 위해 에덴 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사방으로 도는 불 칼"을 두어 길을 막았다.[16]
이 사건으로 인해 인류는 고통과 죽음이 있는 세상에서 살게 되었으며, 이는 인류의 조상 아담과 하와가 지은 죄 때문이라고 성경은 설명한다. 기독교의 기본 교리인 원죄 사상은 이 사건에 뿌리를 두고 있다.[78]한 사람이 죄를 지어 이 세상에 죄가 들어왔고 죄는 또한 죽음을 불러들인 것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어 죽음이 온 인류에게 미치게 되었습니다.
(성경: 로마서 5:12)
창세기 2장 10-14절[17]은 에덴 동산의 지리적 위치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에덴에서 발원한 강 하나가 동산을 적시고 네 개의 강으로 갈라져 흘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비손 강을 갠지스 강, 기혼 강을 나일 강과 동일시했다.[22]
4. 에덴의 위치
에덴 동산의 정확한 위치는 성경에 명확히 기록되어 있지 않아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과 탐구심을 자극해 왔다. 창세기 2장 10절부터 14절에는 에덴에서 발원하여 동산을 적시고 네 줄기로 갈라져 나가는 강에 대한 묘사가 나온다. 이 네 강은 각각 비손, 기혼, 티그리스(힛데겔), 유프라테스로 언급된다.[17][24]
이 중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오늘날에도 그 위치가 잘 알려져 있어, 많은 연구자들이 에덴 동산이 이 두 강 유역, 즉 메소포타미아 지역 어딘가에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그러나 나머지 두 강인 비손과 기혼, 그리고 함께 언급되는 하윌라나 구스와 같은 지명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해석이 분분하여 에덴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역사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에덴 동산을 단순한 신화나 비유가 아닌, 지구상에 실제로 존재하는 장소로 믿었다. 특히 중세 시대에는 에덴 동산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졌으며, 바빌론의 술탄이 자신의 재산을 모두 써가며 이 동산을 찾으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였다. 이러한 믿음은 문헌학, 고고학, 민족학 등 여러 분야에서 접근하여 그 위치를 찾으려는 시도로 이어졌지만,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다.
에덴 동산의 위치에 대한 묘사는 고대의 신화적인 세계관을 반영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해가 뜨는 동쪽이나 해가 지는 서쪽에 낙원이 존재한다는 믿음, 또는 세상을 네 개의 큰 강이 둘러싸고 있다는 생각은 고대 여러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세계관의 일부였으며, 이러한 관념이 성경의 에덴 묘사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강을 중심으로 문명이 발생하고 도시가 형성되는 것은 일반적인 과정이기도 하다.
4. 1. 성경의 기록
창세기 창조 설화의 두 번째 부분인 창세기 2장 4절부터 3장 24절[14]은 야훼-엘로힘 (여기서는 "주 하나님"으로 번역, 유대교의 하느님의 이름 참고)이 첫 사람 (아담)을 창조하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야훼는 "동쪽의 에덴"에 동산을 마련하고 아담을 그곳에 두었다. (창세기 2:8) 어디를 기준으로 한 "동쪽"인지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아담은 에덴 동산을 경작하고 지키는 임무를 받았다. (창세기 2:15)동산 안에는 보기 좋고 먹기 좋은 열매를 맺는 온갖 나무와 더불어, 동산 한가운데에는 생명나무와 선악과가 있었다.[15] 아담은 선악과를 제외한 모든 나무의 열매를 먹을 수 있었으나, 선악과를 먹는 것은 금기였다. 이후 야훼는 아담의 갈비뼈를 취하여 여자(하와)를 만들고 아담의 짝으로 삼았다.
창세기 3장에서는 성경 속 뱀의 유혹에 넘어간 아담과 하와가 금지된 열매를 먹게 된다. 이로 인해 그들은 생명나무의 열매마저 먹고 영원히 살게 될까 염려한 야훼에 의해 동산에서 쫓겨나게 된다(실낙원).[16] 야훼는 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스스로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나무로 가는 길을 지키게 하였다. (창세기 3:24)[16]
성경은 에덴 동산의 위치와 관련하여 네 개의 강을 언급한다. 창세기 2장 10절부터 14절[17][24]에 따르면, 강 하나가 에덴에서 흘러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다.
> 에덴에서 강 하나가 흘러 나와 그 동산을 적신 다음 네 줄기로 갈라졌다. 첫째 강줄기의 이름은 비손이라 하는데, 은과 금이 나는 하윌라 땅을 돌아 흐르고 있었다. 그 땅은 좋은 금뿐 아니라 브델리움(고무)이라는 향료와 호마노 같은 보석이 나는 곳이었다. 둘째 강줄기의 이름은 기혼이라 하는데, 구스 온 땅을 돌아 흐르고 있었다. 셋째 강줄기의 이름은 티그리스(힛데겔)라 하는데, 앗수르 동쪽으로 흐르고 있었고, 넷째 강줄기의 이름은 유프라테스라 하였다.[17][18][19]
> — 공동번역: 창세기 2:10-14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오늘날에도 잘 알려진 강이다. 하윌라는 중앙 아라비아 북부 지역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구스는 전통적으로 에티오피아로 번역되거나 해석되어 왔으나,[20] 일부 학자들은 카시트인의 땅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이름 '코사이아'(Kossaia)와 동일시하기도 한다.[20] 카시트인의 땅은 엘람 북쪽, 고대 바빌론 동쪽에 위치하여 성경에서 묘사하는 지역 범위 내에 있다.[21]
70인역 성경에서는 기혼 강을 나일강으로 번역했으며, 서기 1세기 유대인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역시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기혼 강을 나일강과 동일시했다. (Jewish Antiquities, 1.39.)[22] 요세푸스는 비손 강을 "그리스인들이 갠지스강이라 부르는 강"으로 보았다.[22]
비손 강에 대한 또 다른 해석으로는, 이집트어로 바다를 뜻하는 '파셴'(pA-Shen)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대 근동에서는 강이라는 단어가 바다를 의미하기도 했으며 (예: "바빌로니아 세계 지도"에서 세상을 둘러싼 바다를 '쓴 강'으로 표기), 실제로 아라비아 반도를 완전히 둘러 흐르는 강은 없지만 바다는 존재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비손 강(바다)이 나일 강, 유프라테스 강, 티그리스 강과 모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에덴의 위치가 반드시 메소포타미아 남부일 필요는 없게 된다.
에스겔서에서는 에덴을 레바논과 연관 짓는 듯한 구절들이 나타난다.[33] 에스겔 28장 13절은 에덴을 페니키아의 두로가 있던 레바논 땅에 있는 것처럼 묘사하며,[34] 에스겔 31장 16절은 "에덴의 모든 나무 곧 레바논의 뛰어나고 아름다운 나무들"이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여 레바논과 에덴을 연결한다.[35] 에드워드 리핀스키(Edward Lipinski)와 피터 카일 멕카터(Peter Kyle McCarter) 같은 학자들은 가장 오래된 낙원 관련 수메르 기록들이 낙원을 안티레바논 산맥에 위치시킨다고 보았다.[81][36] 길가메시 서사시에서도 길가메시가 우트나피쉬팀을 만나러 가기 위해 레바논 산맥을 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성경 기록과 해석들을 바탕으로 에덴 동산의 위치에 대한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 페르시아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남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유리스 자린스의 주장[27]), 아르메니아 고원[28][29][30][31] 등이 주요 후보지로 거론된다. 바빌로니아 평원, 즉 메소포타미아의 대평야 지대는 고대에 에디누(Edinu)라고 불렸으며, 팔레스타인 동쪽에 위치한다.

