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비르 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비르 칸국은 1440년대 킵차크 칸국의 붕괴 이후 튜멘을 중심으로 타이부카가 건국한 국가이다. 칭기즈 칸의 후손인 샤이바니 가문에서 유래한 이바크 칸이 이슬람교를 전파하고 카실리크를 수도로 삼아 모피 거래를 통해 번성했다. 16세기 후반 러시아 차르국과의 충돌로 예르마크의 코사크 군대에 의해 수도가 점령당하고 쿠춤 칸이 패배하면서 1598년 멸망했다. 시비르 칸국은 다양한 시베리아 원주민 부족의 미르자들이 통치했으며, 이슬람교가 국교였으나 샤머니즘도 공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비르 칸국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에 걸쳐 모피 무역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차르국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통해 야사크를 징수하고 원주민을 수탈하며 시베리아를 통치했다.
  • 시비르 칸국 - 아불 하이르 칸 (우즈베크)
    아불 하이르 칸은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15세기 중반 우즈베크족을 통합하고 서시베리아 칸으로 즉위하여 티무르 왕조 내분 개입과 호라즘 공격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칼마크와의 전투 패배 후 우즈베크 울루스가 분열되었고, 그의 손자 무함마드 샤이바니가 샤이바니 왕조를 건설하며 부흥을 이루었다.
  • 시베리아 타타르인 - 알렉산드르 바시로프
    알렉산드르 바시로프는 러시아 배우로, 1955년에 태어나 199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예술 감독으로 활동했으며, 1988년 영화 《이글라》를 시작으로 여러 영화와 TV 시리즈에 출연했다.
  • 러시아의 근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근세사 - 러시아 차르국
    러시아 차르국은 1547년 이반 4세의 즉위로 모스크바 대공국에서 건국되어 동로마 제국의 유산을 계승하고 절대 권력을 지닌 차르가 통치했으며, 류리크 왕조와 로마노프 왕조를 거치며 영토 확장, 서구화 개혁 등의 격변을 겪었다.
시비르 칸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5세기와 16세기 동안의 시비르 칸국의 대략적인 범위
15세기와 16세기 동안의 시비르 칸국의 대략적인 범위
기본 정보
토착 이름Сыбыр Ҡанныҡ, سبر خانلغی (Sıbır qannıq)
공식 명칭시비르 칸국
일반 명칭시비르
위치시비르
존속 기간1468년 – 1598년
이전 국가킵차크 칸국
우즈베크 칸국
이후 국가러시아 차르국
현재 국가러시아
수도침기투라(튜멘)
카실리크(시비르)
공용어시베리아 타타르어
셀쿠프어
한티어
만시어
공용어 (문어)차카타이어
튀르크어
종교수니 이슬람, 샤머니즘
정치 체제칸국
역사
이전 사건아불 하이르 칸이 시비르의 칸이 됨
이전 사건 날짜1428년
시작 사건이바크 칸이 침기투라를 독립 칸국으로 세움
시작 연도1468년
종료 사건러시아 차르국에 정복됨
종료 연도1598년
정치
주요 지도자하지 무함마드(킵차크 칸국)
아불 하이르 칸(우즈베크 칸국)
이바크 칸
쿠춤
주요 지도자 년도1420–1428년
1428–1468년
1468–1495년
1563–1598년
지도자 직함
입법부(정보 없음)

2. 명칭

시비르 칸국의 이름은 칭기즈 칸의 장남 조치의 다섯째 아들인 시반(Shiban|시반mn/Shayban|샤이반mn)의 후손인 샤이바니 가문에서 유래했다. 오늘날 시베리아라는 지역명 역시 시비르 칸국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3. 역사

1549년 출판된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의 지도에 나타난 튜멘


시비르 칸국이 위치했던 지역에는 본래 사모예드족우랄어족 계통의 민족들이 주로 거주했다.[5] 11세기경부터는 킵차크족이 이주해오면서 인구의 튀르키예화가 진행되었다.[5] 13세기에는 몽골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여 킵차크 칸국(금장 칸국)의 영토로 편입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바투 칸을 따라온 타타르족 일부가 정착하기도 했다.[5]

