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츠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츠부르크는 오스트리아의 도시로, 잘차흐 강 유역에 위치하며, 알프스 산맥 북쪽 경계에 자리잡고 있다. '소금의 성'이라는 뜻의 이름처럼, 암염 채굴과 소금 생산으로 번성했으며, 로마 시대부터 도시가 형성되었다. 14세기 바이에른으로부터 독립하여 대주교령의 중심지가 되었고, 종교 개혁과 30년 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바로크 건축물과 구조물, 특히 잘츠부르크 대성당과 미라벨 정원이 유명하며,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출생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으며, '사운드 오브 뮤직' 촬영지이기도 하다. 현재는 관광, 스포츠,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연중 스포츠로는 축구, 겨울에는 스키가 인기 있으며, 잘츠부르크 페스티벌과 같은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잘츠부르크 - 사운드 오브 뮤직
사운드 오브 뮤직은 1956년 서독 영화 《트라프 가문》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뮤지컬로, 1959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었으며, 특히 1965년 영화가 큰 성공을 거두었고, 마리아 수녀와 폰 트라프 대령의 사랑, 안슐루스에 대한 저항을 그린 오스트리아 폰 트라프 가족 이야기이며, "사운드 오브 뮤직", "도레미송", "에델바이스" 등 유명한 뮤지컬 넘버들을 포함한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의 마지막 작품이다. - 오스트리아의 주도 - 빈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주도 - 린츠
린츠는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 주의 주도로, 다뉴브 강 연안의 상업 및 산업 도시이며, 로마 시대 요새에서 기원하여 중세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고, 2차 세계대전의 어두운 역사를 딛고 현재는 문화 도시이자 미디어 아트 중심지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도시이다. - 잘츠부르크주의 도시 - 할라인
할라인은 잘츠부르크 주 테넨가우 지역에 위치하며 소금 채취로 번성했고, 켈텐박물관과 고요한 밤 박물관 등의 문화 시설이 있는 도시이다. - 잘츠부르크주의 도시 - 잘펠덴암슈타이네르넨메어
잘펠덴암슈타이네르넨메어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북알프스 석회암 산맥 사이에 있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스포츠 활동이 활발하다.
잘츠부르크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공식 명칭 | 잘츠부르크 |
현지 명칭 | Salzburg |
유형 | 법정 도시 |
연방주 | 잘츠부르크 |
지구 | 법정 도시 |
면적 | 65.678 km² |
해발 고도 | 424 m |
인구 (2020년 10월 1일) | 157,24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 이름 | (남성), (여성) |
시간대 | CET |
일광 절약 시간제 | CEST |
UTC 오프셋 | +1 |
UTC 오프셋 (일광 절약 시간제) | +2 |
차량 등록 번호판 | S |
우편 번호 | 5020 |
지역 번호 | 0662 |
웹사이트 | www.stadt-salzburg.at/ |
행정 | |
시장 | 베른하르트 아우잉어 |
유네스코 세계 유산 | |
이름 | 잘츠부르크 역사 지구 |
![]() | |
기준 | 문화: (ii), (iv), (vi) |
ID | 784 |
지정 연도 | 1996년 |
면적 | 236 ha |
완충 지대 | 467 ha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잘츠부르크 |
도시 이름 (독일어) | Stadt Salzburg |
주 이름 (독일어) | Land Salzburg |
법정 도시 (독일어) | Statutarstadt |
과거 지명 | 잘츠부르크=움게붕구군 |
문화어 | 잘쯔부르그 |
2. 어원
"잘츠부르크(Salzburg)"라는 이름은 8세기 후반에 처음 기록되었다. Salz-|독일어로 "소금"de와 원서게르만어에서 유래한 -burg로 구성된다. "*burg*"는 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8]
잘츠부르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로, 시대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잘츠(Salz)는 "소금", 부르크(Burg)는 "요새"를 의미한다. 남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바트 듈른베르크(Bad Dürrnberg)에서 생산되는 암염을 할라인 시에서 제염하여, 대주교로부터 특권을 받은 라우펜(Laufen)의 선원들이 잘차흐 강을 통해 유럽 각지로 운송했다. 이 지역 대주교는 소금 운반량에 따른 통행세를 재원으로 삼았다. 이 때문에 듈른베르크의 소금이 지명의 어원으로 오해되고 있다. 그러나 독일어 지명 잘츠부르크(Salzburg)가 사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755년경에 성립된 『성 보니파티우스전』이다. 당시 잘츠부르크 주교는 바이에른 공으로부터 라이헨할(현 독일 영토)의 염천 및 소금 가마의 이익 일부를 받아 그걸 선교 재원으로 삼았다. 따라서 지명의 직접적인 유래는 라이헨할의 소금이라고 생각된다. 라이헨할, 할라인, 그리고 동쪽 이웃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주에 있는 할슈타트의 지명에 사용되는 할(Hall)은 켈트어로 소금을 의미하며, 이 일대에 분포하는 지하 암염이 옛 경제를 지탱했다는 역사가 있다. 참고로, 암염의 광물명 할라이트(Halite)도 여기서 유래한다.
