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나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나씨는 사가미국 아시나의 땅에서 유래한 성씨로, 미우라 요시아키의 동생 아시나 타메키요가 아시나씨를 칭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호우키 슈고를 역임했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이시다 미츠나리가 아시나씨의 핏줄임을 자칭했을 가능성이 있다. 1189년 오슈 전투의 공으로 사와라 요시츠라가 아이즈를 받아 아이즈 아시나씨가 시작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아시나 모리우지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이후 가신 통제 실패, 후계자 문제 등으로 쇠퇴, 1589년 스리아게하라 전투에서 다테 마사무네에게 패배하여 몰락했다. 아시나씨는 멸망 이후 사타케씨의 가신으로 편입되거나, 다테씨를 섬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나씨 - 와카마쓰성
    와카마쓰성은 1384년 축성되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아이즈 지방을 대표하는 성곽으로, 가모 우지사토에 의해 근세 성곽으로 개축되어 쓰루가성으로 개명되었고, 보신 전쟁 후 복원되어 현재는 박물관으로 활용되며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으나, 역사 왜곡 시도와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아시나씨 - 스리아게하라 전투
    1589년 다테 마사무네가 아시나 가문을 격파한 스리아게하라 전투는 다테 마사무네의 영토 확장과 아시나 가문 내부 분열을 배경으로, 다테 마사무네가 남 오슈의 패자가 되었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시오키로 영지를 몰수당했으며, 문화적 영향도 남겼다.
  • 도호쿠 지방의 씨족 - 소마씨
    소마씨는 간무 천황의 후손인 간무 헤이시에서 갈라져 나온 씨족으로, 소마 모로츠네를 시조로 하여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소마 나카무라 번을 다스린 도자마 다이묘 가문이며 메이지 유신 이후 자작의 작위를 받았다.
  • 도호쿠 지방의 씨족 - 기쿠치씨
    기쿠치 씨는 삼국지 위지 왜인전에 등장하는 구노국의 관직 구고지비구를 기원으로 하며, 겐페이 전쟁,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를 거치며 규슈 지역에서 세력을 떨쳤으나 센고쿠 시대에 멸망한 일본의 무가 씨족이다.
아시나씨
기본 정보
아시나 씨 문장
씨족 이름아시나 씨
씨족 이름 (일본어)蘆名氏 (아시나 시)
가문마루니미츠히키료
본성반도 헤이시다이라노 요시후미류 미우라 씨류 (사와라 씨류)
종별무가
출신지사가미국미우라군 아시나
근거지사가미국 미우라군 아시나,
무쓰국아이즈군 아이즈
본거지사가미국 미우라군 아시나
무쓰국 아이즈군 아이즈
가조미우라 요시아키
조상미우라 요시아키
주요 인물아시나 모리우지
가계사가미-아시나
아이즈-아시나
분가사가미 아시나
아이즈 아시나
지류사가미 이시다 씨 (무가)
이나와시로 씨 (무가)
가나가미 씨 (무가)
구리무라 씨 (무가)
신구 씨 (무가)
하류 씨 (무가)
이와시로 기소 씨 (무가)
모가미우라 씨
근거 지역사가미 국
본거 지역무쓰 국
역사
창시자미우라 요시아키

2. 사가미 아시나씨

미우라 요시아키의 동생 타메키요가 소유하고 있던 아시나의 땅에서 따서 아시나 성씨를 칭한 것에서 시작되었다.[1] 그의 아들 타메카게의 아들 타메히사는 사가미국 오오스미군 이시다향 (현 가나가와현 이세하라시 이시다)을 영지로 다스리고 있었지만, 키소 요시나카를 토벌하고, 포상으로 오우미국 이시다무라까지 받게 되자, 일족은 다 함께 이주했다.[1] 그 후, 시모게노류 이시다씨와 혼인을 거듭해, 쿄고쿠씨의 피관이 되었고, 센고쿠 시대에는 이시다 미츠나리가 나왔다 (이시다 미쓰나리가 명문 아시나씨의 핏줄임을 자칭했을 가능성도 있다).[1] 또한 가마쿠라 시대 중기에는 아시나 츠네미츠가 호우키 슈고가 되었다.[1]

3. 아이즈 아시나씨

1189년 오슈 전투의 공으로 미우라 요시아키의 7남 사와라 요시츠라가 아이즈를 받았다. 요시츠라의 아들 모리츠라의 4남 미츠모리 대에 이르러 아시나 성씨를 칭했다. 무로마치 시대에는 교토부지중으로서 스스로를 "아이즈 슈고"로 칭했다.

