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구스트 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뵈크는 독일의 고전 문헌학자이자 고고학자로, 1785년 카를스루에에서 태어나 1867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의 영향을 받아 고전어학으로 전향했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뵈크는 고전 문헌학을 고대 세계 전체에 대한 지식으로 정의하고, 그리스 경제사, 도량형, 비문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아테네인의 재정』, 『핀다로스』, 『고대의 도량형 계산에 관하여』 등이 있으며, 『그리스 비문 전집』 편찬 사업의 수석 편집자로 활동했다. 뵈크는 고전 문헌학을 역사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올렸으나, 비문 해석에 대한 비판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사학자 - 조지 그로트
    조지 그로트는 영국의 은행가이자 정치인이자 역사가로서, 은행 업무와 정치 활동을 하면서 공리주의 철학에 기반하여 사회 개혁을 주장했고, 《그리스사》를 통해 고대 그리스 역사를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역사학에 기여했으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연구에도 몰두했다.
  • 고대사학자 - 가에타노 데 산크티스
    가에타노 데 산크티스는 20세기 초 이탈리아의 역사학자로, 로마의 기원부터 제정 시대까지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룬 7권의 대표작 《로마인의 역사》를 통해 로마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급 적수리 훈장 수훈자 - 아르투어 치머만
    아르투어 치머만은 독일 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 외무대신으로서 제1차 세계 대전 중 여러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치머만 전보 사건으로 미국의 참전을 초래하고 해임되었다.
  • 1급 적수리 훈장 수훈자 - 예브게니 알렉세예프 (군인)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알렉세예프는 러시아 제국의 해군 제독이자 정치가로서, 해군 사관학교 졸업 후 해군 복무, 프랑스 주재 해군 무관, 태평양 함대 사령관, 관동주 주둔 군사령관, 극동 총독 등을 역임하며 극동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러일 전쟁 패전의 책임을 지고 해임되었다.
  • 독일의 언어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독일의 언어학자 - 헤르만 파울
    헤르만 파울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활동한 독일의 언어학자로, 청년 문법 학파와 교류하며 독일어 연구에 기여했고, 《언어사 원리》 등의 저서를 통해 비교언어학과 독일어 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지만 유럽 중심적 관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아우구스트 뵈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필리프 아우구스트 뵈크 - Imagines philologorum.jpg
뵈크
본명아우구스트 뵈크
다른 이름아우구스트 보에크
출생일1785년 11월 24일
출생지카를스루에, 바덴 변경백국
사망일1867년 8월 3일
사망지베를린, 독일 연방
국적독일
학문
모교할레 대학교
학파해석학
방법론적 해석학
주요 관심사문헌학
영향을 준 인물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
영향을 받은 인물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바커나겔
지도교수요한 아우구스트 에르네스티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주요 제자빌헬름 딜타이
F. A. 트렌델렌부르크
경력
직장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주요 저서
주요 저서Gesammelte kleine Schriften (수집된 작은 글들)
수상
수상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원

2. 생애

카를스루에에서 태어난 뵈크는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의 영향으로 고전어학으로 전향했다.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를 거쳐 베를린 대학교에서 수사학 및 고전 문학 교수로 평생을 재직했다. 1814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어 오랫동안 서기를 역임했고, 185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이 되었다.[7] 1867년 베를린에서 사망했다.

2. 1. 교육 및 초기 경력

뵈크는 1785년 카를스루에에서 태어나 지역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다. 1803년 할레 대학교로 진학하여 신학을 공부했으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의 영향으로 고전어학으로 전향하여 그의 가장 뛰어난 제자가 되었다.[6]

1806년 고대 그리스 음악에 대한 논문 ''Commentatio in Platonis qui vulgo fertur Minoem''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세미나에도 참석했다. 1807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사강사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곧 특별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2년 후 정교수가 되었다.[6] 이 시기 뵈크의 친구로는 독일 민요를 발견한 클레멘스 브렌타노, 루트비히 요아힘 폰 아르님, 저널리스트 요제프 폰 괴레스 등이 있다.