3. 역사
'''고대'''에는 기원전 15년 경 고대 로마인들에 의해 여러 정착지가 하나로 합쳐져 "Juvavum"이라 불렸고, 서기 45년 무니시피움(Municipium) 지위를 얻었다. 700년 경에는 로마 관구가 설치되었고, 이후 바바리아를 관장하는 대교구가 되었다.
'''중세''' 시대, 696년 바이에른 공작 테오도 2세는 성 루퍼트에게 잘츠부르크 주변 영토를 기증하여 성 페터 수도원을 설립하게 했다. 798년 대주교구로 승격되었으며, 잘차흐 강을 통한 소금 운송으로 번영했다. 1077년 호엔잘츠부르크 요새(Hohensalzburg Fortress)가 건설되었고, 1167년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편에 선 플라인 백작이 잘츠부르크에 방화를 저질렀으나 점령에는 실패했다. 1200년에는 에버하르트 2세가 "영방 잘츠부르크의 아버지"로 불리며 영토를 확장했다.
'''근세''' 시대에는 15세기 후반 유대인들이 추방되었고,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이 일어나 호엔잘츠부르크 성이 포위되기도 했다. 볼프 디트리히 폰 라이테나우 대주교는 미라벨 정원 등 도시를 발전시켰으나, 1612년 바이에른과의 갈등으로 실각했다. 1727년에는 레오폴트 안톤 폰 필르미안 대주교가 신교도를 박해하여 많은 이들이 추방되었다. 1756년에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태어났다. 1803년까지 잘츠부르크 대주교가 통치했으나, 프랑스 혁명 이후 1803년 페르디난트 3세가 잘츠부르크 선제후가 되면서 대주교의 통치는 막을 내렸다.
'''근대'''에는 나폴레옹 전쟁 중 1809년 한때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바이에른 왕국에 편입되었으나, 1816년 빈 회의 결과 최종적으로 오스트리아에 합병되었다. 1938년 아돌프 히틀러에 의한 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 휘말렸고, 도시 일부가 파괴되었으나 바로크 양식 건축물은 대부분 보존되었다.
'''현대'''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의 폭격으로 일부 피해를 입었으나, 1965년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촬영지로 유명해졌다. 1996년 잘츠부르크 역사 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잘츠부르크의 근현대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연도 사건 1841년 "돔 음악 협회와 모차르테움" 설립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로 발전) 1842년 최초의 모차르트 축제(Mozartfest) 개최 1908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출생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잘츠부르크 축제극장 협회 설립 1920년 제1회 "잘츠부르크 음악제" 개최 1957년 잘츠부르크와 바트 이슐 사이의 소규모 지방 철도 폐지 1960년 새로운 축제 대극장 개장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 설계) 1965년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공개, 아카데미상 5개 부문 수상[55] 1996년 잘츠부르크 시가지의 역사 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3. 1. 고대
기원전 15년 경 고대 로마인들에 의해 여러 정착지가 하나로 합쳐졌다. 당시의 도시는 "Juvavum"이라고 불렸고, 서기 45년에는 무니시피움(Municipium)의 지위를 얻었다. 이 시기에 유대인 정착민들의 기록이 나타난다.[1]
700년 경에는 도시에 로마 관구가 설치되었고, 이후 바바리아를 관장하는 대교구가 되었다. 당시 이 도시의 경제는 암염 채굴을 통한 소금 생산에 기반했다. "Salz"는 소금을, "Burg"는 성을 뜻하는 독일어이며, 따라서 잘츠부르크라는 이름은 "소금의 성"을 의미한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강은 주변 산에서 채굴한 소금을 수송하는 대동맥의 역할을 했다.[1]
1077년에는 게브하르트 공의 명령으로 요새가 건설되었다. 15세기 후반에는 유대인들이 도시에서 추방되었다.[1]
잘츠부르크 지역은 신석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계속해서 거주되어 왔다. 라텐 문화 시대에는 노리쿰(Noricum) 왕국의 켈트족 알룸(Alums)의 행정 중심지였다.[4]
