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족은 자신들을 '팡차(Pangcah)'라고 부르기도 하며, 대만에서는 '아미스(Amis)'라는 명칭으로 더 널리 알려진 대만 원주민이다. 아미족은 북부, 중부, 해안, 팔랑가우, 항춘 등 5개의 그룹으로 분류되며, 각 그룹은 지리적 분포에 따라 구분되지만 문화, 언어, 체격 등의 차이도 보인다. 아미족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모계사회에 가까운 형태를 띠며, 수확제가 가장 중요한 전통 의식이다. 아미족은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음악, 스포츠, 정치 등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민족 - 파이완족
파이완족은 타이완 원주민의 주요 부족으로, 다우산의 '파이완'에서 기원하여 수장의 지도력 아래 여러 부족을 통합하고 외세에 저항했으며, 독특한 계급 사회, 문신, 전통 의복, 5년 주기 제의 등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대만의 민족 - 대만 원주민
대만 원주민은 수천 년 동안 대만 섬에 거주하며 고유한 문화를 형성해 온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의 민족 집단으로, 중화민국 정부는 이들 중 16개 민족 집단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권리 회복과 문화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만 원주민 - 부눈족
부눈족은 대만 중앙산맥에 거주하며 맹렬한 전사이자 머리 사냥꾼으로 알려졌으나 일제강점기 강제 이주와 국민당 정부의 문화적 동화 정책을 겪었고, 독특한 다성 음악과 음력 달력 기반 삶, 귀 사격 축제 등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난터우, 가오슝, 화롄, 타이둥 현 등에 걸쳐 다섯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거주하는 고산족이다. - 대만 원주민 - 루카이족
루카이족은 대만 남부에 거주하는 원주민 부족으로, 세습 귀족 제도를 반영한 화려한 전통 의상은 수작업으로 제작되며 태양, 백보, 뱀 문양이 새겨져 있고, 모라콧 태풍 이후 강제 이주로 문화 보존과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만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대만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아미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아미족 아미 팡짜흐족 무까미족 |
민족명 (아미어) | 팡짜흐 |
민족명 (푸유마어) | 무까미 |
인구 (2014년) | 200,604명 |
거주 지역 | 타이완 |
언어 | 아미어 만다린어 |
종교 | 애니미즘 기독교 |
관련된 민족 | |
관련 민족 | 사키자야족 타이완 원주민 |
언어 | |
아미어 이름 | Caciyaw no Pangcah |
푸유마어 이름 | Minuqamian |
문화 | |
주요 특징 | 모계 사회 |
2. 정체성과 분류
아미족은 자신들을 "인간" 또는 "우리 종족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팡차(Pangcah)라고 부르기도 하고, "북쪽"을 의미하는 아미스(Amis)라고 부르기도 한다.[5] 21세기 타이완에서는 아미스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된다.[5]
아미스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다. 푸유마족이 자신들의 북쪽에 살던 팡차(Pangcah)를 가리키는 데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5] 또는 타이둥 평원에 살던 사람들이 자신의 조상이 북쪽에서 왔기 때문에 자신들을 "아미스"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5] 일본의 음악 학자인 쿠로사와 타카토모(黒澤隆朝)는 아미족의 시조 전설을 기록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고에 남쪽에 있던 라가산(Lagasan)이라는 대륙이 가라앉자, 절구통을 타고 탈출한 남녀가 해류를 타고 북상하여 대만에 도착했다. 이들은 그곳에 정착하여 자손을 늘리고, ‘우리는 북쪽에서 왔다’는 것을 기념하여 북쪽을 의미하는 ‘아미’를 민족명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아미족은 지리적 분포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뉘지만, 문화, 언어, 체격적 차이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5]
2. 1. 아미족의 분류
아미족은 크게 다섯 개의 집단으로 분류된다.