4. 2. 다양한 추정
성경에서는 에덴 동산의 위치에 대해 창세기 2장 10절부터 14절까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에덴에서 강 하나가 흘러 나와 그 동산을 적신 다음 네 줄기로 갈라졌다. 첫째 강줄기의 이름은 비손이라 하는데, 은과 금이 나는 하윌라 땅을 돌아 흐르고 있었다. 그 땅은 좋은 금뿐 아니라 브돌라라는 향료와 홍옥수 같은 보석이 나는 곳이었다. 둘째 강줄기의 이름은 기혼이라 하는데, 구스 온 땅을 돌아 흐르고 있었다. 셋째 강줄기의 이름은 티그리스(힛데겔)라 하는데, 아시리아 동쪽으로 흐르고 있었고, 넷째 강줄기의 이름은 유프라테스라 하였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오늘날에도 잘 알려진 강이다. 이를 근거로 많은 학자들은 에덴 동산이 이 두 강 유역 어딘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성경에 언급된 하윌라 지방은 중앙 아라비아 북부로 추정되며, 이를 바탕으로 페르시아만 깊숙한 곳, 현재의 쿠웨이트나 이라크 남부 근방을 에덴의 위치로 보기도 한다.[25][26] 이 지역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대평야 지대로, 과거에는 Edin|에딘sux 또는 Edinu|에디누eng라고 불렸으며 팔레스타인의 동쪽에 위치한다.
그러나 다른 강들의 위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70인역 성경에서는 기혼 강을 나일강으로 번역했고, 서기 1세기 유대인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역시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기혼 강을 나일 강과 동일시했다.[22] 이 해석에 따르면 기혼 강은 구스 땅, 즉 에티오피아에서 발원하여 이집트를 관통하는 나일 강일 수 있다.[20][21] 요세푸스는 비손 강을 갠지스강으로 보기도 했다.[22] 한편, 비손 강에 대해서는 고대 이집트어로 바다를 뜻하는 '파셴'(pA-Shen)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대 근동에서는 강이라는 단어가 바다를 의미하기도 했으므로(예: "바빌로니아의 세계 지도"에서 세상을 둘러싼 바다를 '쓴 강'으로 표현), 아라비아 반도를 휘감는 강이 없는 대신 반도를 둘러싼 바다를 비손 강으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비손(바다)이 나일, 유프라테스, 티그리스 강과 모두 연결되므로 에덴의 위치가 반드시 메소포타미아 남부일 필요는 없게 된다.
에덴의 위치에 대한 다른 제안들도 있다. 에드워드 리핀스키(Edward Lipinski)와 피터 카일 멕카터(Peter Kyle McCarter) 같은 학자들은 가장 오래된 낙원 관련 수메르 기록들이 낙원을 안티레바논 산맥에 위치시킨다고 주장했다.[81][36]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우트나피쉬팀을 만나러 레바논의 산맥을 넘는다. 에제키엘서 28장 13절은 에덴을 두로가 있던 레바논 땅에 있는 것처럼 묘사하며, 31장 16절은 "에덴의 모든 나무 곧 레바논의 뛰어나고 아름다운 나무들"이라고 언급하여 레바논과 에덴을 연결한다.[33][34][35]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발원지인 아르메니아 고원이나 자그로스 산맥 일대, 특히 반 호나 우르미아 호 주변을 에덴으로 보는 설도 유력하다.[28][29][30][31] 영국의 고고학자 데이비드 롤은 에덴 동산이 우르미아 호 동쪽 기슭, 현재의 이란 타브리즈 근처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라스강을 기혼 강으로, 사금을 품고 있는 케젤 우존 강(Qezel Uizon)을 비손 강으로 비정했다. 이 주장은 주류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32] 유대교 전승에서는 아르메니아의 수도 예레반 근처를 에덴으로 보기도 한다.

기원전 26세기경 메소포타미아의 도시국가 라가시와 움마 사이의 전쟁 원인이었던 비옥한 토지 Gu-Edin|구에딘sux(평야의 경계)이 에덴의 모델이라는 설도 있다.
주리스 자린(Juris Zarins)과 제프리 로즈(Jeffrey Rose) 등은 최종 빙기에 해수면이 낮았을 때 육지였던 현재의 페르시아만 해저 지역을 에덴으로 추정한다.[27] 약 1만 8천 년 전 빙하기 절정기에는 페르시아만 지역이 '걸프 오아시스'라 불리는 광대한 담수호와 풍요로운 초원이 있는 분지였을 것으로 본다.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약 6천 년 전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는데, 이 지역에서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한 인류의 기억이 오안네스 전설 등에 남아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비손 강은 현재는 와디(마른 강)가 된 아라비아 반도를 흐르던 고대 강이며, 구스는 에티오피아가 아니라 카시트인들의 땅(현재 이란 북서부)을 의미할 수 있다. 네 강은 걸프 오아시스에서 합류하여 하나의 강으로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오만만으로 흘러나갔을 것으로 해석한다.
중세 시대에는 에덴 동산을 신화가 아닌 실제 장소로 여겨 탐험하기도 했다. 바빌론의 술탄이 재산을 탕진하며 찾으려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중세 연구가들은 에덴의 위치를 낭만적으로 추측했는데, 한 연대기 작가는 수단과 에티오피아 근방으로 추정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우선은 에덴 동산에서 시작하여 이집트를 가로질러 흐르는 강에 대해서 말해야 할 것이다. 강이 이집트 안으로 들어오는 입구에서 숙련된 사람들이 저녁 무렵에 커다란 그물을 던져넣는다. 이렇게 해서 아침에 그들은 그물로 그 땅으로 흘러들어온 귀중한 식물들을 건져올린다. 그 식물들은 뿌리생강일 때도 있고 대황일 때도 있으며, 알로에나무나 계수나무일 때도 있다. 그 식물들은 에덴 동산에서 흘러온 것들인데 에덴 동산의 나무들이 바람에 쓰러져서 강물을 타고 그곳까지 흘러온 것이라고들 한다.
이 작가는 이집트를 가로지르는 강 상류에는 사람이 넘을 수 없는 '수직의 거대한 벽'이 나타나 강물의 흐름을 막고, 그 너머에는 기이한 생물들이 보인다고 덧붙였다.
14세기의 존 맨더빌은 그의 저서 《동방여행기》에서 에덴 동산에 대해 "들은 이야기"라며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지상의 낙원은 소문에 따르면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최고의 땅이다. 너무나도 높이 있어서 달에 닿을 정도이다. 대홍수가 대지를 모조리 뒤덮었을 때에도 너무나 높았기 때문에 물이 낙원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낙원의 주위는 벽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했는데 그 벽을 무엇으로 만들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바깥 면에 이끼가 자라 이끼와 수풀로 완전히 뒤덮여 있기 때문에 돌도 보이지 않을뿐더러, 혹시 다른 어떤 재료로 만들었다 하더라도 전혀 보이지 않는다. 낙원의 벽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뻗어 있으며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 때문에 입구도 열리지 않는다. 이 불은 불타는 칼이라 불리며, 아무도 안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느님이 입구 앞에 놓으신 것이다.
그는 낙원 중앙의 우물에서 네 강이 발원하며, 땅속을 흐르다 먼 나라에서 다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맨더빌은 비손 강을 많은 하천이 모인다는 뜻에서 갠지스강으로, 기혼 강을 아프리카 아틀라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홍해 연안을 거쳐 이집트로 흐르는 나일강으로 보았다. 그는 또한 야수, 험한 산, 암흑 지대, 거센 강물 때문에 살아있는 사람은 에덴에 도달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82]
이 외에도 이사야서 37장 12절 등을 근거로 에덴이 텔라사르와 같은 실제 도시를 포함한 메소포타미아의 넓은 지역이었다거나,[5][6]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체였다는 주장도 있다.[4] 일부 종교 단체들은 에덴이 중동 외부에 있다고 믿기도 한다. 몰몬교 일부 초기 지도자들은 미국 미주리주 잭슨군에 있다고 주장했고,[67] 20세기 파나시아 협회는 영국 베드퍼드에,[37] 엘비 E. 캘러웨이 목사는 미국 플로리다주 브리스톨 근처 애팔라치콜라강 유역에 있다고 믿었다.[38] 예루살렘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39]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498년 세 번째 항해에서 남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을 때 지상 낙원에 도달했다고 생각했다.[40] Tse Tsan-tai는 그의 저서에서 에덴 동산이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한다고 주장했다.[41]
5. 문학과 전승
에덴 동산 이야기는 창세기 2장 4절부터 3장 24절[14]에 등장하며, 야훼-엘로힘(주 하나님)이 첫 사람 아담을 창조하고 "동쪽 에덴"에 마련한 동산에 두는 것으로 시작한다.