기원전 15년 로마의 침략 이후, 잘츠부르크 언덕 위의 여러 정착지는 구시가지 지역에 로마 도시가 건설됨에 따라 버려졌다. 새로 건설된 클라우디움 유바붐(Municipium Claudium Juvavum)은 서기 45년 로마의 무니키피움(municipium) 지위를 부여받았고, 이후 노리쿰(Noricum) 로마 속주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4] 잘츠(Salz)는 "소금", 부르크(Burg)는 "요새"를 의미한다. 남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바트 듈른베르크(Bad Dürrnberg)에서 생산되는 암염을 할라인(Hallein) 시에서 제염하여, 대주교로부터 특권을 받은 라우펜(Laufen)의 선원들이 할라인에서 잘차흐 강(Salzach)을 통해 유럽 각지로 운송했다. 이 지역 대주교는 소금 운반량에 따른 통행세를 재원으로 삼았다. 이 때문에 듈른베르크의 소금이 지명의 어원으로 오해되고 있다. 그러나 독일어 지명 잘츠부르크(Salzburg)가 사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755년경에 성립된 『성 보니파티우스전』이다. 당시 잘츠부르크 주교는 바이에른 공으로부터 라이헨할(현 독일 영토)의 염천 및 소금 가마의 이익 일부를 받아 그걸 선교 재원으로 삼았다. 따라서 지명의 직접적인 유래는 라이헨할의 소금이라고 생각된다. 라이헨할, 할라인, 그리고 동쪽 이웃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주에 있는 할슈타트의 지명에 사용되는 할(Hall)은 켈트어로 소금을 의미하며, 이 일대에 분포하는 지하 암염이 옛 경제를 지탱했다는 역사가 있다. 참고로, 암염의 광물명 할라이트(Halite)도 여기서 유래한다.[5]
서기 기원전 1800년 이전 신석기 시대부터 이미 헬브룬 산지, 카푸치나, 라인베르크에 인류의 발자취가 보이며, 청동기 시대에 일리리아인들이 핀츠가우와 퐁가우 계곡에서 광석을 채굴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철기 시대에는 잘츠부르크 사람들이 암염을 채굴하였고, 이후 할슈타트 문명으로 이어진다. 잘츠캄머구트의 바트 이슐 남쪽 52km에 있는 할슈타트에서는 기원전 10세기경 켈트인들의 묘지와 매장품이 발견되어 높은 수준의 문명이 존재했음이 밝혀졌다.[6]
기원전 14년, 로마 군대가 알프스를 넘어 침입한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는 속주 노리쿰(현재의 오스트리아) 각지에 도시가 건설되고 로마 문화가 꽃을 피웠다. 잘츠부르크의 원형인 오래된 켈트인들의 도시는 '''유바움''' 또는 '''유리쿰'''이라 불렸는데, 이 도시 또한 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유바움은 이탈리아와 바이에른을 잇는 길과, 벨스를 거쳐 린츠에 이르는 길의 분기점에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7]
3. 2. 중세
기원전 15년 경 고대 로마인들에 의해 여러 정착지가 하나로 합쳐졌으며, 당시 도시는 "Juvavum"이라고 불리었다. 서기 45년에는 무니시피움(Municipium)의 지위를 얻었다. 476년, 로마인들은 침입한 동고트족 앞에 후퇴하여 노리쿰(Noricum)을 포기했다. 유바움(Juvavum)은 게르만 민족에 의해 점령당하고 약탈당했는데, 이는 서로마 제국(西ローマ帝国)의 게르만계 용병대장 오도아케르(オドアケル) 시대의 일이다.
696년, 바이에른 공작 테오도 2세는 성 루퍼트 주교의 재능을 듣고 도나우 강 중류 지역 개척을 계획하면서 가톨릭 전파를 위해 그를 초빙했다. 그리고 키엠제(키엠 호수) 서쪽에서부터 잘차흐 강 상류 남쪽까지의 잘츠부르크 주변 영토를 기증하여 주교구 관할지로 삼도록 허락했다. 루퍼트는 이곳에 성 페터 수도원을 설립했다. 루퍼트는 초대 잘츠부르크 주교, 즉 잘츠부르크 교구의 영주가 된다. 잘츠부르크는 처음에 잘츠푸르흐(Salzpurch)라고 불렸다.
700년 경에는 도시에 로마 관구가 설치되었고, 이후 바바리아를 관장하는 대교구가 되었다. 739년부터 교구 주교의 자리가 되었고,[11] 798년부터 대주교구가 되었다.[11] 당시 이 도시의 경제는 암염 채굴을 통한 소금 생산에 기반했다. "Salz"는 소금을, "Burg"는 성을 뜻하는 독일어이며, 따라서 잘츠부르크라는 이름은 "소금의 성"을 의미한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강은 주변 산에서 채굴한 소금을 수송하는 대동맥의 역할을 했다.
최초의 대성당은 비르길리우스(Virgil) 대주교 시대에 건축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회는 최소한 9세기 초부터 존재했다.[12] 마리아 교회(Marienkirche)는 1139년에 세워졌다.
독일어 이름 잘츠부르크(Salzburg, 소금 성이라는 뜻)의 최초 사용은 73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때 빌리발트(Willibald)가 성 보니파티우스(Saint Boniface)에 의한 바이에른 교구 조직에 관한 보고서에서 이 이름을 사용했다.[13] 이 이름은 잘차흐 강(Salzach)을 따라 소금을 운반하는 배에서 유래했는데, 8세기에는 유럽의 많은 지역 사회와 도시에서 일반적이었던 것처럼 통행세가 부과되었다.
1077년에는 게브하르트 공의 명령으로 호엔잘츠부르크 요새(Hohensalzburg Fortress)가 건설되었다.[14] 이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 사이에 일어난 성직 서임권 투쟁 중에 대주교 게프하르트 1세가 황제파에 대항하기 위해 건설한 방어 시설이다. 이후 수세기 동안 크게 확장되었다.
