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가르침을 따르는 가톨릭 수도회로, 13세기에 다양한 은수자 집단이 통합되어 형성되었다. 아우구스티노회는 배움을 통한 진리 추구, 사랑과 나눔의 실천을 강조하며, 전 세계적으로 교육, 선교, 사회 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수도회는 총장을 중심으로 조직되며, 정규 참사회원,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맨발 아우구스티노회, 아우구스티노 재수도회 등 여러 분파와 다양한 평신도 단체를 포함한다. "선한 충고의 어머니"를 공경하는 등 특정한 신심 행위를 통해 신앙생활을 증진하며, 루스페의 성 풀겐시오, 몬테팔코의 성 클라라 등 많은 성인과 복자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우구스티노회 - 네레스하임 수도원
    네레스하임 수도원은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으로 설립되어 베네딕토회 수도원으로 전환,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폐쇄 및 세속화, 이후 재건되어 현재는 수도사들이 운영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개요
아우구스티노회 문장
아우구스티노회 문장
라틴어 명칭Ordo Sancti Augustini
약칭O.S.A.
설립 시기1256년
설립 장소이탈리아
창립자교황 인노첸시오 4세
영성아우구스티노의 가르침
주요 활동교육, 선교, 사목
회원 수약 2,800명 (2020년 기준)
총본부이탈리아 로마
역사
기원13세기 초, 이탈리아 중부 지역에서 여러 은수자들이 모여 공동 생활 시작
이들은 아우구스티노의 규칙서를 따름
교황의 승인1256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가 여러 공동체를 통합하여 아우구스티노회 설립
발전중세 시대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
교육 및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종교 개혁 시기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이후 재건
영성
핵심 가치사랑: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 실천
진리: 진리 탐구와 교육
공동체: 형제애와 공동체 생활 중시
봉사: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위한 봉사
주요 영성가아우구스티노
클라라
리타
토마스
니콜라오
몬티카
빌렌트
조직
총장아우구스티노회 전체를 대표하는 최고 책임자
관구전 세계에 여러 관구가 있으며, 각 관구는 특정 지역을 담당
각 관구는 관구장을 중심으로 운영
수도원각 수도원은 수도원장을 중심으로 운영
수도자들은 수도원에서 공동 생활하며 기도, 노동, 학문 연구에 전념
주요 인물
성인아우구스티노
클라라
리타
토마스
니콜라오
몬티카
빌렌트
기타마르틴 루터: 초기에는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자였으나, 후에 종교 개혁을 주도
그레고리오 멘델: 유전학의 아버지
요한 그레고리오
마리노
필립포 베누치
존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알레산드리아의 카타리나
조반니 다 산 파쿤도
토렌티노의 니콜라오
안드레아 코르시니
알렉산드리아의 아폴로니아
활동
교육학교, 대학교 운영
학문 연구 및 교육 활동 지원
선교국내외 선교 활동
가난하고 소외된 지역 사회 지원
사목교회 운영 및 사목 활동
신자들의 영성 지도
한국
진출1980년대에 한국에 진출하여 사목 활동 시작
활동교회 운영 및 사목 활동
사회복지 시설 운영
교육 및 상담 활동
관련 기관아우구스티노 수도회 한국관구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원
아우구스티노 사회복지센터
기타
관련 항목아우구스티노
아우구스티노 규칙
가톨릭 교회

2. 역사적 배경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는 친구들과, 나중에는 주교로서 성직자들과 함께 수도원 공동체 생활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재산 소유보다 나눔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러한 생활 방식은 다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술, 특히 8~9세기 필사본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으로 언급된 ''수도자들의 일에 관하여''에 지침이 남아있다.[20] 430년에서 570년 사이, 반달족의 박해를 피해 도망친 수도승과 성직자들에 의해 이 생활 방식은 유럽으로 전파되었다.[10]