> 주 하나님이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모든 나무를 자라게 하셨으며, 정원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게 하셨다.[15]
아담은 선악과를 제외한 동산의 모든 나무의 열매를 자유롭게 먹을 수 있었으나, 뱀의 유혹에 넘어가 아담과 그의 동반자 하와는 금지된 열매를 먹게 된다. 이로 인해 그들은 영원히 살지 못하도록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는 것을 막기 위해 동산에서 추방되었고, 케루빔과 "사방으로 도는 불 칼"이 생명 나무의 길을 지키게 되었다.[16]
창세기 2장 10–14절[17]은 에덴 동산과 관련된 네 개의 강을 나열한다: 비손 강, 기혼 강, 티그리스 강 (히브리어로 히데겔),[18] 그리고 유프라테스 강 (히브리어로 페라트).[19] 또한 구스 땅—에티오피아로 번역/해석되지만, 일부는 ''코세아'', 즉 카시트족의 땅을 지칭하는 그리스어 이름과 같다고 생각한다.[20]—과 하윌라 땅도 언급된다.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비손 강을 "그리스인들이 갠지스 강이라고 부르는" 강으로, 기혼 강을 나일 강으로 식별한다.[22]
학자들은 고대 종교와 신화의 유사한 개념과의 연결을 확인하고 제안했으며, 종교와 예술에서 경전 이후의 개념 발전을 연구해왔다. 다수의 유사한 개념들이 성경의 에덴 동산과 병행하여 여러 다른 종교와 신화에 존재한다. 딜문은 수메르의 이야기인 ''엔키와 닌후르사그''에서 불멸자들의 낙원적인 거처이며 질병과 죽음이 알려지지 않았다. 헤스페리데스의 정원은 그리스 신화에서도 유대교의 에덴 동산 개념과 다소 유사했으며, 16세기에는 크라나흐의 그림에서 더 큰 지적 연관성이 이루어졌다.
기원전 13세기 말 점토판인 우가릿을 연구한 결과, 히브리 성경 학자 M.J.A. 코르펠과 J.C. 드 무어는 성경의 가나안적 유사성을 재구성했으며, 이들은 이것이 창세기 초반부의 에덴 동산과 아담 이야기에 나오는 성경의 창조 신화의 기원이라고 주장한다.[42] 그들이 재구성한 텍스트는 창조 신인 엘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그는 아세라와 함께 아라랏 산에 있는 포도원이나 동산에 살았다.[42] 또 다른 신인 호론은 엘을 폐위시키려 하고, 산에서 쫓겨나자 동산의 생명 나무를 죽음의 나무로 바꾼다.[42] 호론은 또한 유독한 안개를 퍼뜨리고, 아담은 땅의 생명을 회복하기 위해 산에서 보내지며, 호론은 거대한 뱀의 형상으로 변하여 그를 물고, 이는 아담과 그의 아내가 불멸성을 잃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42] 그러나 존 데이는 이러한 이야기가 우가릿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증명된 것이 아니라 추측적이고 의심스러운 가정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것이라고 주장한다.[43]
'에덴'이라는 단어는 히브리어로 '즐거움', 아카드어로 '정원'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과수원'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파르데스'(פַּרְדֵּס|파르데스he)는 타나크에 세 번 나타나지만(아가 4:13, 전도서 2:5, 느헤미야 2:8), 항상 에덴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26] 이 단어는 본래 '과수원' 또는 '공원'을 의미했지만, 유대교의 묵시 문학과 탈무드에서는 '낙원'으로서 에덴 동산 및 그 천상의 원형과 연관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는 신약 성경에도 나타나는 의미이다.
이탈리아 역사가 마리오 리베라니는 에덴 동산이 페르시아 왕실 정원을 모델로 했다고 주장하는 반면,[44] 존 데이는 언어적, 기타 증거들을 통해 야웨이스트 에덴 이야기가 페르시아 시대 이전에 쓰여졌다고 주장한다.[49] 미국의 고고학자 로렌스 스테이거는 성경의 에덴 이야기가 솔로몬의 궁궐과 성전 단지 및 예루살렘의 측면을 차용했다고 가정한다.[45]
중세 이후 에덴 동산은 다양한 민간 전승과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아담의 아들 셋 또는 세스가 에덴 동산을 방문했다는 전설이나, 에덴 동산을 인간적인 사랑과 성의 공간, 또는 로쿠스 아모에누스( locus amoenus|로쿠스 아모에누스la )와 같은 이상향으로 묘사하는 작품들이 나타났다.[71] 이러한 전승과 문학적 해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1. 중세의 전승
중세의 민간 전승에 따르면, 노환으로 죽음을 앞둔 아담이 아들 셋을 불러 에덴 동산으로 돌아가 '은혜의 기름'[79]을 가져오라고 부탁했다. 셋은 아담이 알려준 길을 따라 에덴 동산에 도착했다. 그들이 머리를 조아리자 대천사 미카엘이 나타나 그 목적을 알아차리고, 세 번에 걸쳐 에덴 동산을 보여주었다. 첫 번째는 네 줄기의 강물이 합쳐지는 호수와 그 뒤에 있는 껍질 벗겨진 고목이었다.두 번째로 본 것은 뱀이 감겨 있는 고목이었다. 이 나무는 깊은 계곡 벼랑 위에 있었고, 계곡 밑에서는 셋의 형인 카인이 나무뿌리에 휘감겨 고통스러워하고 있었다.
세 번째로 본 것은 하늘에 닿을 듯 거대하게 자란 나무였다. 가장 높은 가지에는 신비로운 아이가 있었고, 그 위에는 일곱 마리의 하얀 비둘기가 있었다. 대천사는 이 아이가 제2의 아담이자 미래의 구세주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카엘은 이 거대한 나무에서 세 개의 씨앗을 따서 셋에게 주며, 아담이 죽으면 그의 혀 위에 놓으라고 지시했다.
셋이 가져온 세 개의 씨앗은 많은 전설을 낳았다. 아담이 죽은 후, 그의 시신에서 측백나무, 소나무, 히말라야 삼목 세 그루가 자라나 서로 얽혀 거대한 나무가 되었다. 이 나무는 레바논에서 가장 고귀한 나무로 알려졌다.
이 나무의 자손은 여러 기적을 일으켰다고 전해진다.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할 때 홍해를 가른 지팡이가 이 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솔로몬 왕이 궁전을 지을 때 이 나무로 기둥을 세우려 했으나, 나무가 마음대로 높이를 바꾸는 등 어려움을 겪자 연못에 묻어버렸다. 그러자 그 연못의 물이 기적의 물로 변해, 병자나 불구자가 목욕하면 병이 나았다고 한다.
시간이 흘러 골고타 언덕에서 예수가 처형될 때, 로마 병사의 대장이 이 신기한 나무로 십자가를 만들어 예수를 못 박았다고 전해진다. 이 나무는 아담의 시신에서 자라난 나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80]
에덴은 히브리어로 '즐거움'을, 아카드어로는 '정원'을 의미한다.
중세 기독교 전승에서는 아담의 셋째 아들 세스가 에덴 동산으로 건너갔다는 별도의 전설도 생겨났다.
5. 2. 문학 작품
중세 시대의 많은 작가들에게 에덴 동산의 이미지는 인간의 사랑과 성을 위한 장소를 창조하는 모티브가 되었으며, 종종 고전 및 중세 시대의 비유인 로쿠스 아모에누스(locus amoenusla)와 연관되기도 한다.[71]-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작품 ''신곡''에서 에덴 동산을 푸르가토리 산 꼭대기에 위치시켰다. 순례자 단테는 ''연옥'' 28곡에서 에덴 동산으로 들어서는데, 이곳에서 신이 에덴 동산을 인간에게 "영생의 약속으로, 또는 보증으로" 주었지만,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잠시만 머물 수 있었다는 설명을 듣는다. 이 시에서 에덴 동산은 인간적이면서 동시에 신성한 공간으로 묘사된다. 즉, 지상(푸르가토리 산 꼭대기)에 위치하면서도 천국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한다.[72]
-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의 많은 부분이 에덴 동산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 아서 밀러의 1972년 희곡 ''세상 창조와 그 밖의 일''의 첫 번째 막은 에덴 동산에서 펼쳐진다.
