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니베크 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니베크 칸은 1342년 어머니 타이둘라 카툰의 지원을 받아 형제 티니 베크를 제거하고 골든 호드의 칸이 되었다. 그는 러시아 공국과 리투아니아 문제에 간섭하고, 1356년 타브리즈를 정복하여 몽골 제국의 세 칸국을 통일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자니베크는 카파를 공격했으나 흑사병으로 인해 실패했으며, 1357년 암살당한 후 골든 호드는 혼란기에 접어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7년 사망 - 쩐 명종
쩐 명종은 베트남 쩐 왕조의 제5대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치수와 토목 공사를 시행하고 참파와 라오스 원정을 지휘했으나, 간신을 중용하여 국정을 혼란케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357년 사망 - 아폰수 4세 (포르투갈)
아폰수 4세는 1325년부터 1357년까지 포르투갈과 알가르브의 왕으로 재위하며, 아버지와의 불화, 카스티야 왕국과의 외교 관계, 아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로 특징지어지며, 해군력 강화와 해양 탐사 지원으로 포르투갈 발전에 기여하여 '용감왕'이라고도 불린다. - 킵차크 칸국의 칸 - 토크타미시 칸
토크타미시 칸은 티무르의 지원으로 황금 호르드의 칸이 되어 세력을 확장했으나 티무르와의 갈등으로 몰락, 에디게에 의해 살해당하며 황금 호르드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 킵차크 칸국의 칸 - 우즈베크 칸
우즈베크 칸은 킵차크 칸국의 칸으로서 이슬람교를 국교로 приняття하고 국가 체제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모스크바 공국을 지지하여 루스 제후들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사라이를 정치·경제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 14세기 유럽의 군주 - 마르틴 (아라곤)
마르틴 1세는 1396년부터 1410년까지 아라곤 왕국을 통치하며 왕실 권력 강화, 귀족 갈등 억제, 산적 소탕에 힘썼고 아비뇽 교황을 지지했으며 사르데냐 지배력을 강화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카스페 타협으로 왕위 계승자가 결정되었다. - 14세기 유럽의 군주 - 헨리 4세
헨리 4세는 잉글랜드 왕이자 아일랜드 영주(재위 1399년~1413년)이며 랭커스터 왕가의 시조로, 리처드 2세 폐위 후 즉위하여 반란 진압, 마누엘 2세 환대, 제임스 1세 포획 등 대외 관계를 겪고 병으로 사망했다.
자니베크 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칸 |
왕조 | 보르지긴 가문 |
국가 | 킵차크 칸국 |
칸 재위 기간 (서부, 청색 호르다) | 1342년 – 1357년 |
선임자 | 티니 베그 |
후임자 | 베르디 베그 |
개인 정보 | |
아버지 | 우즈베크 칸 |
어머니 | 타이둘라 카툰 |
배우자 | 정보 없음 |
자녀 | 베르디 베그 외 |
종교 | 이슬람교 |
사망 정보 | |
사망일 | 1357년 |
사망 장소 | 사라이 |
매장 장소 | 정보 없음 |
2. 생애
자니베크 칸은 골든 호드의 칸으로, 우즈베크 칸의 아들이다. 그의 이름 "자니"는 페르시아어로 "영혼"을 뜻하며, 형 티니("육체"를 의미)와 대조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븐 바투타의 여행기에 따르면, 자니베크는 경건한 무슬림으로, 이교도 사원을 파괴하고 모스크와 마드라사를 건설하여 아버지의 이슬람화 정책을 이어갔다.[1]
1334년경 이븐 바투타는 우즈베크 칸의 궁정을 방문하여 자니베크를 만났는데, 그의 여행기에 자니 바크(جان بك Jāni bak)라고 기록되어 있다. 바투타에 따르면, 자니베크의 이슬람 교육은 사이이드 샤리프 이븐 압둘 하미드라는 인물이 담당했으며, 바투타는 궁정에서 무슬림 고관들로부터 자니베크가 인격적으로 더 낫다는 추천을 받아 그의 장막에 머물렀다고 한다.
1355년 초반 왕조 지배 하의 타브리즈를 점령했을 때, 아들 베르디 베크에게 주둔을 명하고 본국으로 귀환했다. 그러나 자니베크가 중병에 걸렸다는 보고를 받자, 베르디 베크는 아미르(귀족) 아히자크[13]에게 타브리즈 통치를 맡기고 본국으로 돌아갔다.
