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아스 헤어초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아스 헤어초크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축구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SK 라피트 빈, SV 베르더 브레멘, FC 바이에른 뮌헨 등에서 뛰었고,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03경기에 출전하여 26골을 기록했다. 은퇴 후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미국, 이스라엘의 대표팀과 클럽팀을 지도했으며, 2023년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들링 출신 - 카를 비트겐슈타인
카를 비트겐슈타인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철강 재벌로, 러시아-튀르크 전쟁 당시 철도 레일 공급 계약으로 부를 축적하고, 이후 사업 확장을 통해 오스트리아 제국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예술 후원에도 힘썼다. - 이스라엘에 거주한 오스트리아인 - 파멜라 렌디바그너
파멜라 렌디바그너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감염 역학 및 백신 예방 분야에서 전문 의학자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보건여성부 장관과 사회민주당 대표를 역임했다.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루이스 페르난데스
루이스 페르난데스는 프랑스 축구 선수 및 감독으로, 선수 시절 프랑스 국가대표팀 미드필더로 UEFA 유로 1984 우승과 1986년 FIFA 월드컵 3위에 기여했으며,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우승을,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나훔 스텔마흐
나훔 스텔마흐는 "황금 머리"라는 별명을 가진 이스라엘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하포엘 페타 티크바의 리더로서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이스라엘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하며 국가 리그 6회 우승 등의 업적을 남겼다.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
출생일 | 1968년 9월 10일 |
출생지 | 빈, 오스트리아 |
키 | 1.84 m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해당 사항 없음 |
연도 | 1986–1992 |
클럽 | 라피트 빈 |
출장 | 133 |
골 | 33 |
연도 | 1988 |
클럽 | → 퍼스트 비엔나 (임대) |
출장 | 7 |
골 | 3 |
연도 | 1992–1995 |
클럽 | 베르더 브레멘 |
출장 | 94 |
골 | 26 |
연도 | 1995–1996 |
클럽 | 바이에른 뮌헨 |
출장 | 28 |
골 | 2 |
연도 | 1996–2001 |
클럽 | 베르더 브레멘 |
출장 | 142 |
골 | 32 |
연도 | 2002–2003 |
클럽 | 라피트 빈 |
출장 | 41 |
골 | 4 |
연도 | 2004 |
클럽 |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출장 | 27 |
골 | 4 |
전체 출장 | 472 |
전체 골 | 104 |
국가대표 경력 | |
연도 | 1988–2003 |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
출장 | 103 |
골 | 26 |
감독 경력 | |
연도 | 2005 |
클럽 | 오스트리아 (감독 대행) |
연도 | 2008–2009 |
클럽 | 오스트리아 (수석 코치) |
연도 | 2009–2011 |
클럽 | 오스트리아 U21 |
연도 | 2011–2016 |
클럽 | 미국 (수석 코치) |
연도 | 2015–2016 |
클럽 | 미국 U23 |
연도 | 2018–2020 |
클럽 | 이스라엘 |
연도 | 2021–2022 |
클럽 | 아드미라 바커 |
연도 | 2023–2024 |
클럽 | 대한민국 (수석 코치) |
2. 선수 시절
오스트리아 빈 출신으로, 지역 명문 라피트 빈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7-88 시즌에는 퍼스트 비엔나로 잠시 임대되기도 했으나, 곧 라피트 빈으로 복귀하여 주전 선수로 성장했다.[2] 이후 분데스리가의 베르더 브레멘에서 오랜 기간 활약했으며, 중간에 바이에른 뮌헨에서 한 시즌을 보내며 1996년 UEFA컵 우승을 경험했다.[3][4] 선수 생활 말년에는 라피트 빈으로 복귀했다가 메이저 리그 사커의 LA 갤럭시에서 2004년 은퇴를 선언했다.[5]
스타일리시한 공격형 미드필더였던 헤어초크는 정교한 프리킥 능력으로 유명했으며,[2] "알프스의 마라도나"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그는 라피트 빈의 주장을 맡았고, 1999년에는 클럽의 '20세기 최고의 팀'에 선정되었다. 베르더 브레멘 이적 초기에는 독일 대중지 빌트로부터 "'카이저'(황제, 베켄바워를 지칭)를 찾다가 '헤어초크'(독일어로 '공작')를 찾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큰 기대를 모았다. 당시 독일 대표팀 감독이었던 베르티 포크츠가 그의 기량을 높이 사 "앤디(헤어초크)가 독일인이었다면 좋았을 텐데"라고 말했다는 일화도 있으며, FC 바르셀로나의 영입 명단에도 포함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뛰어난 기술과 골 감각을 지녔지만, 수비 가담에는 소극적이어서 '시대에 뒤떨어진 판타지스타'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오른발 엄지발가락의 복합 골절 부상으로 인해 약 2년간 정상적인 플레이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88년 4월 그리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데뷔했으며,[6]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과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았다. 특히 1998년 월드컵에서는 이탈리아를 상대로 페널티킥 골을 기록했다.[6] 2002년 5월에는 안톤 폴스터의 기록을 넘어 오스트리아 대표팀 최다 출전 선수(당시 96경기)가 되었다.[7] 그의 최종 A매치 기록은 103경기 출전 26골이며,[9] 이 기록은 2022년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에 의해 경신되기 전까지 오스트리아 역대 최다 출전 기록이었다.[10] 오스트리아 올해의 축구 선수에 두 차례 선정되었다.
