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아랍 문자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표기법은 음역(transliteration, 문자를 그대로 옮기는 방식)과 음사(transcription, 발음을 옮기는 방식)로 나뉘며, 발음 구별 부호 사용 여부, ASCII 문자 사용 여부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아랍어 사전에서 표기법이 표준화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학회와 기관에서 새로운 표기법이 제정되었다.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모음 표기, 음역과 음사의 선택, 정관사 동화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주의적 맥락에서 아랍어의 로마자 표기 시도가 있었으나, 아랍어 문자에 대한 문화적 유대감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표기법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로마자 표기법 -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은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로마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체계를 의미하며, 널리 사용되는 단일 표준 없이 여러 표준이 특정 목적에 따라 경쟁적으로 사용된다.
  •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는 중동, 북아프리카 등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표준 아랍어로, 고전 아랍어를 기반으로 나흐다 시대를 거치며 변화했으며, 구어체 아랍어와 구분되는 디글로시아 현상을 보인다.
  • 아랍어 - 안달루시아 아랍어
    안달루시아 아랍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형성되어 로망스어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레콩키스타 이후 쇠퇴하여 18세기에 사멸했지만, 현재는 전통 음악에서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개요
유형문자 전사
특징
대상 언어아랍어
대상 문자아랍 문자
사용 문자로마자
목적
주요 목적아랍어를 로마자로 표기
기타 목적아랍어 발음 근사치 표현
아랍 문자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아랍어 대체
방법론
기본 원칙아랍 문자에 대응하는 로마자 글자 또는 글자 조합을 사용
세부 방법각 아랍 문자에 대해 정의된 로마자 표기 규칙 적용
필요에 따라 구별 부호(diacritics) 활용하여 정확성 높임
표준 로마자 표기법 (예시)
다양한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다양한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들의 비교
중요성
학문적 중요성언어학, 중동학 연구에 필수적
실용적 중요성아랍어 학습 및 교육 자료 제작
아랍어 정보 검색 및 처리
국제적인 의사소통 및 교류
참고
관련 개념아랍어 음성학
아랍어 문자
문자 전사
음역

2. 표기 체계의 종류 및 역사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크게 발음 구별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 이중음자를 병용하는 방식, ASCII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 '''발음 구별 부호 및 이중음자 병용''' 방식은 아랍어 발음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려는 시도이다. BGN/PCGN (1956)[2], UNGEGN (1972)[3][4], ALA-LC (1991)[6]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EI[8],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7]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도 이와 유사하다.
  • '''발음 구별 부호 전용''' 방식에는 DMG (1935)[9], DIN 31635 (1982), 한스 베어 음역 (1961, 1994), ISO 233 (1984), BS 4280 (1968)[12] 등이 있다.
  • '''ASCII 기반''' 표기법은 ASCII 문자만을 사용하여 아랍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rabTeX (1992), 아라비지, 아랍텍스트 (1992년 이후)[13], 벅월터 로마자 표기법 (1990년대)[14][15], 아랍어 채팅 문자 등이 있다.

2. 1. 초기 표기법 (17세기~19세기)

초기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17~19세기의 다양한 아랍어-유럽어 이중 언어 사전에서 표준화되었다.

저자서명출판 연도비고
페드로 데 알칼라Vocabulista1505스페인어-아랍어 용어집 (전사본).[1]
발렌틴 쉰들러Lexicon Pentaglotton: Hebraicum, Chaldicum, Syriacum, Talmudico-Rabbinicum, et Arabicum1612아랍어 표제어가 히브리 문자로 인쇄되었다.[1]
프란시스쿠스 라펠렌기우스[https://archive.org/details/bub_gb_84yAEE271K8C Lexicon Arabicum]1613아랍어 문자로 된 최초의 아랍어 사전.[1]
야코부스 골리우스Lexicon Arabico-Latinum1653거의 두 세기 동안 유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아랍어 사전.[1]
게오르크 프라이탁Lexicon Arabico-Latinum, praesertim ex Djeuharii Firuzubadiique et aliorum libris confectum I–IV1830–1837[1]
에드워드 윌리엄 레인아랍어-영어 사전1863–1893매우 영향력 있었지만 불완전함 (Kaf에서 중단됨)[1]


2. 2. 발음구별부호 및 이중음자 병용

발음 구별 부호와 이중음자(digraph)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은 아랍어 발음을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려는 시도이다.