아미족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한 종류이며, 고유한 문자는 없다. 고령 세대는 일본어도 사용하는 반면, 젊은 세대는 중국어(타이완 표준어)를 사용하고 있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타이완의 아미족과 아타얄족, 필리핀의 칸카나이족과 같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사용하는 집단은 신석기 시대 푸젠성 지역과 상당한 연관성(67%~74%)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신석기 시대 푸젠성 지역은 광둥성과 푸젠성의 한족(漢族) 조상의 35%~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아미족은 전통적으로 모계사회를 유지해 왔으며, 여성은 가족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16] 가족의 일은 여성이 주도하고 책임을 지며, 가업과 재산은 장녀가 상속받는다. 성 또한 모계의 성을 계승한다. 가장은 여성이지만, 마을 대표인 "카키타안(Kakitaan)"은 남성이 맡으며, 가장의 남편인 남성 원로 "마토아사이(Matoasai)"가 구성하는 원로회의가 마을을 운영한다.
이러한 분류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단순히 지리적 분포와 민족 이동에 근거한 것이다. 문화, 언어, 체격의 관찰된 차이와는 일치하지 않는다.[5]
3. 언어
4. 유전학
5. 문화
아미족의 축제에는 풍년제, 파종제, 어획제, 해제 등이 있다. 豐年祭중국어(ilisin, 이리신)은 가장 중요한 제의 의식으로 매년 여름에 행해진다. 기간은 2주 정도이며, 시기와 일수는 마을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남부의 타이둥현(台東縣)에서는 태양력 7월, 북부의 화롄현(花蓮縣)에서는 8월에 행해진다. 축제에서는 돼지를 잡아 모두가 고기를 나눠 먹고, 다채로운 의상을 입고 노래와 춤을 춘다.
10월부터 11월에 걸쳐, 아미어로 시카와사이(Sikawasai)라고 불리는 여성 샤먼 주최의 축제가 행해진다. 8~15세 아이들이 모여 열심히 춤을 추며, 축제 끝 무렵 반달 정도는 격렬하게 춤을 춘다. 그 사이에 트랜스 상태에 빠진 소녀가 차세대 샤먼으로 임명된다.
5. 1. 전통 의복
아미족의 전통 의복은 나무껍질, 바나나 섬유를 대나무 바늘로 엮어 만든 천, 아마포, 가죽 등으로 제작되었다. 20세기 들어 면화가 등장하면서 물물교환을 통해 면화를 얻어 전통 재료 대신 사용하게 되었고, 의복 형태도 변화했다.
의복 스타일은 화련과 대동 두 가지가 있다. 두 스타일 모두 머리 스카프, 가슴을 가리는 옷, 치마를 사용한다. 족장과 사제는 긴 옷과 등나무로 만든 머리 장식을 착용하여 신분을 구별했다. 또한 '알루포'(연인의 가방)라는 가방이 있는데, 어머니나 연인이 빈랑으로 만든 것으로 일상생활과 의례에 모두 사용된다. 알루포에는 전통적으로 빈랑, 석회석, 빈랑나무, 담배 파이프를 담았다.
전통적으로 아미족 의복은 검은색이었으나, 20세기 동안 "축제 분위기와 민족 관광과의 조화"라는 인식 때문에 점차 붉은색을 사용하는 경향으로 변화했다.[10] 목걸이 색깔은 서로 다른 아미족 공동체를 구별하는 역할을 하며, 꽃 장식 머리 장신구는 수확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사용된다.
5. 2. 전통
아미족 전통에서 가족의 재정 문제를 포함한 가족 일은 여주인이 결정한다. 가장 중요한 전통 의식은 수확제이다. 아미족 수확제는 신에게 감사를 표하고 다음 해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열리며, 매년 7월부터 9월까지 열린다.[9]
5. 3. 풍습
아미족은 모계 사회에 가까운 형태였기 때문에, 가족의 일은 여성이 주도하고 여성이 책임을 졌다. 모계 상속을 하기 때문에[16] 가업과 재산은 장녀가 계승하고, 그 이하의 우선순위도 여성 쪽에 있다. 또한 성도 모계의 성을 계승한다.