잘츠부르크 주와 그 군들은 번영하는 염전과 광범위한 선교 활동으로 인해 바이에른 내에서 점점 더 많은 영향력과 권력을 얻게 되었다.[15] 996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3세(Otto III, Holy Roman Emperor)는 하르트비히(Hartwig) 대주교에게 시장 권리와 주화 발행권(아마도 통행세 법도 포함)을 임대했다. 도시 판사는 1120/30년 문서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잘차흐 강의 좌안에는 대성당, 대성당 북서쪽에 있는 주교 관저, 남쪽에 있는 대성당 수도원, 성 페터 수도원, 프라우엔가르텐(Frauengarten, 1583년에 해체된 이전 여성 수도원 이후에 지어짐) 등 광범위한 종교 지역이 조성되었다. 12세기가 되어서야 시민 정착지가 게트라이데가세(Getreidegasse), 아브츠가세(Abtsgasse, 지금은 지그문트 하프너 가세(Sigmund Haffner-Gasse)), 부두를 따라 확장되기 시작했다. 1280년경 최초의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다. 가장 오래된 도시 법률 문서는 1287년의 것이다.[16]
잘츠(Salz)는 "소금", 부르크(Burg)는 "요새"를 의미한다. 남쪽으로 15km 떨어진 바트 듈른베르크(Bad Dürrnberg)에서 생산되는 암염을 할라인(Hallein) 시에서 제염하여, 대주교로부터 특권을 받은 라우펜(Laufen)의 선원들이 할라인에서 잘차흐 강(Salzach)을 통해 유럽 각지로 운송했다. 이 지역 대주교는 소금 운반량에 따른 통행세를 재원으로 삼았다.
잘츠부르크는 798년에 대주교구로 승격되었다. 카란타니아 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슬라브족 지역에 대한 선교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아길로르핑가 역대 바이에른 공작과 여러 귀족들의 토지 기증 경쟁을 통해 대주교령은 남쪽으로는 드라우 강까지, 서쪽으로는 치러 계곡과 인 강까지, 동쪽으로는 헝가리(발라톤 호수)까지 확장되었다. 기독교와 손을 잡고 동쪽으로 확장하는 것은 907년 마자르족과의 전투에서 잘츠부르크 대주교 테오투마르 1세가 전사하면서 끝을 맺었다.
잘츠부르크 최초의 돔은 774년에 초기 로마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다음 주교인 비르길이 성당을 짓고, 그 후 도서관과 학교의 기초가 되었다. 잘츠부르크의 두 번째 돔은 1181년경 후기 로마 양식 건축으로 건설되었다. 알프스 이북에서는 유일하게 신랑이 5개인 바실리카 양식 건축으로, 독일 황제 성당과 혼합된 형식이다.
호엔잘츠부르크 성은 107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 사이에 일어난 성직 서임권 투쟁 중에 대주교 게프하르트 1세가 황제파에 대항하기 위해 건설한 방어 시설이다. 호엔잘츠부르크 성은 1500년경 레온하르트 폰 코이차흐 대주교 시대에 더욱 견고하게 강화되었다.3. 3. 근세
1077년 게브하르트 공의 명령으로 요새가 건설되었다. 15세기 후반에는 유대인들이 도시에서 추방되었다. 1803년까지 잘츠부르크 대주교는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의 통치자였다. 대주교 군주 계승자들은 도시를 가꾸어갔으며, 그 가운데 현재의 모습을 만드는 데에 큰 역할을 한 볼프 디트리히 폰 라이테나우가 유명하다. 그의 영향으로 잘츠부르크 성당과 미라벨 정원 등의 구조물이 건설되었다.
14세기 후반 바이에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잘츠부르크는 신성 로마 제국의 주교후국인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의 중심지였다. 종교 개혁 운동이 확산되면서 잘츠부르크와 그 주변 지역의 농민들 사이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독일 농민 전쟁 동안 도시가 점령되었고, 대주교는 요새로 피신해야 했다.[17] 1525년 3개월 동안 포위 공격을 받았다.
긴장이 완화되었고, 도시의 독립은 부와 번영으로 이어져 16세기 후반부터 18세기에 걸쳐 주교후국 대주교 볼프 디트리히 폰 라이테나우, 마르쿠스 시티쿠스, 파리스 로드론 치하에서 절정에 달했다. 17세기에 이탈리아 건축가들(그리고 바로크 양식을 공부한 오스트리아인들)이 오늘날과 같은 도시 중심부와 많은 궁전들을 재건축했다.[17]
볼프 디트리히 폰 라이테나우(재위: 1587년 - 1612년)는 이탈리아의 메디치가와 인척 관계에 있으며, 잘츠부르크의 "소 로마화"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독재 정치를 추진한 대주교는 살로메 알트(Salome Alt)를 위해 1606년에 알테나우 소성(후의 미라벨 궁전)을 짓고, 15명의 아이를 두었다. 라이테나우는 제염권을 둘러싸고 바이에른 공작 막시밀리안과 다투어 패배하고 1612년에 퇴위당한다. 그 후 호엔잘츠부르크 성에 유폐되어 5년 후인 1617년에 그 감옥에서 사망했다.