  • '''BGN/PCGN''' (1956).[2]
  • '''UNGEGN'''(1972). 유엔 지명 전문가 그룹, "수정된 베이루트 시스템의 변형 A". BGN/PCGN에서 채택.[3][4]
  • '''IGN 시스템 1973''' "수정된 베이루트 시스템의 변형 B"는 프랑스어 표기법을 따르며, 마그레브와 레바논과 같은 프랑스어 사용 국가에서 변형 A보다 선호된다.[3][5]
  • '''아랍 대표단|베를린에서 열린 제8차 UN 지명 표준화 회의에 참석한 아랍 대표단(2002)ar'''(2007)은 UNGEGN과 두 가지 면에서 다르다. (1) ظ는 z̧ 대신 d͟h이다. (2) 세디르는 세디르가 있는 모든 문자의 밑줄(_)로 대체된다.[3]
  • '''ALA-LC'''(1991년 처음 출판), 미국 도서관 협회 및 미국 의회 도서관에서 발행.[6] 이 로마자 표기법은 독일 동양학회de와 한스 베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유사하며, 아랍학자들의 과학 출판물에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 '''IJMES''',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에서 사용되며 ALA-LC와 매우 유사하다.[7]
  • '''EI''', ''이슬람 백과사전''(1판, 1913–1938; 2판, 1960–2005).[8]

2. 3. 발음구별부호 전용


  • '''DMG''' ('''독일 동양학회(Deutsche Morgenländische Gesellschaft)''', 1935): 1935년 독일 동양학회가 제정하여 로마에서 열린 동양학자 국제대회에서 채택되었다.[9]
  • '''DIN 31635''' (1982): 1982년 독일 표준화 협회가 개발했다.
  • '''한스 베어 음역''' (1961, 1994): 한스 베어에 의해 개발된 DIN 31635의 수정판이다.
  • '''EALL''': ''아랍어 언어학 백과사전''(Kees Versteegh 편집, Brill, 2006–2009)의 체계.[10]
  • '''ISO 233''' (1984): 1984년 제정된 문자 대 문자 방식 표기법. 모음은 발음 구별 부호가 표시된 경우에만 음역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생략된다.
  • '''BS 4280''' (1968): 1968년 영국 표준 협회가 개발했다.[12]
  • 스페인어 로마자 표기법은 세 글자를 제외하고 DMG/DIN과 동일하다: ǧ > ŷ, ḫ > j, ġ > g.[11]

2. 4. ASCII 기반 표기법

ASCII 기반 표기법은 ASCII 문자만을 사용하여 아랍어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ArabTeX: 1992년에 개발되었다.
  • 아랍어 인터넷 표기법(아라비지): 인터넷 시대에 로마자 키보드로 아랍어를 입력하기 위해 생겨난 편의상의 수법이다.
  • 아랍텍스트(1992년 이후): ISO/R 233 및 DIN 31635의 로마자 표기 표준을 따른다.[13]
  • 벅월터 로마자 표기법(1990년대): 팀 벅월터가 ALPNET에서 개발하였으며, 분음 부호가 필요하지 않다.[14][15]
  • 아랍어 채팅 문자: 라틴 키보드를 사용하여 아랍어를 편리하게 입력하기 위한 임시 방편이다.[10]