가장은 여성이지만, 한편으로 마을을 통솔하는 마을 대표인 “카키타안(Kakitaan)”은 남성이며, 가장의 남편인 남성 원로인 “마토아사이(Matoasai)”가 구성하는 원로회의가 마을을 운영한다. 마을의 남성은 성인식을 치르고 어른으로 인정되면 청년단인 “카퍼(Kappar)”에 입단한다. 카퍼는 세부적인 연령 계급인 “스랄(Sral)”로 나뉘며, 책임 등도 이 계급에 따라 결정된다. 기본적으로 아랫등급은 윗등급에 절대 복종한다.
각각의 “스랄”의 이름은 결성된 시대의 유행, 사건, 조의 동향에 따라 명명된다.
다음은 가수 곽영남(郭英男)을 배출한 '''타이둥시 마란(台東市馬蘭)'''의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후반에 걸친 스랄 이름 목록이다.
스랄명 | 의미 | 연대 |
---|---|---|
라 신신(La Sin-sin) | 방울。당시 칼자루를 방울로 장식하는 것이 유행했다. | |
라 토코스(La Tokos) | 산을 의미한다. 산처럼 엉덩이가 무겁고, 일을 하지 않는 조 | |
라 아벤(La Aven) | 아벤은 한족。이 해에 한족이 마을에서 쫓겨났다. | |
라 톤스(La Tons) | 톤스는 통역。끊임없이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를 하는 조. | |
라 츠쿠르(La Tzukur) | 고개를 숙이고, 결코 거만하지 않은 조. | 1938년 당시, 이 조에 소속된 남성 보틀(68세)이 마을 대표였다. |
라 리폰(La Ripong) | 리폰은 일본。조가 결성될 무렵, 처음으로 일본인이 타이둥에 나타났다. | |
라 크리(La Kri) | 크리는 쿨리。조가 결성될 무렵, 지볜 온천(知本温泉) 쪽으로 도로 건설의 노역에 나가게 되었다. | |
라 칭빈(La Ching-bin) | 칭빈은 기병. 마을에 기병이 나타났다. | |
라 사마이(La Samai) | 사마이는 나무 이름. 마을 대표가 빈랑(檳榔)의 대용이 되는 사마이 나무를 베게 했다. | |
라 순텐(La Sung-ten) | 순텐은 장정. 한족의 장정단이 입고 있던 붉은 바지가 신기했다. | |
라 혼테(La Honte) | 혼테는 황제(일본국 천황). 메이지 천황의 서거를 애도했다. | |
라 인파이(La Inpai) | 인파이는 훈장. 타이둥에 온 일본 고관이 훈장을 차고 있었기 때문. | 1976년 당시, 87~89세. |
라 츠킨(La Tzukin) | 츠킨은 독이 있는 물고기 이름. 이 물고기에 쏘인 사람이 있었기 때문. | |
라 우신(La U-sin) | 우신은 5전 은화. 이 무렵부터 유통되기 시작했다. | |
라 파자우(La Paju) | 파자우는 칼. 한족의 칼을 사용했기 때문. | |
라 토인(La Toin) | 타이완 북부의 타오위안시(桃園市)에 간 사람이 있었기 때문. | |
라 궁칸(La Gung-kan) | 이 해에 타이둥 항구에 일본군 군함이 입항했다. | 곽영남(郭英男)이 소속되었던 조이다. |
라 순토쿠(La Sun-toku) | 타이완 총독이 타이둥에 왔기 때문. | |
라 타이팍(La Taipak) | 타이베이에 단체로 여행을 갔기 때문. | 1976년 당시, 61~64세. |
라 크톤(La Kton) | 크톤은 “절반”의 의미. 역병이 유행하여 축제를 절반밖에 하지 못했다. | 1976년 당시, 57~61세. |
라 테호무쿠(La Tehomuku) | 테호무쿠는 “전복”. 해난 사고가 있었던 해에 결성된 조. | |
라 테부(La Tebu) | 테부는 “제방”. 이 해에 강의 제방 공사가 완료되었다. | |
라 민코쿠(La Min-koku) | 일본 패전으로 타이완이 중화민국에 편입된다. | |
라 탕크(La Tank) | 탱크(전차)가 행진한 해에 결성된 조. | |
라 쿤렌(La Kun-len) | 쿤렌은 징병 훈련. 이 해부터 징병이 시작된다. | |
라 징먼(La Chin-men) | 병역으로 진먼다오에 간다. | |
라 타이중(La Tai-chung) | 병역으로 타이중에 간다. | 1976년 당시, 37~39세. |
라 톈커(La Tien-ko) | 양전광(楊傳廣)이 세계 신기록을 세운다. | 1976년 당시, 34~37세. |
라 츠카츠이(La Tsukatsui) | 츠카츠이는 “흔들린다”는 의미. 이 해에 폭풍우에 휘말린다. | 1976년 당시, 30~33세. |
라 츠룽(La Tsung-t'ung) | 츠룽은 중화민국 총통. 이 해에 총통이 타이둥에 온다. | |
라 훈샤키(La Hun-sha-ki) | 훈샤키는 비행기. 비행기가 타이둥에 들어온다. | |
라 츠라스(La Ts'u-las) | 츠라스는 폭풍우. 이 해에 타이둥이 폭풍우에 휘말린다. | |
라 타이둥시(La Tai-tung-shi) | 타이둥에 시제가 시행된다. | 1976년 당시, 18~20세. |
[17][18]
아미족의 축제에는 풍년제, 파종제, 어획제, 해제 등이 있다.
