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아랍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음역(transliteration, 문자를 그대로 옮기는 방식)과 음사(transcription, 발음을 옮기는 방식)로 나뉘며, 발음 구별 부호 사용 여부, ASCII 문자 사용 여부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랍어 사전에서 표기법이 표준화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학회와 기관에서 새로운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모음 표기, 음역과 음사의 선택, 정관사 동화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주의적 맥락에서 아랍어의 로마자 표기 시도가 있었으나, 아랍어 문자에 대한 문화적 유대감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표기법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로마자 표기법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은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로마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체계를 의미하며, 널리 사용되는 단일 표준 없이 여러 표준이 특정 목적에 따라 경쟁적으로 사용된다.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 아랍어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 |
---|---|
개요 | |
유형 | 문자 전사 |
특징 | |
대상 언어 | 아랍어 |
대상 문자 | 아랍 문자 |
사용 문자 | 로마자 |
목적 | |
주요 목적 | 아랍어를 로마자로 표기 |
기타 목적 | 아랍어 발음 근사치 표현 아랍 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아랍어 대체 |
방법론 | |
기본 원칙 | 아랍 문자에 대응하는 로마자 글자 또는 글자 조합을 사용 |
세부 방법 | 각 아랍 문자에 대해 정의된 로마자 표기 규칙 적용 필요에 따라 구별 부호(diacritics) 활용하여 정확성 높임 |
표준 로마자 표기법 (예시) | |
![]() | |
중요성 | |
학문적 중요성 | 언어학, 중동학 연구에 필수적 |
실용적 중요성 | 아랍어 학습 및 교육 자료 제작 아랍어 정보 검색 및 처리 국제적인 의사소통 및 교류 |
참고 | |
관련 개념 | 아랍어 음성학 아랍어 문자 문자 전사 음역 |
2. 표기 체계의 종류 및 역사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크게 발음 구별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 이중음자를 병용하는 방식, ASCII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 '''발음 구별 부호 및 이중음자 병용''' 방식은 아랍어 발음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려는 시도이다. BGN/PCGN (1956)[2], UNGEGN (1972)[3][4], ALA-LC (1991)[6]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EI[8],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7]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도 이와 유사하다.
- '''발음 구별 부호 전용''' 방식에는 DMG (1935)[9], DIN 31635 (1982), 한스 베어 음역 (1961, 1994), ISO 233 (1984), BS 4280 (1968)[12] 등이 있다.
- '''ASCII 기반''' 표기법은 ASCII 문자만을 사용하여 아랍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rabTeX (1992), 아라비지, 아랍텍스트 (1992년 이후)[13], 벅월터 로마자 표기법 (1990년대)[14][15], 아랍어 채팅 문자 등이 있다.
2. 1. 초기 표기법 (17세기~19세기)
초기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17~19세기의 다양한 아랍어-유럽어 이중 언어 사전에서 표준화되었다.저자 | 서명 | 출판 연도 | 비고 |
---|---|---|---|
페드로 데 알칼라 | Vocabulista | 1505 | 스페인어-아랍어 용어집 (전사본).[1] |
발렌틴 쉰들러 | Lexicon Pentaglotton: Hebraicum, Chaldicum, Syriacum, Talmudico-Rabbinicum, et Arabicum | 1612 | 아랍어 표제어가 히브리 문자로 인쇄되었다.[1] |
프란시스쿠스 라펠렌기우스 | [https://archive.org/details/bub_gb_84yAEE271K8C Lexicon Arabicum] | 1613 | 아랍어 문자로 된 최초의 아랍어 사전.[1] |
야코부스 골리우스 | Lexicon Arabico-Latinum | 1653 | 거의 두 세기 동안 유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아랍어 사전.[1] |
게오르크 프라이탁 | Lexicon Arabico-Latinum, praesertim ex Djeuharii Firuzubadiique et aliorum libris confectum I–IV | 1830–1837 | [1] |
에드워드 윌리엄 레인 | 아랍어-영어 사전 | 1863–1893 | 매우 영향력 있었지만 불완전함 (Kaf에서 중단됨)[1] |
2. 2. 발음구별부호 및 이중음자 병용
발음 구별 부호와 이중음자(digraph)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은 아랍어 발음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려는 시도이다.- '''BGN/PCGN''' (1956).[2]
- '''UNGEGN'''(1972). 유엔 지명 전문가 그룹, "수정된 베이루트 시스템의 변형 A". BGN/PCGN에서 채택.[3][4]
- '''IGN 시스템 1973''' "수정된 베이루트 시스템의 변형 B"는 프랑스어 표기법을 따르며, 마그레브와 레바논과 같은 프랑스어 사용 국가에서 변형 A보다 선호된다.[3][5]
- '''아랍 대표단|베를린에서 열린 제8차 UN 지명 표준화 회의에 참석한 아랍 대표단(2002)ar'''(2007)은 UNGEGN과 두 가지 면에서 다르다. (1) ظ는 z̧ 대신 d͟h이다. (2) 세디르는 세디르가 있는 모든 문자의 밑줄(_)로 대체된다.[3]
- '''ALA-LC'''(1991년 처음 출판), 미국 도서관 협회 및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발행.[6] 이 로마자 표기법은 독일 동양학회de와 한스 베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유사하며, 아랍학자들의 과학 출판물에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 '''IJMES''',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에서 사용되며 ALA-LC와 매우 유사하다.[7]
- '''EI''', ''이슬람 백과사전''(1판, 1913–1938; 2판, 1960–2005).[8]
2. 3. 발음구별부호 전용
- '''DMG''' ('''독일 동양학회(Deutsche Morgenländische Gesellschaft)''', 1935): 1935년 독일 동양학회가 제정하여 로마에서 열린 동양학자 국제대회에서 채택되었다.[9]
- '''DIN 31635''' (1982): 1982년 독일 표준화 협회가 개발했다.
- '''한스 베어 음역''' (1961, 1994): 한스 베어에 의해 개발된 DIN 31635의 수정판이다.
- '''EALL''': ''아랍어 언어학 백과사전''(Kees Versteegh 편집, Brill, 2006–2009)의 체계.[10]
- '''ISO 233''' (1984): 1984년 제정된 문자 대 문자 방식 표기법. 모음은 발음 구별 부호가 표시된 경우에만 음역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생략된다.
- '''BS 4280''' (1968): 1968년 영국 표준 협회가 개발했다.[12]
- 스페인어 로마자 표기법은 세 글자를 제외하고 DMG/DIN과 동일하다: ǧ > ŷ, ḫ > j, ġ > g.[11]
2. 4. ASCII 기반 표기법
ASCII 기반 표기법은 ASCII 문자만을 사용하여 아랍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rabTeX: 1992년에 개발되었다.
- 아랍어 인터넷 표기법(아라비지): 인터넷 시대에 로마자 키보드로 아랍어를 입력하기 위해 생겨난 편의상의 수법이다.
- 아랍텍스트(1992년 이후): ISO/R 233 및 DIN 31635의 로마자 표기 표준을 따른다.[13]
- 벅월터 로마자 표기법(1990년대): 팀 벅월터가 ALPNET에서 개발하였으며, 분음 부호가 필요하지 않다.[14][15]
- 아랍어 채팅 문자: 라틴 키보드를 사용하여 아랍어를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한 임시 방편이다.[10]
3. 표기법 비교
(보통 생략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