1357년, 자니베크는 조치 울루스의 이슬람화를 추진하는 것에 반대하는 베르디 베크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죽음 이후 골든 호드는 25년 동안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25명의 칸이 서로 계승했다.
자니베크 칸의 통치 시기, 모스크바의 추도프 수도원이 설립되었는데, 전설에 따르면 알렉시 대주교가 자니베크의 어머니 타이둘라 카툰의 병을 기적적으로 치유해준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이 땅을 받았다고 한다.
자니 베그는 여러 아들을 두었으며, 그 중 베르디 베그만이 그 뒤를 이어 통치했지만 형제들을 제거했다. 현대 학자들은 자니 베그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두세 명의 칸이 더 있었으며, 때때로 그렇게 취급하기도 한다.[11]
- 베르디 베그 (재위 1357–1359)
- (자칭?) 쿨파 (재위 1359–1360)
- (자칭?) 나우루즈 베그 (재위 1360)
- (자칭?) 킬디 베그 (재위 1361–1362)
- 딸 샤카르 베그는 호라즘의 수피 왕조의 왕자 악 수피 콩기라트와 결혼했다. 그들의 딸 칸자다 베굼은 나중에 티무르 왕조로 시집갔다.[12]
2. 1. 즉위 과정
자니베크 칸은 1342년 사라이-주크에서 어머니 타이둘라 카툰의 지원을 받아 형이자 경쟁자였던 티니 베크를 제거하고 칸의 자리에 올랐다. 그는 이미 또 다른 형제인 키르 베크를 죽인 상태였다.[1] 맘루크 왕조의 역사가 슈자이의 연대기에 따르면, 히즈라력 742년(1341년 - 1342년)에 우즈베크 칸은 차카타이 울루스에 대군과 함께 티니 베크를 파견했지만, 같은 해 샤왈 달(1342년 3-4월)에 우즈베크가 사라이에서 사망하자, 궁정에 있던 자니 베크는 책략을 꾸며 동생 히드르 베크와 함께 티니 베크를 살해하고 즉위했다고 한다.자니베크는 러시아 공국과 리투아니아 문제에 적극적으로 간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모스크바 대공이었던 시메온과 이반 2세는 자니베크의 지속적인 정치적, 군사적 압박을 받았다.
2. 2. 대외 원정과 흑사병
자니베크 칸은 1343년 크림 반도의 항구 도시 카파를 공격했다. 이 포위는 이탈리아 구원군에 의해 해제되었다. 1345년, 자니베크는 다시 카파를 포위했지만, 흑사병이 발생하여 공격은 실패했다. 자니베크 군대가 감염된 시체를 투석기로 카파에 날려 흑사병을 유럽에 전파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2] 진위는 확실하지 않다. 쥐에 의해 흑사병이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3][4]
1356년, 자니베크는 타브리즈를 정복하고 차가타이 칸국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며 몽골 제국의 세 칸국을 통일하려 했다. 셰이크 우바이스로부터 항복을 받은 후, 몽골 제국의 세 구역이 자신의 통제 하에 있다고 자랑했다. 그러나 타브리즈에서 봉기가 일어나 잘라이르 왕조가 권력을 잡았다.
2. 3. 몽골 제국 재통합 시도와 최후
1342년 사라이-주크에서 형 티니 베크를 제거하고 칸이 된 자니베크는 몽골 제국의 재통합을 시도했다. 그는 러시아 공국과 리투아니아 문제에 적극적으로 간섭하며, 모스크바 대공 시메온과 이반 2세에게 지속적인 압박을 가했다.[1]1343년, 자니베크는 크림 반도의 카파를 공격했으나 이탈리아 구원군에 의해 저지되었다. 1345년 다시 카파를 포위했지만, 흑사병으로 인해 실패했다. 이때 자니베크 군대가 흑사병에 감염된 시체를 투석기로 카파에 던져 방어군을 약화시키려 했다는 기록이 있으나,[2]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가브리엘 데 무시스의 기록에 근거하지만, 쥐를 통해 페스트가 전파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4]
1356년, 자니베크는 타브리즈를 정복하고 차가타이 칸국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며 몽골 제국의 세 칸국을 통합하려 했다. 셰이크 우바이스의 항복을 받은 후, 자니베크는 몽골 제국의 세 '울루스'가 자신의 통제 하에 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타브리즈에서 봉기가 일어나 잘라이르 왕조가 권력을 잡으면서 그의 통치는 막을 내렸다.