이러한 생활 방식은 수세기 동안 유럽 여러 지역의 성당 성직자들에게 지속되었고, 이들은 정규 참사회원(규칙에 따라 공동체 생활을 하는 성당 성직자)으로 알려졌다. 11세기 수도원과 성당 참사회의 개혁을 위해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이 다시 나타났다.[10]

여러 참사회원 집단이 다양한 규율 아래 설립되었지만, 모두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을 기반으로 했다. 파리의 생 빅토르 수도원과 노르베르트회가 대표적이다. 1059년 라테란 대성전 시노드의 법령에 따라, 공동 사도적 삶을 실천하려는 참사회원들이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을 채택하면서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참사회원이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정규 참사회보다 늦은 13세기 탁발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토스카나, 라티움 등지에 은수자 단체들이 많이 있었다.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는 ''Ne nimium'' 칙령을 발표하여 이들을 조직하고, 승인된 규칙을 따르도록 했다.

13세기에 아우구스티누스 은수자회는 역사가 짧다는 이유로 교황청의 탄압 위협에 직면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성 아우구스티누스와의 역사적 연관성을 강조하고, 규칙을 직접 받았다고 주장했다.[11] 비록 역사적 증거는 없지만,[12] 이러한 노력으로 1274년 리옹 제2차 공의회에서 수도회 탄압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2. 1. 초기 역사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는 몇몇 친구들과 함께, 그 후에는 주교로서 그의 성직자들과 함께 수도원 공동체 생활을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재산이나 소유물의 사용에 관해 가난을 미덕으로 삼은 것이 아니라 나눔을 미덕으로 삼았다. 그들의 생활 방식은 다른 이들이 그들을 모방하도록 이끌었다. 그들을 위한 지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여러 저술, 특히 8세기 또는 9세기의 고대 필사본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으로 언급된 ''수도자들의 일에 관하여''에서 발견되었다.[20] 430년에서 570년 사이에 이 생활 양식은 반달족의 박해를 피해 도망치는 수도승과 성직자들에 의해 유럽으로 전파되었다.[10]

성당 성직자들을 위한 이러한 생활 방식은 수세기 동안 유럽 전역의 다양한 지역에서 지속되었고, 그들은 정규 참사회원(규칙에 따라 공동체 생활을 하는 성당 성직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은 11세기에 수도원과 성당 참사회의 개혁을 위한 기초로서 다시 나타난다.[10]

여러 참사회원 집단이 다양한 규율 하에 설립되었으며, 모두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을 기반으로 했다. 이는 파리의 생 빅토르 수도원과 노르베르트회에 의해 채택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에 포함된 지침은 1059년 라테란 대성전 시노드의 법령에 따라, 공통적인 사도적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 참사회원들이 채택한 규칙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그 결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참사회원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2. 2. 중세 시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는 몇몇 친구들과, 후에는 주교로서 그의 성직자들과 함께 수도원 공동체 생활을 했다. 재산이나 소유물 사용에 있어, 아우구스티누스는 가난이 아닌 나눔을 미덕으로 여겼다. 이러한 생활 방식은 다른 이들이 그를 모방하도록 이끌었다. 이들을 위한 지침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여러 저술에서 발견되었는데, 특히 8세기 또는 9세기의 고대 필사본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으로 언급된 ''수도자들의 일에 관하여''에서 찾을 수 있다.[20] 430년에서 570년 사이, 이 생활 양식은 반달족의 박해를 피해 도망치는 수도승과 성직자들에 의해 유럽으로 전파되었다.[10]

중세 초기에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이 성 베네딕토의 규칙에 의해 가려졌지만, 성당 성직자들을 위한 이러한 생활 방식은 수세기 동안 유럽 전역에서 지속되었고, 이들은 정규 참사회원(규칙에 따라 공동체 생활을 하는 성당 성직자)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1세기에는 수도원과 성당 참사회의 개혁을 위한 기초로서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이 다시 나타난다.[10]