- ''에덴의 동산''은 미국의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장편 소설이다.
- 『에덴의 동산』은 마스무라 야스조 감독이 이탈리아 배우들을 기용하여 1980년에 제작한 일본-이탈리아 합작 영화이다.
- ''에덴의 동쪽''은 미국의 작가 존 스타인벡의 장편 소설이다.
6. 종교적 관점
에덴 동산은 여러 종교, 특히 아브라함 계통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장소로, 인류의 기원, 타락, 구원 등과 관련된 다양한 신학적 해석과 전승의 배경이 된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의 구체적인 관점은 각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며, 이 외에도 다른 종교 및 신앙 체계에서 에덴 동산을 언급하거나 유사한 개념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말일성도 운동의 추종자들은 아담과 하와가 에덴 동산에서 쫓겨난 후, 현재 미국 미주리주 데이비스 카운티에 위치한 아담-온디-아만이라는 곳에 거주했다고 믿는다. 교리와 성약에는 아담이 그곳에서 자손을 축복했으며, 최후의 심판 때 성경에 언급된 예언을 이루기 위해 그곳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64][65] 브리검 영, 히버 C. 킴볼, 조지 Q. 캐논을 포함한 교회의 많은 초기 지도자들은 에덴 동산 자체가 인근 잭슨 카운티에 위치해 있다고 가르쳤지만,[67] 조셉 스미스 자신이 그 교리를 가르쳤다는 생생한 증언은 남아 있지 않다. LDS 교리는 에덴 동산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불분명하지만, 말일성도들 사이의 전통은 아담-온디-아만 근처나 잭슨 카운티 어딘가에 위치해 있다고 본다.[68][69]
2세기 영지주의 교사 유스티누스는 세 명의 근원적인 신, 즉 선(the Good)이라고 불리는 초월적인 존재, 엘로힘으로 알려진 중간 남성 형상, 그리고 지모신인 에덴이 있다고 주장했다. 세상은 엘로힘과 에덴의 사랑으로 창조되었지만, 엘로힘이 자신 위에 선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거기에 도달하려 할 때 악이 나중에 우주로 들어왔다고 설명했다.[70]
6. 1. 유대교
창세기 창조 설화의 두 번째 부분인 창세기 2장 4절부터 3장 24절까지는 야훼-엘로힘(여기서는 "주 하나님"으로 번역됨)이 첫 사람 아담을 창조하는 이야기로 시작된다. 하나님은 "동쪽 에덴"에 마련한 동산에 아담을 두었다.[14] 창세기 2장 9절에는 "주 하나님이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모든 나무를 자라게 하셨으며,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게 하셨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5]
아담은 선악과를 제외한 동산의 모든 나무 열매를 자유롭게 먹을 수 있었으나, 이는 금기였다. 이후 하나님은 아담의 갈비뼈로 여자 하와를 만들어 아담의 동반자로 삼았다. 창세기 3장에서는 성경 속 뱀의 유혹에 넘어간 아담과 하와가 금지된 열매를 먹게 되고, 이로 인해 영원히 살 수 있는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지 못하도록 동산에서 추방당한다. 케루빔들이 동산 동쪽에 배치되었고, "사방으로 도는 불 칼이 생명 나무의 길을 지켰다."[16]
창세기 2장 10절부터 14절[17]은 에덴 동산과 관련된 네 개의 강, 즉 비손 강, 기혼 강, 티그리스 강(히브리어로 חדקל|히데켈he)[18], 그리고 유프라테스 강(히브리어로 פרת|페라트he)[19]을 언급한다. 또한 구스 땅을 언급하는데, 이는 주로 에티오피아로 번역되지만, 일부 학자들은 카시트족의 땅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이름 '코세아'와 동일시하기도 한다.[20] 이 지역들은 엘람 북쪽, 고대 바빌론 바로 동쪽에 위치한다.[21]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비손 강을 "그리스인들이 갠지스 강이라 부르는 강"으로, 기혼 강을 나일 강으로 보았다.[22]
기원전 13세기 말의 우가릿 문헌 점토판 연구를 통해, 일부 히브리 성경 학자들은 창세기 초반 에덴 동산과 아담 이야기의 기원이 될 수 있는 가나안 종교적 유사성을 재구성했다.[42] 이 재구성에 따르면, 창조신 엘은 아세라와 함께 아라랏 산의 동산에 살았는데, 다른 신 호론이 엘을 폐위시키려다 실패하고 동산에서 쫓겨나면서 생명 나무를 죽음의 나무로 바꾸었다고 한다.[42] 호론은 또한 독 안개를 퍼뜨렸고, 아담은 땅의 생명을 회복하기 위해 보내졌으나 거대한 뱀 형상의 호론에게 물려 불멸성을 잃게 되었다는 것이다.[42] 그러나 존 데이는 이러한 재구성이 우가릿 문헌에 명확히 나타나지 않으며 추측에 기반한 것이라고 비판한다.[43]
'동산' 또는 '과수원'을 의미하는 단어 פַּרְדֵּס|파르데스he는 타나크(히브리 성경)에 세 번 등장한다. 아가 4장 13절에는 "네 동산은 석류나무가 있는 과수원(פַּרְדֵּס|파르데스he)이요..."라고 기록되어 있고, 전도서 2장 5절에는 "나를 위하여 정원과 과수원(פַּרְדֵּס|파르데스he)을 만들고..."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느헤미야 2장 8절에는 "또 왕의 과수원(פַּרְדֵּס|파르데스he) 지기 아삽에게 조서를 내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구절들에서 פַּרְדֵּס|파르데스he는 에덴 동산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과수원'이나 '공원'을 의미한다. 하지만 후대의 유대교 묵시 문학과 탈무드에서는 '낙원'이라는 개념이 에덴 동산 및 그 천상적 원형과 연결되며, 이는 신약 성경에서도 나타나는 의미이다.
마리오 리베라니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에덴 동산 이야기가 페르시아 왕실 정원을 모델로 했다고 주장하지만,[44] 존 데이는 언어적 증거 등을 들어 에덴 이야기가 페르시아 시대 이전에 작성되었다고 본다. 고고학자 로렌스 스테이거는 에덴 이야기가 솔로몬 성전과 궁궐 단지, 그리고 예루살렘의 요소를 반영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45] فردوس|피르다우스ar와 같이 아랍어와 코란에서도 70인역과 유사한 용례가 나타난다.[46]

탈무드와 유대교 카발라에서는 "에덴 동산"이라 불리는 두 종류의 영적 장소가 있다고 본다.[47] 첫 번째는 지상적인 풍요로운 동산인 "낮은 גן|간he 에덴"(גן|간he은 정원을 의미)이고, 두 번째는 의로운 영혼들(유대인 및 비유대인 포함)이 거주하는 천상의 장소인 "높은 גן|간he 에덴"이다. 랍비들은 גן|간he(동산)과 에덴을 구분하여, 아담은 단지 גן|간he에 거주했으며 에덴 자체는 인간이 본 적이 없다고 설명한다.[47]
유대교 종말론에 따르면,[48] 높은 גן|간he 에덴은 "의의 정원"이라 불리며, 세상 시작부터 창조되어 종말에 영광스럽게 나타날 것이다. 그곳의 의인들은 하나님의 보좌를 지고 있는 천상의 존재들(חיות|하요트he)을 보며 즐거워하고, 하나님과 함께 거닐며 춤을 출 것이다. 그들은 "빛과 영생의 옷을 입고, 하나님과 그의 기름 부음 받은 자들 곁에서 생명나무를 먹는다"(에녹서 58:3).[48] 이 높은 גן|간he 에덴 개념은 악한 자들이 사후 정화되는 장소를 가리키는 גיהנום|게힌놈he이나 שאול|셰올he과 대조된다. 일부 현대 정통 유대교인들은 역사가 완성되어 모든 인류가 에덴 동산으로 돌아가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믿는다.[49]
1909년 루이스 긴즈버그가 편찬한 《유대인의 전설》에는 랍비 문헌 속 에덴 동산에 관한 전설들이 담겨 있다.[50] 이 전설들에 따르면, 낙원 너머에는 하나님이 왕좌에 앉아 거주민들에게 토라를 설명하는 더 높은 גן|간he 에덴이 있다. 이 높은 גן|간he 에덴은 310개의 세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곱 구획으로 나뉜다. 각 구획은 이전 구획보다 더 크며, 개인의 공적에 따라 배정된다.
