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43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35년은 명나라 선덕 10년, 일본 에이쿄 7년, 조선 세종 17년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으로는 스웨덴의 첫 삼부회 소집, 폰차 해전, 아라스 조약 체결 등이 있었다. 주요 인물로는 김시습이 태어났고, 선덕제, 조반나 2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435년
기본 정보
기년법조선 단종 3년
명나라 정통(正統) 10년
일본 에이쿄(永享) 7년
발생
날짜1435년
사건7월 13일: 알브레히트 2세 (신성 로마 황제)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12월 1일: 필리프 3세 (부르고뉴 공작)가 칼레 해전에서 잉글랜드 왕국을 물리쳤다.
탄생
날짜1435년
인물아스카니오 스포르차, 이탈리아의 추기경 (1492년 사망)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 볼로냐의 통치자 (1508년 사망)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이탈리아의 조각가 (1488년 사망)
한명회, 조선의 문신 (1487년 사망)
사망
날짜1435년
인물조선 태종, 조선의 3대 임금 (1367년 출생)
이자크 2세, 에티오피아의 황제
잔 2세, 프랑스의 부르봉 공작 (1381년 출생)
알브레히트 5세 (오스트리아), 독일의 왕 (1397년 출생)
파울루스 벨츠하이머, 독일의 검술가 (1400년 출생)
김점, 조선의 문신
남재, 조선의 무신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1월 11일 - 엥엘브레크트 엥엘브레크트손( Engelbrekt Engelbrektssonsv )의 주도로 스웨덴의 첫 삼부회가 소집되고, 1월 13일 국왕이 없는 상황에서 그가 릭스회비츠만(rikshövitsman, 왕국 군사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1]
  • 1월 13일 -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교황령 ''시쿠트 두둠(Sicut Dudum)''을 반포하여 스페인이 카나리아 제도의 관체(Guanche) 원주민을 노예로 삼는 것을 금지했다.[1]
  • 2월 2일 - 나폴리 왕국르네 앙주( René d'Anjou프랑스어 )에게 넘어갔다.[1]
  • 8월까지 - 몰다비아의 왕위를 놓고 이리야스(Iliaș of Moldavia)와 스테판 2세(Stephen II of Moldavia) 형제가 포드라가 전투(Battle of Podraga)를 벌였으나 결판을 보지 못하고, 폴란드 국왕의 개입으로 공동 통치를 하게 되었다.
  • 8월 5일 - 폰차 해전(Battle of Ponza (1435))에서 밀라노 공국이 알폰소 5세(Alfonso V of Aragon)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포로로 잡았다.[1]
  • 9월 1일 - 지기스문트 케이스투타이티스(Sigismund Kęstutaitis)가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전의 결정적인 전투인 빌코미에르츠 전투(Battle of Wiłkomierz)에서 슈비트리가일라(Švitrigaila) 대공을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 9월 21일 - 샤를 7세(Charles VII of France)와 필리프 3세(Philip III of Burgundy)가 아라스 조약에서 영국-부르고뉴 동맹을 종식시켰다.
  • 10월 14일 - 에리크 포메라니아(Eric of Pomerania)가 스웨덴 국왕으로 복위되었지만, 이듬해 1월 다시 폐위되었다.[1]
  •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가 이탈리아에서 최소 수도회(Order of the Minims)를 설립하였다.[1]
  • 명나라가 고립주의 정책으로 회귀하다.[1]
  • 질 이아느스와 아폰수 곤살브스 발다이아가 아프리카 해안을 탐험하여 현 서사하라에 있는 안그라 두스 루이보스(Angra dos Ruivos)까지 항해하다.[1]
  • 미래의 교황 비오 2세가 될 에네아 피콜로미니(Enea Piccolomini)가 알베르가티 추기경(Cardinal Albergati)에 의해 스코틀랜드북잉글랜드로 비밀 임무를 수행하다.[1]

4. 1. 동아시아


  • 1월 - 아시카가 모리우지가 동북 지방의 여러 다이묘에게 아시카가 미츠사다 토벌을 명령했다.
  • 5월 - 오우치 모리요가 분고국에서 오토모 모리나오를 무찔렀다.
  • 6월 - 오토모 모리나오가 분고국 히메다케에서 오우치 모리요를 무찔렀다. 키쿠치 모리토모가 히고국 수부쇼를 히고국 고우사 3사에 기진했다.
  • 8월 - 오우치 모리요가 오토모 모리나오·소니 요리요리 연합군을 무찔렀다. 오구라궁이 고쥬자쿠 천황과 고산조 천황의 친필 어기(宸筆御記)를 아시카가 요시노리에게 증정하고, 요시노리는 고후카쿠 천황에게 헌상했다.
  • 10월 - 후시미노미야 사다나리 친왕이 고금착문집을 헌상했다.