뵈크의 이름이 필리프 아우구스트(Philipp August)라는 흔한 오해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직원들이 'Dr phil'(철학 박사)의 약자를 'Dr Philipp August Böckh'로 잘못 읽었기 때문이다.[6]

2. 2. 베를린 대학교 교수 재직

1811년 그는 새로운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수사학 및 고전 문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814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오랫동안 그곳의 서기를 역임했다. 그의 ''Gesammelte kleine Schriften''에 포함된 많은 연설들은 이 서기 자격으로 행해졌다.[7] 1853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 그는 베를린 대학교에서 1814년에 고전 문헌학 세미나를 설립하고, 프로이센 왕립 과학 아카데미 설립에 참여했다.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뵈크는 문헌학 연구를 언어 연구에만 국한하지 않고, 고대 그리스의 역사, 사회,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1806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핀다로스의 판본을 출간했는데, 이 판본은 오랫동안 핀다로스 연구의 가장 완전한 판본으로 알려졌다. 뵈크는 그리스 음보를 다루는 논문을 통해 학자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그는 그리스 음보를 주관적인 기준으로 결정하려는 시도를 버리고, 그리스 음악과 시의 밀접한 관련성을 지적하며, 그리스 음악의 본질과 악기, 리듬에 대한 고대 그리스 작가들의 진술을 면밀히 조사하여 그리스 음보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의 저서 ''Die Staatshaushaltung der Athener''(1817)는 ''아테네의 공공 경제''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에서 뵈크는 그리스 문학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주어진 정보의 가치를 주의 깊게 평가하여 아테네의 재정을 심층적으로 연구했다. 이와 유사한 종류의 작품으로, ''Metrologische Untersuchungen über Gewichte, Münzfüsse, und Masse des Alterthums''(1838)가 있다.

아테네 국가의 세금과 수입에 관해서는 비문에서 많은 정보를 얻었으며,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편찬에 뵈크가 수석 편집자로 선정되었다. 이 작품(1828–1877)은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번째와 네 번째 권은 J. Franz, E. Curtius, A. Kirchhoff 및 H. Röhl에 의해 편집되었다.

뵈크는 고대 연대기 연구에서 이델러, 몸젠과 함께 선두 주자로 꼽힌다. 이 주제에 대한 주요 작품으로는 ''Zur Geschichte der Mondcyclen der Hellenen''(1855), ''Epigraphisch-chronologische Studien''(1856), ''Über die vierjährigen Sonnenkreise der Alten''(1863) 등이 있다. 그는 플라톤의 세계론을 다룬 ''De Platonica corporis mundani fabrica et de vera Indole, Astronomiae Philolaice''(1810)와 ''Manetho und die Hundsternperiode''(1845) 등의 저술을 통해 철학 연구에도 몰두했다.

그는 오토 그루페에 반대하여 플라톤이 지구의 일주 운동을 긍정했다고 주장했고(''Untersuchungen über das kosmische System des Platon'', 1852), 그로트가 이 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발표했을 때 즉시 답변을 내놓았다. 그의 초기 논문 중에는 ''Commentatio Academica de simultate quae Platoni cum Xenophonte intercessisse fertur''(1811)와 ''Commentatio in Platonis qui vulgo fertur Minoem''(1806)이 있으며, ''Philolaos des Pythagoreers Lehren nebst den Bruchstücken''(1819)에서는 단편의 진실성을 증명하려고 노력했다.

핀다로스 판본 외에도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1843) 판본을 시적 번역과 에세이와 함께 출판했다. 그리스 비극 작가에 대한 초기이자 중요한 작품은 ''Graecae Tragoediae Principum ... num ea quae supersunt et genuine omnia sint et forma primitive servata''(1808)이다.

뵈크의 소규모 저술은 그가 생전에 수집되기 시작했다. 세 권은 그가 사망하기 전에 출판되었고, 네 권은 사후에 출판되었다(''Gesammelte kleine Schriften'', 1858–1874). 1809-1865년 동안 뵈크의 강의는 브라투셰크에 의해 ''Encyklopädie und Methodologie der philologischen Wissenschaften''[8](1877)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3. 1. 고전 문헌학 방법론 정립

뵈크는 볼프의 철학을 계승하여 고전 문헌학을 단순한 언어 연구가 아닌, 고대 세계 전체에 대한 지식(''totius antiquitatis cognitio'')으로 정의했다. 그는 문헌학을 다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1. 시대와 장소에 대한 지식, 시민 제도와 법을 포함하는 공공 행위에 대한 연구