1440년대 킵차크 칸국이 여러 칸국으로 분열되면서, 투라 강 하류 유역의 침기투라(오늘날 튜멘 부근)를 중심으로 케레이트 부족 출신의 타이부가가 독자적인 정권을 세운 것이 시비르 칸국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타이부가 사후에는 그의 아들 호자(Khoja)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토볼 강과 이르티시 강 중류 지역에 대한 타이부가 가문의 지배권은 안정적이지 못했다. 조치의 아들 샤이반의 후손인 셰이바니 가문은 이 지역에 대한 계승권을 주장하며 타이부가 가문과 대립했다. 셰이바니 가문의 이바크 칸(재위 1468년?-1495년)은 타이부가 가문의 마르(Mar)를 살해하고 수도 침기투라를 장악했으며, 타이부가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어 칸의 지위를 공고히 하려 했다. 이바크 칸은 서시베리아 지역에 이슬람교를 전파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1493년경, 마르의 손자 무함마드(Muhammad)가 이르티시 강 동쪽 지역에서 세력을 키워 이바크 칸을 전투에서 살해하고 타이부가 가문의 지배권을 되찾았다. 무함마드는 기존의 수도 침기투라 대신 이르티시 강변에 위치한 카실리크(이스케르 또는 시비르, 오늘날 토볼스크 부근)를 새로운 수도로 삼았다. 시비르 칸국은 오브 강과 이르티시 강 및 그 지류 유역을 통치하며 검은담비를 비롯한 모피 교역을 통해 번성했다.

1552년 러시아 차르국카잔 칸국을 정복하자, 당시 시비르 칸국의 칸이었던 야디가르(Yadigar, 타이부가 가문)는 모스크바와의 우호 관계를 모색했다. 그러나 셰이바니 가문의 이바크 칸의 손자인 쿠춤 칸이 야디가르에게 도전하였다. 1556년부터 1563년까지 이어진 내전 끝에 야디가르가 사망하고 쿠춤 칸이 새로운 칸으로 즉위했다.

3. 1. 멸망

16세기 후반, 동쪽으로 영토 확장을 추진하던 러시아 차르국과 충돌하게 되었다. 당시 칸이었던 쿠춤 칸은 시베리아 타타르족에게 이슬람교를 강요하려 했으며[6], 러시아 상인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무역 거점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러시아 차르국이 코사크 지도자 예르막 티모페예비치를 지원하여 시비르 칸국을 침공하는 계기가 되었다.

1582년, 예르막이 이끄는 코사크 군대는 추바시 곶 전투에서 쿠춤 칸의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이스카르(카슐리크)를 점령했다.

예르막에 의한 이스카르(카슐리크) 함락과 쿠춤의 도주. 쿵구르 연대기의 축소판


쿠춤 칸은 군대를 재정비하여 저항을 계속했다. 1585년 8월 5일 또는 6일, 쿠춤 칸은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코사크 군대를 격파하고 예르막을 전사시키며 일시적으로 시비르에 대한 통치권을 회복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러시아 차르국의 공세는 멈추지 않았고, 이후 14년에 걸쳐 서서히 칸국을 잠식해 들어왔다. 1598년, 쿠춤 칸은 오브 강 유역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최종적으로 패배하여 남쪽의 노가이족의 영토로 도주해야 했고, 이로써 시비르 칸국은 사실상 멸망했다.

쿠춤 칸은 코사크에게 쫓기다가 160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자손들은 이후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고 러시아에 동화되었으며, '시비르스키'(Сибирский|시비르스키ru)라는 성씨를 하사받고 러시아 귀족 계층에 편입되었다.

4. 정치

시베리아 칸국은 다양한 시베리아 원주민 부족 출신의 '''미르자'''(귀족 작위)들이 통치했다. 이 미르자들은 느슨하게 연결된 영지를 조직했으며, 모두 투멘(Chimgi-Tura)과 시비르(Qashliq)의 의 명목상 권위 아래 있었다. 미르자들은 또한 시베리아 칸국의 전사들을 전투로 이끌었고, 투멘과 시비르의 칸에게 명목상 충성을 맹세했다.

5. 문화

이슬람교는 시비르 칸국의 국교였으며, 투멘과 시비르의 통치자인 칸의 종교이기도 했다. 투멘과 시비르에서는 지배 계급에 의해 대 모스크, 궁전, 그리고 요새화된 성벽이 건설되었다.

이슬람교는 칸뿐만 아니라 종종 중앙아시아의 유명한 이슬람 중심지인 부하라와 사마르칸드에서 교육을 받은 미르자들에 의해서도 신봉되었다. 그러나 샤머니즘과 다른 전통적인 신앙은 대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실천되었다. 일부 집단은 샤머니즘의 요소를 통합한 이슬람의 한 형태를 실천했다.[4]

시비르 칸국의 주요 이맘무프티들은 카잔과 사마르칸드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비르 칸국은 기록상 가장 북쪽에 위치한 무슬림 국가였다.