- 1번 구획: 유대교 순교자
- 2번 구획: 익사한 사람들
- 3번 구획: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와 그의 제자들"
- 4번 구획: 영광의 구름에 의해 옮겨진 사람들
- 5번 구획: 참회자
- 6번 구획: 죄를 지은 적이 없는 젊은이
- 7번 구획: 품위 있게 살면서 토라를 공부한 가난한 사람들[50]
같은 책에서는 낮은 גן|간he 에덴에 대해서도 묘사한다. 지식의 나무는 생명 나무 주위를 울타리처럼 둘러싸고 있으며, 생명 나무는 너무 커서 "줄기를 가로지르는 데 500년이 걸릴 정도"라고 한다. 나무 아래에서는 티그리스, 나일, 유프라테스, 갠지스 강 등 세상의 모든 물이 네 갈래로 흘러나온다. 인간의 타락 이전에는 천사들이 아담과 하와에게 고기 요리를 대접했고, 동물들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하나님의 형상인 인류를 존경하며 두려워했다. 사람이 죽으면 영혼은 높은 גן|간he 에덴에 도달하기 위해 먼저 낮은 גן|간he 에덴을 통과해야 한다. 이 길은 아담이 지키는 막벨라 동굴에서 시작하여, 불타는 칼을 든 케루빔이 지키는 동산의 문으로 이어진다. 자격이 없는 영혼은 칼에 의해 소멸된다. 동산 안에는 높은 גן|간he 에덴까지 닿는 불과 연기의 기둥이 있어, 영혼은 이 기둥을 올라가야 한다.[50]
랍비 문헌에는 "올람 하바"(עולם הבא|올람 하바he, "내세")라고 불리는 낙원에 대한 상세한 묘사도 있다. 《유대인의 전설》에 따르면, 이 낙원은 60만 명의 빛나는 천사들이 지키는 가넷으로 만들어진 이중 문을 가지고 있다. 일곱 개의 영광의 구름이 낙원을 덮고 있으며, 중심에는 생명나무가 서 있다. 생명나무는 낙원 전체에 그늘을 드리우고, 바람이 불 때마다 1만 5천 가지 맛과 향기를 낸다. 생명나무 아래에는 별, 태양, 달의 천개가 여러 개 있으며, 각 천개 아래에는 랍비 학자들이 앉아 율법을 설명한다.
영혼이 낙원에 들어가면 대천사 미카엘에 의해 하늘의 예루살렘 제단에서 하나님께 바쳐진다. 영혼은 천사로 변모하거나 "태양 빛이 쏟아지는 은색 석류 알갱이"처럼 아름답게 빛나게 된다. 문지기 천사들은 영혼에게 일곱 구름 옷을 입히고 보석과 진주, 금으로 관을 씌우며, 손에 여덟 개의 은매화 가지를 들려주고 찬양하며 800그루의 장미와 은매화가 있는 정원으로 인도한다.
정원에는 각기 다른 아름다움을 지닌 천개가 있으며, 각 천개 아래에는 우유, 꿀, 포도주, 발삼이 흐르는 네 개의 강이 있고, 금 덩굴과 30개의 빛나는 진주가 매달려 있다. 각 천개 아래에는 60명의 천사가 돌보는 보석과 진주로 된 테이블이 놓여 있다. 낙원의 빛은 그곳에 있는 의인들의 빛 자체이다. 낙원에서는 매일 어린 시절부터 노년기까지의 모든 기쁨을 다시 경험한다. 낙원 주위에는 80만 그루의 나무 숲이 있으며, 80만 명의 천사들이 노래하며 향기로운 허브와 향신료를 돌본다.
이 낙원은 다시 일곱 개의 하위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의 길이는 12만 마일이다. 영혼은 공적에 따라 이 구역들 중 한 곳에 배정된다.
- 첫 번째 구역 (유리와 삼나무): 유대교로 개종한 이들을 위한 곳.
- 두 번째 구역 (은과 삼나무): 회개한 이들을 위한 곳.
- 세 번째 구역 (은, 금, 보석, 진주): 족장, 모세, 아론, 출애굽 세대, 이스라엘 왕들을 위한 곳.
- 네 번째 구역 (루비와 올리브 나무): 신앙 안에서 거룩하고 굳건했던 이들을 위한 곳.
- 다섯 번째 구역 (세 번째와 유사하나 강이 흐름): 메시아와 엘리야를 위한 곳.
-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구역: 각각 경건한 행위를 하고 죽은 이들과, 이스라엘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병으로 죽은 이들을 위한 곳 (상세 묘사 없음).
6. 2. 기독교
창세기 창조 설화의 두 번째 부분인 창세기 2장 4절부터 3장 24절까지는 야훼-엘로힘(여기서는 "주 하나님"으로 번역)이 첫 사람 아담을 창조하고, 그를 "동쪽의 에덴"에 마련한 동산에 두는 이야기로 시작한다.[14]
: 주 하나님이 땅에서 보기에 아름답고 먹기에 좋은 모든 나무를 자라게 하셨으며, 동산 가운데에는 생명 나무와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도 있게 하셨다.[15]
아담은 선악과를 제외한 동산의 모든 나무 열매를 자유롭게 먹을 수 있었으나, 이는 금기였다. 이후 하나님은 아담의 갈비뼈로 여자 하와를 만들어 아담의 동반자로 삼았다. 창세기 3장에서는 아담과 하와가 뱀에게 유혹받아 금지된 열매를 먹게 되고, 이로 인해 영원히 살 수 있는 생명 나무의 열매를 먹지 못하도록 동산에서 추방되었다. 케루빔이 동산 동쪽에 배치되었고, "사방으로 도는 불 칼이 생명 나무로 가는 길을 지켰다."[16]
창세기 2장 10절부터 14절[17]은 에덴 동산과 관련된 네 개의 강, 즉 비손 강, 기혼 강, 티그리스 강(히브리어로 히데겔)[18], 그리고 유프라테스 강(히브리어로 페라트)[19]을 언급한다. 또한 구스 땅(흔히 에티오피아로 번역되지만, 일부 학자들은 카시트족의 땅을 가리키는 그리스어 이름 '코세아'와 동일시한다[20])도 언급된다. 이 땅들은 엘람 북쪽, 고대 바빌론 바로 동쪽에 위치하며, 에티오피아와 달리 설명된 지역 내에 있다.[21]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비손 강을 "그리스인들이 갠지스 강이라고 부르는 강"으로, 기혼 강을 나일 강으로 보았다.[22]
에제키엘서 28장 12절부터 19절[23]에서 예언자 에제키엘은 티레의 왕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다. 이 왕은 본래 "완전함의 인장"으로, 창조된 날부터 보석으로 장식되었으며, 하나님에 의해 거룩한 산 에덴 동산의 그룹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는 사악함과 폭력으로 죄를 지어 동산에서 쫓겨나 땅으로 던져졌고, 결국 하나님의 불에 의해 소멸될 운명에 처했다. "너를 아는 모든 민족이 너로 말미암아 놀랄 것이며 네가 공포의 대상이 되고 영원히 다시 있지 못하리로다." (에제키엘 28:19)
기원전 3세기에서 1세기에 번역된 70인역에서는 그리스어 παράδεισος|파라데이소스grc를 히브리어 פרדס|파르데스he와 גן|간he, 즉 '동산' 또는 '정원'을 번역하는 데 사용했다(예: 창세기 2:8, 에스겔 28:13). 에덴 동산을 '낙원'이라고 부르는 용법은 여기서 유래했다.