豐年祭중국어(ilisin, 이리신)은 가장 중요한 제의 의식으로 매년 여름에 행해진다. 기간은 2주 정도이며, 시기와 일수는 마을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남부의 타이둥현(台東縣)에서는 태양력 7월, 북부의 화롄현(花蓮縣)에서는 8월에 행해진다. 축제에서는 돼지가 잡히고, 모두가 고기를 나눠 먹는다. 축제에서는 다채로운 의상을 입고, 노래와 춤이 행해진다.
또한 10월부터 11월에 걸쳐, 아미어로 시카와사이(Sikawasai)라고 불리는 여성 샤먼이 주최하는 축제가 행해진다. 여기에는 8~15세의 아이들이 모이며, 그들은 열심히 춤을 춘다. 특히 축제 끝 무렵의 반달 정도는 격렬하게 춤을 추며, 그 사이에 트랜스 상태에 빠진 소녀가 차세대 샤먼으로 임명된다.
6. 신화와 민화
아미족의 신화와 민화는 그들의 기원, 자연과의 관계, 사회 구조 등을 반영한다. 주요 신화와 민화는 다음과 같다.
- '''빛나는 소녀 티야마칸''': 아미족의 시조 탄생과 관련된 신화이다. 태양과 같은 존재인 티야마칸과 바다 신의 아들 페라라카스 사이의 사건, 그리고 대홍수 속에서 살아남은 남매가 아미족의 조상이 되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거대한 연의 끈에 묶인 바위''': 아미족 형제가 푸유마족에게서 탈출하는 과정을 그린 민화이다. 지혜와 용기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6. 1. 빛나는 소녀 티야마칸
티야마칸은 태어날 때부터 온몸이 태양처럼 빛나는 아름다운 여성이었다.어느 날 강에서 물을 긷던 중, 바다 신의 아들 페라라카스가 나타나 청혼했다. 티야마칸은 부모님과 상의 후 결정하겠다고 답했고, 페라라카스는 그녀를 도와 물 항아리를 옮겨주었다.
페라라카스는 티야마칸과 결혼하겠다고 강하게 요구했지만, 부모는 허락하지 않았다. 티야마칸을 숨기려 했지만, 그녀의 빛 때문에 숨길 수 없었다.
5일 후, 쓰나미와 함께 폭풍우가 몰아쳤고, 페라라카스는 티야마칸을 바다 신의 궁전으로 데려갔다.
티야마칸의 부모와 세 아들은 중앙산맥으로 피신했다. 넷째 아들 도치와 큰딸 라라칸은 절구를 타고 풍함향의 팔리만산에 정착하여 결혼했고, 이들이 아미족의 시조가 되었다. 이들은 남매였기에 처음에는 뱀, 거북이, 도마뱀, 개구리만 낳았다. 슬픔에 빠진 부부에게 태양신이 나타나 제사 의식을 가르쳐 주었고, 이후 인간 아이를 낳게 되었다.