자니베크의 통치 시기, 추도프 수도원이 설립되었는데, 알렉시 대주교가 자니베크의 어머니 타이둘라 카툰을 치유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이 땅을 받았다는 전설이 있다.
자니베크의 통치는 골든 호드 쇠퇴의 시작을 알리는 봉건적 갈등을 드러냈다. 1357년 그의 암살 이후, 골든 호드는 25년간의 혼란기에 접어들었다.[13]


3. 킵차크 칸국의 이슬람화
자니 베크는 경건한 무슬림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교도의 사원을 파괴하고 모스크와 마드라사를 건설하여 아버지 우즈베크가 추진했던 킵차크 칸국의 이슬람화에 힘썼다. 이븐 바투타의 여행기에 따르면, 자니 베크의 이슬람 교육은 사이이드 샤리프 이븐 압둘 하미드라는 인물이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13] 바투타는 궁정에서 자니 베크 휘하의 무슬림 고관들로부터 자니 베크가 인격적으로 더 낫다는 추천을 받아 그의 장막에 머물렀다고 한다.
4. 연표
연도 | 사건 |
---|---|
1341년 - 1342년 | 히즈라력 742년, 우즈베크는 차카타이 울루스에 대군과 함께 티니 베크를 파견했지만, 같은 해 샤왈 달(1342년 3-4월)에 우즈베크는 사라이에서 사망.[13] |
1342년 | 궁정에 있던 자니 베크는 책략을 꾸며 동생 히드르 베크와 함께 형 티니 베크를 살해하고 즉위.[13] |
1347년 | 제노바령 크림 반도의 도시 카파를 포위했을 때, 군대 내에 흑사병이 만연하여 철수. 흑사병에 감염된 병사의 시체를 마을 안으로 던졌다는 기록이 있으나, 진위는 불확실.[13] |
1355년 | 초반 왕조 지배 하의 타브리즈를 점령하고 아들 베르디 베크에게 주둔을 명하고 본국으로 귀환.[13] |
1357년 | 자니 베크가 조치 울루스의 이슬람화를 추진하는 것에 반대하는 베르디 베크에게 살해당함.[13] |
5. 가계도
토코칸
* 뭉케테무르
** 토그릴차
*** 우즈베크 칸
'''자니베크'''
** 베르디 베그 (재위 1357–1359)
** (자칭?) 쿨파 (재위 1359–1360)
** (자칭?) 나우루즈 베그 (재위 1360)
** (자칭?) 킬디 베그 (재위 1361–1362)
** 딸 샤카르 베그는 호라즘의 수피 왕조의 왕자 악 수피 콩기라트와 결혼했다. 그들의 딸 칸자다 베굼은 나중에 티무르 왕조로 시집갔다.[12]
6. 대중문화
오르다 황금 왕국의 마법사(2012년, 러시아, 배우: 이노켄티 다카야로프)는 2012년 러시아 영화 오르다에 등장한다. 영화는 자니베크 칸의 통치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알렉시가 타이둘라의 실명을 어떻게 치료했는지에 대한 매우 허구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ongol World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04-06
[2]
웹사이트
How the Plague Spread to Italy
https://www.brown.ed[...]
Brown University
2010-03-12
[3]
서적
The Black Death 1346–1353: The Complete History
Woodbridge
2006
[4]
웹사이트
Catapulted Death: Can a Flying Corpse Distribute the Plague?
https://www.montana.[...]
2022-06-30
[5]
서적
Circa 1492: Art in the Age of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1-01-01
[6]
서적
Circa 1492: Art in the Age of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1-01-01
[7]
웹사이트
The Cresques Project - Panel V
https://www.cresques[...]
[8]
문서
Coinage of Mengu-Timur
[9]
서적
Asiatische Forschungen
https://books.google[...]
O. Harrassowitz
1982
[10]
간행물
The Monetary System of The Golden Horde
http://www.paleog.co[...]
2003
[11]
문서
E.g., Buell 2003: 76; contrast Gaev 2002: 18-19, and Počekaev 2010: 122, 124.
[12]
서적
Intellectual studies on Islam: essays written in honor of Martin B. Dickson
1990
[13]
서적
モンゴル帝国史
197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