여러 참사회원 집단이 다양한 규율 하에 설립되었으며, 모두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는 파리의 생 빅토르 수도원과 노르베르트회에서 채택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에 포함된 지침은 1059년 라테란 대성전 시노드의 법령에 따라, 공동의 사도적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 참사회원들이 채택한 규칙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그 결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참사회원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정규 참사회보다 늦게 기원했다. 수도회는 13세기의 탁발 운동의 일부였는데, 이는 수도 생활의 종교적 이상을 종교인이 사도직 자격으로 사람들의 필요에 봉사할 수 있는 도시 환경으로 가져오려는 새로운 형태의 종교 생활이었다. 이 시기에는 토스카나, 라티움, 움브리아, 리구리아, 잉글랜드, 스위스, 독일, 프랑스 등 다양한 지역에 많은 수의 은수자 단체들이 살고 있었다.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는 이러한 소규모 종교 단체들을 조직하기 위해 ''Ne nimium'' 칙령을 발표했는데, 이 칙령은 공동체 생활을 하고, 선출된 장을 개최하고, 주요 상급자에게 복종하며, 교회가 승인한 공동체 생활 규칙 중 하나를 채택하도록 요구했다.

13세기에 아우구스티누스 은수자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은수자 집단은 그들의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교황청에 의해 탄압될 위협에 직면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사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와의 역사적 연관성을 조작했고, 그들이 규칙을 아우구스티누스에게서 직접 받았다는 것을 특별히 입증하려 했다.[11] 아우구스티누스 수사회가 성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창설되었다는 역사적 증거는 전혀 없지만, 수사들은 1274년 리옹 제2차 공의회에서 수도회가 탄압받을 위협에 처한 후 이러한 연관성을 만들어냈다.[12]

3. 카리스마 (기풍)

수도 공동체에서 "카리스마"는 각 수도회, 수도 단체 또는 그 구성원들이 구현하는 특별한 기여를 의미한다.[4] 아우구스티노의 가르침과 저술, 즉 ''아우구스티노 규칙''과 16세기에 걸쳐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회원들의 삶과 경험은 수도회의 기풍과 특별한 카리스마를 정의하는 데 기여한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많이 남겼다.[9]

3. 1. 사랑과 진리 추구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배움을 통해 진리를 찾고 서로 사랑으로 대하라는 가르침을 핵심 기풍으로 삼는다. 이러한 사랑과 공정함은 국제적인 선교 활동에서도 중요한 지침이 된다.[5] 수도회는 사랑과 배움의 균형을 통해 회원 간 상호 존중과 지적 성장을 추구하는 공동체를 건설해왔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너무나 오래되고 새로운" 하느님의 아름다움에 깊이 매료되었으며,[6] "노래하는 자는 두 번 기도한다"(''Qui cantat, bis orat'')[7]라고 가르치며 음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 비엔나의 아우구스티너 교회에서는 모차르트슈베르트의 오케스트라 미사가 매주 열리고, 오스트리아 장크트 플로리안의 소년 합창단[8](현재 1,000년 이상 된 합창단)도 아우구스티노 수도사들이 운영하는 학교에서 비롯되는 등 음악은 아우구스티노회 기풍의 중요한 부분이다.

3. 2. 공동체 생활

수도 공동체에서 "카리스마"는 각 수도회, 수도 단체 또는 그 구성원들이 구현하는 특별한 기여를 의미한다.[4] 아우구스티노의 가르침과 저술, 즉 ''아우구스티노 규칙''과 16세기에 걸쳐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회원들의 삶과 경험은 수도회의 기풍과 특별한 카리스마를 정의하는 데 기여한다.