2. 1. 클럽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난 헤어초크는 지역 명문팀인 라피트 빈에서 1986년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2] 1986-87 시즌과 1987-88 시즌에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연속 우승을 경험했지만, 아직 경험이 부족하여 주전 선수로 활약하지는 못했다. 1987-88 시즌 동안에는 라이벌 팀인 퍼스트 비엔나로 임대되어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스프링 시즌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7경기에 출전해 3골을 기록하며 팀의 최종 4위 입성에 기여했다.1988-89 시즌 라피트 빈으로 복귀한 헤어초크는 점차 주전 게임 메이커로 자리 잡았다. 1991-92 시즌까지 라피트 빈 소속으로 공식전 145경기 33골을 기록하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2회 우승(1986-87, 1987-88), 1989-90 시즌 리그 3위, 오스트리아컵 2회 연속 준우승(1989-90, 1990-91) 등에 공헌했다. 섬세한 발 기술과 높은 득점 능력, 패스 센스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플레이를 선보이며 유럽 여러 클럽의 주목을 받았다.
1992년, 독일 분데스리가의 명문 SV 베르더 브레멘으로 이적했다. 오토 레하겔 감독의 지도 아래 첫 시즌인 1992-93 시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팀의 분데스리가 우승에 기여했다. 당시 독일 대중지 빌트는 "SV 베르더 브레멘은 '카이저'(황제, 베켄바워를 지칭)를 찾다가 '헤어초크'(독일어로 '공작')를 찾았다"고 평가하며 그의 잠재력을 높이 샀다. 베르더 브레멘 소속으로 1994-95 시즌까지 공식전 127경기 29골을 기록하며 1992년 UEFA 슈퍼컵 준우승, 분데스리가 1992-93 우승, DFB-포칼 1993-94 우승, 분데스리가 1994-95 준우승, DFL-슈퍼컵 2연패(1993, 1994) 등 팀의 성공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 시기 그는 분데스리가를 대표하는 미드필더 중 한 명으로 "알프스의 마라도나"라는 별명을 얻었다.
1995-96 시즌에는 같은 리그의 강호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했다. 공식전 35경기 4골로 개인적인 활약은 많지 않았지만, 팀의 분데스리가 1995-96 준우승과 1995-96년 UEFA 유로파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특히 UEFA컵 결승전에서는 지롱댕 드 보르도를 꺾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3][4]
한 시즌 만인 1996-97 시즌에 베르더 브레멘으로 복귀하여 2001-02 시즌 초반까지 활약했다. 이 기간 동안 공식전 177경기 39골을 기록하며 DFB-포칼 1998-99 우승과 1999-2000 시즌 준우승을 이끌었다. 헤어초크는 베르더 브레멘이 클럽 역사상 획득한 주요 타이틀의 상당 부분에 기여하며 팀의 중요한 선수로 평가받는다. 독일 분데스리가 통산 기록은 264경기 60골이다.
2002년, 친정팀인 라피트 빈으로 다시 복귀하여 2002-03 시즌까지 공식전 43경기 4골을 기록하며 팀의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4위 달성에 기여했다.