마르쿠스 시티쿠스 폰 호에네름스 (재위: 1612년 - 1619년)는 1613년부터 1619년에 걸쳐 이탈리아인 궁정 수석 건축가 산티노 솔라리에게 여름 별궁 헬브룬 궁전을 짓게 했다. 솔라리는 신대성당, 대학, 성 페터 수도원 교회, 카푸치너 교회, 프란치스카너 교회 등을 맡아 현재 잘츠부르크 시의 거리 모습을 만들었다. 이탈리아 바로크에서 오스트리아 바로크로의 변화를 가져온 것은 17세기 말의 피셔 폰 에를라흐(재위: 1656년 - 1723년)의 업적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삼위일체 교회, 콜레기엔 교회, 우르술리네 수녀회 교회, 성 요한 구호원 교회 등이 있다. 또한 이 무렵 도시는 잘차흐 우안으로 현저하게 확장되었고, 현재도 보존되고 있지만 멘히스베르크와 카푸치너베르크의 성채가 건설되었다. 1700년 이후 미라벨 궁전, 클레스하임 궁전과 로코코 양식의 레오폴츠크론 궁전이 건설되었다.
파리스 그라프 폰 로드론 (재위: 1619년 - 1653년)는 1623년에 베네딕트회의 종합대학(단, 의학부는 항상 개설된 것은 아니다)을 개교했다(창립 1617년). 유럽에서의 30년 전쟁에 휘말리지 않은 잘츠부르크는 남독일에서 많은 전쟁 피난민을 받아들였고, 여기에 학생들도 더해져 17세기 유럽 도시로서는 이례적으로 인구가 증가했다. 이 무렵 돔과 레지덴츠가 완성되었다. 17세기는 도시 내 건축물이 목조에서 석조로 변하기 시작한 시대라고 할 수 있다.
1727년, 레오폴트 안톤 폰 필르미안 (재위: 1727년 - 1744년)은 잔혹한 신교도 박해(Salzburger Exulanten)를 시작한다. 호엔잘츠부르크 성 지하 감옥이 가득 차 수용 장소가 없어지자 해외로 추방했다. 1731년부터 1733년 사이에 신교도 21,475명[54]이 추방되어 1만 명이 미국의 조지아주로, 다른 사람들은 프로이센과 리투아니아, 하노버로 이주했다. 전체 인구의 6분의 1에서 5분의 1을 차지했던 2만 명 이상의 신교도를 잃은 잘츠부르크에 대해, 그 절반 이상을 받아들인 프로이센은 강국으로 도약하게 된다.
프랑스 혁명의 발발은 영방 잘츠부르크의 운명을 크게 바꾸게 된다. 혁명 전쟁 중인 1797년, 캄포 포르미오 조약의 비밀 조항에서 공화정 프랑스는 합스부르크가가 이탈리아 내 지배지를 잃는 대가로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을 세속화하여 이것을 합스부르크가에 줄 것을 황제 프란츠 2세에게 약속하고 있었다. 1800년 12월 3일 호엔린덴에서 오스트리아군이 뼈아픈 패배를 당하자, 그 1주일 후인 12월 10일, 대주교 히에로니무스 폰 콜로레도는 헐레벌떡 영방에서 도망쳤다. 프랑스군의 점령을 거친 후 1803년 2월 11일에는 토스카나 대공이었던 페르디난트 3세가 잘츠부르크 선제후가 된다. 같은 날, 빈으로 망명했던 히에로니무스 폰 콜로레도는 잘츠부르크의 군주권 포기를 선언하고, 통치권을 가지지 않는 대주교가 되었다. 오랫동안 계속된 영주 대주교의 지배는 여기서 종언을 맞이하게 되었다.
3. 4. 근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도시는 다행히 연합군의 폭격으로부터 큰 피해를 받지 않았다. 비록 도시의 교량, 성당의 돔 등은 파괴되었지만, 바로크 양식의 많은 건축물들은 손상되지 않았다. 그 결과, 도시 자체의 양식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몇 안 되는 예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18]
1965년에는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이 잘츠부르크와 잘츠부르크 연방주에서 촬영되었다. 이 영화는 잘츠부르크의 수녀였던 마리아 폰 트랍이 귀족 가문과 동반해 독일의 점령으로부터 탈출했던 실제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영화는 오스트리아인에게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촬영지를 방문함으로써 영화를 되새기기 위해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많다.[55]
1731년 10월 31일, 95개조 논제 발표 214주년에 잘츠부르크 대주교 레오폴트 안톤 폰 피르미안 백작은 모든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에게 비가톨릭 신앙을 철회하도록 명령하는 추방령에 서명했다. 21,475명의 시민들이 신앙을 철회하기를 거부했고 잘츠부르크에서 추방당했다. 그들 대부분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의 제안을 받아들여 독일 전역을 가로질러 동프로이센의 새로운 보금자리로 향했다. 나머지는 유럽의 다른 프로테스탄트 국가들과 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에 정착했다.[18]
잘츠부르크는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09년 한때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나, 오스트리아가 나폴레옹에게 항복한 Schönbrunn 조약에 따라 바이에른 왕국에 편입되었다. 1816년, 빈 회의 결정에 따라 잘츠부르크는 최종적으로 오스트리아에 합병되었다. 1938년에는 아돌프 히틀러에 의한 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이 일어나, 잘츠부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에 휘말렸고 시내 각 구역과 돔이 폭격을 받았다. 전후에는 미군이 잘츠부르크에 사령부를 설치했다. 오스트리아는 독립을 회복하였고, 잘츠부르크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잘츠부르크의 근대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841년 | "돔 음악 협회와 모차르테움" 설립.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로 발전. |
1842년 | 최초의 모차르트 축제(Mozartfest) 개최. |
1908년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출생. |
1917년 |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잘츠부르크 축제극장 협회 설립. |