배움을 통한 진리 추구는 아우구스티노 기풍의 핵심이며, 서로 사랑으로 대하라는 명령과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애정과 공정함에 대한 동일한 요구는 국제적인 선교 활동에서 수도회를 이끌어왔다.[5] 사랑과 배움의 균형 잡힌 추구는 수도회의 다양한 지부들이 상호 애정과 지적 발전을 바탕으로 공동체를 건설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3. 3. 아름다움과 예술

아우구스티누스는 "너무나 오래되고 새로운" 하나님의 아름다움에 대해 열정적으로 말했으며,[6] 그의 아름다움에 대한 매력은 음악으로까지 확장되었다. 그는 "노래하는 자는 두 번 기도한다"(''Qui cantat, bis orat'')[7]라고 가르쳤으며, 음악 또한 아우구스티노의 기풍의 핵심 부분이다. 현대 아우구스티노 음악 재단에는 비엔나의 아우구스티너 교회가 있는데, 이곳에서는 모차르트슈베르트의 오케스트라 미사가 매주 열리며, 오스트리아 장크트 플로리안에 있는 소년 합창단[8](현재 1,000년 이상 된 합창단)도 아우구스티노 수도사들이 운영하는 학교이다.

4. 조직 및 분파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규율과 13세기 말 수도회 총장이었던 아우구스티누스 노벨루스와 클레멘트 오브 오시모가 작성한 헌장에 따라 운영된다. 이 헌장은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현재는 2007년에 승인된 헌장을 따르고 있다.[20]

수도회는 6년마다 총회에서 선출되는 총장을 수장으로 하며, 6명의 보좌관과 1명의 비서가 총장을 보좌하여 ''Curia Generalitia''(총본부)를 구성한다. 각 관구는 관구장 수도원장이, 커미사리아는 커미사르 총장이, 수도회는 총대리가, 수도원은 수도원장이 관할한다. 수도회 회원들은 사제와 평신도 수도자로 구성된다.[20]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규율을 따르는데, 이는 공동 생활, 기도, 절제, 정결, 공동 재산 관리, 용서, 통치와 순종, 규칙 준수 등 8개의 장으로 구성된다.[28] 또한, 공동 생활을 인도하기 위해 "성령의 은사"인 카리스마를 사용한다.

수도사들의 성가대 및 야외 복장은 검은색 양모 튜닉, 넓은 소매, 검은색 가죽 허리띠, 후드가 부착된 어깨 망토로 구성된다. 실내 복장은 검은색 튜닉스카풀라에 어깨 망토를 착용한다. 더운 기후에서는 도미니코회와 구별하기 위해 흰색 수도복을 입기도 한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크게 다음과 같은 분파로 나뉜다.


  •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성직 수도회(CRSA): 성직자 공동체를 중심으로 목회 돌봄에 수도 서원을 더한 형태이다.[14]
  • 맨발 아우구스티노회와 아우구스티노 재수도회: 16세기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 시작된 수도회 개혁 운동으로, 주로 사목 활동을 한다.[1]


전 세계 아우구스티노회 관구는 다음과 같다.

관구/대표단명위치
브르노 수도원체코
중앙 아메리카 대표단코스타리카
잉글랜드 및 스코틀랜드 관구http://www.augustinians.org.uk/
안틸레스 관구푸에르토리코
아푸리막 관구페루
아르헨티나 관구아르헨티나
벨기에 관구벨기에
볼리비아 관구볼리비아
브라질 대표단 (카스티야)브라질
브라질 관구 (거룩한 이름)http://www.osa.org.br/osa/
브라질 관구 (위로의 어머니)브라질
세부 관구필리핀
캘리포니아 관구미국
캐나다 관구캐나다
카스티야 관구스페인
시카고 관구https://www.midwestaugustinians.org/
칠레 관구칠레
출루카나스 관구페루
콜롬비아 관구콜롬비아
콩고 관구콩고 민주 공화국
쿠바 대표단쿠바
독일 관구독일
아일랜드 관구http://www.augustinians.ie/
스페인 관구스페인
네덜란드 관구http://www.augustijnen.nl/content.php
인도 관구인도
이키토스 관구페루
이탈리아 관구이탈리아
일본 관구일본
케냐 대표단케냐
대한민국 대표단대한민국
마드리드 관구스페인
메초아칸 관구멕시코
몰타 관구http://www.agostinjani.org/en/
멕시코 관구멕시코
나이지리아 관구나이지리아
오리엔트 관구태평양 섬
파나마 관구파나마
인도네시아 대표단인도네시아
페루 관구페루
필리핀 예수의 가장 거룩한 이름 관구필리핀
필리핀 산토 니뇨 데 세부 관구필리핀
폴란드 관구폴란드
키토 관구에콰도르
탄자니아 대표단탄자니아
베네수엘라 관구베네수엘라
빈 관구오스트리아
빌라노바 관구http://www.augustinian.org/


