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센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센 왕조는 12세기 말 불가리아에서 시작된 왕조로,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3형제가 이 왕조의 기틀을 다졌다. 이들의 민족적 기원은 논쟁의 대상이며, 쿠만인, 불가리아인, 왈라키아인 기원설이 존재한다. 왕조의 이름은 창건자인 이반 아센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그의 별명 '벨군'은 튀르크어에서 유래되었다. 아센 왕조는 불가리아 제2제국을 건설했으며, 비잔틴 제국으로도 분가하여 팔레올로고스 왕조 등 유력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만 왕조 - 시슈만가
시슈만가는 불가리아 중세 시대에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 미하일 시슈만, 비딘 데스포트 시슈만과 벨라우르, 그리고 이반 알렉산더르 차르의 어머니 케라차 페트리차를 배출하여 불가리아 제국의 정치, 사회, 군사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 가문이다. - 쿠만 왕조 - 테르테르가
테르테르가는 쿠만족에서 기원하여 1280년부터 1323년까지 불가리아 제2제국을 통치한 왕조로, 킵차크 칸국의 지배와 내부 권력 다툼 속에서 불가리아 독립을 지키려 노력했으며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쇠퇴하여 쉬쉬만 왕조로 이어진다. - 불가리아의 귀족 가문 - 바텐베르크가
바텐베르크가는 헤센 대공가의 방계 가문으로, 귀천상혼으로 인해 왕위 계승권을 얻지 못한 알렉산더 공의 자녀들에게 주어진 칭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유럽 왕가들과 혼인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넓혔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부가 성을 마운트배튼으로 바꾸기도 했다. - 불가리아의 귀족 가문 - 작센코부르크고타가
작센코부르크고타가는 19세기 초에 설립된 독일의 공국 가문으로, 영국, 벨기에, 포르투갈, 불가리아의 왕가를 배출했으며, 현재는 안드레아스가 가문의 수장이다. - 아센 왕조 - 이반 아센 2세
이반 아센 2세는 1218년부터 1241년까지 불가리아 제2제국을 통치하며 영토 확장, 불가리아 정교회 독립, 그리고 1230년 클로코트니차 전투 승리를 통해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어 발칸 반도에서 불가리아의 지배적인 위치를 확립한 차르이다. - 아센 왕조 - 보릴
보릴은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의 황제로, 칼로얀의 조카로서 황위를 찬탈했다는 의혹 속에 즉위하여 잦은 반란과 외세 침입, 라틴 제국과의 전쟁, 보고밀파 탄압 등 불안정한 통치를 겪다 이반 아센 2세의 귀환으로 폐위되었다.
아센가 | |
---|---|
기본 정보 | |
국가 | 불가리아 제2차 불가리아 제국 |
존속 기간 | 1185년 - 1280년 |
이전 | 비잔티움 제국 |
다음 | 테르테르 왕조 |
수도 | 벨리코 터르노보 |
언어 | 고대 교회 슬라브어 그리스어 |
종교 | 불가리아 정교회 |
통치 가문 | |
창시자 | 아센 1세 |
마지막 통치자 | 미초 아센 |
역사적 시대 | |
시대 | 중세 |
아센과 페터르의 반란 | 1185년 |
이바일로의 반란 | 1280년 |
역대 군주 | |
1185년 ~ 1196년 | 아센 1세 |
1196년 ~ 1197년 | 페터르 4세 |
1197년 ~ 1207년 | 칼로얀 |
1207년 ~ 1218년 | 보릴 |
1218년 ~ 1241년 | 이반 아센 2세 |
1241년 ~ 1246년 | 칼리만 1세 |
1246년 ~ 1256년 | 미하일 아센 1세 |
1256년 | 칼리만 2세 |
1256년 ~ 1257년 | 미초 아센 |
1257년 ~ 1277년 | 콘스탄틴 티흐 |
1277년 ~ 1279년 | 이바일로 |
1279년 ~ 1280년 | 이반 아센 3세 |
1279년 ~ 1280년 | 미초 아센 |
2. 기원
아센 왕가의 기원, 특히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3형제의 민족적 배경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거리다. 그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불가리아인, 왈라키아인, 쿠만인 기원설의 3가지 주요 학설이 존재한다.[23]
왕가의 행정 문서나 편지에서, 3형제는 자신들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 시메온 1세, 페터르 1세, 사무일의 후손이자 계승자로 보았고,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연결되는 국가를 세웠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정권의 정당성을 얻기 위한 주장이었을 수도 있다.