2. 사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

3. 고대 민족의 종교와 예술

4. 모든 도덕적, 물리적 추론과 믿음, 그리고 그들의 문학에 대한 역사

5. 언어에 대한 완전한 설명

뵈크는 1822년 라틴어 연설(''Gesammelte kleine Schriften'', i.)에서 이러한 자신의 문헌학 방법론을 제시했다.[8] 1850년 독일 철학자 회의 개회 연설에서 그는 문헌학을 전체 삶, 즉 모든 형태의 문화와 한 민족의 실용적, 정신적 경향의 모든 산물에 대한 역사적 구성으로 정의했다.[8] 그는 이러한 작업이 한 사람에게는 매우 벅차지만, 주제의 무한함 자체가 진리를 추구하는 자극제가 되며, 학자들은 아직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계속 노력한다고 말했다.[8]

뵈크의 문헌학 방법론은 존 액턴, 요한 구스타프 드로이젠, 조지 뱅크로프트, 카를 리하르트 렙시우스, 하가 야이치 등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8] 그러나 고트프리트 헤르만과 같은 학자들은 뵈크의 비문 해석이 지나치게 직관적이며 오류가 많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언어를 중시하고 정치학, 예술, 종교 및 철학과 연관시키는 것에 반대했다.

3. 2. 아테네 재정 및 경제사 연구

뵈크는 1817년에 『아테네인의 재정』(''Die Staatshaushaltung der Athener'')을 출간하여 아테네의 공공 경제를 심층적으로 연구했다.[8] 그는 그리스 문학, 비문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아테네의 세금, 수입, 지출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8] 뵈크는 라우레이온 은광을 연구 주제로 삼았고, 그리스의 인구 계산을 수행하는 등 경제사 연구에도 기여했다.[8] 그의 연구는 고대 그리스 경제사에 대한 이해를 획기적으로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비슷한 종류의 작품으로 ''Metrologische Untersuchungen über Gewichte, Münzfüsse, und Masse des Alterthums''(1838)가 있다.[8]

3. 3. 도량형 및 비문 연구

뵈크는 고대 그리스의 도량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Metrologische Untersuchungen über Gewichte, Münzfüsse, und Masse des Alterthumsde|고대의 도량형 계산에 관하여}}''(1838)를 저술했다. 이 책에서 뵈크는 그리스 문학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여 비판적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뵈크는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la|그리스 비문 전집}}'' 편찬 사업에서 수석 편집자를 맡았다. 1828년부터 1877년까지 총 4권으로 구성된 이 전집의 3권과 4권은 J. Franz, E. Curtius, A. Kirchhoff 및 H. Röhl이 편집했다.

하지만 뵈크의 비문 해석은 고트프리트 헤르만과 같은 학자들로부터 지나치게 직관적이며 오류가 많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8]

3. 4. 핀다로스 연구

뵈크는 핀다로스의 시를 집대성한 『핀다로스』(Pindari opera quae supersunt, 1811-1821)를 출판했다.[8] 이 책의 첫 번째 권(1811)에는 핀다로스의 송가(Epinician odes) 텍스트, ''De Metris Pindari''라는 세 권으로 된 논문, ''Notae Criticae''가 포함되어 있다.[8] 두 번째 권(1819)에는 ''Scholia''(주석)가, 두 번째 권의 2부(1821)에는 라틴어 번역, 주석, 단편 및 색인이 포함되어 있어 오랫동안 핀다로스 연구의 가장 완전한 판본으로 여겨졌다.[8]

특히, 뵈크는 그리스 음악과 시의 밀접한 관련성을 밝히고, 음보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시도했다.[8] 그는 그리스 음보를 주관적인 기준으로 결정하려는 기존의 모든 시도를 버리고, 그리스 음악의 본질과 악기에 대한 세밀한 조사, 그리고 리듬에 대한 고대 그리스 작가들의 진술을 통해 그리스 음보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8]

3. 5. 기타 연구

뵈크는 고대 연대기, 철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그는 고대 연대기 연구에서 이델러, 몸젠과 함께 선두 주자로 꼽힌다. 주요 저서로는 ''Zur Geschichte der Mondcyclen der Hellenen''(1855), ''Epigraphisch-chronologische Studien''(1856), ''Über die vierjährigen Sonnenkreise der Alten''(1863) 등이 있다.[8]