신약성경에서 '낙원'은 죽은 자들 가운데 축복받은 이들이 가는 영역(저주받은 자들의 영역과 대비됨)을 의미하게 되었는데, 이는 헬레니즘 문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일부 기독교인, 특히 동방 정교회 전통에서는 에덴을 경험적 역사 밖에 존재하는 실재로 간주한다. 이는 비시간적 타락 개념과 연결되는데, 인류가 현재 경험하는 제한된 시간이 에덴에서 누렸던 신성한 삶과 분리되어 있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에덴과의 비시간적 분리 개념은 데이비드 벤틀리 하트, 존 베어, 세르게이 불가코프와 같은 현대 신학자들에 의해 지지받고 있으며, 오리겐이나 고백자 막시무스를 포함한 여러 초기 교부들의 저작에서도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51][52][53][54]
말일성도 운동의 신자들은 아담과 하와가 에덴 동산에서 추방된 후, 현재 미국 미주리주 데이비스 카운티에 위치한 아담-온디-아만이라는 곳에 정착했다고 믿는다. 교리와 성약에는 아담이 그곳에서 후손들을 축복했으며, 최후의 심판 때 성경 예언을 성취하기 위해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64][65] 브리검 영, 히버 C. 킴볼, 조지 Q. 캐논 등 교회의 초기 지도자 다수는 에덴 동산 자체가 인근 잭슨 카운티에 있었다고 가르쳤으나,[67] 조셉 스미스 본인이 직접 이 교리를 가르쳤다는 명확한 증언은 없다. 말일성도 교리는 에덴 동산의 정확한 위치를 명시하지 않지만, 신자들 사이에서는 전통적으로 아담-온디-아만 근처나 잭슨 카운티 어딘가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68][69]
2세기 영지주의 교사였던 유스티누스는 세 명의 근원적인 신, 즉 '선'(the Good)이라 불리는 초월적 존재, 엘로힘으로 알려진 중간 남성 형상, 그리고 어머니 땅인 에덴이 있다고 주장했다. 세상은 엘로힘과 에덴의 사랑으로 창조되었으나, 엘로힘이 자신 위에 '선'이 존재함을 깨닫고 그곳에 도달하려 하면서 악이 우주에 들어왔다고 설명했다.[70]
6. 3. 이슬람교
جنّات عدنar (`jannāt ʿadni`, "영원한 거주 정원" 또는 "에덴 동산")이라는 용어는 꾸란에서 의로운 자들의 목적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꾸란에는 "정원"에 대한 언급이 여러 번 있으며,[55] عدنar (`ʿadn`)이라는 단어가 없는 에덴 동산은[56] 일반적으로 이슬람 천국의 네 번째 층으로 여겨지며, 반드시 아담의 거주지로 간주되지는 않는다.[57] 꾸란은 사드 수라(38장 71-88절, 18개 구절), 알-바카라 수라, 알-아라프 수라, 알-히즈르 수라 등 다양한 수라에서 아담과 그의 배우자(하와 또는 이브라고 불리지만, 꾸란에는 이름이 언급되지 않음)의 첫 거처에 대해 자주 언급하지만, 때로는 위치를 명시하지 않기도 한다. 이 이야기는 주로 이블리스(사탄)의 유혹을 받아 아담과 그의 배우자가 추방된 것을 중심으로 전개된다.성경 기록과는 달리, 꾸란은 에덴 동산에 단 하나의 나무, 즉 불멸의 나무만을 언급하며, 하느님은 아담과 그의 배우자에게 이 나무를 특별히 금지했다. 일부 주석에서는 뱀으로 변장한 사탄이 정원에 들어가 아담에게 나무 열매를 먹으라고 반복적으로 유혹했고, 결국 아담과 그의 배우자 모두 열매를 먹어 하느님께 불순종했다는 이야기를 덧붙인다.[58] 이러한 이야기는 알-타바리를 포함한 하디스 모음집에도 기록되어 있다.[59]
=== 이야기의 꾸란 구절 ===
꾸란 2장 35-38절은 아담이 하느님의 명령에 불순종하고 금지된 열매를 먹었으며, 하느님께서 그를 정원에서 내쫓았다는 이야기를 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원이 천국에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한 번역(the Clear Quran)은 다음과 같다.
: * 우리는 경고했다. "오 아담이여! 당신과 당신의 아내는 낙원(문자적으로 "정원")에서 살며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먹어라. 그러나 이 나무에 가까이 가지 마라. 그렇지 않으면 당신은 잘못을 저지르는 자가 될 것이다." (2:35)
: * 그러나 사탄이 그들을 속여 그들이 있던 [행복한] 상태에서 떨어지게 했고, 우리는 말했다, "서로의 적이 되어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라. 당신은 땅에서 거주지와 정해진 기간 동안의 양식을 찾을 것이다." (2:36)
: * 그러자 아담은 그의 주님으로부터 ˹기도의˺ 말씀을 영감을 받았고, 그래서 그분은 그의 회개를 받아들이셨다. 확실히 그분은 회개를 받아들이시는 분, 가장 자비로우신 분이시다. (2:37)
: * 우리는 말했다. "너희 모두 내려와라! 그러면 내가 너희에게 인도를 내려줄 때, 그것을 따르는 자는 두려워할 것도 슬퍼할 것도 없을 것이다." (2:38)[60]
=== 위치 ===
꾸란 구절은 아담이 이슬람에서 낙원을 의미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인 ''알-자나''("정원")에서 추방되었다고 묘사한다. 그러나 이븐 카시르(1372년 사망)와 아르-라지(1209년 사망)(꾸란 주석가)에 따르면, 초기 무슬림들 사이에서는 정원의 위치에 대한 네 가지 해석이 있었다.
- 그 정원은 낙원 자체였다는 것.
- 아담과 그의 배우자를 위해 특별히 창조된 별도의 정원이라는 것.
- 그것이 지구에 위치했다는 것.
- 무슬림들은 정원의 위치에 대해 걱정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61]
그러나 T. O. 샤나바스에 따르면, 꾸란 구절의 문맥적 분석은 에덴 동산이 낙원에 있을 수 없었고 지구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사히 하디스에서 무함마드는 "알라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나의 의로운 종들을 위해 눈으로 본 적도, 귀로 들은 적도, 어떤 인간도 상상해 본 적이 없는 것을 준비해 두었다"고 말하는데, 이는 어떤 인간도 낙원을 본 적이 없다는 의미이다. 아담은 인간이었으므로 낙원을 볼 수 없었고, 따라서 그곳에서 살 수 없었다는 것이다.[61]
=== "인간의 타락" 교리 ===
이슬람 주석은 아담과 그의 배우자가 낙원에서 추방된 것을 불순종에 대한 처벌이나 자유 의지 남용의 결과로 주로 보지 않는다.[62] 대신 이븐 카임 알-자우지야(1292–1350)는 하느님의 지혜(ḥikma)가 인류가 정원을 떠나 지구에 정착하도록 운명지었다고 설명한다. 이는 하느님께서 자신의 속성(사랑, 용서, 창조물에 대한 능력 등)을 완전히 드러내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라는 것이다.[62] 만약 인간이 지구에 살지 않는다면, 하느님은 이러한 속성들을 표현할 수 없을 것이며, 인간이 고통을 경험하지 않는다면 낙원을 갈망하거나 그 기쁨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본다.[62] 콰자 압둘라 안사리(1006–1088)는 아담과 배우자의 추방이 궁극적으로 하느님에 의해 야기되었다고 보았다.[6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하느님의 뜻에 복종해야 한다는 역설적인 개념 속에서도, 자신이 저지른 불복종의 "죄"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 이는 꾸란에서 아담과 그의 배우자가 "우리 주님!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만약 당신께서 우리를 용서하시고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시지 않는다면, 우리는 분명 잃을 것입니다"(꾸란 7:23)라고 기도하며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는 모습과, 반대로 이블리스(사탄)가 자신이 잘못된 길로 인도된 것에 대해 하느님을 비난하는 모습(꾸란 15:37)에서 잘 드러난다.