4. 1. 정규 참사회원 (Canons Regular)

정규 성직 수도회는 첫 천년기 말에 발전한 더 오래된 형태의 수도 생활을 따르며, 따라서 수도회의 창립보다 앞선다.[13] 이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 자신이 그랬던 것처럼, 성직자 공동체를 더욱 헌신적인 삶의 방식으로 조직하려는 시도에서 성장한 수도 생활의 성직자적 적응을 나타낸다. 역사적으로 그것은 수도회가 나중에 발전하게 된 수도원 운동 또는 은둔 생활의 평신도 운동과 평행을 이루었다. 이들의 전통에서 성직 수도사들은 주요 소명목회 돌봄에 수도 서원의 약속을 추가했다. 성직 수도사들이 교구 구조로부터 독립하게 되면서, 자체 수도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다. 해당 수도회의 공식 명칭은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성직 수도회(CRSA)이다.[14]

4. 2.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Augustinian Friars)

아우구스티노회 수사(OSA)는 탁발 수도회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17]

  • 정주 서원을 하지 않아 한 수도원에 머무르지 않고 수도회 공동체의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15]
  • 선교 사업, 교육, 교도소 사역 등과 같은 사도직 활동에 참여한다.[15]
  • 개별 수사의 청빈 서약뿐 아니라 공동 빈곤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는 공동체 생활의 중요한 특징이다.[15]


아우구스티노회 수사들은 정결, 청빈, 순명의 복음적 권고를 서약하며, 사도행전 4장 32절에 묘사된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믿는 자들의 공동체는 한 마음과 한 뜻을 이루었고,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고 주장하지 않았으며, 그들은 모든 것을 공유했다")을 따른다. 또한 397년에서 403년 사이에 성 아우구스티노가 히포 레기우스(현재 알제리)에 설립한 수도 공동체를 위해 작성된 성 아우구스티노 규칙을 따른다.[15]

아우구스티노회 출신의 주요 인물로는 마르틴 루터와 그레고리 멘델이 있다. 마르틴 루터는 1505년부터 파문을 당한 1520년까지 아우구스티노회 수사였으며, 이후 카타리나 폰 보라와 결혼했다. 그레고리 멘델은 수도원장으로, 유전 법칙을 발견한 과학자로 유명하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교황청의 칙령에 따라 교황에게 직접 종속되는 면제 지위를 부여받았다.[18] 이는 주교가 수도회의 내부 문제에 대한 관할권을 갖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18] 현재 수도회는 교황청 권한의 기관이라고 표현된다.[18]

교황 알렉산데르 4세는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를 주교의 관할에서 면제했고,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수도회 교회에 성지 순례와 같은 대사를 부여했다. 교황 비오 5세는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를 탁발 수도회에 포함시켰다.[15]

수도회의 정부는 6년마다 총회에서 선출되는 총장을 수장으로 한다. 총장은 6명의 보좌관과 한 명의 비서의 도움을 받는다. 각 관구는 관구장 수도원장이, 각 커미사리아는 커미사르 총장이, 두 개의 수도회는 각각 총대리가, 모든 수도원은 수도원장이 관할한다. 수도회 회원들은 사제와 평신도 수도자로 구성된다.[20]