왕가의 이름은 창건자인 이반 아센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튀르크계 쿠만어 "esen"(편안한, 안전한)에서 유래되었다. 그의 별명 벨군은 "현명한"을 뜻하는 튀르크어 "bilgün"에서 유래되었다. 아토스산의 대 라브라 수도원에서 발견된 12세기 후반 문서에는 쿠만족 중 한 명으로 "아센"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고 있어, 쿠만인 기원설을 뒷받침한다.[24]
1199년의 서신에서 교황은 칼로얀의 "로마 출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실제 텍스트가 ''Nos autem audito quod de nobili urbis Romae prosapia progenitores tui originem traxerint'' ("우리는 당신의 조상들이 로마 도시의 고귀한 가문 출신이라는 것을 들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이것은 일반적으로 교황이 칼로얀에게 보내는 숨겨진 칭찬으로 간주된다.
1204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불가리아 왕 칼로얀(Calojoannes)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를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의 왕"(''rex Bulgarorum et Blachorum'')이라고 불렀다. 교황에게 답장에서 요한은 스스로를 ''imperator omnium Bulgarorum et Blachorum'' ("모든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의 황제")라고 불렀지만, 스스로 서명할 때는 ''imperator Bulgariae Calojoannes'' ("불가리아 황제 칼로얀")라고 서명했다. 게다가 벨리코 터르노보의 대주교는 스스로를 ''totius Bulgariae et Blaciae Primas'' ("불가리아와 블라키아 전체의 수석 주교")라고 불렀다.
이반 아센 2세는 스스로를 "불가리아인의 차르이자 군주"[17], 그리고 "불가리아인과 그리스인의 차르"[18]라고 칭했다.
불가리아 역사학은 불가리아인 기원설을, 루마니아 역사학은 반란에서 블라흐인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적 논쟁은 12-13세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19-20세기의 민족주의적 경쟁을 반영한다. 블라흐인과 불가리아 슬라브인은 불가리아에 공동으로 거주했으며, 고통 속에서 양쪽 집단은 지도자의 "인종"에 관계없이 공동의 대의를 위해 연합했다. 아센 형제는 터르노보 주변 산악 지역의 블라흐인과 관련이 있었고, 니케타스 코니아테스는 반란 시위에 블라흐 샤먼을 기록했지만, 그들의 민족성에 관계없이 불가리아인, 블라흐인, 쿠만인의 공동 사업이었다.
2. 1. 불가리아인 기원설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3형제의 민족적 배경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거리다. 불가리아 역사가들은 이들이 불가리아인 기원을 가졌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는 당시 불가리아 제국 내에서 '불가리아'라는 명칭이 지배적으로 사용되었고, 차르 칼로얀이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후예라고 주장한 점이다.[23]3형제는 행정 문서나 편지에서 자신들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 시메온 1세, 페터르 1세, 사무일의 후손이자 계승자로 여겼고,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연결되는 국가를 세웠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는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장이었을 수도 있다.
왕가의 이름은 창건자인 이반 아센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튀르크계 쿠만어 "esen"(편안한, 안전한)에서 유래되었다. 그의 별명 벨군은 "현명한"을 뜻하는 튀르크어 "bilgün"에서 유래되었다. 아토스산의 대 라브라 수도원에서 발견된 12세기 후반 문서에는 쿠만족 중 한 명으로 "아센"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고 있어, 쿠만인 기원설을 뒷받침한다.[24]
2. 2. 왈라키아인 기원설
왕가의 기원, 특히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3형제와 관련된 민족적 배경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었다.[23] 그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세 가지 주요 학설이 존재한다.- '''왈라키아인''' 기원. 몇몇 연대기에서의 언급을 근거로 삼는 역사가들이 주장한다.