7. 현대적 해석
에덴 동산의 위치와 의미에 대한 해석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하게 이어져 왔다. 창세기 2장 10-14절[17]은 에덴에서 발원하여 동산을 적시고 네 갈래로 갈라지는 강(비손, 기혼,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을 언급하며 위치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24]
이를 바탕으로 에덴의 위치에 대한 여러 가설이 제시되었다.[25][26] 주요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 메소포타미아 남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이 합류하여 페르시아 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지역이라는 주장 (유리스 자린스).[27]
- 아르메니아 고원: 여러 학자들이 지지하는 가설.[28][29][30][31]
- 이란 타브리즈 근처: 영국의 고고학자 데이비드 롤의 주장이지만, 주류 학계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32]
- 메소포타미아 광역 지역: 이사야 37장 12절 등을 근거로 텔라사르와 같은 도시를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거나,[5][6]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체를 의미한다는 주장.[4]
- 레바논: 에스겔서에 근거하여 레바논이 에덴의 위치라는 해석 (테르제 스토르달렌).[33][34][35] 에드워드 리핀스키와 피터 카일 맥카터는 가장 오래된 수메르의 낙원 개념이 레바논과 안티 레바논 산맥의 산악 성소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36]
일부 종교 단체나 인물들은 에덴 동산이 중동 외부에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미국 미주리주 잭슨 카운티: 몰몬교의 일부 초기 지도자들의 주장.[67]
- 영국 베드포드: 20세기의 파나시아 협회의 믿음.[37]
- 미국 플로리다주 브리스톨 근처 아팔라치콜라 강 유역: 엘비 E. 캘러웨이 목사의 주장.[38]
- 예루살렘: 일부의 제안.[39]
- 남아메리카 대륙: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498년 세 번째 항해에서 처음 보고 지상 낙원이라 생각함.[40]
- 신장 위구르 자치구: Tse Tsan-tai의 주장.[41]
유대교에서는 에덴 동산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발전해왔다. 탈무드와 유대교 카발라에서는 "에덴 동산"이라 불리는 두 종류의 영적인 장소가 있다고 본다.[47] 첫 번째는 지상의 풍요로운 정원인 '낮은 간(gan) 에덴'이고, 두 번째는 의로운 영혼들이 거주하는 천상의 장소인 '높은 간(gan) 에덴'이다. 랍비들은 아담이 단지 '간'(정원)에만 거주했으며, 에덴 자체는 어떤 인간의 눈으로도 목격된 적이 없다고 설명하기도 한다.[47]
유대교 종말론에 따르면,[48] '높은 간 에덴'은 세상의 시작부터 창조되었으며 종말에 영광스럽게 나타날 "의의 정원"이다. 그곳에 거주하는 의로운 자들은 하나님의 보좌를 운반하는 천상의 카요트(chayot)의 모습을 즐길 것이며, 하나님과 함께 거닐 것이라고 한다. 유대교인과 비유대교인 거주민들은 "빛과 영생의 옷을 입고, 하나님과 그분의 기름 부음 받은 자들 곁에서 생명 나무를 먹는다"(에녹서 58장 3절).[48] 이러한 '높은 간 에덴' 개념은 유대교에서 악한 죽은 자들을 위한 영적 정화의 장소로 여겨지는 게힌놈(gehinnom) 및 셰올(sheol)이라는 용어와 대립된다. 일부 현대 정통파 유대교 신자들은 역사가 완성될 때 모든 인류가 에덴 동산으로 돌아가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지라고 믿는다.[49]
7. 1. 낙원 개념과의 연관성
학자들은 에덴 동산 개념이 고대 종교와 신화에 나타나는 유사한 개념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연구해왔다. 여러 종교와 신화에서 성경의 에덴 동산과 비슷한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메르 신화의 ''엔키와 닌후르사그'' 이야기에 등장하는 딜문은 불멸자들이 사는 낙원과 같은 곳으로, 이곳에는 질병과 죽음이 없다고 묘사된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헤스페리데스의 정원 역시 유대교의 에덴 동산 개념과 유사점을 보이며, 16세기 화가 루카스 크라나흐의 그림에서는 두 개념 사이의 연관성이 더욱 강조되기도 했다.기원전 13세기 말의 점토판인 우가릿 문헌 연구를 통해, 일부 히브리 성경 학자(M.J.A. 코르펠, J.C. 드 무어)는 성경의 가나안 종교적 배경을 재구성하려 시도했다. 이들은 이 재구성된 내용이 창세기 초반부의 에덴 동산과 아담 이야기에 나타나는 성경적 창조 신화의 기원이라고 주장한다.[42] 그들이 재구성한 이야기에 따르면, 창조신 엘은 아세라와 함께 아라랏 산의 동산에 살았는데, 다른 신 하우론이 엘에게 반기를 들고 산에서 쫓겨나면서 동산의 생명 나무를 죽음의 나무로 바꾸었다.[42] 호론은 또한 독 안개를 퍼뜨렸고, 땅의 생명을 되살리기 위해 아담이 산에서 보내졌다. 그러나 호론은 거대한 뱀으로 변해 아담을 물었고, 이로 인해 아담과 그의 아내는 불멸성을 잃게 되었다고 한다.[42] 하지만 존 데이와 같은 학자들은 이러한 이야기가 우가릿 문헌에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추측에 기반한 재구성이며 그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한다.[43]
'낙원'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paradise'는 그 어원이 여러 언어를 거슬러 올라간다. 영어 'paradise'는 프랑스어 paradisfra에서 왔고, 이는 다시 라틴어 paradisus, paradisumlat에서 유래했으며, 궁극적으로 고대 그리스어 παράδεισος|parádeisosgrc에서 비롯되었다. 이 그리스어 단어는 고대 이란어 형태에서 파생되었는데, 이는 '담으로 둘러싸인 구역'을 의미하는 원시 이란어 '*parādaiĵah-'에서 왔다. 구체적으로는 고대 페르시아어 𐎱𐎼𐎭𐎹𐎭𐎠𐎶|/paridaidam/peo와 아베스타어 𐬞𐬀𐬌𐬭𐬌⸱𐬛𐬀𐬉𐬰𐬀|pairi-daêza-ave와 관련이 있다. 이 단어의 문자적 의미는 '담으로 둘러싸인 (구역)'인데, 'pairi-'는 '주변'(그리스어 περίgrc 및 영어 'peri-'와 같은 어원)을, '-diz'는 "만들다, 형성하다 (벽), 건설하다"(그리스어 τεῖχοςgrc, '벽'과 같은 어원)를 뜻한다. 이 단어의 뿌리는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어의 어근인 '*dheigʷ*', '들러붙어 세우다 (벽)'과 '*per*', '주변'에서 파생되었다.
기원전 6/5세기경, 이 고대 이란어 단어는 아카드어로 pardesuakk, '영토'로 차용되었다. 이후 이는 광대한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인 페르시아 제국을 가리키게 되었고, 이후 여러 언어로 차용되었다. 그리스어로는 παράδεισος|parádeisosgrc, '동물원'으로 차용되었으며, 이는 크세노폰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아나바시스''를 참조할 수 있다. 아람어로는 pardaysaarc, '왕립 공원'으로 차용되었으며, 히브리어로도 차용되었다.
담으로 둘러싸인 구역이라는 개념은 대부분의 이란어 사용법에서는 보존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농장이나 다른 경작지를 지칭하게 되었으며, 반드시 담으로 둘러싸인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고대 이란어는 신 페르시아어에서 pardisfas로 살아남았으며, 그 파생어인 pālīzfas (또는 jālīzfas)로도 살아남았으며, 이는 채소밭을 의미한다.
7. 2. 예술과 문학에서의 활용
학자들은 에덴 동산 개념이 고대 다른 종교와 신화에 나타나는 유사한 개념들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며, 종교와 예술 분야에서 성경 기록 이후 시대의 개념 발전을 연구해왔다. 에덴 동산과 유사한 개념은 여러 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메르 신화의 딜문은 질병과 죽음이 없는 불멸자들의 낙원적 거처로 묘사된다. 그리스 신화의 헤스페리데스의 정원 역시 에덴 동산과 유사한 면이 있으며, 16세기 루카스 크라나흐의 그림에서는 두 개념 사이의 지적인 연결이 시도되기도 했다.