센고쿠 시대 아시나 모리우지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아시나씨는 일족 이나와시로씨를 비롯한 가신들의 통제에 고생을 했고, 더욱이 모리우지 말년에는 후계자 문제도 발생했다. 1580년 모리우지의 죽음과 함께 아시나씨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모리우지 사후, 니카이도씨에서 온 인질 니카이도 모리요시의 아들이 데릴사위이자 양자로 모리우지의 뒤를 이었는데, 그 사람이 아시나 모리타카이다. 주변 여러 씨족들과 우호를 유지하며 다테씨에 대항하거나, 오다 노부나가에게 사자를 보내는 등, 적극적인 정책을 펴지만, 집안 통제에는 고심이 심했다. 1584년에 측근시종인 오오바 산자에몬에게 암살당했다. 그의 뒤를 이은 모리타카의 남겨진 아들 카메와카마루 (카메오마루)도 1586년에 3살의 나이로 요절했다. 그리고 가신단이 옥신각신한 끝에야 사타케 요시시게의 아들 아시나 요시히로를 아시나가 당주로 맞이했다.

1589년, 오슈 통일을 목표로 하는 다테 마사무네에게 스리아게하라 전투에서 대패한 아시나 요시히로는 히타치로 도주했고, 아시나씨는 몰락했다. 자신의 본가인 사타케씨로 돌아온 요시히로는 이름을 "아시나 모리시게"로 고쳐, 히타치 에도자키성 성주 (에도자키번)가 되지만, 세키가하라 전투 때에는 편을 어디로 할지 선명하게 하지 않았던 친형 사타케 요시노부와 행동을 같이 했기 때문에 개역되었다. 뒤이어, 사타케 가신으로 데와국 카쿠노다테성에 1만 6천석을 수여받았으나, 모리시게 사후, 아들이 잇다라 병사했고, 마지막 당주인 아시나 센츠루마루도 3살에 사고로 사망하는 바람에, 가계는 단절되고 아시나씨는 멸망했다.

3. 1. 아시나씨 멸망 이후

분지 5년 (1189년) 오슈 전투 이후 미우라 요시아키의 7남 사와라 요시츠라에게 아이즈가 주어졌고, 그의 아들 대에 이르러 아시나 성씨를 칭하게 되었다. 센고쿠 시대 아시나 모리우지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했으나, 이후 후계 문제와 가신 통제의 어려움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아시나 모리우지 사후, 니카이도씨에서 온 양자 아시나 모리타카가 당주가 되었으나 암살당하고, 그의 아들 카메와카마루도 요절하였다. 사타케 요시시게의 아들 아시나 요시히로가 당주가 되었으나, 1589년 스리아게하라 전투에서 다테 마사무네에게 대패하여 히타치로 도주하면서 아시나씨는 몰락했다.

요시히로는 사타케씨로 돌아가 이름을 "아시나 모리시게"로 고치고 에도자키성 성주가 되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불분명한 태도로 인해 개역되었다. 이후 사타케 가신으로 데와국 카쿠노다테성에 봉해졌으나, 모리시게 사후 아들이 잇따라 병사하고, 아시나 센츠루마루도 사고로 사망하여 가계가 단절되어 멸망했다.

아시나 가문의 일문이었던 하류씨는 아시나 가문 멸망 후 다테씨를 섬겼다. 하류씨는 1676년 센다이번 번주 다테 츠나무라의 명에 의해 아시나로 개성했다.