시비르 칸국은 중앙아시아와 카잔 칸국과 광범위한 무역 관계를 맺었다.[3]

6. 역대 칸

시비르 칸국의 지배권은 주로 타이부가 가문과 칭기즈 칸의 후손인 셰이바니 가문 사이에서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7] 각 가문의 주요 칸들은 다음과 같다. 상세한 내용은 각 가문별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타이부가 가문'''[7]


  • 타이부가
  • 호자
  • 마르 (이박에게 살해됨)
  • 오브데르 (이박의 포로로 사망 추정)
  • 마흐메트/마무크 (이박을 살해함)
  • 아발락 (오브데르의 아들)
  • 아귀시
  • 카심 (마흐메트의 아들)
  • 야디가르 (쿠춤에게 살해됨)
  • 베크불라트 (야디가르의 형제, 공동 섭정 가능성)
  • 세이드 아흐마트 (1588년 러시아에 포로로 잡힘)


'''셰이바니 가문'''[7]

  • 이박 칸
  • 무르타자 칸
  • 쿠춤 칸
  • 알리 (쿠춤의 아들)
  • 이심(아심?) (쿠춤의 아들)

6. 1. 타이부기드 가문

시비르 칸국과 튜멘은 13세기에 타이부가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전해진다. 타이부가는 케레이트 출신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7] 일부 학자들은 킵차크 칸국 엘리트층과 연결하기도 한다. 타이부가 가문은 북쪽과 동쪽의 삼림 지대 민족들과, 경쟁 관계였던 셰이바니 가문은 스텝 유목민들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것으로 보인다.

타이부가의 아버지 이름은 '온'(On) 또는 '온솜'(Onsom) 등으로 전해진다. 일부 기록은 온을 셰이반의 5대손인 '베크 온디 오글란'과 동일시하여 셰이바니 가문으로 보기도 한다. 스트로가노프 연대기에 따르면, 온은 '칭기'라는 수장에게 살해당했고, 타이부가는 목숨을 건져 한티인(오스탸크족)과 싸우도록 보내진 후 자신의 영지를 얻었다. 타이부가는 튜멘을 건설하고 은인의 이름을 따 침기투라라고 명명했다고 한다. 다른 자료에서는 온을 노가이인 출신으로 보며, 그의 거점은 이심 강 어귀의 카실-투라였다고 한다. 이는 오늘날 토볼스크에서 동쪽으로 약 약 160.93km 떨어진 곳이다. 또한, 토크타미시가 패배 후 '시비르 땅'으로 도망쳐 온의 보호를 받았으나, 1405년경 에디구에 의해 둘 다 살해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타이부가는 노브고로드인들을 자신의 영토에서 몰아냈다는 기록 외에는 자세한 정보가 부족하다. 1428년 셰이바니 가문의 아불 카이르 칸이 투라 강변(아마도 튜멘)에서 칸으로 선출되면서 타이부가 가문이 잠시 밀려난 것으로 추정된다. 아불 카이르 칸이 남쪽으로 이동한 후, 남은 셰이바니 세력은 이바크 칸을 중심으로 모였다. 1464년에서 1480년 사이 타이부가 가문이 복권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이바크 칸은 타이부가 가문의 마르(Mar)를 죽이고 칸이 되었다. 1493년경, 마르의 손자인 마흐메트(마무크)가 이바크 칸을 살해하고 타이부가 가문의 지배를 회복했다. 마흐메트는 수도를 침기투라에서 이르티시 강변의 카쉴리크(시비르)로 옮겼으며, 잠시 카잔 칸국의 칸(1496년)이 되기도 했다.

1552년 러시아 차르국이반 뇌제카잔을 정복하자, 당시 타이부가 가문의 칸이었던 야디가르(Yediger)와 베크불라트(Bekbulat) 형제는 모스크바와의 우호 관계를 모색하며 제한적인 조공을 바쳤다. 그러나 1563년, 이바크 칸의 손자인 쿠춤이 이들을 몰아내고 칸위를 찬탈했다. 야디가르는 이 과정에서 살해되었다. 쿠춤은 1571년 러시아-크림 전쟁 이후 러시아에 대한 조공을 중단하고 페름 지방을 공격하는 등 저항 노선을 걸었다. 1582년 예르마크의 공격으로 카쉴리크를 빼앗기고 쫓겨났다.

예르마크 사후, 타이부가 가문의 세이드 아흐마트(Seid Akhmat, 베크불라트의 아들로 추정)가 잠시 시비르를 재점령했으나, 1588년 러시아군에게 패배하고 포로로 잡혀 모스크바로 압송되면서 타이부가 가문의 통치는 끝나게 된다.

