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타얄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얄족은 "인간" 또는 "남자"를 의미하는 타얄(Tayal)이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대만의 원주민이다. 기원전 4000년 이전에 중국 남부 또는 동남아시아에서 대만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자 분석 결과 필리핀, 태국과 유사성이 높다. 아타얄족은 전통적으로 낚시, 사냥, 농업, 직조, 공예 등을 하며 생활했으며, 숙련된 전사로 알려져 있었다. 과거에는 얼굴 문신과 인두 사냥(두개골 채집)과 같은 독특한 문화가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이후 금지되었다. 현재는 대만 중부와 북부에 거주하며, 아타얄어를 사용하지만, 국어와 일본어도 혼용된다. 많은 아타얄족이 기독교를 믿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관광업에도 종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원주민 - 아미족
    아미족은 타이완 원주민의 주요 부족 중 하나로, 자신들을 '팡카' 또는 '아미스'라고 부르며, 모계사회적 특징과 풍년제 등의 전통 축제를 가지고 있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 대만 원주민 - 부눈족
    부눈족은 대만 중앙산맥에 거주하며 맹렬한 전사이자 머리 사냥꾼으로 알려졌으나 일제강점기 강제 이주와 국민당 정부의 문화적 동화 정책을 겪었고, 독특한 다성 음악과 음력 달력 기반 삶, 귀 사격 축제 등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난터우, 가오슝, 화롄, 타이둥 현 등에 걸쳐 다섯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거주하는 고산족이다.
아타얄족
기본 정보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토착 이름타얄, 타얀
토착 이름 언어tay
총 인구94,425명 (2022년 11월 기준)
주요 거주지타이완
사용 언어아타얄어, 표준 중국어, 타이완어, 이란 크레올 일본어
종교애니미즘, 기독교
관련 민족세디크족, 타로코족, 카발란족, 타이완 원주민

2. 어원

아타얄족의 아타얄어 명칭은 '타얄(tayal)'이며, "인간" 또는 "남자"를 의미한다.[5] 이들은 자신들을 가리킬 때 '아타얄(Atayal)'이라고 거의 부르지 않고 '타얄(Tayal)'이라고 부른다.

3. 기원 및 유전학적 특징

아타얄족은 기원전 4000년 이전에 중국 남부 또는 동남아시아에서 타이완으로 이주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7] 유전자 분석 결과, 아타얄족은 필리핀 및 태국의 다른 민족들과 유사성이 높고, 중국 남부 및 베트남과는 상대적으로 유사성이 낮았다.[8] 아타얄족은 타이완의 다른 원주민 집단인 아미족한족과는 유전적으로 구분되며, 이들 민족 간의 혼혈은 거의 없었음을 시사한다.[9]

미토콘드리아 DNA(mtDNA) 다형성에 대한 연구는 약 1만 1000년~2만 6000년 전에 다양한 민족의 두 계통이 타이완으로 이주했음을 시사한다.[10] 최근 DNA 연구에 따르면, 라피타 문화와 현대 폴리네시아인은 아타얄족과 필리핀 북부의 칸카나이족과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11]

아타얄족은 타이완 한족과 외관상 다르다.[12]

4. 역사

아타얄족 거주에 대한 최초 기록은 주수이강(濁水溪) 상류 부근에서 발견된다. 17세기 후반, 그들은 중앙산맥을 넘어 동쪽의 황야로 이동했다. 그 후 그들은 리우강(立霧溪) 계곡에 정착했다. 여기에는 79개의 아타얄족 마을이 있었다.[1]

1901년 대만 지도, "아타얄족 거주지" 표시


1900년대 아타얄족 전사 사진

4. 1. 구전 전승

아타얄족 어른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최초의 아타얄족 조상들은 핀스프칸(Pinspkan)이라는 돌이 갈라지면서 나타났다고 한다. 세 명이 나타났지만, 한 명은 돌 속으로 다시 들어갔다. 오랫동안 함께 살면서 서로를 매우 사랑했던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있었다. 그러나 남자는 수줍음이 많아 여자에게 다가가지 못했다. 그러자 여자는 한 가지 생각을 떠올렸다. 그녀는 집을 나가 숯을 찾아 얼굴을 검게 칠하여 다른 여자로 가장했다.