1920년 | 제1회 "잘츠부르크 음악제" 개최. |
1957년 | 잘츠부르크와 바트 이슐 사이의 소규모 지방 철도 폐지. |
1960년 | 새로운 축제 대극장 개장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 설계). |
1965년 |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공개, 아카데미상 5개 부문 수상.[55] |
1996년 | 잘츠부르크 시가지의 역사 지구가 세계유산으로 등재. |
3. 5.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잘츠부르크는 연합군의 폭격으로부터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도시의 다리와 성당의 돔 등이 파괴되었지만, 바로크 양식의 건축물은 대부분 온전하게 남아있었다. 그 결과 잘츠부르크는 바로크 양식을 잘 간직한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21]1965년에는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이 잘츠부르크와 잘츠부르크 연방주에서 촬영되었다. 이 영화는 잘츠부르크의 수녀였던 마리아 폰 트랍이 귀족 가문과 함께 독일의 점령으로부터 탈출했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비록 오스트리아인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영화 촬영지를 방문하며 영화를 추억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잘츠부르크는 새로운 독일 오스트리아의 일부가 되었다가, 1919년 생제르맹 조약 이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독일이 소련을 침공한 후, 소련 및 기타 적대국 포로들을 위한 여러 포로 수용소가 도시에 설치되었다.[21]
나치 점령 기간 동안, 잘츠부르크-막스글란에는 로마 수용소가 건설되었다. 이곳은 현지 산업에 노예 노동을 제공하는 노동 '교육' 수용소이자, 동유럽의 독일 점령 지역으로 이송되기 전 로마인들을 수용하는 중간 수용소였다.[21] 잘츠부르크에는 다하우 강제 수용소의 5개 분소도 있었다.[22]
연합군의 폭격으로 7,600채의 주택이 파괴되고 550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15차례의 공습으로 도시 건물의 46%가 파괴되었는데, 특히 잘츠부르크 기차역 주변 건물의 피해가 컸다.[21] 미군은 1945년 5월 5일 도시에 진입했고, 잘츠부르크는 미국 점령 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잘츠부르크에는 여러 피난민 수용소가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잘츠부르크는 잘츠부르크 주의 주도가 되었고, 오스트리아가 1955년 조약에 서명하여 민주적이고 독립적인 국가로 재건되고 이후 영구 중립을 선언함에 따라 미국군이 철수했다. 2006년 1월 27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여 잘츠부르크의 35개 교회가 오후 8시(현지 시간) 이후 종을 울렸고, 그 해 내내 주요 기념 행사가 열렸다.
2017년 기준 잘츠부르크의 1인당 GDP는 46100EUR로, 오스트리아와 대부분의 유럽 국가 평균보다 높았다.[23]
잘츠부르크는 1809년 한때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나, 나폴레옹 전쟁 중 오스트리아가 나폴레옹에게 항복한 쇤브룬 조약에 따라 바이에른 왕국에 편입되었다. 1816년, 빈 회의 결정에 따라 잘츠부르크는 최종적으로 오스트리아에 합병되었다. 1938년에는 아돌프 히틀러에 의한 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이 일어나, 잘츠부르크는 제2차 세계 대전에 휘말렸고 시내 각 구역과 돔이 폭격을 받았다. 전후에는 미군이 잘츠부르크에 사령부를 설치했다. 오스트리아는 독립을 회복하였고, 잘츠부르크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음은 잘츠부르크의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1841년 | "돔 음악 협회와 모차르테움" 설립 (현재의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 |
1842년 | 최초의 모차르트 축제(Mozartfest) 개최 |
1908년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출생 |
1917년 |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잘츠부르크 축제극장 협회 설립 |
1920년 | 제1회 "잘츠부르크 음악제" 개최 |
1957년 | 잘츠부르크와 바트 이슐 사이의 소규모 지방 철도 폐지 |
1960년 | 새로운 축제 대극장 개장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Clemens Holzmeister) 설계) |
1965년 |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공개, 아카데미상 5개 부문 수상[55] |
1996년 | 잘츠부르크 시가지의 역사 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
4. 지리
잘츠부르크는 알프스산맥 북쪽 경계의 잘차흐강 양쪽 기슭에 위치해 있다. 뮌헨으로부터 동쪽으로 약 150km, 빈으로부터는 서쪽으로 300km 거리에 있다. 남쪽의 산들은 북쪽의 구릉지대와 대조를 이룬다. 가장 가까운 알프스 산봉우리인 1972m 높이의 운터스베르크 산은 도시 중심부에서 16km도 채 떨어져 있지 않다. "구시가지"를 뜻하는 ''알트슈타트''는 바로크식 탑과 교회들, 그리고 거대한 호엔잘츠부르크 요새가 지배적인 특징이다. 이 지역은 뮌히스베르크와 카푸치너베르크라는 두 개의 작은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어 도시 내부에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잘츠부르크는 도시 중심부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맑은 잘차흐 강의 서쪽에 위치하며, 첸트룸이라고 불리는 구시가지와 강 동쪽에 위치한 신시가지로 나뉜다.