2004년에는 메이저 리그 사커 (MLS)의 LA 갤럭시로 이적하여 마지막 선수 생활을 보냈다. 지기 슈미트 감독 아래 좋은 활약을 펼쳤으나, 시즌 중반 감독 교체 후 출전 시간이 줄어들었고, 시즌 종료 후인 2004년 11월 10일, 18년간의 프로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은퇴를 발표했다.[5] LA 갤럭시 소속으로는 공식전 28경기 4골을 기록하며 팀의 MLS 2004 4강 플레이오프 진출에 일조했다.
스타일리시한 공격형 미드필더였던 헤어초크는 특히 정교한 프리킥 능력으로 유명했다. 그는 라피트 빈의 주장을 역임했으며, 1999년 라피트 빈의 '20세기 최고의 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뛰어난 기술과 골 감각을 지녔지만, 수비 가담에는 적극적이지 않아 때로는 시대에 뒤떨어진 판타지스타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대륙 | 기타 | 합계 | 참고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SK 라피트 빈 | 1986–8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 | 0 | 4 | 0 | [17] | ||||||||||||
1987–8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 | 0 | 5 | 0 | [17] | |||||||||||||
1988–8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1 | 5 | 2 | 0 | 13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3경기 3득점) | 3 | 36 | 8 | [17] | |||||||||
1989–9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5 | 3 | 1 | 0 | 6 | 0 | 12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2경기 5득점) | 5 | 34 | 8 | [17] | |||||||
1990–9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9 | 4 | 1 | 0 | 2 | 0 | 11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1경기 2득점) | 2 | 33 | 6 | [17] | |||||||
1991–9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1 | 8 | 12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2경기 3득점) | 3 | 33 | 11 | [17] | |||||||||||
합계 | 85 | 20 | 2 | 0 | 10 | 0 | 48 | 13 | 145 | 33 | – | ||||||||
퍼스트 비엔나 FC | 1987–8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7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7경기 3득점) | 3 | 7 | 3 | [17] | ||||||||||||
SV 베르더 브레멘 | 1992–93 | 분데스리가 | 33 | 10 | 3 | 1 | 3 | 0 | 2 (UEFA 슈퍼컵 2경기) | 0 | 41 | 11 | [17] | ||||||
1993–94 | 분데스리가 | 30 | 6 | 4 | 2 | 8 | 0 | 1 (DFL-슈퍼컵 1경기) | 0 | 43 | 8 | [17] | |||||||
1994–95 | 분데스리가 | 31 | 10 | 1 | 0 | 3 | 0 | 1 (DFL-슈퍼컵 1경기) | 0 | 36 | 10 | [17] | |||||||
합계 | 94 | 26 | 8 | 3 | 14 | 0 | 4 | 0 | 127 | 29 | – | ||||||||
FC 바이에른 뮌헨 | 1995–96 | 분데스리가 | 28 | 2 | 7 | 2 | 35 | 4 | [17] | ||||||||||
SV 베르더 브레멘 | 1996–97 | 분데스리가 | 29 | 15 | 3 | 0 | 1 | 1 | 0 | 0 | 33 | 16 | [17] | ||||||
1997–98 | 분데스리가 | 18 | 4 | 2 | 0 | 0 | 0 | 0 | 0 | 20 | 4 | [17] | |||||||
1998–99 | 분데스리가 | 27 | 3 | 3 | 0 | 3 | 2 | 0 | 0 | 33 | 5 | [17] | |||||||
1999–00 | 분데스리가 | 27 | 6 | 5 | 0 | 9 | 2 | 0 | 0 | 41 | 8 | [17] | |||||||
2000–01 | 분데스리가 | 32 | 2 | 1 | 1 | 6 | 1 | 0 | 0 | 39 | 4 | [17] | |||||||
2001–02 | 분데스리가 | 9 | 1 | 0 | 0 | 2 | 1 | 0 | 0 | 11 | 2 | [17] | |||||||
합계 | 142 | 31 | 14 | 1 | 21 | 7 | 0 | 0 | 177 | 39 | – | ||||||||
SK 라피트 빈 | 2001–0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2 | 1 | 1 | 0 | 0 | 0 | 0 | 0 | 13 | 1 | [17] | ||||||
2002–03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9 | 3 | 1 | 0 | 0 | 0 | 0 | 0 | 30 | 3 | [17] | |||||||
합계 | 41 | 4 | 2 | 0 | 0 | 0 | 0 | 0 | 43 | 4 | – | ||||||||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2004 | 메이저 리그 사커 | 27 | 4 | 0 | 0 | 0 | 0 | 1 (메이저 리그 사커 플레이오프 1경기) | 0 | 28 | 4 | [17] | ||||||
통산 기록 | 417 | 87 | 26 | 4 | 52 | 9 | 60 | 16 | 555 | 116 | – |
2. 2. 국가대표팀