4. 3. 맨발 아우구스티노회와 아우구스티노 재수도회

맨발 아우구스티노회는 1588년 이탈리아에서 결성된 수도회 개혁 운동으로, 다른 아우구스티노회와는 다른 자체 헌장을 가지고 있다. 아우구스티노 재수도회는 이와 같은 목표를 가지고 1592년 스페인에서 발전했다. 현재 이들은 주로 사목 활동을 하고 있다.[1]

4. 4. 전 세계 아우구스티노회 관구

관구/대표단명위치
브르노 수도원체코
중앙 아메리카 대표단코스타리카
잉글랜드 및 스코틀랜드 관구http://www.augustinians.org.uk/
안틸레스 관구푸에르토리코
아푸리막 관구페루
아르헨티나 관구아르헨티나
벨기에 관구벨기에
볼리비아 관구볼리비아
브라질 대표단 (카스티야)브라질
브라질 관구 (거룩한 이름)http://www.osa.org.br/osa/
브라질 관구 (위로의 어머니)브라질
세부 관구필리핀
캘리포니아 관구미국
캐나다 관구캐나다
카스티야 관구스페인
시카고 관구https://www.midwestaugustinians.org/
칠레 관구칠레
출루카나스 관구페루
콜롬비아 관구콜롬비아
콩고 관구콩고 민주 공화국
쿠바 대표단쿠바
독일 관구독일
아일랜드 관구http://www.augustinians.ie/
스페인 관구스페인
네덜란드 관구http://www.augustijnen.nl/content.php
인도 관구인도
이키토스 관구페루
이탈리아 관구이탈리아
일본 관구일본
케냐 대표단케냐
대한민국 대표단대한민국
마드리드 관구스페인
메초아칸 관구멕시코
몰타 관구http://www.agostinjani.org/en/
멕시코 관구멕시코
나이지리아 관구나이지리아
오리엔트 관구태평양 섬
파나마 관구파나마
인도네시아 대표단인도네시아
페루 관구페루
필리핀 예수의 가장 거룩한 이름 관구필리핀
필리핀 산토 니뇨 데 세부 관구필리핀
폴란드 관구폴란드
키토 관구에콰도르
탄자니아 대표단탄자니아
베네수엘라 관구베네수엘라
빈 관구오스트리아
빌라노바 관구http://www.augustinian.org/


4. 5. 연합 공동체 (Aggregated communities)

아우구스티노 규칙을 따르거나,[30] 독립적인 사회로 존재하거나,[31] 전 세계 아우구스티노회에 헌법에 따라 공식적으로 통합되었기 때문에,[32] 아우구스티노회 가족에 속하는 다른 수도회와 단체들은 다음과 같다.

  • 히에로니미테 수도회
  • 우르술라 수녀회
  • 예수 자비의 성 아우구스티노 수녀회[33]
  • 성모 승천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비잔틴 전례 관구 포함)
  • 알렉시안 형제회
  • 콩고의 성모 승천 형제회
  • 성모 위로 수녀회
  • 산 기예르모 성당 (1994년 9월 3일 필리핀 피나투보 산의 라하르 경사로 인해 12m 높이의 절반이 매몰됨)
  • 선교 성모회
  • 성육신 자선 수녀회[34] (텍사스에 성육신 대학교 설립)
  • 성 요한의 병원 형제회
  • 성모 승천회

4. 6. 아우구스티노 평신도 단체 (Augustinian lay societies)

아우구스티노 재속회는 자발적인 단체로, 대체로 결혼했거나 독신이며 아우구스티노적인 삶의 방식에 공감하고 관심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다. 이 재속 신자들은 수도 서약을 하지는 않지만, 자원봉사, 금전 및 물품 기부, 성 아우구스티노와 아우구스티노 가르침의 연구 및 홍보를 통해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의 활동을 지원한다.