큰아들 타디 아포는 타이야족의 시조, 둘째 아들 다다키욜로는 타이완 서부 평야 원주민(평포족)의 시조, 셋째 아들 아포톡은 부농족의 시조라는 전설도 있다.
아미족은 태양을 여성으로 여긴다. 이는 일본 기기신화의 아마테라스오미카미와 공통된다.[1]
6. 2. 거대한 연의 끈에 묶인 바위
옛날 아미족 형제 두 명이 배가 고파 푸유마족의 밭에서 사탕수수를 훔쳤다. 이를 푸유마족에게 들키자 형은 도망쳤지만, 동생은 붙잡히고 말았다.형은 거대한 연을 만들어 해변의 바위에 연줄을 묶고 연을 날렸다. 연이 바람에 흔들리며 “붕”하는 소리를 냈다. 푸유마족 사람들은 이상하게 여겨 집 밖으로 나와 하늘을 보고 놀랐다. 동생은 "만약 나를 풀어준다면, 보답으로 연을 가져가겠다"고 푸유마족 사람들을 설득했다. 동생은 풀려나자마자 뛰어올라 거대한 연을 타고 푸유마족으로부터 도망치는 데 성공했다.
동생은 푸유마족에게 잡혀 있는 동안 여러 가지 더러운 것을 먹었기 때문에, 형의 도움으로 그것들을 토해냈다. 그 구토물은 늪이 되었다. 한편 형이 연을 날리는 동안, 연을 조종하기 위해 온몸에 힘을 쏟은 나머지 발이 흙을 움직여 흙이 쌓여 언덕이 되었다.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푸유마족에게도 전해진다. 하지만 "형제 두 명"과 "형제를 잡는 자"의 역할은 아미족의 이야기와 반대이다.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음악 프로젝트 에니그마는 1993년 앨범 ''크로스 오브 체인지스''의 수록곡 "리턴 투 이노센스"에서 아미족의 창을 사용했다. 이 곡은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주제가로 사용되었으며, 디팡과 이가이 두아나(Difang and Igay Duana) 부부의 노래가 샘플링되었다.[1]
메종 데 컬처 뒤 몽드는 이전에 공연단의 노래를 녹음하여 CD를 발매했다. 이 곡은 이후 에니그마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노래와 가수의 민족적 기원은 언급되지 않았다. 녹음 스튜디오와 대만 그룹은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고, 에니그마는 법정 밖에서 합의를 보았다.[1]
궈잉난(디팡)과 그의 아내 이가이(궈시우주)가 1988년 파리에서 선보인 “노인 음주가”의 코러스가 사용되었다. 에니그마의 멤버 미하엘 크레투는 이 음원을 퍼블릭 도메인으로 오해했다고 주장했지만, 합의금 지급과 크레딧에 부부의 이름을 싣는 조건으로 재판은 종료되었다. 합의금은 대부분 아미족 문화 진흥을 위해 기부되었다.[1]
8. 노래
노래와 춤은 아미족의 특징이다. 마을에서는 리드미컬한 노래가 이어지고, 포크댄스와 같은 춤이 일상적으로 행해진다. 화롄의 「아미 문화촌」과 같은 관광 시설에서는 연애나 사냥 등 아미족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노래와 춤을 선보이는 어트랙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장전악, 스민(舒米恩), 이리 카오루(伊禮 俊郎)와 같은 가수들도 아미족 출신이 많다. 일제강점기 시대에도 명랑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고, 고사카 의용대에서도 그 성격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9. 일본과의 관계
일제강점기에 아미족은 동화정책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으며, 학교 제도 등에서 일본과 유사한 제도가 채택되었다.[19] 고사카 의용대의 일원이었던 나카무라 테루오는 타이둥 현둥허 향 출신의 일본 제국 육군 일등병이었다. 일본식 이름은 나카무라 테루오, 민족명은 스니용, 본명은 Attun Palalin(아트운 파랄린)이었으며, 후에 이광휘라는 한자 이름이 주어졌다. 그는 1974년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의 모로타이섬에서 타이완으로 귀환했다.[19]
10. 저명한 아미족 인물
아미족 출신 유명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예술가:''' 에이린, 탱크, 수밍, 디팡과 이가이 두아나, 리 타이샹, 증더핑 등 가수, 작곡가, 배우들이 포함된다.