3. 표기법 비교

(보통 생략됨)أَمْجَدُ كَانَ لَهُ قَصْر|’amjad kāna lahu qaṣrarbإِلَى الْمَمْلَكَةِ الْمَغْرِبِيَّة|’ilā l-mamlakah al-maghribīyaharbIPA[/ʔamdʒadu kaːna lahuː qasˤr/][/ʔila‿l.mamlakati‿l.maɣribij.jah/]ALA-LCHans WehrDINUNGEGNISOArabTeXam^gad kAna lahu qa.sril_A almamlakaT alma.gribiyyaT뜻암자드에게는 궁전이 있었다모로코 왕국으로



문자유니코드이름IPABGN/
PCGN
UNGEGNALA-LCEIWehrDINISO아라비지
ء|’ar[16][17][18]0621ʼʾʼʾʼʾˈˌ2
ا|aar0627āʾAa/e/é
ب|bar0628b
ت|tar062At
ث|thar062Btht͟h_ts/th/t
ج|jar062C~~jd͟jjǧ^gj/g/dj
ح|ḥar062D.h7/h
خ|khar062Ekhk͟hx_hkh/7'/5
د|dar062Fd
ذ|dhar0630dhd͟h_dz/dh/th/d
ر|rar0631r
ز|zar0632z
س|sar0633s
ش|shar0634shs͟hš^ssh/ch/$
ص|ṣar0635ş.ss/9
ض|ḍar0636.dd/9'/D
ط|ṭar0637ţ.tt/6/T
ظ|ẓar0638~d͟hḏ̣/ẓ.zz/dh/6'/th
ع|ʻar0639ʻʿʽʿ`3
غ|ghar063Aghg͟hġġ.ggh/3'/8
ف|far0641f
ق|qar0642q2/g/q/8/9
ك|kar0643k
ل|lar0644l
م|mar0645m
ن|nar0646n
ه|har0647h
و|war0648,w; ūw; Uw/ou/oo/u/o
ي|yar064A,y; īy; Iy/i/ee/ei/ai
آ|āar0622ā, ʼāʾāʾâ2a/aa
ة|har0629,h; t—; th; ta/e(h); et/at
ال|al-ar06270644(var.)al-ʾalal-el/al
ى|āar0649áāa
발성
ـَ|aar064Eaa/e/é
ـِ|iar0650ii/e/é
ـُ|uar064Fuou/o/u
ـَا|āar064E0627āa
ـِي|īar0650064Aīiyi/ee
ـُو|ūar064F0648ūuwou/oo/u
ـَي|ayar064E064Aayay/ai/ey/ei
ـَو|awar064E0648awaw/aou
ـً|anar064Bananáan
ـٍ|inar064Dininíin/en
ـٌ|unar064Cununúoun/on/oon/un


4. 로마자 표기법의 문제점

로마자 표기법은 종종 "음역"이라고 불리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정확하지 않다.[19] 음역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외국 ''문자''를 직접 표현하는 반면,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대부분은 실제로는 음성 표기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단모음과 자음 중복이 아랍어 표기에는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언어의 ''소리''를 나타낸다.

모든 로마자 표기법은 의도된 적용 분야에 따라 여러 가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

4. 1. 모음 표기 문제

로마자 표기법은 종종 "음역"이라고 불리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음역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외국 ''문자''를 직접 표현하는 반면,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대부분은 실제로는 음성 표기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단모음과 자음 중복이 아랍어 표기에는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언어의 ''소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مناظرة الحروف العربية|munāẓaratu l-ḥurūfi l-ʻarabīyah|무나자라투 알후루피 알아라비야ar는 발음을 나타내는 음성 표기이며, 음역의 예는 ''mnaẓrḧ alḥrwf alʻrbyḧ''이다.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아랍어 문자가 일반적으로 모음이 표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많은 모음이 적혀 있지 않아 언어에 익숙한 독자가 이를 채워 넣어야 한다. 따라서 모음이 표기되지 않은 아랍어 문자는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에게 정확한 발음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قطر|qṭr|카타르ar로 표기하는 순수한 음역은 훈련받지 않은 독자에게는 의미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으로 قطر|qaṭar|카타르ar와 같이 모음을 추가하는 전사가 사용된다. 그러나 모음이 표기되지 않은 시스템은 아랍어 채팅과 같은 모음 표기 시스템과 달리 아랍어 문자와 정확히 일치하며, 일부는 철자 능력에서 저해된다고 주장한다.[19]

