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황산 수소 나트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수산화 나트륨 또는 탄산 수소 나트륨 용액을 이산화 황으로 처리하여 제조되는 무색 또는 흰색 분말이다. 유기 화학에서 알데히드 및 케톤의 정제, 식품 산업에서 첨가물 및 산화 방지제, 화장품 산업에서 환원제, 섬유 산업에서 탈염소제로 사용되며, DNA 메틸화 분석에도 활용된다.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될 때 안전성이 연구되었으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물질(GRAS)로 분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기화학용 시약 - 염화 아세틸
염화 아세틸은 아세틸화 반응에 사용되는 화학 물질로, 아세트산 무수물과 염화 수소의 반응 또는 아세트산과 염소화 탈수제의 반응으로 합성되며, 알코올 및 아민과 반응하여 에스터 및 아미드를 생성하고, 물과 반응하여 아세트산과 염화 수소로 분해된다. - 유기화학용 시약 - 하이포아인산
하이포아인산은 인의 옥소산으로, 환원제 및 산소 제거제로 사용되며, 가열 시 아인산과 포스핀으로 불균등화 반응을 일으키고, 메스암페타민 제조에 사용될 수 있어 규제 대상이며, 무전해 니켈 도금에 널리 사용된다. - 나트륨 화합물 - 몬모릴로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는 층상구조 점토광물로 이온 교환 능력과 높은 수분 흡수력을 가지며, 토목공학, 유화 작용, 티크소트로피 등의 특징을 보이고, 알칼리성 토양 및 열수 변질 작용으로 생성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와 환경 정화에 활용되며 인체 건강 및 환경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나트륨 화합물 - 염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은 염화물 이온과 나트륨 이온으로 구성된 백색 고체 이온 결정으로, 짠맛을 내며 융점은 800.4℃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겨울철 제설에도 활용되는 정염의 일종이다. - E 번호 첨가제 - 인산
인산은 화학식 H₃PO₄를 가지며, 인광석을 이용한 습식 또는 건식 공정으로 생산되어 비료, 식품 첨가물, 세제, 의약품, 금속 처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인 화합물이다. - E 번호 첨가제 -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은 화학식 CH3CH2COOH를 가지는 카복실산으로, 개미산과 아세트산의 중간적인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식품 및 사료의 방부제, 화학 물질 생산의 중간체, 의약품 및 살충제 제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지방산 및 아미노산 대사의 중간 생성물이다.
아황산 수소 나트륨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IUPAC 이름 | 아황산 수소 나트륨 |
다른 이름 | E222 아황산수소 나트륨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7631-90-5 |
UNII | TZX5469Z6I |
ChEBI | 26709 |
펍켐(PubChem) | 23665763 |
화학 스파이더(ChemSpider) ID | 571016 |
켐블(ChEMBL) | 1689285 |
스마일즈(SMILES) | [Na+].[O-]S(=O)O |
인치(InChI) | 1/Na.H2O3S/c;1-4(2)3/h;(H2,1,2,3)/q+1;/p-1 |
인치키(InChIKey) | DWAQJAXMDSEUJJ-REWHXWOFAL |
표준 인치(StdInChI) | 1S/Na.H2O3S/c;1-4(2)3/h;(H2,1,2,3)/q+1;/p-1 |
표준 인치키(StdInChIKey) | DWAQJAXMDSEUJJ-UHFFFAOYSA-M |
RTECS | VZ2000000 |
속성 | |
화학식 | NaHSO3 |
몰 질량 | 104.061 g/mol |
외형 | 흰색 고체 |
냄새 | 약간의 유황 냄새 |
밀도 | 1.48 g/cm3 |
녹는점 | 150 °C |
끓는점 | 315 °C |
용해도 | 42 g/100 mL |
굴절률 | 1.526 |
위험성 | |
NFPA 704 | H: 2 F: 0 R: 1 |
인화점 | 불연성 |
IDLH | 해당 없음 |
PEL | 해당 없음 |
REL | TWA 5 mg/m3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아황산 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아셀렌산 수소 나트륨 |
다른 양이온 | 아황산 수소 칼륨 |
2. 제법
아황산 수소 나트륨 용액은 수산화 나트륨이나 탄산 수소 나트륨 용액을 이산화 황으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4]
약 150°C에서 분해되는 흰색 분말이다. 이산화황 냄새가 난다. 물에 잘 녹으며(515g/L, 20°C), 수용액은 약산성(pH 3.5~5.0)을 띤다.[1]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SO2 + NaOH → NaHSO3
:SO2 + NaHCO3 → NaHSO3 + CO2
아황산 수소 나트륨을 결정화하면 피로아황산 나트륨(이황산 나트륨)(Na2S2O5)이 생성된다.[4]
피로아황산 나트륨을 물에 용해하면 아황산 수소 나트륨이 재생성된다.