- '''스포츠 선수:''' 양추안광, 궈싱쥔, 증리청, 양 다이강 등 올림픽 메달리스트와 야구 선수들이 있다.
- '''정치인:''' 마야오 둥이, 카울로 이윤 파시달, 콜라스 요타카, 아이창 파로드 등 원주민위원회 장관 및 입법원 의원을 역임한 인물들이 있다.
- '''기타:''' 테루오 나카무라와 같은 일본 제국 육군 군인, 린 만팅과 같은 축구 및 풋살 선수, 황웨이와 같은 가수, 배우, 진행자도 아미족 출신이다.


10. 1. 스포츠 선수
이름 | 종목 | 주요 경력 및 비고 |
---|---|---|
양추안광(楊傳廣중국어, 1933년~2007년) | 육상 (10종 경기) | 1960년 로마 올림픽 은메달리스트.[11] |
궈싱쥔(郭婞淳중국어, 1993년~) | 역도 | 2020년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11] |
양 다이강(陽岱鋼중국어, 1987년~) | 야구 | 후쿠오카 다이이치 고등학교 졸업, 2006년~2016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소속, 2017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소속.[11] |
증리청(曾櫟騁중국어, 1986년~) | 태권도 | 2012년 런던 올림픽 여자 57kg급 동메달리스트.[11] |
잉가 야오 | 야구 | |
위 창 | 야구 | |
천즈위안 | 야구 | |
궈다이치 | 야구 | |
오카무라 토시아키(岡村俊昭) | 야구 | 헤이안 중학교 및 일본대학 졸업, 난카이 호크스 소속, 1944년 타격왕, 은퇴 후 난카이 코치·2군 감독·스카우트 역임 |
양준한(楊俊瀚) | 육상 | 100m 달리기 및 200m 달리기 타이완 기록 보유자 |
궈위언즈(郭源治) | 야구 | 1981년~1996년 중일 드래곤즈 소속 |
천이신(陳義信) | 야구 | 중일 드래곤즈 및 슝디 엘레펀츠 소속 |
천융지(陳鏞基) (마야오·질로(Mayaw Ciro)) | 야구 | 통일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소속,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야구 경기 및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야구 중화민국 대표팀 참가 |
차오진후이(曹錦輝) | 야구 |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콜로라도 로키스 등 소속 |
양야오훈(陽耀勲) | 야구 | 2006년~2013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 |
양야오화(陽耀華) | 야구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여러 구단 소속 (양야오훈의 동생, 양다이강의 형) |
궈다이치(郭岱琦) | 야구 | 통일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소속,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야구 중화민국 대표팀 참가 |
황즈룽 | 야구 | 2010년~2011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2년~ 통일 세븐일레븐 라이온즈 소속 투수 |
장위청(張育成) | 야구 | CPBL 푸방 가디언즈 소속 |
쑹자하오(宋家豪) | 야구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소속 |
장이(張奕) | 야구 | CPBL 푸방 가디언즈 소속 |
10. 2. 예술가
- 디팡과 이가이 두아나: 부부 민속 음악 듀오이다.[11]
- 수밍: 배우, 가수, 작곡가이자 아미족 음악 축제 창립자이다.[11]
- 탱크: 가수. 푸유마족 혼혈이다.[11]
- 장진악(張震嶽): 가수이다.[11]
- 에이린: 가수, 작곡가이다.
- 반 판: 가수, 배우이다.
- 에흘로 황: 배우, 팝 그룹 183클럽 멤버이다.
- 잠 샤오: 가수이다.
- 일리드 카올로: 가수, 작곡가이다.
- 아얄 코모드: 가수이다.
- 쇼 로: 가수, 배우, 진행자이다.
- 리 타이샹: 작곡가 및 민요 작곡가이다.[11]
- 증더핑: 가수이다.[11]
- 시효영(施孝栄): 가수이다.