- '''불가리아인''' 기원. 불가리아 역사가들의 일반적인 관점이며, 당대 불가리아 제국 내에서의 자료에서는 지배적으로 '불가리아'란 호칭을 사용하는 것과 차르 칼로얀이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후예라고 주장한 것을 근거로 삼는다.
- '''쿠만인''' 기원. 아센이나 벨군(이반 아센 1세의 별명) 등의 왕조 내의 몇몇 이름들은 쿠만족 언어에서 유래되었다.
3형제는 행정 문서나 편지에서 자신들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 시메온 1세, 페터르 1세, 사무일의 후손이자 계승자로 보았고,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연결되는 국가를 세웠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는 정권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 주장한 것일 수도 있다.
왕가의 이름은 창건자인 이반 아센 1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튀르크계 쿠만어의 "편안한, 안전한" 등의 뜻을 지닌 "esen"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그의 별명 벨군은 "현명한"을 일컫는 튀르크어 "bilgün"에서 유래되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는 아토스산의 대 라브라 수도원에서 발견된 12세기 후반의 문서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쿠만족과 관련된 수도원의 문제를 언급하면서 쿠만족 중 한 명으로 "아센"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24]
2. 3. 쿠만인 기원설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3형제를 비롯한 아센 왕조의 기원에 대한 여러 학설 중 쿠만인 기원설은 왕조의 일부 이름이 쿠만어에서 유래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한다.[23]창건자 이반 아센 1세의 이름은 쿠만어 "esen"(편안한, 안전한)에서, 그의 별명 벨군은 "bilgün"(현명한)에서 유래되었다.[24] 12세기 후반 아토스산 대 라브라 수도원 문서에서 쿠만인 "아센"이 언급되어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24]
10~13세기 쿠만인 집단이 발칸 반도에 정착, 현지인과 섞여 테르테리드 왕조, 시슈만 왕조 등 불가리아 왕조를 세웠다는 점도 쿠만인 기원설의 근거이다.[11][12][13][14]
3. 어원
왕가의 기원, 특히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3형제와 관련된 민족적 배경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이 되고 있다. 그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음 3가지 주요 학설이 존재한다.[23]
- '''불가리아인''' 기원: 불가리아 역사가들의 일반적인 관점이며, 당대 불가리아 제국 내에서의 자료에서는 지배적으로 '불가리아'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과 차르 칼로얀이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후예라고 주장한 것을 근거로 삼는다.
- '''왈라키아인''' 기원: 몇몇 연대기에서의 언급을 근거로 삼는 역사가들이 주장한다.
- '''쿠만인''' 기원: 아센이나 벨군(이반 아센 1세의 별명) 등 왕조 내의 몇몇 이름들은 쿠만족 언어에서 유래되었다.
그들의 행정 문서나 편지에서, 3형제는 자신들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차르 시메온 1세, 페터르 1세, 사무일의 후손이자 계승자로 보았고,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연결되는 국가를 세웠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는 정권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 주장한 것일 수도 있다.
왕가의 이름은 창건자인 이반 아센 1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는 튀르크계 쿠만어의 "편안한, 안전한" 등의 뜻을 지닌 "esen"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그의 별명 벨군은 "현명한"을 일컫는 튀르크어 "bilgün"에서 유래되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는 아토스산의 대 라브라 수도원에서 발견된 12세기 후반의 문서인데, 여기서는 쿠만족과 관련된 수도원의 문제를 언급하면서 쿠만족 중 한 명으로 Asen|아센tr이라는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19][24]
다른 연구에 따르면 유일하게 의미가 있는 이름은 "강하"를 의미하는 ''애니시(änish)''이며, 이 단어는 키프차크 튀르크족 언어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발견된다.[20]
4. 아센 왕조의 통치자들
통치자 | 재위 기간 |
---|---|
페터르 4세 (토도르) | 1185년 - 1197년 |
이반 아센 1세 (아센) | 1189년 - 1196년 |
칼로얀 (요안니차) | 1197년 - 1207년 |
보릴 | 1207년 - 1218년 |
이반 아센 2세 | 1218년 - 1241년 |
칼리만 아센 1세 | 1241년 - 1246년 |
미하일 아센 1세 | 1246년 - 1256년 |
칼리만 아센 2세 | 1256년 |
미초 아센 | 1256년 - 1257년 |
콘스탄틴 1세 (콘스탄틴 티흐) | 1257년 - 1277년 |
미하일 아센 2세 | 1277년 - 1279년 |
이반 아센 3세 | 1279년 - 1280년 |
- 중복된 표를 제거하고,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가독성을 높임.