4. 계보

아시나 타메키요[아이즈 아시나씨
사와라 요시쓰라1, 아시나 타메카게, 엔카이사와라 모리쓰라2, 아시나 키요타카, 이시다 타메히사, 이시다 타메시게사와라 미쓰모리3, 요코스카 도키쓰라아시나 야스모리4아시나 모리무네5아시나 모리카즈6, 아시나 나오모리7아시나 아키모리8아시나 모리마사9, 아시나 미쓰모리아시나 모리히사10, 토미타 우지스케, 아시나 모리노부11, 카나가미 모리오키아시나 모리아키12아시나 모리타카13, 이나와시로 모리키요, 토미다 아키미, 아라이 모리노부아시나 모리시게14, 아시나 모리슌15하리우 모리유키1, 아시나 우지카타, 아시나 모리우지16하리우 모리아키2, 아시나 모리오키17, 아시나 모리타카18[센다이번 아시나씨]
하리우 모리노부3, 오오츠키 노부사다, 아시나 키오마루19하리우 모리나오4, [쿠보타번 아시나씨]
아시나 요시히로20하리우 시게노부5, 아시나 모리토시21아시나 모리사다6, 시모코리야마 시게토키, 이이노 모리유키, 아시나 치즈루마루22아시나 모리노부 (하리우씨)7, 코세키 쓰네아키, 아시나 모리쓰라아시나 모리쓰라8아시나 모리히사 (9대)9아시나 모리토모10, 카나가미 모리히로카나가미 모리야스, 아시나 모리히사 (11대)11아시나 모리나가12아시나 모리카게13아시나 모리토쿠14아시나 모리타쓰15아시나 모리치카16


4. 1. 당주 목록 (영어 위키백과 참고)

(창업주) 미우라 요시아키(1092–1180)

# 사와라 요시츠라, 요시아키의 아들

# 사와라 모리츠라, 요시츠라의 아들

# 아시나 미츠모리, 요시츠라의 아들

# 아시나 야스모리, 미츠모리의 조카

# 아시나 모리무네, 야스모리의 아들

# 아시나 모리카즈 (1285–1335), 모리무네의 아들

# 아시나 나오모리 (1323–1391), 모리카즈의 형제

# 아시나 노리모리 (1346–1407), 나오모리의 아들

# 아시나 모리무네 (1386–1434), 노리모리의 아들

# 아시나 모리히사 (1416–1444), 모리무네의 아들

# 아시나 모리노부 (1408–1451), 모리히사의 형제

# 아시나 모리아키라 (1431–1466), 모리노부의 아들

# 아시나 모리타카 (1448–1558), 모리아키라의 아들

# 아시나 모리시게 (1482–1521), 모리타카의 아들

# 아시나 모리키요 (1490–1553), 모리시게의 형제

# 아시나 모리우지 (1521–1561), 모리키요의 아들

# 아시나 모리오키 (1547–1574), 모리우지의 아들

# 아시나 모리타카 (1561–1584), 모리오키의 양자

# 아시나 카메오마루 (1584–1586), 모리타카의 아들

# 아시나 요시히로 (1575–1631), 사와라 요시츠라의 형제의 후손

# 아시나 모리토시 (1631–1651), 요시히로의 아들

# 아시나 센츠루마루 (1650–1653), 모리토시의 아들

4. 2. 상세 가계도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아시나 타메키요[아이즈 아시나씨
사와라 요시쓰라1, 아시나 타메카게, 엔카이사와라 모리쓰라2, 아시나 키요타카, 이시다 타메히사, 이시다 타메시게사와라 미쓰모리3, 요코스카 도키쓰라아시나 야스모리4아시나 모리무네5아시나 모리카즈6, 아시나 나오모리7아시나 아키모리8아시나 모리마사9, 아시나 미쓰모리아시나 모리히사10, 토미타 우지스케, 아시나 모리노부11, 카나가미 모리오키아시나 모리아키12아시나 모리타카13, 이나와시로 모리키요, 토미다 아키미, 아라이 모리노부아시나 모리시게14, 아시나 모리슌15하리우 모리유키1, 아시나 우지카타, 아시나 모리우지16하리우 모리아키2, 아시나 모리오키17, 아시나 모리타카18[센다이번 아시나씨]
하리우 모리노부3, 오오츠키 노부사다, 아시나 키오마루19하리우 모리나오4, [쿠보타번 아시나씨]
아시나 요시히로20하리우 시게노부5, 아시나 모리토시21아시나 모리사다6, 시모코리야마 시게토키, 이이노 모리유키, 아시나 치즈루마루22아시나 모리노부 (하리우씨)7, 코세키 쓰네아키, 아시나 모리쓰라아시나 모리쓰라8아시나 모리히사 (9대)9아시나 모리토모10, 카나가미 모리히로카나가미 모리야스, 아시나 모리히사 (11대)11아시나 모리나가12아시나 모리카게13아시나 모리토쿠14아시나 모리타쓰15아시나 모리치카16