4. 2. 유럽


  • 1월 11일 - 스웨덴의 첫 삼부회(Riksdag of the Estates)가 반란 지도자 엥겔브레흐트 엥겔브레흐트손(Engelbrekt Engelbrektsson)의 주도로 소집되고, 1월 13일 국왕이 없는 상황에서 그가 릭스회비츠만(rikshövitsman, 왕국 군사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
  • 1월 13일 - 교황 에우제니오 4세(Pope Eugene IV)가 카나리아 제도의 관체(Guanche) 원주민을 스페인이 노예로 삼는 것을 금지하는 교황령(papal bull) ''시쿠트 두둠(Sicut Dudum)''을 반포하였다.
  • 2월 2일 - 나폴리 왕국이 르네 앙주(René of Anjou)에게 넘어갔다.
  • 8월까지 - 몰다비아의 왕위를 놓고 이리야스(Iliaș of Moldavia)와 스테판 2세(Stephen II of Moldavia) 형제가 포드라가 전투(Battle of Podraga)를 벌였으나 결판을 보지 못하고, 폴란드 국왕의 개입으로 공동 통치를 하게 되었다.
  • 8월 5일 - 폰차 해전(Battle of Ponza (1435))에서 밀라노 공국이 알폰소 5세(Alfonso V of Aragon)를 결정적으로 패배시키고 포로로 잡았다.[1]
  • 9월 1일 - 지기스문트 케이스투타이티스(Sigismund Kęstutaitis)가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전의 결정적인 전투인 빌코미에르츠 전투(Battle of Wiłkomierz)에서 슈비트리가일라(Švitrigaila) 대공을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 9월 21일 - 샤를 7세(Charles VII of France)와 필리프 3세(Philip III of Burgundy)가 아라스 조약에서 영국-부르고뉴 동맹을 종식시켰다.
  • 10월 14일 - 에리크 포메라니아(Eric of Pomerania)가 스웨덴 국왕으로 복위되었지만, 이듬해 1월 다시 폐위되었다.
  •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가 이탈리아에서 최소 수도회(Order of the Minims)를 설립하였다.
  • 미래의 교황 비오 2세(Pope Pius II)가 될 에네아 피콜로미니(Enea Piccolomini)가 알베르가티 추기경(Cardinal Albergati)에 의해 스코틀랜드(Kingdom of Scotland)와 북잉글랜드(Northern England)로 비밀 임무를 수행하였다.

5. 탄생

1435년에는 조선의 문신 김시습이 태어났다.

같은 해,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아시카가 마사토모, 오기가야 우에스기 가문 당주 우에스기 아키후사, 간토 간료 우에스기 후사아키, 무장 사카이 사다타카, 수호 다이묘 시바 요시토시, 시바 씨 제9대 당주 시바 요시타케, 다테 씨 제12대 당주 다테 나리무네, 신도가 요시다 카네토모 등이 태어났다.

유럽에서는 아시카가 요시마사, 아마데우스 9세, 잉글랜드 귀족 존 클리포드, 자간 공작 야누시 2세, 프랑스 공주 잔 드 프랑스, 이탈리아 예술가 안드레아 델라 로비아, 프랑스 시인이자 편년사 장 몰리네, 포메라니아 공작 부인 소피아 포메라니아, 제1대 더비 백작 토마스 스탠리[3], 플랑드르 음악 이론가이자 작곡가 요하네스 틴크토리스, 피렌체 조각가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 등이 태어났다. 요시다 카네토모는 신토 사제였다.[2]

5. 1. 동아시아

5. 2. 유럽

6. 사망


  • 1월 31일 - 선덕제, 명나라의 제5대 황제 (1398년 출생)[4]
  • 2월 2일 - 조반나 2세, 앙주-두라초 왕가의 나폴리 여왕 (1373년 출생)
  • 3월 27일 - 스피텍 즈 타르누바 이 야로스와비아(Spytek z Tarnowa i Jarosławia), 폴란드 귀족
  • 6월 12일 - 존 피츠앨런(John FitzAlan), 아룬델 백작 14세, 잉글랜드의 군 지도자 (1408년 출생)
  • 7월 8일 (영흥 7년 6월 13일) - 만제(満済),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진언종 승려 (1365년 출생)
  • 7월 29일 (영흥 7년 7월 4일) - 야마나 시키(山名時熙),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1367년 출생)
  • 9월 9일 - 로버트 할링(Robert Harling) 경, 베드퍼드 공작 휘하의 잉글랜드 기사
  • 9월 12일 - 빌헬름 3세(Wilhelm III), 상바이에른-뮌헨 공작 (1375년 출생)
  • 9월 14일 - 존 오브 랭커스터, 베드퍼드 공, 리치먼드 백작 (1389년 출생)[5]
  • 9월 24일 - 이자보 드 바비에르, 프랑스 왕 샤를 6세의 왕비 (1370년경 출생)
  • 9월 27일 - 사바티(Savvatiy), 러시아 수도원 설립자
  • 10월 9일 - 파벨 브워트코비치(Paweł Włodkowic), 폴란드의 교회법 학자, 크라쿠프 대학교 총장 (1370년경 출생)
  • 10월 12일 - 아그네스 베르나우어(Agnes Bernauer), 바이에른 공 알브레히트 3세의 부인 (1410년경 출생)
  • 10월 13일 - 첼리에의 헤르만 2세(Hermann II of Celje), 크로아티아 반(Ban)
  • 11월 9일 (영흥 7년 10월 19일) - 요시카와 쓰네미(吉川経見),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요시카와 씨 당주 (출생년도 미상)
  • 12월 30일 - 보느 드 베리, 사보이아 백작 아메데오 7세의 왕비, 이후 알마냐크 백작 베르나르 7세의 왕비 (1365년 출생)
  • 카라 유르크 오스만(Kara Yülük Osman), 흰양조의 초대 군주 (출생년도 미상)
  • 레오노르 데 알부르케르케(Leonor de Alburquerque), 아라곤 왕 페르난도 1세의 왕비 (1374년 출생)
  • 날짜 불명 - 아브드 알 카디르 마라기(Abd al-Qadir Maraghi), 음악가이자 예술가

참조

[1] 서적 Key Figures in Medieval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 웹사이트 日本書紀神代抄 -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https://dl.ndl.go.jp[...] 2022-08-01
[3] 서적 Richard III: England's Black Legend https://books.google[...] Country Life Books
[4] 웹사이트 Joan II queen of Naples https://www.britanni[...] 2019-05-10
[5] 서적 Plantagenet Ancestry: A Study In Colonial And Medieval Families, 2nd Edition, 2011 https://books.google[...] Douglas Richard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