:Na2S2O5 + H2O → 2 Na+ + 2 HSO3−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웰먼-로드 공법 과정에서 생성된다.[5] 탄산 나트륨 수용액에 이산화 황을 통과시켜 얻는다.
3. 성질
4. 용도
4. 1. 화학 반응
유기 화학에서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알데하이드나 고리형 케톤과 반응하여 부가체인 α-히드록시 술폰산을 생성한다.[16][17][18][19][20]
이 반응은 알데하이드를 정제하고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불순물이 섞인 알데하이드 용액에 아황산 수소 나트륨을 반응시키면 부가체 형태로 침전이 생성되고, 이를 여과하여 분리한다. 그 후, 탄산수소 나트륨이나 수산화 나트륨 등의 염기로 처리하면 역반응을 통해 아황산 수소 이온이 떨어져 나가면서 이산화 황이 발생하고, 동시에 순수한 알데하이드를 얻을 수 있다. 테트라론, 시트랄, 피루브산 에틸, 글리옥살, 2-메틸-3-페닐프로파날의 정제에 사용된 예가 알려져 있다.
시클로헥사논에 디아조메탄을 반응시키는 고리 확장 반응에서는 아황산 수소 나트륨이 주 생성물인 시클로헵타논에서 부 생성물인 시클로옥타논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21]
또한, 술포기가 떨어져 나가는 점을 이용하여, 부가체에 시안화물 이온을 반응시켜 α-시아노히드린으로 변환하는 반응도 알려져 있다.[22][23]
다른 용도로는, 아황산 나트륨과 같이 약한 환원제로 사용된다. 산화 반응 후 처리 시, 과량의 산화제, 염소, 브로민, 요오드 (Cl2, Br2, I2), 하이포아염소산 이온 (ClO−), 사산화 오스뮴 (OsO4), 삼산화 크로뮴 (CrO3), 과망가니즈산 칼륨 (KMnO4) 등에 첨가하여 불활성화할 수 있다.
공액 화합물이나 산화제에 의해 색이 강하게 나타날 때, 아황산 수소 나트륨을 첨가하여 탈색하기도 한다.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2-나프톨을 2-나프틸아민으로 변환하는 부히러 반응 (Bucherer reaction)과 2-나프톨과 페닐히드라진으로부터 벤조카바졸을 얻는 부히러 카바졸 합성 (Bucherer carbazole reaction)에 필수적인 시약이다.
4. 2. 식품 산업
아황산수소 나트륨은 알려진 설폰화 화합물로, 유럽 식품 안전청(EFSA)에서 식품 첨가물로서 안전한지 검토했다. 세계 보건 기구 식품 첨가물 전문가 위원회는 쥐와 생쥐를 사용한 임상 실험을 바탕으로 하루에 체중 1kg당 이산화황 0~0.7mg 상당량을 섭취하는 것은 인체에 해롭지 않다고 결론내렸다. 유전 독성 및 발암성도 조사했으나, 아황산염 관련 우려는 발견되지 않았다.[3]
식품 첨가물용 아황산수소 나트륨은 일반적인 흡수 장치에서 이산화황 가스와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결합해 생산할 수 있다. 식품 속 유리 아황산염 양을 분석하기 위해 모니에-윌리엄스형 방법,[10] 추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유동 주입 분석 등 여러 방법을 쓸 수 있다. 식품 산업에서 아황산수소 나트륨은 첨가물 및 산화 방지제로 쓰이며, 가공 식품 수명 연장에 기여한다.[3]
방글라데시에서는 찹쌀 백색도를 높이기 위해 아황산수소나트륨을 불법 사용하기도 한다.[24]
4. 3. 화장품 산업
아황산수소나트륨은 화장품에서 환원제로 작용하며, 모발 연화 및 스트레이트제로도 사용된다.[6] 1998년 기준으로 헤어 컨디셔너, 보습제, 염모제 등 58가지 다양한 화장품에 사용되었다.[7]
화장품에서 아황산수소나트륨의 환원 능력은 변색을 방지하고, 식품 전분을 표백하며, 제품의 부패를 지연시키는 데 사용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황산수소나트륨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GRAS) 화합물로 인정했다.[11]
여러 임상 연구를 통해 아황산수소나트륨은 화장품 제형에 사용해도 안전하다는 결론이 내려졌다.[11] 국제 암 연구 기관은 아황산수소나트륨이 발암 물질이라는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11]
4. 4. 섬유 산업
탈염소제는 차아염소산염 또는 염소계 표백 후 잔류 차아염소산염이나 염소를 분해하여 표백된 물질과의 지속적인 반응을 방지하고 손상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다.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탈염소제의 한 예이다.[11][12]
탈염소제는 염소를 사용한 화합물 표백이 표준적인 관행이기 때문에 섬유 산업에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과도한 차아염소산염 분해에 아황산 수소 나트륨을 사용하면 산업용으로 존재하는 농도에서 물과 접촉할 때 유해한 부산물이 발생할 수 있다.[12] 이러한 위험한 부산물과의 접촉 또는 아황산 수소 나트륨의 강한 농도와의 접촉은 환경과 피부에 해로울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강한 농도는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동물에게 해를 끼치며, 산업 노동자에게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12][13]
4. 5. DNA 분석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DNA 메틸화를 확인하기 위해 DNA의 시토신 염기를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
아황산 수소 나트륨은 시토신을 탈아미노화하여 우라실로 전환시키지만, 5-메틸시토신은 반응하지 않는다. DNA를 아황산 수소 나트륨으로 처리 후 PCR 증폭하면, 우라실은 티민으로, 5-메틸시토신은 시토신으로 바뀐 DNA가 생성된다. 이후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아황산 수소 나트륨 처리 전 서열과 비교하여 5-메틸시토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25]