이들 중 주요 단체는 다양한 탁발 수도회 분파와 관련된 제3회이다. 여기에는 아우구스티노 재속 공동체[35]와 재속 아우구스티노 어거스틴회가 있다. 이들은 수도회의 삶과 카리스마(charisma)를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해 따르겠다는 평신도로서 공식적이고 공개적인 약속을 한다.

수도사와 수녀의 정신과 활동을 지원하는 다른 단체로는 이탈리아의 성모 마리아의 허리띠 형제회[36], 필리핀의 아우구스티노의 친구들, 호주의 아우구스티노 친구들[37]이 있다.

5. 신심 활동 (Devotional practices)

파스콸레 사룰로의 선한 충고의 어머니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선한 충고의 어머니(마테르 보니 콘실리)를 공경하고, 위안의 성모 대신심회를 육성했으며, 은총의 성모라는 칭호로 마리아에게 헌정된 시설들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신심 활동을 했다.[38][39]

5. 1. 선한 충고의 성모 (Our Lady of Good Counsel)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이 전파하기 위해 노력해 온 특별한 신심 행위에는 "선한 충고의 어머니(마테르 보니 콘실리)"라는 칭호로 복되신 동정 마리아를 공경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 기적적인 그림은 로마 지방의 제나차노에 있는 아우구스티노 교회에서 볼 수 있다.[38] 이러한 신심은 다른 교회와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이를 장려하기 위한 성모 신심회가 결성되었다.[38]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에서 선한 충고의 성모를 기리는 여러 정기 간행물을 발간하고 있다. 교황 레오 13세의 인가를 받아 선한 충고의 성모 스카풀라에 대한 신심도 장려한다.[38]

5. 2. 위안의 성모 (Our Lady of Consolation)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위안의 성모 대신심회를 육성했다. 이 신심회는 1439년 교황 에우제니오 4세에 의해 볼로냐의 산 자코모에서 설립되었으며, 1575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대신심회로 지정되었고,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에 통합되었다.[38]

위안의 성모 신심회 회원들은 성 아우구스티노, 모니카, 토렌티노의 성 니콜라스를 기리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습을 따랐다.[38]

  • 축복받은 허리띠나 가죽 벨트를 착용함
  • 매일 13번의 주님의 기도와 성모 영보를 바침
  • 살베 레지나를 바침
  • 성 아우구스티노 축일 전날 엄격하게 금식함
  • 위에 언급된 세 성인의 축일에 성체를 영함

5. 3. 은총의 성모 (Our Lady of Grace)



마리아에게 헌정된 은총의 성모라는 칭호를 가진 시설들이 있다. 캐나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는 킹 시티에 메리레이크 성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은총의 성모 수도원은 노바 스코샤에 있다.[39]

6. 주요 성인과 복자

성인사망일비고
루스페의 성 풀겐시오527년주교
몬테팔코의 성 클라라1308년
사아군의 성 요한1479년
성 요한 스톤1539년영국 종교 개혁의 순교자
성 알론소 데 오로스코 메나1591년
성 바르톨로뮤 구티에레즈1632년
성 아우구스티노의 토마스 ‘킨츠바’ 지효에1637년
토렌티노의 성 니콜라스1305년
카시아의 성 리타
빌라노바의 성 토마스1555년
성 페테르 수니가1622년



복자사망일비고
오시모의 복자 클레멘테1291년
비테르보의 복자 야고보1307년
복자 아고스티노 노벨로1309년
복자 안토니오 파트리지1311년
복자 안젤로 다 폴리뇨1312년
복자 시몬 리날두치1322년
복자 안젤로 다 푸르치1327년
복자 그레고리오 첼리1343년
복자 시몬 다 카시아1348년
복자 군디살부스 데 라고스1422년
복자 윌리엄 티리1654년클론멜에서 교수형
복자 안네 카테린 에머리히1824년
복자 스테파노 벨레시니1840년
복자 마리아노 데 라 마타1983년
존경하는 알퐁스 갈레고스1991년