며칠 후, 그녀는 집으로 돌아와 남자를 속였고, 남자는 그녀를 다른 여자로 착각하여 두 사람은 행복하게 함께 살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들은 아이들을 낳아 다음 세대를 번식시키는 임무를 완수했다. 아타얄족의 얼굴 문신 관습은 이 이야기에서 여자가 얼굴을 검게 칠한 것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5. 문화

아타얄족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낚시, 사냥, 채집을 하고, 불을 지른 산간 지역의 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며 생활했다. 직조, 그물 매듭 짓기, 목공예 등 전통 공예 기술도 발달했다. 또한 문화적으로 특징적인 악기와 춤을 가지고 있다.

아타얄족은 숙련된 전사로 알려져 있었다. 일제강점기(1895~1945)에는 남자가 얼굴 문신을 하려면 적어도 한 개의 인두를 가져와야 했다. 이러한 머리(두개골)는 매우 존중되었고, 음식과 음료를 제공받았으며, 농작물에 풍년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두개골 채집 참조) 아타얄족은 일본군에 대한 봉기를 일으킨 무셰 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랄라우 베후(Lalaw Behuw)라는 긴 칼은 아타얄족이 사용했던 무기였다.[13][14][15]

5. 1. 전통 의복

아타얄족 의복


아타얄족은 숙련된 직조기술자이며, 전통 의복에는 상징적인 무늬와 디자인을 넣는다. 주로 기하학적인 스타일이며, 색상은 밝고 눈부시다. 대부분의 디자인은 아가일 무늬와 수평선이다. 아타얄 문화에서 수평선은 조상의 영혼이 사는 곳으로 죽은 자를 인도하는 무지개 다리를 나타낸다. 반면 아가일 무늬는 아타얄족을 보호하는 조상의 눈을 나타낸다. 이 문화에서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빨간색인데, 그 이유는 피와 힘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아타얄족 여성. 얼굴에는 문신이 새겨져 있다.


과거 인두(頭狩り) 풍습(출초)과 무샤 사건(霧社事件) 등으로 용맹한 민족으로 알려져 있다. 빨강과 흰색을 기본으로 한 전통 의상을 입었지만, 현재는 주로 제례나 관광지에서 관광객을 위해 입는 정도이다.[1]

5. 2. 얼굴 문신

아타얄족은 성년식의 일환으로 얼굴에 문신(''ptasan'')을 새기는 풍습이 있었다.[7] 남성은 적의 목을 베어 용맹함을 증명해야 했고,[7] 여성은 베 짜는 기술을 숙달해야 했다.[7] 이러한 문신은 성인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었으며, 결혼과 죽음 이후 ''hongu utux''(무지개)라는 영혼의 다리를 건너 저승으로 가는 데에도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7]

남성의 문신은 이마와 턱에 두 줄을 새기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였다.[7] 성인이 되면 이마에, 자녀를 낳으면 턱에 문신을 새겼다.[7] 여성의 문신은 귀에서 입술까지 양쪽 뺨에 V자 모양으로 새겨졌으며, 시술에는 최대 10시간까지 소요되었다.[7] 문신은 여성 문신사만이 시술할 수 있었으며, ''atok''이라고 하는 막대기에 묶은 바늘을 ''totsin''이라는 망치로 두드려 피부에 새긴 후 검은 재를 문질러 새겼다.[7]

