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피톡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피톡신은 벌의 독을 의미하며, 멜리틴, 포스포리파제 A2, 아돌라핀, 아파민,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MCD 펩타이드, 테르티아핀, 세카핀, 히스타민,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등의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 혼합물이다. 아피톡신은 잠재적인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이나, 관절염, 암, 다발성 경화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봉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양봉 - 꿀벌
    꿀벌은 Apis 속의 사회성 곤충으로, 꿀과 꽃가루를 먹으며 전 세계에 약 2만 종이 있고 작은꿀벌아속, 큰꿀벌아속, 꿀벌아속으로 나뉘며, 꿀과 밀랍을 얻기 위해 사육되거나 이용되고 화분 매개, 꿀, 밀랍, 로열젤리 생산, 문화와 예술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피톡신
일반 정보
꿀벌의 독침
꿀벌의 독침
학명Apitoxin
다른 이름꿀벌 독
성분
주요 성분멜리틴 (Melittin)
아파민 (Apamin)
포스포리파아제 A2 (Phospholipase A2)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Hyaluronidase)
기타 성분도파민 (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세로토닌 (Serotonin)
류코트리엔류코트리엔이 존재한다는 증거가 있음
특성
효능항염증 효과
면역 조절 효과
독성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용도
의학적 용도봉침 요법 (Bee sting therapy)에 사용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치료 연구
관절염 (Arthritis) 치료 연구
신경통 (Neuralgia) 치료 연구
기타
주의사항꿀벌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위험할 수 있음

2. 성분

벌독은 단백질과 작은 분자들의 복합 혼합물이다. 주 성분은 멜리틴이며, 벌독 내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40~75%를 차지한다.[14] 포스포리파제 A2는 약 10%를 차지하며, 면역세포 활동 억제와 연관성이 있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이다. 아돌라핀[15]은 펩타이드의 2~5%를 차지한다.[16][17] 국내에는 아피메즈(주)가 개발한 천연물 신약 1호 아피톡신주가 있다.

2. 1. 주요 펩타이드 및 단백질

멜리틴은 벌독 내 펩타이드 및 단백질의 40~75%를 차지하는 주성분이다.[14] 영어 문서 기준으로는 52%이다.[2] 포스포리파제 A2는 벌독의 주요 알레르겐 중 하나로, 약 10-12%를 차지하며 인지질가수분해를 촉매하여 세포막 분해를 일으키는 효소이다.[3] 면역세포 활동 억제와도 관련이 있다. 아돌라핀은 펩타이드의 2~5%를 차지한다.[4][15][5][6] 신경독인 아파민 (2%), 혈관을 확장시켜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벌독의 확산을 촉진하는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2%),[3] 비만 세포 탈과립 펩타이드 (2%), 테르티아핀, 세카핀은 벌독의 추가적인 단백질 성분이다.[7] 벌독 내의 작은 분자에는 히스타민 (0.1–1%), 도파민 및 노르아드레날린이 포함된다.[8]

2. 2. 기타 성분

벌독의 작은 분자에는 히스타민(0.1–1%),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이 포함된다.[8]

3. 연구

아피톡신은 등 잠재적인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이다.[18] 마크 크리스립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벌독이 관절염, , 다발성 경화증 등의 질병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없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9][10][11][12]

3. 1. 관절염 치료 효과

마크 크리스립은 감염성 질환 전문의로서 벌독이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을 검토했다. 그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벌독이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깨끗하고(비 TCPM 기반) 무작위적인 위약 대조 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라고 밝혔다.[9]

3. 2. 암 치료 효과

감염성 질환 전문의 마크 크리스립은 벌독이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며, 현재까지 이를 뒷받침하는 임상 연구는 없다고 하였다.[10] 미국 암 협회는 아피테라피 또는 벌독 요법이 암이나 다른 질병을 치료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11]

3. 3. 다발성 경화증 치료 효과

임상 실험 결과 아피테라피는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다발성 경화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12]

3. 4. 기타 연구

아피톡신은 등 잠재적인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이다.[18]

마크 크리스립은 감염성 질환 전문의로서 벌독이 관절염을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을 검토했다. 그는 "벌독이 관절염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깨끗하고 즉, 비 TCPM 기반의 무작위, 위약 대조 연구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라고 하였다.[9]

벌독은 또한 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며, 현재까지 그러한 효과를 뒷받침하는 임상 연구는 없다.[10] 미국 암 협회에 따르면, 아피테라피 또는 벌독 요법이 암이나 다른 질병의 경과를 치료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11] 임상 실험 결과 아피테라피는 다발성 경화증이나 다른 질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없으며 다발성 경화증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12]

참조

[1] 논문 Evidence for leukotrienes in animal venoms 1990-02
[2] 서적 Clinical toxicology of animal venoms and poisons https://archive.org/[...] CRC Press, Inc
[3] 논문 A Review of Honeybee Venom Allergens and Allergenicity 2021-08
[4] 논문 Apitoxin and Its Components against Cancer, Neurodegeneration and Rheumatoid Arthriti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2020-01
[5] 웹사이트 Adolapin http://ctdbase.org/d[...]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MDI Biological Laboratory and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7-08-24
[6] 논문 Venom Collection from Honey Bees 1963-10
[7] UniProt "[[UniProt]] P01501, P01500, Q08169, P01499, P56587, P02852"
[8] 논문 Bee and wasp venoms 1972-07
[9] 웹사이트 The Beekeeper: Sentinel Chicken? https://sciencebased[...] 2023-08-08
[10] 서적 American Cancer Society Complete Guide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ancer Therapies American Cancer Society
[11] 서적 American Cancer Society's Guide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ancer methods https://archive.org/[...] American Cancer Society
[12] 웹사이트 Bee Venom Therapy – Grassroots Medicine https://www.scienceb[...] 2008-11-26
[13] 저널 Evidence for leukotrienes in animal venoms 1990-02
[14] 서적 Clinical toxicology of animal venoms and poisons https://archive.org/[...] CRC Press, Inc
[15] 저널 Apitoxin and Its Components against Cancer, Neurodegeneration and Rheumatoid Arthriti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2020-01-21
[16] 웹인용 Adolapin http://ctdbase.org/d[...]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MDI Biological Laboratory and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7-08-24
[17] 저널 Venom Collection from Honey Bees http://dx.doi.org/10[...] 1963-10-11
[18] 저널 Effects of Animal Venoms and Toxins on Hallmarks of Canc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