4. 2. 음역과 음사의 문제

로마자 표기법은 종종 "음역"이라고 불리지만, 엄밀히 말하면 정확하지 않다. 음역은 외국 ''문자''를 라틴 문자로 직접 표현하는 반면, 대부분의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실제로는 음성 표기 시스템으로, 언어의 ''소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مناظرة الحروف العربية|munāẓaratu l-ḥurūfi l-ʻarabīyahar는 발음을 나타내는 음성 표기이며, 음역의 예시는 mnaẓrḧ alḥrwf alʻrbyḧ|ar이다.

대부분의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음역보다는 음사를 따른다. 각 문자를 음역하는 대신, 목표 언어의 철자 규칙에 따라 단어의 소리를 표현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Qaṭar''가 있다. 이는 과학 및 대중적인 경우 모두 마찬가지이다. 순수한 음역은 모음을 생략하여 ''qṭr''로 표기하는데, 이는 아랍어에 능숙한 독자에게만 해석이 가능하다. 모음을 추가하더라도, 음역 시스템은 아랍어에서 동일한 소리의 여러 표기법을 구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리 에 대해 ا|āar vs. ى|āar파열음(함자, 보통 ''''로 음사)을 쓰는 6가지 방법(ء إ أ آ ؤ ئ|ar)을 구별해야 한다. 이러한 세부 사항은 특정 상황(예: 아랍어 스크립트 텍스트 활자)을 제외하고는 불필요하게 복잡하다.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과 관련된 대부분의 문제는 음역 대 음사, 그리고 무엇을 로마자 표기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음사는 일반적으로 설교자모스크에서 또는 TV 뉴스 앵커가 말하는 문어체 아랍어와 같이 말하는 언어를 반영하여 이름을 렌더링할 수 있다. 음사는 음운론적 정보(예: 모음) 또는 형태론적 정보(예: 단어 경계)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다. 음사는 또한 목표 언어의 표기법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영어 ''Omar Khayyam''과 독일어 ''Omar Chajjam''을 비교해 볼 때, 둘 다 عمر خيام|ʕumar xajjaːmar를 나타낸다 (무성 ʿmr ḫyām|ʿmr ḫyāmar, 유성 ʻUmar Khayyām|ʻUmar Khayyāmar).

음역은 이상적으로 완전히 역전 가능해야 한다. 기계는 아랍어로 다시 음역할 수 있어야 한다. 음역은 다음 이유 중 하나라도 결함이 있다고 간주될 수 있다.

정확한 음사는 아랍어 원어민에게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어쨌든 이름과 문장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구어 아랍어에 익숙하지 않고 로마자를 아는 사람에게는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정확한 음역은 학습하고, 정확하게 발음하고, 음소를 구별하는 데 가치 있는 발판 역할을 한다. 아랍어의 소리에 익숙하지만 언어에 완전히 능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유용한 도구이다.

한 가지 비판은 완전히 정확한 시스템이 이름을 정확하게 발음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람이 가지고 있지 않은 특별한 학습을 요구하고, 보편적인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 없으면 비원어민이 정확하게 발음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특수 문자가 복제되지 않고 독자가 아랍어 발음에 익숙하지 않으면 정확성이 손실될 것이다.

4. 3. 정관사 동화 문제

아랍어의 정관사 ''al-''은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동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빛"을 뜻하는 النور|an-nūrar는 ''alnūr''로 음역될 수 있지만, 실제 발음은 ''an-nūr''에 가깝다.[20] 음사 ''an-nūr''에서는 하이픈이 추가되고 발음되지 않는 l이 제거되어 아랍어를 모르는 사람에게 편리하게 해준다.[20] 그렇지 않으면 l을 발음하고, ''nūr''의 n이 쌍자음임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20]

이러한 정관사 동화 현상을 로마자 표기에 반영할지 여부는 음역과 음사의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태양 문자 앞에서는 정관사의 동화를 무시하면 아랍어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20]

4. 4. 기타 문제

5.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과 민족주의

아랍 문자를 로마자로 변환하거나 아랍어를 로마자화하려는 민족 운동의 사례가 있었다.