- 과영남(郭英男, Difang): 가수이다.
- 소지섭(羅志祥, 쇼우 루오): 연예인, 외가 쪽에 아미족 혈통이 있다.
- 황려령(黃麗玲, A-Lin): 가수이다.
- 소경등(蕭敬騰, 잠 샤오): 가수이다.
- 장성자(張聖子, 小露Lucia): 가수이다.
- 盧學叡|루학예중국어: 가수이다.
- 루징즈(盧静子): 가수. 아미족 이름은 체코(Ceko)이다. 1960~70년대에 가수로 활동하며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에서 공연했다. 원주민 가수(山地歌后)로 불리며 원주민 연예계 진출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2019년에 부활 콘서트를 개최했다.[20]
- 이리·가오로(Ilid Kaolo, 以莉.高露): 싱어송라이터이다.
- 아로·카리팅·파치랄(Ado' Kaliting Pacidal, 阿洛.卡力亭.巴奇辣): 가수, 배우, 사회자이다. 영화 「태양의 아들」(2015년)에 출연하여 주연을 맡았고, 금마장 신인상을 수상했다.
- Suming Rupi(舒米恩): 가수, 배우. 영화 「태양의 아들」 주제가 제작자이자 가수이다.
- Anu Kaliting Sadipongan(阿努·卡力亭·沙力朋安): 가수, 전통문화 및 모어 부흥 활동을 추진한다.
- 찰라우 바시왈리(Chalaw Basiwali, 查勞 巴西瓦里): 싱어송라이터이다. 마다가스카르 음악가 키레마와의 협업으로 제작된 앨범, 『玻里尼西亞 Polynesia』가 제19회 대만 금곡장 최우수 원주민어 앨범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10. 3. 정치인
콜라스 요타카는 입법원 의원, 행정원 대변인, 총통부 대변인을 역임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콜라스 요타카와 같이 원주민 출신 정치인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이들의 목소리가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이창 파로드는 원주민위원회 장관을 역임했다.[11]참조
[1]
뉴스
Amis Remains Taiwan's Biggest Aboriginal Tribe at 37.1% of total
http://focustaiwan.t[...]
The Central News Agency
2015-04-30
[2]
간행물
National Statistics, Republic of China
https://web.archive.[...]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DGBAS)
2006-08-30
[3]
웹사이트
Ami
http://www.ethnologu[...]
[4]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Chin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8
[5]
간행물
Banzoku Chōsa Hōkokusho
[6]
논문
Traces of Archaic Mitochondrial Lineages Persist in Austronesian-Speaking Formosan Populations
2005
[7]
논문
A Predominantly Indigenous Paternal Heritage for the Austronesian-Speaking Peoples of Insular Southeast Asia and Oceania
2001
[8]
논문
Genomic Insights Into the Demographic History of the Southern Chinese
2022-06-30
[9]
뉴스
Amis Harvest Festival Held in East Taiwan
https://web.archive.[...]
2011-04-08
[10]
웹사이트
Traditional Amis clothing restored through workshop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23-12-15
[11]
뉴스
Li Tai-hsiang, Composer of Olive Tree and Other Hits, Dies at Age 72
https://web.archive.[...]
2014-02-03
[12]
웹사이트
來源
http://www.apc.gov.t[...]
2020-06
[13]
간행물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f 200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eng.stat.gov.[...]
Directorate General of Budget, Accounting and Statistics, Executive Yuan, R.O.C. (DGBAS)
2006-08-30
[14]
논문
http://biology.plosj[...]
[15]
논문
http://hpgl.stanford[...]
[16]
웹사이트
http://www.ethnologu[...]
[17]
서적
高砂族の祭儀生活
1945
[18]
서적
シリーズ食文化の発見 粒食文化と芋飯文化
柴田書店
1981
[19]
뉴스
台湾出身の元日本兵
読売新聞
2013-02-09
[20]
웹사이트
原住民「開山」歌后 盧靜子重出江湖
https://www.rti.org.[...]
2020-06-13
[21]
웹사이트
リボク日記
http://www.fukyo.co.[...]
風響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