뵈크는 철학 연구에도 힘썼다. 초기 논문에서는 플라톤의 세계론을 다룬 ''De Platonica corporis mundani fabrica et de vera Indole, Astronomiae Philolaice''(1810)를 발표했고, 이후 ''Manetho und die Hundsternperiode''(1845)를 통해 연구를 이어갔다.[8] 그는 오토 그루페와 그로트의 주장에 반박하며 플라톤이 지구의 일주 운동을 긍정했다고 주장했다.(''Untersuchungen über das kosmische System des Platon'', 1852)[8] 또한, ''Commentatio Academica de simultate quae Platoni cum Xenophonte intercessisse fertur''(1811), ''Commentatio in Platonis qui vulgo fertur Minoem''(1806) 등의 저술을 남겼다.[8] 필롤라오스의 철학을 다룬 ''Philolaos des Pythagoreers Lehren nebst den Bruchstücken''(1819)에서는 필롤라오스 단편들의 진실성을 증명하고자 했다.[8]

뵈크는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를 번역하고 주석을 달아 출판했다.(1843)[8] 그리스 비극에 대한 초기 주요 저작으로 ''Graecae Tragoediae Principum ... num ea quae supersunt et genuine omnia sint et forma primitive servata''(1808)가 있다.[8]

4. 주요 저서

제목출판 연도비고
Pindari opera quae supersuntde1811-1821핀다로스의 가장 완전한 판본으로 오랫동안 여겨짐.[8]
Die Staatshaushaltung der Athenerde1817영어로 번역됨. 아테네의 재정에 대한 심오한 학문적 연구.[8]
Philolaosde1819
Metrologische Untersuchungen über Gewichte, Münzfüsse, und Maße des Alterthumsde1838고대 도량형 연구.[8]
Urkunden über das Seewesen des attischen Staatsde1851-1852
Enzyklopädie und Methodologie der philologischen Wissenschaftende1877브라투셰크에 의해 출판됨.[8]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1828-1843베를린 과학 아카데미 기획, 뵈크가 수석 편집.[8]



뵈크는 핀다로스의 판본을 출판하였는데, 특히 그의 음보에 관한 논문은 그리스 음보에 대한 과학적 치료의 기초를 마련했다.[8]

5. 평가 및 영향

뵈크는 19세기 독일 고전 문헌학을 대표하는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문헌학을 단순히 문자에 대한 지식과 비평 기술을 넘어, 역사적, 철학적 관점에서 고대 전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했다.[8] 그는 문헌학을 고대 사회의 정치, 경제, 종교, 예술, 문학, 언어 등 모든 측면을 포괄적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다섯 부분으로 나누었다.

뵈크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핀다로스의 판본을 출판한 것이다. 그는 그리스 음보에 대한 논문을 통해 그리스 음악과 시의 밀접한 관련성을 밝히고, 그리스 음보에 대한 과학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8] 또한, 그의 저서 ''Die Staatshaushaltung der Athener'' (한국어 번역명: 아테네의 공공 경제)는 고대 아테네의 경제, 사회, 정치 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제공하여, 고대 그리스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뵈크는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의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grc, 한국어 번역명: 그리스 비문 전집) 편찬을 주도하여 고대 그리스 비문 연구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는 고대 연대기 연구에서도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플라톤 철학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하지만 뵈크의 비문 해석 방식과 일부 역사관은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의 연구는 때때로 지나치게 주관적이라는 지적을 받았으며, 특히 그의 역사관은 당시 독일의 민족주의적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한국에도 소개되었는데, 안산 빈진은 뵈크의 『해석학과 비판 - 고전 문헌학의 정수』(2014)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참조

[1] 서적 The Hermeneutics Reader https://books.google[...] Continuum 1988
[2] 서적 Hermeneutics: Method and Methodology Springer 2007
[3] 문서 2011
[4] 서적 Hermeneutics and Its Problems: With Selected Essays in Phenomenology Springer 2019
[5] 서적 Die modernen Vater der Antike: die Entwicklung der Altertumswissenschaften an Akademie und Universität im Berlin des 19. Jahrhunderts Walter de Gruyter 2009
[6] 서적 August Böckh. Lebensbeschreibung und Auswahl aus seinem wissenschaftlichen Briefwechsel Leipzig 1901
[7]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B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9-09
[8] 웹사이트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schleiermacher
[9] 서적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 Band 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