5. 1. 레바논

사이드 아클 문자를 사용한 ''LEBNAAN'' (686호)


1920년대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 레바논에서는 아랍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22년 베이루트 신문 ''라 시리(La Syrie)''는 아랍 문자를 라틴 문자로 바꾸려 했고,[21][22] 프랑스 동양학자 루이 마시뇽이 이 운동을 이끌었다. 마시뇽은 1928년 다마스쿠스 아랍어 학회에 이 문제를 제기했다.[21][22]

그러나 아랍 지식인 사회와 대중은 이러한 로마자 표기 도입 시도를 서구 제국주의의 침투로 여겨 반발했다.[21][22] 아랍어 학회 회원이던 사'이드 아프가니는 로마자 표기 운동이 레바논을 지배하려는 시온주의 계획이라고 주장했다.[21][22] 결국 마시뇽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5. 2. 이집트

1940년대 이집트에서는 아랍어의 근대화와 이집트화를 위해 로마자 표기 도입 논의가 있었다.[21][22] 살라마 무사와 같은 지식인은 로마자 표기가 과학기술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지만,[21][22][23] 대중의 아랍 문자에 대한 강한 애착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21][22]

참조

[1] 간행물 Arabic Linguistics: A Historiographic Overview http://cejsh.icm.edu[...] Edward Lipiński 2012
[2] 웹사이트 Romanization system for Arabic. BGN/PCGN 1956 System https://www.gov.uk/g[...]
[3] 웹사이트 Arabic http://www.eki.ee/wg[...] UNGEGN
[4] 서적 Technical reference manual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http://unstats.un.or[...] UNGEGN
[5] 웹사이트 Systèmes français de romanisation http://unstats.un.or[...] UNGEGN 2009
[6] 웹사이트 Arabic romanization table https://www.loc.gov/[...] The Library of Congress
[7] 웹사이트 IJMES Translation & Transliteration Guide http://ijmes.chass.n[...]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8]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Islam Romanization vs ALA Romanization for Arabic http://guides.lib.uw[...]
[9] 서적 Die Transliteration der arabischen Schrift... http://www.naher-ost[...] 1935
[10] 서적 Encyclopedia of Arabic Language and Linguistics Brill
[11] 서적 Gramatica de la lengua arabe para hispanohablantes https://books.google[...] Editorial Universitaria
[12] 웹사이트 Standards, Training, Testing,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http://www.bsi-globa[...] BSI Group 2014-05-18
[13] 문서 ArabTex User Manual http://129.69.218.21[...]
[14] 웹사이트 Buckwalter Arabic Transliteration http://www.qamus.org[...] QAMUS LLC
[15] 웹사이트 Arabic Morphological Analyzer/The Buckwalter Transliteration https://open.xerox.c[...] Xerox 2017-04-30
[16] 학위논문 Writing Arabizi: Orthographic Variation in Romanized Lebanese Arabic on Twitter http://hdl.handle.ne[...] 2017-07
[17] 웹사이트 Egyptian Romanized Arabic: A Study of Selected Features from Communication Among Egyptian Youth on Facebook "//www.duo.uio.no/bi[...] University of Oslo 2010-11
[18] 학술지 A new writing system? Developing orthographies for writing Arabic dialects in electronic media http://www.tandfonli[...] 2014-07-03
[19] 뉴스 Arabizi sparks concern among educators http://gulfnews.com/[...] GulfNews.com 2013-05-09
[20] 웹사이트 Arabic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3-06-14
[21] 서적 The Question of Romanisation of the Script and The Emergence of Nationalism in the Middle East Mediterranean Language Review 1998
[22] 문서 History of Arabic Writing
[23] 문서 Shrivtiel, p. 1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