5. 비잔티움 분가
아센 가문은 1280년, 이바일로의 반란이 거세지자 콘스탄티노플로 도망친 불가리아 황제 이반 아센 3세의 후손이 주를 이룬다.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치하에서 ''데스포테스''였던 이반 아센 3세는 이미 비잔틴 황제의 맏딸 이레네 팔레올로기나와 결혼한 상태였다. 이 부부의 5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은 팔레올로고스 왕조와 함께 당시 비잔틴 귀족 가문 중에서도 명망 높은 가문의 시조가 되었다. 비잔틴 아센 가문 중 3명은 ''데스포테스'', 3명은 ''세바스토크라토르'', 2명은 ''판히페르세바스토스'', 1명은 ''메가스 두크스'', 2명은 ''메가스 프리미케리오스'' 작위를 받았다.[21] 그리스어로 남성형 가문 이름은 Ἀσάνης (''Asanis'')로, 여성형은 Ασανίνα (''Asanina'')로 표기한다.
또 다른 작은 분가는 니케아 황제 테오도르 2세 라스카리스의 아내였던 엘레나 아세니나의 후손이다.[22]
비잔틴 아센 가문은 칸타쿠제노스 왕조, 두카스 왕조, 라스카리스 왕조, 토르니키오스 왕조, 라울 및 자카리아 가문을 포함한 다른 유력 귀족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5. 1. 비잔티움 아센 가문의 주요 인물
6. 기타 지역 분가
참조
[1]
서적
History of Bulgaria
ABC-CLIO
2011
[2]
간행물
Humanitas 2008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7-12-03
[4]
서적
Byzantium's Balkan Frontier: A Political Study of the Northern Balkans, 900-1204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
서적
Istoria Basarabiei
Editura Frunza
1990
[6]
서적
Asăneștii. Istoria politico-militara a statului dinastiei Asan (1185–1280)
Cetatea de Scaun
2014
[7]
웹사이트
o-city-of-byzantium-annals-of-niketas-choniates-ttranslated-by-harry-j-magoulias-1984
http://archive.org/d[...]
[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edieval Warfare and Military Technology, Volume 1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9]
서적
of the Byzantine Empire
McFarland
2011
[10]
서적
of the Byzantine Empire
McFarland
2011
[11]
서적
Cumans and Tat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Volume 1
[13]
서적
The Roots of Balkanization: Eastern Europe C.E. 5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0-08-04
[14]
서적
Bulgarian Folk Customs
[15]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Three: Shared Pasts, Disputed Legacies
BRILL
2015
[16]
웹사이트
'"Kalojan, der Griechentöter"'
http://www.promacedo[...]
[17]
문서
Turnovo inscription of Tsar Ivan Asen II in the Holy 40 Martyrs Church in honour of the victory at Klokotnitsa on 9 March 1230
[18]
서적
История на 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VII - XIV век
Verlag Anubis, Sofia
2006
[19]
웹사이트
Пламен Павлов - Бунтари и авантюристи в средновековна България
https://liternet.bg/[...]
[20]
서적
A broken mirror: the Kipçak world in the thirteenth century
Brill
2008
[21]
문서
Božilov
[22]
문서
Božilov
[23]
간행물
Humanitas 2008
[24]
웹사이트
Plamen Pavlov - "Scythian chieftains in the fields of Bulgaria, 11th-12th century
http://liternet.bg/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