5. 일문・주요 가신단

; 사와라 일족

사와라 일족으로는 이나와시로씨(猪苗代氏), 가나가미씨(金上氏), 쿠리무라씨(栗村氏), 신궁씨(新宮氏)가 있다. 이나와시로씨에는 이나와시로 모리키요(猪苗代盛清), 이나와시로 모리쿠니(猪苗代盛国), 이나와시로 모리타네(猪苗代盛胤)가, 가나가미씨에는 가나가미 모리토모(金上盛備), 가나가미 모리자네(金上盛実)가, 쿠리무라씨에는 쿠리무라 모리타네(栗村盛種)가, 신궁씨에는 신궁 모리토시(新宮盛俊)가 있었다.

; 아시나 사천 (蘆名四天)

아시나 사천(蘆名四天)은 히라타씨(平田氏), 사세씨(佐瀬氏), 마쓰모토씨(松本氏), 토미다씨(富田氏)를 말한다.



; 가신단(家臣団)

아시나씨의 가신단으로는 야마우치씨(山内氏), 나가누마씨(長沼氏), 카와하라다씨(河原田氏), 아나자와씨(穴沢氏)가 있었다.

야마우치씨(山内氏)에서는 야마우치 준쓰(山内舜通), 야마우치 우지카쓰(山内氏勝)가 있었다.

나가누마씨(長沼氏)에서는 나가누마 미네쿠니(長沼実国), 나가누마 모리히데(長沼盛秀)가 있었다.

카와하라다씨(河原田氏)에서는 카와하라다 모리쓰구(河原田盛次)가 있었다.

아나자와씨(穴沢氏)에서는 아나자와 토시이에(穴沢俊家), 아나자와 토시쓰네(穴沢俊恒), 아나자와 토시미쓰(穴沢俊光)가 있었다.

5. 1. 사와라 일족

사와라 일족으로는 이나와시로씨(猪苗代氏), 가나가미씨(金上氏), 쿠리무라씨(栗村氏), 신궁씨(新宮氏)가 있다. 이나와시로씨에는 이나와시로 모리키요(猪苗代盛清), 이나와시로 모리쿠니(猪苗代盛国), 이나와시로 모리타네(猪苗代盛胤)가, 가나가미씨에는 가나가미 모리토모(金上盛備), 가나가미 모리자네(金上盛実)가, 쿠리무라씨에는 쿠리무라 모리타네(栗村盛種)가, 신궁씨에는 신궁 모리토시(新宮盛俊)가 있었다.

5. 2. 아시나 사천 (蘆名四天)

아시나 사천(蘆名四天)은 히라타씨(平田氏), 사세씨(佐瀬氏), 마쓰모토씨(松本氏), 토미다씨(富田氏)를 말한다.

5. 3. 가신단

아시나씨의 가신단으로는 야마우치씨(山内氏), 나가누마씨(長沼氏), 카와하라다씨(河原田氏), 아나자와씨(穴沢氏)가 있었다.

야마우치씨(山内氏)에서는 야마우치 준쓰(山内舜通), 야마우치 우지카쓰(山内氏勝)가 있었다.

나가누마씨(長沼氏)에서는 나가누마 미네쿠니(長沼実国), 나가누마 모리히데(長沼盛秀)가 있었다.

카와하라다씨(河原田氏)에서는 카와하라다 모리쓰구(河原田盛次)가 있었다.

아나자와씨(穴沢氏)에서는 아나자와 토시이에(穴沢俊家), 아나자와 토시쓰네(穴沢俊恒), 아나자와 토시미쓰(穴沢俊光)가 있었다.

6. 대중 문화

야마다 후타로의 소설 《야규 인법첩》에서 아시나씨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사무네에게 패배한 후 숨어 지내다가 수년 후 아이즈 번의 닌자로서 다시 나타난다. 2019년 비디오 게임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에도 등장하는데, 이 게임은 전국 시대를 판타지로 재구성한 버전이다. 아시나씨가 등장하는 또 다른 작품으로는 《토탈 워: 쇼군 2》가 있다. 플레이어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비플레이어블(non playable) 세력이다.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1906
[2] 웹사이트 蘆名氏(読み)あしなうじ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蘆名氏」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