에덴 동산을 묘사한 가장 오래된 예술 작품 중 하나는 이탈리아 라벤나의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에 있는 5세기 비잔틴 양식의 모자이크이다. 이 파란색 모자이크는 에덴 동산의 꽃을 상징하는 원형 모티프를 특징으로 한다. 채색 필사본이나 회화에서 에덴 동산과 관련하여 가장 자주 다루는 주제는 "아담의 잠"(이브의 창조), 뱀에 의한 "이브의 유혹", 아담이 금단의 열매를 따는 "인류의 타락", 그리고 에덴 동산에서의 "추방"이다. 아담이 동물들의 이름을 짓는 "에덴에서의 명명일" 장면은 상대적으로 덜 묘사되었다.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에 에덴 동산의 한 장면을 그렸다.
중세 시대의 많은 작가들에게 에덴 동산의 이미지는 인간의 사랑과 성을 위한 공간으로 그려지기도 했으며, 고전 및 중세 문학에서 이상적인 자연 공간을 묘사하는 비유인 로쿠스 아모에누스와 연관되기도 했다.[71]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작품 ''신곡''에서 에덴 동산을 푸르가토리 산 꼭대기에 위치시킨다. 순례자 단테는 ''연옥'' 28곡에서 에덴 동산에 들어서는데, 이곳에서 그는 신이 에덴을 인간에게 영생의 약속으로 주었으나 인간의 타락으로 인해 잠시만 머물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이 시에서 에덴 동산은 지상에 있으면서도 천국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인간적이면서도 신성한 공간으로 묘사된다.[72]
존 밀턴의 서사시 ''실낙원''의 많은 부분이 에덴 동산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아서 밀러의 1972년 희곡 ''세상 창조와 그 밖의 일''의 첫 번째 막은 에덴 동산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또한 에덴 동산은 다음과 같은 현대 작품들의 제목이나 소재로 활용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Oxford Guide To People And Plac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2-22
[2]
harvnb
[3]
웹사이트
Where is the Garden of Eden? Why the LDS owns over 3,000 acres in Missouri
https://fox2now.com/[...]
2021-12
[4]
웹사이트
Fertile Crescent
https://www.worldhis[...]
2018-03-28
[5]
웹사이트
Telassar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www.internati[...]
[6]
웹사이트
Isaiah 37: Barnes Commentary
https://biblehub.com[...]
2023
[7]
간행물
The Garden of Eden as an Israelite Sacred Place
[8]
Bibleverse
[9]
Bibleverse
[10]
Bibleverse
[11]
Bibleverse
[12]
harvnb
[13]
웹사이트
Latin Vulgate Bible with Douay–Rheims and King James Version Side-by-Side+Complete Sayings of Jesus Christ
http://www.latinvulg[...]
2021-03-10
[14]
harvnb
[15]
Bibleverse
[16]
Bibleverse
[17]
Bibleverse
[18]
웹사이트
Definition of Tigris (Hiddekel) in the Bible
https://www.biblestu[...]
2024-11-19
[19]
웹사이트
Strong's Hebrew: 6578. פְּרָת (Perath) -- Euphrates
https://biblehub.com[...]
2024-11-19
[20]
간행물
The Jewish Quarterly Review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3
[21]
harvnb
[22]
문서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 Book I, Chapter 1, Section 3.
[23]
Bibleverse
[24]
Bibleverse
[25]
서적
Paradise Lust: Searching for the Garden of Eden
https://archive.org/[...]
Grove Press
[26]
문서
Carol A. Hill, The Garden of Eden: A Modern Landscape' Perspectives on Science and Christian Faith 52 [March 2000]: 31–46 https://www.asa3.org/ASA/PSCF/2000/PSCF3-00Hill.html
[27]
간행물
Has the Garden of Eden been located at last? (Dead Link)
http://www.theeffect[...]
1987-05
[28]
서적
What Really Happened in the Garden of Eden?
Yale University Press
[29]
서적
Yahweh and the Gods and Goddesses of Canaan.
Sheffield Academic Press
[30]
서적
Milton's Earthly Paradise: A Historical Study of Ede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1]
서적
Return to the Sources: Paradise in Armenia, in: Mapping Paradise: A History of Heaven on Earth.
British Library a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서적
From Eden to Exile: Unraveling Mysteries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간행물
[37]
서적
Octavia, Daughter of God
Random House
2012
[38]
서적
The Other Florida
[39]
웹사이트
Jerusalem as Eden
https://www.baslibra[...]
2015-08-24
[40]
서적
Columbus: The Four Voyages, 1493–1504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US
[41]
웹사이트
The Garden of Eden – in China?
https://bigthink.com[...]
2023-11-05
[42]
서적
Adam, Eve, and the Devil: A New Beginning
https://books.google[...]
Sheffield Phoenix Press
[43]
서적
From Creation to Abraham: Further Studies in Genesis 1-11
Bloomsbury Publishing
[44]
간행물
Israel's History and the History of Israel
Routledge
[45]
간행물
Jerusalem and the Garden of Eden
"[[Israel Exploration Society]]"
[46]
웹사이트
Tafsir Surah Al-Kahf - 107
https://quran.com/18[...]
2024-07-07
[47]
웹사이트
EDEN, GARDEN OF
https://www.jewishen[...]
2023-11-09
[48]
웹사이트
ESCHATOLOGY
https://www.jewishen[...]
2023-11-09
[49]
웹사이트
End of Days
http://www.aish.com/[...]
Aish
2012-05-01
[50]
웹사이트
Chapter I: The Creation of the World
https://sacred-texts[...]
2023-11-09
[51]
웹사이트
Origen and the Eschatological Creation of the Cosmos
https://afkimel.word[...]
2023-02-05
[52]
웹사이트
The Redemption of Evolution: Maximus the Confessor, The Incarnation, and Modern Science
https://issuu.com/ja[...]
2023-02-05
[53]
서적
The Bride of the Lamb
Wm. B. Eerdmans
[54]
서적
Theological Territories: A David Bentley Hart Digest
Notre Dame Press
[55]
간행물
Qur'an
[56]
웹사이트
list of occurrences
http://corpus.quran.[...]
[57]
서적
Dictionary of Islam
Asian Educational Services
[58]
서적
The Quran, an encyclopedia 2006
[59]
서적
Mecca and Eden: ritual, relics, and territory in Islam
[60]
웹사이트
Al-Bakarah, verses 35-8
https://quran.com/2/[...]
[61]
웹사이트
The Garden of Eden: An Earthly or Heavenly Garden? (from: Shanavas, T. O. (2005). Islamic Theory of Evolution: The Missing Link between Darwin and the Origin of Species. (p. 161–168).)
http://www.islamicwe[...]
2022-06-08
[62]
서적
Paradise and Hell in Islamic Tradi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63]
간행물
The Ethical Concerns of Classical Sufism
https://www.jstor.or[...]
1983
[64]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107:53
https://www.churchof[...]
[65]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116:1
https://www.churchof[...]
[66]
웹사이트
Daniel 7:13–14, 22
https://www.churchof[...]
[67]
웹사이트
The location of the Garden of Eden – FAIR
https://www.fairlatt[...]
2023-11-09
[68]
웹사이트
I Have a Question
https://www.churchof[...]
2023-11-09
[69]
뉴스
What is Mormonism? Overview of Mormon Beliefs – Mormonism 101
https://www.mormonne[...]
2018-10-31
[70]
웹사이트
Gnosticism – Apocryphon of Joh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1-28
[71]
인용
[72]
웹사이트
Dante Lab at Dartmouth College: Reader
http://dantelab.dart[...]
2021-11-06
[73]
Academia
Dan'el Kahn, comment on Academia.edu
https://haifa.academ[...]
2024-08
[74]
서적
Echoes of Eden
Peeters
[75]
서적
아담의 진화
[76]
서적
오리진
[77]
서적
낙원
도서출판 들녘
[78]
서적
낙원
도서출판 들녘
[79]
문서
[80]
서적
낙원
도서출판 들녘
[81]
서적
The Ugaritic Baal Cycle, volume II
BRILL
[82]
서적
낙원
도서출판 들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