얼굴에 문신을 한 아타얄족 여성


1930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인두 사냥과의 연관성을 이유로 문신 풍습을 금지했다.[7]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이 관습은 더욱 쇠퇴하여 노인들에게서만 볼 수 있게 되었다.[7] 그러나 최근 일부 젊은이들이 이 전통을 되살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7]

5. 3. 인두 사냥 (출초)

과거 아타얄족은 인두 사냥(출초)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13][14][15] 인두 사냥은 장례, 농업과 관련된 종교적 성격을 지녔으며, 사회적 의미도 있었다. 남성은 인두 사냥을 통해 용맹함을 증명하고 사회적 지위를 얻었다. 적의 목을 벤 자만이 문신을 새길 수 있었고, 문신이 없으면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고 결혼도 할 수 없었다. 벤 목의 수가 많을수록 특별한 의복이나 장신구를 착용할 권리를 얻었다.

인두 사냥은 여러 금기와 의례를 수반했다. 출정(出草)은 보통 10명 정도로 이루어졌으며, 우두머리나 유력자가 지도했다. 출정과 귀환 시에는 꿈이나 새 울음소리로 길흉을 판단했다. 인두 사냥 중에는 혼담, 사냥, 농사, 불의 전달이 금지되었다. 마을로 돌아오면 벤 목을 선반에 놓고 술과 제물을 바치며 제사문을 낭독했다.

일제강점기에 인두 사냥은 금지되었다.

5. 4. 종교

전통적으로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나무나 바위 등을 신격화했다. 일제강점기신도(神道)가 전파되었으나, 현재는 토리이(鳥居)나 돌등롱(灯籠) 등 신사(神社) 유적만 남아있고 신자는 거의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과 미국 선교사들이 마을에 들어와 기독교가 일반화되었다.[1]

6. 건축

전통적으로 산악 지역에 거주하는 아타얄족은 대개 산 중턱의 경작에 용이한 대지에 집을 짓지만, 타로코의 좁은 지형 때문에, 마을은 드문드문 분산되어 있다. 또한 해발 고도와 자연환경의 차이 때문에 건축 자재도 각각 다르지만, 목조와 죽조 건물이 가장 많다. 사람이 사는 주택 외에도 곡식 창고와 가축 우리 등도 있다. 아타얄족은 핵가족 구성이 중심이기 때문에 건물은 크지 않다.

7. 언어

아타얄어는 고유한 문자를 가지고 있지 않아, 표기에는 카타카나나 로마자를 사용한다. 일상적으로는 아타얄어, 국어, 일본어가 혼용된다. 젊은 세대는 표준 중국어인 국어에 능숙한 반면, 아타얄어에 서툰 사람이 많아, 연장자와 직접 대화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에는 원주민 문화를 재검토하려는 분위기가 전국적으로 고조되고 있으며, 그러한 흐름을 받아 초등학교 등에서 아타얄어 학습도 시작되고 있다.

타로코족의 타로코어와 세덱족의 세덱어는 아타얄(Atayal)어군에 속하므로 친족 관계이다.

8. 현대의 아타얄족

아타얄족은 대만 중부와 북부에 거주한다. 가장 북쪽 마을은 타이베이 남쪽 약 25km 지점에 있는 우라이구이다. 많은 아타얄족은 이중 언어 사용자이지만, 아타얄어는 여전히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간시향의 스망구스 공동체는 관광지이자 공동체주의 실험으로 잘 알려져 있다.[19]

8. 1. 산업

아타얄족은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과 사냥으로 자급자족적인 생계를 유지해 왔다. 일제강점기 이후 현대적인 농업 생산 방식이 보급되었다. 아타얄족의 거주 지역은 대부분 험준한 산악 지역이어서 평지에 적합한 수도 재배 등은 어렵다. 따라서 현재는 과일, 차, 빈랑 등 상품 작물 재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도시 주민이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광업도 중요한 산업이 되고 있다.