1988년 4월 그리스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6] 같은 해 11월 2일, 튀르키예와의 199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포함해 2골을 기록했다.이후 오스트리아 대표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1990년 FIFA 월드컵과 199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참가했다. 특히 199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이탈리아를 상대로 페널티킥 골을 넣었다.[6]
2002년 5월 독일과의 경기에서 96번째 A매치를 치르며 안톤 폴스터가 가지고 있던 오스트리아 대표팀 최다 출장 기록을 넘어섰다.[7] 오스트리아 올해의 선수에 두 번 선정되기도 한 헤어초크는 오스트리아 대표팀에서 오랫동안 핵심적인 게임 메이커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마지막 A매치는 2003년 4월 스코틀랜드와의 친선 경기였다.[8]
헤어초크는 A매치 통산 103경기에 출전하여 26골을 기록했다.[9] 이 기록은 2022년 9월 26일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가 104번째 경기에 출전하며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오스트리아 선수 역대 최다 출전 기록이었다.[10]
== 국제 경기 득점 기록 ==
안드레아스 헤어초크의 국제 경기 득점 목록은 다음과 같다. 득점 및 결과는 오스트리아의 득점을 먼저 나열하며, 득점 열은 헤어초크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
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88년 11월 2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튀르키예 | 2–0 | 3–2 | 199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 | 3–0 | |||||
3 | 1989년 4월 11일 | 메르쿠어 아레나, 그라츠 | 체코슬로바키아 | 1–1 | 1–2 | 친선 경기 |
4 | 1992년 10월 28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이스라엘 | 1–0 | 5–2 | 199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5 | 2–0 | |||||
6 | 1993년 8월 25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핀란드 | 3–0 | 3–0 | 199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7 | 1993년 10월 13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소피아 | 불가리아 | 1–2 | 1–4 | 199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8 | 1993년 11월 10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스웨덴 | 1–1 | 1–1 | 199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9 | 1995년 3월 29일 | 슈타디온 레헨, 잘츠부르크 | 라트비아 | 1–0 | 5–0 | UEFA 유로 1996 예선 |
10 | 3–0 | |||||
11 | 1996년 10월 9일 | 로순다 스타디온, 스톡홀름 | 스웨덴 | 1–0 | 1–0 |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12 | 1996년 11월 9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라트비아 | 2–1 | 2–1 |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13 | 1997년 9월 6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스웨덴 | 1–0 | 1–0 |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14 | 1998년 6월 23일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 이탈리아 | 1–2 | 1–2 | 1998년 FIFA 월드컵 |
15 | 1999년 3월 10일 | 키분파르크, 장크트갈렌 | 스위스 | 1–0 | 4–2 | 친선 경기 |
16 | 4–2 | |||||
17 | 1999년 4월 28일 | 메르쿠어 아레나, 그라츠 | 산마리노 | 6–0 | 7–0 | UEFA 유로 2000 예선 |
18 | 1999년 10월 10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키프로스 | 3–1 | 3–1 | UEFA 유로 2000 예선 |
19 | 2000년 9월 1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이란 | 1–1 | 5–1 | 친선 경기 |
20 | 2001년 3월 28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이스라엘 | 2–1 | 2–1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1 | 2001년 8월 15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스위스 | 1–1 | 1–2 | 친선 경기 |
22 | 2001년 9월 5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0 | 2–0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3 | 2–0 | |||||
24 | 2001년 10월 27일 | 라마트간 스타디움, 라마트간 | 이스라엘 | 1–1 | 1–1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5 | 2002년 9월 7일 |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빈 | 몰도바 | 1–0 | 2–0 | UEFA 유로 2004 예선 |
26 | 2–0 |
선수 은퇴 후 여러 국가대표팀과 클럽팀에서 감독 및 코치 경력을 쌓았다. 주요 감독 경력 통계는 아래와 같다.