5. 안전성 및 규제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아황산수소나트륨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해도 안전한지 검토하였으며, 세계 보건 기구 식품 첨가물 전문가 위원회는 하루에 체중 1kg당 이산화황 0-0.7mg 상당량을 섭취하는 것은 인체에 해롭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3] 유전 독성 및 발암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지 않았다.[3]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는 아황산수소나트륨은 이산화황 가스와 수성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반응시켜 생산된다. 식품에 함유된 유리 아황산염의 양은 모니에-윌리엄스형 방법,[10] 추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유동 주입 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3]
대한민국에서는 식품위생법에 따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사용 기준이 정해져 있다. 과도하게 섭취하면 알레르기 반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식품 첨가물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아황산수소나트륨과 같은 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간행물
PGCH 0561
[2]
논문
New Methods to Estimate Lattice Energies: Application to the Relative Stabilities of Bisulfite (HSO3−) and Metabisulfite (S2O52-) Salts
https://pubs.acs.org[...]
2003
[3]
논문
Scientific Opinion on the re-evaluation of sulfur dioxide (E 220), sodium sulfite (E 221), sodium bisulfite (E 222), sodium metabisulfite (E 223), potassium metabisulfite (E 224), calcium sulfite (E 226), calcium bisulfite (E 227) and potassium bisulfite (E 228) as food additives
2016
[4]
서적
Inorganic Syntheses
https://onlinelibrar[...]
1946
[5]
서적
Gas Purification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1997
[6]
논문
Hair straighteners: an approach based on science and consumer profile
2018-11-29
[7]
논문
Amended Safety Assessment of Parabens as Used in Cosmetics
http://dx.doi.org/10[...]
2020
[8]
논문
Chromosome Aberrations and Sister Chromatid Exchanges in Chinese Hamster Cells Exposed to Various Chemicals 2
https://academic.oup[...]
1977
[9]
논문
4-Week oral toxicity study of a combination of eight chemicals in rats: Comparison with the toxicity of the individual compounds
https://linkinghub.e[...]
1990
[10]
논문
Reevaluation of Monier-Williams method for determining sulfite in food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9-20
[11]
논문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Sodium Sulfite, Potassium Sulfite, Ammonium Sulfite, Sodium Bisulfite, Ammonium Bisulfite, Sodium Metabisulfite and Potassium Metabisulfite
http://ijt.sagepub.c[...]
2003-06-01
[12]
간행물
Denim processing and health hazards
https://linkinghub.e[...]
Elsevier
2022-05-11
[13]
논문
A Case of Contact Dermatitis Due to Sodium Bisulfite in an Ophthalmic Solution
https://onlinelibrar[...]
1997
[14]
서적
コットン・ウィルキンソン無機化学
培風館
1987
[15]
서적
Merck Index 13th
[16]
OrgSynth
β-Tetralone
[17]
OrgSynth
Pseudoionone
[18]
OrgSynth
Ethyl pyruvate
[19]
OrgSynth
Glyoxal bisulfite
[20]
OrgSynth
2-Methyl-3-phenylpropanal
[21]
OrgSynth
Cycloheptanone
[22]
OrgSynth
α-(''N'',''N''-Dimethylamino)phenylacetonitrile
[23]
OrgSynth
2-Methyl-2-(trimethylsiloxy)pentan-3-one
[24]
간행물
バングラディシュにおける食品安全の現状と課題
国際農林業労働協会
2024-09-30
[25]
논문
A genomic sequencing protocol that yields a positive display of 5-methylcytosine residues in individual DNA strands
1992
[26]
간행물
PGCH 056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