[1]

참조

[1] 웹사이트 Rule of St. Augustine.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07
[2] 서적 The Harper Collins Encyclopedia of Catholicism 1995
[3] 웹사이트 Ordine degli Agostiniani Scalzi http://oadnet.webs.c[...] 2012-08-03
[4] 웹사이트 The Augustinians http://www.augustini[...] Province of St. Thomas of Villanova
[5] 웹사이트 San Agustín http://www.agustinas[...] 2017-12-12
[6] 문서 Confessions 10, 27
[7] 문서 Sermons 336, 1 PL 38, 1472
[8] 웹사이트 Sankt Florian boys' choir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Collection Items: Contributions from Augustinian Theologians and Scholars https://digital.libr[...] 2017-12-12
[10] 웹사이트 Augustine's Monasticism https://web.archive.[...] The Order of Saint Augustine
[11] 간행물 Forging the Augustinian Past: The Rule-Giving of St Augustine in a Duecento Gradual 2023
[12] 간행물 Forging the Augustinian Past: The Rule-Giving of St Augustine in a Duecento Gradual 2023
[13] 웹사이트 Canons and Canonesses Regular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2017-12-12
[1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rder https://www.stift-kl[...] Stift Kloster Neuburg
[15] 웹사이트 Augustinians – Order of Saint Augustine https://augustinians[...] 2017-12-12
[16] 서적 Rule and Constitutions, Order of St. Augustine 2008
[17] 웹사이트 Charism – Order of Saint Augustine http://augustinians.[...] 2017-12-12
[18] 문서
[19] 서적 Augustinian Origins, Charism, and Spirituality Augustinian Press, Villanova 1994
[20] 웹사이트 Hermits of St. Augustine http://www.newadvent[...] 2017-12-12
[21] 서적 The other friars: the Carmelite, Augustinian, Sack and Pied Friars in the Middle Ages The Boydell Press
[22] 문서 Augustinian Hermits
[23] 웹사이트 Williamite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2
[24] 웹사이트 Jordan of Saxony http://augnet.org/de[...] Augnet
[25] 간행물 Recovering the Augustinian Convent of San Salvatore in Venetian Candia 2021
[26] 웹사이트 Augustinian Saints, Blesseds, and Feast Days https://www.midwesta[...] 2017-12-12
[27] 웹사이트 4044: from 1878 to 1902 – 02 http://www.augnet.or[...]
[28] 웹사이트 Roots of Augustinian Spirituality https://www.midwesta[...] 2017-12-12
[29] 웹사이트 Charism https://web.archive.[...] The Augustinians: Curia Generalizia Agostiniana
[30] 웹사이트 Priestly Society of Saint Augustine http://www.sssa-us.o[...] 2017-12-12
[31]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www.aihmfriar[...] 2017-12-12
[32] 웹사이트 The Society of St. Augustine https://ksaugustinia[...] 2017-12-12
[33] 웹사이트 Soeurs – Augustine de la miséricorde de Jésus http://www.augustine[...] 2017-12-12
[34] 서적 The Rule of Saint Augustine and the Constitutions of the Order of the Incarnate Word and Blessed Sacrament 1893
[35] 웹사이트 Augustinian Lay Groups – Lay Community http://www.augustini[...] 2006-08-19
[36] 웹사이트 Basilica di Santa Rita da Cascia: The Brotherhood http://www.santarita[...] 2007-07-18
[37] 웹사이트 Augustinian Lay Groups – Augustinian Friends http://www.augustini[...] 2006-08-19
[38] 간행물 Our Lady of Good Counsel https://udayton.edu/[...] Marian Library/International Marian Research Institute, Dayton, Ohio 45469-1390
[39] 웹사이트 Marylake https://www.marylak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