이름설명비고
타이부가의 아버지케레이트, 셰이바니, 노가이 등 다양한 출신설 존재. 에디구에게 살해됨 (추정).
타이부가시비르 칸국의 시조튜멘(침기투라) 건설.
호자타이부가의 아들
마르호자의 후계자이바크 칸에게 살해됨.
오브데르마르의 아들 (?)이바크 칸의 포로로 사망 추정.
마흐메트/마무크마르의 손자이바크 칸을 살해하고 복권. 수도를 카쉴리크로 이전.
아발락오브데르의 아들
아귀시마흐메트/마무크의 아들 (?)
카심마흐메트/마무크의 아들
야디가르카심의 아들 (?)쿠춤 칸에게 살해됨. 러시아에 조공.
베크불라트야디가르의 형제공동 통치자였을 가능성. 러시아에 조공.
세이드 아흐마트베크불라트의 아들 (?)예르마크 사후 시비르를 잠시 재점령했으나 1588년 러시아에 포로로 잡힘.


6. 2. 샤이바니 가문



샤이바니 가문은 조치의 다섯째 아들 시반(Shiban)의 후예들로, 시비르 칸국의 지배권을 놓고 타이부가 가문과 경쟁했다.[7] 샤이바니 가문은 스텝 지역의 유목민들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는 암시가 있다.[7]

1428년, 17세의 샤이바니 가문 출신 아불 카이르 칸이 투라 강 유역(아마도 침기투라)에서 칸으로 선출되면서 타이부가 가문의 세력이 일시적으로 약화되었음을 시사한다. 아불 카이르 칸이 남쪽으로 이동한 후, 남은 샤이바니 세력은 이박 칸을 중심으로 결집했다. 이박 칸은 샤이바니 가문의 유력한 후계자였다.

이박 칸은 1464년에서 1480년 사이에 타이부가 가문의 마르(Mar)를 살해하고 칸의 자리에 올랐다. 그는 서쪽으로 원정하여 볼가강 유역에서 금장 칸국의 마지막 칸을 살해하기도 했다. 그러나 1495년경, 돌아오는 길에 마르의 손자인 마무크(Mamuk, 또는 마흐메트/마멧)에게 살해당했다. 원본 소스의 다른 부분에 따르면, 이박 칸(재위 1468년-1495년)은 튜멘 칸 가문의 시조인 마흐무다크 칸의 아들이며, 타이부가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고 칸위를 계승했고, 서시베리아에 이슬람교를 전파했다고도 전해진다.

타이부가 가문이 복권된 후, 1563년 이박 칸의 손자인 쿠춤 칸이 다시 타이부가 가문의 야디가르(Yediger)와 베크불라트(Bekbulat)를 몰아내고 칸이 되었다. 쿠춤 칸은 1571년 러시아-크림 전쟁 이후 러시아 차르국에 대한 조공을 중단하고, 1573년에는 우랄 산맥 서쪽의 페름 지방을 공격하는 등 러시아와 적대적인 관계를 형성했다. 이는 결국 1582년 예르막이 이끄는 코사크의 침공을 초래했고, 쿠춤 칸은 수도 카실리크를 빼앗기고 축출되었다. 그는 이후에도 저항을 계속했으나 160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쿠춤 칸 이후에도 그의 아들들이 시비르 칸국의 재건을 시도했다. 아들 알리(Ali)는 예르막이 사망한 후 시비르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또 다른 아들 이심(Ishim, 또는 아심 Asim)은 1620년경 칼미크족과 혼인 관계를 맺고 그들의 영토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름설명재위 기간
이박 칸샤이바니 가문 출신 칸, 타이부가 가문 마르 살해1464/1480년경 ~ 1495년경
무르타자 칸이박 칸의 아들?
쿠춤 칸이박 칸의 손자, 타이부가 가문 축출, 예르막에게 패배1563년 ~ 1598년
알리쿠춤 칸의 아들, 시비르 재점령 시도1598년 ~ 1604년 (명목상)
이심 (아심?)쿠춤 칸의 아들, 칼미크족 영토 정착 (1620년경)?


참조

[1] 서적 История татар Западной Сибири: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ен до начала XX века Татар, кн. изд-во
[2] 웹사이트 СИБИРСКОЕ ХАНСТВО •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электронная версия https://old.bigenc.r[...] 2024-04-09
[3] 백과사전 Сибирское ханство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4]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Siberia: Worlds Apart https://books.google[...] Westview Press
[6] 서적 Islam in Russia: The Four Seas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서적 История Сибири АН ССС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