3. 지도자 경력
팀 시작 종료 기록 경기 승 무 패 승률 (%) 오스트리아 U-21 2009년 3월 4일 2011년 12월 31일 28 13 6 9 46.43 미국 U-23 2015년 1월 23일[11] 2016년 11월 22일 16 9 0 7 56.25 이스라엘 2018년 8월 1일[12] 2020년 6월 24일[14] 16 6 2 8 37.50 아드미라 바커 2021년 7월 1일 2022년 6월 30일 9 3 3 3 33.33 합계 69 31 11 27 44.93
3. 1.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은퇴 후 본격적인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2005년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대행을 맡았다. 이후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오스트리아 대표팀의 코치를 역임했다.
3. 2.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1년 미국 대표팀의 코치로 부임하여 2016년까지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을 보좌했다. 이 기간 동안 대표팀은 2013년 CONCACAF 골드컵 우승, 2014년 FIFA 월드컵 16강 진출, 2015년 CONCACAF 골드컵 4위,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4위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2015년 1월 23일에는 미국 U-23 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어[11] 2016년까지 겸임했다. 헤어초크가 이끈 U-23 대표팀은 2016년 하계 올림픽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했지만, 이후 열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콜롬비아에 패배하면서 8년 만의 올림픽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3. 3. 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2018년 8월 1일, 이스라엘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2] 하지만 헤어초크가 과거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이스라엘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막는 막판 골을 넣은 전적이 있어, 그의 선임은 논란을 일으켰다.[12] 이스라엘의 유명 미드필더였던 에얄 베르코비치는 "이 결정을 내린 사람은 즉시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외에는 임명에 대한 다른 설명이 떠오르지 않는다. 엄청난 수치다."라며 강하게 비판했다.[13]
감독 재임 기간 동안 UEFA 유로 2020 예선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으나, 스코틀랜드와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3-5로 패배하며 이스라엘의 사상 첫 유로 대회 본선 진출은 좌절되었다. 결국 2020년 6월 24일, 약 2년간의 감독직을 마치고 물러났으며, 그의 오스트리아 동료이자 당시 이스라엘 축구협회 스포츠 디렉터였던 빌리발트 루텐슈타이너가 후임 감독으로 임명되었다.[14]
3. 4.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2021년 6월 1일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자국 오스트리아로 돌아왔다. 이후 2년간 팀을 지도했으며, 감독직을 마친 뒤에는 영국 스카이 스포츠 채널의 축구 해설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3. 5.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23년 2월 27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제73대 사령탑으로 정식 부임한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호출을 받고 같은 해 3월 9일 대한민국 대표팀의 수석 코치로 합류하며 약 7년 만에 클린스만 감독과 재회했다. 이듬해 열린 2023년 AFC 아시안컵 4강에서 탈락한 이후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경질되면서 헤어초크 역시 대표팀 수석 코치직을 내려놓았다.