9. 저명한 아타얄족 인물


  • 황이정, 배우 겸 가수
  • 황정, 록 듀오 Y2J의 가수
  • 증지교, 배우 겸 팝 듀오 스위티의 멤버
  • 고금숙, 배우, 가수 겸 정치인
  • 라하 메보우, 감독, 각본가, TV 프로듀서
  • 원영이, 가수
  • 뤄지안, 축구 선수
  • 뤄지엔, 축구 선수
  • 파옌 탈루, 입법원 의원 (1996년–2002년)
  • 주유민, 배우 겸 팝 그룹 F4의 멤버
  • 서희원, 배우
  • 왈리스 노칸, 작가
  • 라이위밍, 록 듀오 Y2J의 가수
  • 예서화, K팝 그룹 (여자)아이들의 가수 (외가 쪽)
  • 언승욱, 배우 겸 팝 그룹 F4의 멤버
  • 린즈이창(林瑞昌) - 타이완 일제강점기의 의사, 정치가
  • 가오진스메이(高金素梅) - 가수, 배우, 정치가
  • 비비안 수(비비안 쑤)(范曉萱) - 가수, 배우
  • 샤위퉁(夏宇童) - 가수, 배우
  • 원란 - 가수, 배우
  • 불랑·유간(不浪·尤幹) - 가수
  • 하이윤크(Hi-yunk)(KENJI03) - 가수, 록 밴드 백온(BACK-ON)의 기타 보컬
  • 오이판 - 가수
  • 린칭타이 - 목사
  • 뤄메이링(가수) - 가수, 배우
  • 굴린루이양(古林睿煬) - 프로야구 선수(투수)


최근에는 가수 등 연예인을 많이 배출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tayal https://web.archive.[...]
[2] 뉴스 Amis Remains Taiwan's Biggest Aboriginal Tribe at 37.1% of Total http://focustaiwan.t[...] 2014-02-15
[3] 웹사이트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f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eng.stat.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R.O.C. (DGBAS) 2006-08-30
[4] 법률 The Indigenous Peoples Basic Law https://law.moj.gov.[...] 2024-09-05
[5] 웹사이트 Tayal https://web.archive.[...] Yuan zhu minzu weiyuanhui
[6] 서적 The Origin of Language: Tracing the Origin of the Mother Tongue https://archive.org/[...] Wiley 1994
[7] 서적 Inked: Tattoos and Body Art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
[8] 학술지 Genetic markers of an aboriginal Taiwanese population 1985
[9] 학술지 Genetic Characterization of Four Austronesian-Speaking Populations http://www.nature.co[...] 2005
[10] 학술지 Mitochondrial DNA Polymorphisms in Nine Aboriginal Groups of Taiwan: Implications for the Population History of Aboriginal Taiwanese 2003
[11] 웹사이트 'Game-Changing' Study Suggests First Polynesians Voyaged All the Way from East Asia https://www.science.[...] 2016-10-03
[12] 웹사이트 New Zealand's Long-Lost Taiwanese Cuzzies https://www.stuff.co[...] 2015-03-15
[13] 웹사이트 Dàkēkàn xī liúyù tàiyǎ zú Lmuhuw wénběn fēnxī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Yǎměi yǔ http://e-dictionary.[...]
[15] 뉴스 Tóng ménshān dāo jiē bǎinián chuíliàn https://web.archive.[...] 2007-05-10
[16] 웹사이트 My Face Was Tattooed when I Was Eight https://www.bbc.co.u[...] 2018-09-25
[17] 뉴스 Last Atayal Woman with Facial Tattoos Dies at 97 http://focustaiwan.t[...] 2019-09-14
[18] 뉴스 Last Atayal with a Traditional Tattoo Dies http://www.taipeitim[...] 2019-09-15
[19] 뉴스 Returning to the Land of the Ancestors http://www.taipeitim[...] 2003-08-10
[20] 웹사이트 來源 http://www.moi.gov.t[...] 行政院内政部 20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