시애틀과 거의 같은 위도에 있으며, 해발 424m에 위치하고 인구는 15만 명이다. 남서쪽으로는 독일(Deutschland)령 베르히테스가덴(Berchtesgaden)과 접해 있으며,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서쪽으로 140km 거리에 뮌헨(München), 동쪽으로 300km 거리에 수도 빈(Wien)이 위치한다. 19세기 이후 오스트리아 지배하에 들어갔지만(그 이전에는 대주교가 통치하는 독일 제후국 중 하나로, 명목상의 신성 로마 제국을 제외하면 오스트리아와 대등한 독립 관계였다), 바로 직전에는 짧은 기간 동안 바이에른 왕국에 병합되었던 역사적 경위로 인해 비엔나보다도 독일 바이에른주(Bayern)와의 문화적 관계가 깊다.
오스트리아-독일 국경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잘츠부르크 대도시권은 때때로 (비공식적으로) 독일의 인접 지역인 프라이라싱(1923년까지 잘츠부르크호펜으로 알려짐), 아인링, 피딩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중교통 계획 및 여러 대중교통 노선은 국경을 넘나든다.
4. 1. 기후
잘츠부르크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서안 해양성 기후(Cfb)에 해당한다. 하지만,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이 -3°C를 넘기 때문에 온난 습윤 대륙성 기후(Dfb)로 분류될 수도 있다. 알프스산맥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강수량이 비교적 많으며, 특히 여름철에 집중된다. 지역 방언으로 이슬비를 'Schnürlregen'이라고 부른다. 겨울과 봄에는 강한 푄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3.4°C | 6.2°C | 10.2°C | 15.7°C | 19.3°C | 23.2°C | 24.3°C | 24°C | 19.9°C | 14.4°C | 8.5°C | 4°C | 14.4°C |
일 평균 기온 (°C) | 0°C | 1.6°C | 5.7°C | 10.1°C | 14.4°C | 17.9°C | 19.6°C | 19.4°C | 15°C | 10.4°C | 4.8°C | 0.9°C | 10°C |
평균 최저 기온 (°C) | -3.6°C | -2.8°C | 0.7°C | 4.3°C | 8.3°C | 12.5°C | 13.8°C | 13.6°C | 10.1°C | 5.6°C | 0.9°C | -2.5°C | 5.1°C |
역대 최고 기온 (°C) | 20.8°C | 21.7°C | 24.9°C | 30.3°C | 34.1°C | 35.7°C | 37.7°C | 36.6°C | 33.3°C | 28.2°C | 24.1°C | 19.1°C | 37.7°C |
역대 최저 기온 (°C) | -30.4°C | -30.6°C | -21.6°C | -9.2°C | -3.4°C | -0.1°C | 3.7°C | 2°C | -3°C | -8.3°C | -18°C | -27.7°C | -30.6°C |
평균 강수량 (mm) | 59mm | 53mm | 87mm | 78mm | 115mm | 151mm | 158mm | 164mm | 112mm | 73mm | 72mm | 72mm | 1195mm |
평균 적설량 (cm) | 20cm | 19.5cm | 11.5cm | 1.4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6cm | 6.5cm | 18.8cm | 78.3cm |
평균 강수일수 (≥ 1mm) | 14.6 | 12.2 | 5.6 | 0.8 | 0.0 | 0.0 | 0.0 | 0.0 | 0.0 | 0.2 | 3.8 | 10.0 | 47.2 |
평균 상대 습도 (%) | 71.7 | 63.5 | 56.1 | 50.5 | 53.0 | 54.6 | 53.2 | 55.0 | 59.3 | 62.9 | 71.1 | 73.9 | 60.4 |
월 평균 일조 시간 | 67.0 | 91.9 | 130.0 | 152.6 | 196.4 | 193.9 | 221.1 | 202.8 | 167.7 | 129.7 | 81.2 | 62.8 | 1697.1 |
5. 인구
연도 | 인구 |
---|---|
1869 | 27,858 |
1880 | 33,241 |
1890 | 38,081 |
1900 | 48,945 |
1910 | 56,423 |
1923 | 60,026 |
1934 | 69,447 |
1939 | 77,170 |
1951 | 102,927 |
1961 | 108,114 |
1971 | 129,919 |
1981 | 139,426 |
1991 | 143,978 |
2001 | 142,662 |
2011 | 145,270 |
2021 | 154,604 |
잘츠부르크의 공식 인구는 1935년 인근 지자체들을 흡수하면서 크게 증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난민들이 이 도시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았다. 전후 점령군인 미군 병사들을 위한 새로운 주택이 건설되었고, 그들이 떠난 후 난민들을 위해 사용되었다. 1950년경 잘츠부르크는 10만 명의 시민을 넘어섰고, 2016년에는 15만 명에 도달했다.