3. 6. 기타 경력
2021년 6월 1일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2년간 팀을 지도한 후, 영국 스카이 스포츠 채널의 축구 해설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4. 수상 내역
(내용 없음)
4. 1. 선수
'''클럽 경력 통계'''클럽 | 시즌 | 리그 | 컵 | 대륙 | 기타 | 합계 | 참고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SK 라피트 빈 | 1986–87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 | 0 | 4 | 0 | [17] | ||||||||||||
1987–8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5 | 0 | 5 | 0 | [17] | |||||||||||||
1988–89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1 | 5 | 2 | 0 | 13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3경기 3득점) | 3 | 36 | 8 | [17] | |||||||||
1989–90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5 | 3 | 1 | 0 | 6 | 0 | 12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2경기 5득점) | 5 | 34 | 8 | [17] | |||||||
1990–91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9 | 4 | 1 | 0 | 2 | 0 | 11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1경기 2득점) | 2 | 33 | 6 | [17] | |||||||
1991–9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1 | 8 | 12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12경기 3득점) | 3 | 33 | 11 | [17] | |||||||||||
합계 | 85 | 20 | 2 | 0 | 10 | 0 | 48 | 13 | 145 | 33 | – | ||||||||
퍼스트 비엔나 FC | 1987–88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7 (분데스리가 플레이오프 7경기 3득점) | 3 | 7 | 3 | [17] | ||||||||||||
SV 베르더 브레멘 | 1992–93 | 분데스리가 | 33 | 10 | 3 | 1 | 3 | 0 | 2 (UEFA 슈퍼컵 2경기) | 0 | 41 | 11 | [17] | ||||||
1993–94 | 분데스리가 | 30 | 6 | 4 | 2 | 8 | 0 | 1 (DFL-슈퍼컵 1경기) | 0 | 43 | 8 | [17] | |||||||
1994–95 | 분데스리가 | 31 | 10 | 1 | 0 | 3 | 0 | 1 (DFL-슈퍼컵 1경기) | 0 | 36 | 10 | [17] | |||||||
합계 | 94 | 26 | 8 | 3 | 14 | 0 | 11 | 0 | 127 | 29 | – | ||||||||
FC 바이에른 뮌헨 | 1995–96 | 분데스리가 | 28 | 2 | 7 | 2 | 35 | 4 | [17] | ||||||||||
SV 베르더 브레멘 | 1996–97 | 분데스리가 | 29 | 15 | 3 | 0 | 1 | 1 | 0 | 0 | 33 | 16 | [17] | ||||||
1997–98 | 분데스리가 | 18 | 4 | 2 | 0 | 0 | 0 | 0 | 0 | 20 | 4 | [17] | |||||||
1998–99 | 분데스리가 | 27 | 3 | 3 | 0 | 3 | 2 | 0 | 0 | 33 | 5 | [17] | |||||||
1999–00 | 분데스리가 | 27 | 6 | 5 | 0 | 9 | 2 | 0 | 0 | 41 | 8 | [17] | |||||||
2000–01 | 분데스리가 | 32 | 2 | 1 | 1 | 6 | 1 | 0 | 0 | 39 | 4 | [17] | |||||||
2001–02 | 분데스리가 | 9 | 1 | 0 | 0 | 2 | 1 | 0 | 0 | 11 | 2 | [17] | |||||||
합계 | 142 | 31 | 14 | 1 | 21 | 7 | 0 | 0 | 177 | 39 | – | ||||||||
SK 라피트 빈 | 2001–02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12 | 1 | 1 | 0 | 0 | 0 | 0 | 0 | 13 | 1 | [17] | ||||||
2002–03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29 | 3 | 1 | 0 | 0 | 0 | 0 | 0 | 30 | 3 | [17] | |||||||
합계 | 41 | 4 | 2 | 0 | 0 | 0 | 0 | 0 | 43 | 4 | – | ||||||||
LA 갤럭시 | 2004 | 메이저 리그 사커 | 27 | 4 | 0 | 0 | 0 | 0 | 1 (메이저 리그 사커 플레이오프 1경기) | 0 | 28 | 4 | [17] | ||||||
통산 기록 | 417 | 87 | 26 | 4 | 52 | 9 | 60 | 16 | 555 | 116 | – |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득점 및 결과는 오스트리아의 득점을 먼저 나열하며, 득점 열은 헤어초크의 각 득점 이후의 점수를 나타낸다''.
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1988년 11월 2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터키 | 2–0 | 3–2 |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
2 | 3–0 | |||||
3 | 1989년 4월 11일 | UPC-Arena, 그라츠 | 체코슬로바키아 | 1–1 | 1–2 | 친선 경기 |
4 | 1992년 10월 28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이스라엘 | 1–0 | 5–2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5 | 2–0 | |||||
6 | 1993년 8월 25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핀란드 | 3–0 | 3–0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7 | 1993년 10월 13일 | 바실 레프스키 국립 경기장, 소피아 | 불가리아 | 1–2 | 1–4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8 | 1993년 11월 10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스웨덴 | 1–1 | 1–1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9 | 1995년 3월 29일 | 슈타디온 레헨, 잘츠부르크 | 라트비아 | 1–0 | 5–0 | UEFA 유로 1996 예선 |
10 | 3–0 | |||||
11 | 1996년 10월 9일 | 로수다 스타디움, 스톡홀름 | 스웨덴 | 1–0 | 1–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12 | 1996년 11월 9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라트비아 | 2–1 | 2–1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13 | 1997년 9월 6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스웨덴 | 1–0 | 1–0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14 | 1998년 6월 23일 | 스타드 드 프랑스, 생드니 | 이탈리아 | 1–2 | 1–2 | 1998년 FIFA 월드컵 |
15 | 1999년 3월 10일 | 에스펜모스, 장크트갈렌 | 스위스 | 1–0 | 4–2 | 친선 경기 |
16 | 4–2 | |||||
17 | 1999년 4월 28일 | 아놀드 슈바르제네거-슈타디온, 그라츠 | 산마리노 | 6–0 | 7–0 | UEFA 유로 2000 예선 |
18 | 1999년 10월 10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키프로스 | 3–1 | 3–1 | UEFA 유로 2000 예선 |
19 | 2000년 9월 1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이란 | 1–1 | 5–1 | 친선 경기 |
20 | 2001년 3월 28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이스라엘 | 2–1 | 2–1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1 | 2001년 8월 15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스위스 | 1–1 | 1–2 | 친선 경기 |
22 | 2001년 9월 5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0 | 2–0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3 | 2–0 | |||||
24 | 2001년 10월 27일 | 라마트 간 경기장, 라마트 간 | 이스라엘 | 1–1 | 1–1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25 | 2002년 9월 7일 | 에른스트-하펠-슈타디온, 빈 | 몰도바 | 1–0 | 2–0 | UEFA 유로 2004 예선 |
26 | 2–0 |
'''수상'''
'''클럽'''
;SK 라피트 빈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1986-87, 1987-88
;SV 베르더 브레멘
;FC 바이에른 뮌헨
- UEFA 유로파 리그: 1995-96
'''개인'''
- 오스트리아 올해의 축구 선수: 1992
- ''키커'' 분데스리가 시즌의 팀: 1994-95
4. 2. 개인
참조
[1]
웹사이트
Herzog, Andreas
http://www.kicker.de[...]
kicker.de
2011-09-01
[2]
웹사이트
Andreas Herzog - Matches and Goals in Bundesliga
https://www.rsssf.or[...]
2016-06-17
[3]
뉴스
Advantage to Bayern
https://www.independ[...]
2014-09-13
[4]
뉴스
Bayern Munich wins UEFA Cup
https://apnews.com/3[...]
2014-09-13
[5]
뉴스
Galaxy's Herzog retires
https://news.google.[...]
2014-09-14
[6]
뉴스
Baggio strike seals top spot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09-13
[7]
뉴스
Österreich in BayArena chancenlos
http://derstandard.a[...]
2014-09-13
[8]
웹사이트
Andreas Herzog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2016-06-17
[9]
웹사이트
Austr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11-09-01
[10]
웹사이트
Austria 1-3 Croatia: Visitors reach Nations League semi- finals late double
https://m.allfootbal[...]
[11]
웹사이트
News & Stories | U.S. Soccer Official Website
http://www.ussoccer.[...]
[12]
뉴스
Andreas Herzog wird Nationaltrainer in Israel
https://kurier.at/sp[...]
2018-08-01
[13]
웹사이트
Reference at www.thejc.com
https://www.thejc.co[...]
[14]
웹사이트
Israel soccer coach Herzog leaves job after two years
http://www.xinhuanet[...]
2020-06-25
[15]
뉴스
Steckbrief des ÖFB-Rekordinternationalen
https://sport.orf.at[...]
2013-11-12
[16]
웹사이트
Gymnasium Draschestrasse: Herzog Andreas
https://www.grg23vbs[...]
2021-07-17
[17]
웹사이트
Andreas Herzog » Club matches
http://www.worldfoot[...]
2018-07-20
[18]
웹사이트
Deutscher Supercup, 1993, Finale
https://www.dfb.de/s[...]
dfb.de
2020-11-05
[19]
웹사이트
Deutscher Supercup, 1994, Finale
https://www.dfb.de/s[...]
dfb.de
2020-11-05
[20]
웹사이트
Bundesliga Historie 1994/95
http://www.kicker.de[...]
kick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