잘츠부르크에는 독일, 보스니아, 세르비아, 루마니아계 주민들이 대규모로 거주하고 있다.
2021년 1월 1일 기준 최대 이민자 그룹:
국적 | 인구 |
---|---|
독일|독일de | 7,816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s | 5,189 |
세르비아|세르비아sr | 4,805 |
루마니아|루마니아ro | 2,914 |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hr | 2,521 |
튀르키예|튀르키예tr | 2,457 |
시리아|시리아ar | 1,947 |
아프가니스탄|아프가니스탄fa | 1,686 |
헝가리|헝가리hu | 1,595 |
이탈리아|이탈리아it | 1,197 |
6. 문화
잘츠부르크는 1960년대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촬영지로 유명하다. 이 영화는 귀족 가정과 함께 생활하다 독일의 오스트리아 합병을 피해 도망친 마리아 폰 트랍의 실화를 바탕으로 하며, 잘츠부르크와 잘츠부르크 주의 여러 곳에서 촬영되었다.
1989년 영화 《인디아나 존스와 최후의 성전》에서는 인디아나 존스가 잘츠부르크를 지나가는 장면이 잠시 등장한다. 또한, 2010년 영화 《나이트 앤 데이》에서는 잘츠부르크가 영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배경으로 등장한다.
잘츠부르크는 오스트리아 범죄 드라마 시리즈 《슈토킹거》와 오스트리아-독일 합작 텔레비전 범죄 드라마 시리즈 《더 패스》의 배경이 되기도 한다.
잘츠부르크에는 다음과 같은 특색있는 음식들이 있다.
- 모차르트쿠겔(Mozartkugel)
- 보스나(Bosna)
- 잘츠부르거 노켈른(Salzburger Nockerln)
- 슈티프츠켈러 산クト페터(Stiftskeller St. Peter)
6. 1. 건축
로마네스크 양식과 고딕 양식의 교회, 수도원, 초기 목조 주택들이 오랫동안 잘츠부르크의 중세 도시 모습을 이루었다. 콘라트 폰 비텔스바흐 대주교 시절의 대성당은 알프스 북쪽에서 가장 큰 바실리카였다. 프란치스코 수도원 교회의 합창단은 한스 폰 부르크하우젠이 공사를 시작하고 슈테판 크루메나우어가 완공했는데, 남부 독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고딕 양식 종교 건축물 중 하나로 손꼽힌다. 고딕 시대 말에는 논베르크 수도원, 성 베드로 수도원의 마가레타 예배당, 성 조지 예배당, 호엔잘츠부르크 성의 "호어 스톡" 홀들이 건설되었다.[31]대주교 볼프 디트리히 폰 라이테나우는 빈첸초 스카모치의 영향을 받아 중세 도시를 후기 르네상스 건축 이상에 맞춰 변화시키려 했다. 스카모치가 계획한 대규모 성당은 대주교의 몰락으로 실현되지 못했지만, 산티노 솔라리가 계획한 두 번째 성당은 잘츠부르크 최초의 초기 바로크 양식 교회로 건립되어 남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많은 교회 건축에 본보기가 되었다. 마르쿠스 시티쿠스와 파리스 폰 로드론은 헬브룬 궁전, 대주교의 거주지, 대학교 건물, 요새 등 주요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 재건을 이어갔다. 지오반니 안토니오 다리아는 대주교 귀도 폰 툰의 명령에 따라 주택 우물 건설을 관리했고, 같은 대주교의 명령으로 지오반니 가스파레 추칼리는 도시 남쪽에 에르하르트 교회와 카예탄 교회를 건설했다. 요한 베른하르트 피셔 폰 에를라흐가 설계하고 대주교 요한 에른스트 폰 툰이 기증한 건물들로 도시 재설계가 완료되었다.[31]
에른스트 폰 툰 시대 이후 도시 확장은 중단되었고, 이 때문에 로코코 양식의 교회는 건립되지 않았다. 지기스문트 폰 슈라텐바흐는 "지그문트슈토어" 건설과 성당 광장에 성모 마리아상 건립을 이어갔다. 옛 잘츠부르크 대주교구가 상오스트리아, 바이에른(루퍼티가우), 티롤(질러탈 마트라이)로 몰락하고 분할되면서 도시는 긴 침체기를 겪었다. 이 침체기는 그륀더차이트 시대가 도시 개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건축업계의 거장 야코프 체코니와 카를 프리헤어 폰 슈바르츠는 이 시대 도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31]
잘츠부르크에서는 클래식 모더니즘 건축물, 특히 전후 모더니즘 건축물을 흔히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린처가세 22번지에 있는 자른부르젠 주택, 레오폴드스크론의 공중목욕탕 "레피"(1964년 건축), 1957년에 건립되어 2001년 새 건물로 대체된 잘츠부르크의 원래 회의센터가 있다. 클레멘스 홀츠마이스터가 설계하여 1960년에 개관한 그로세 페스트슈필하우스는 이 시대 건축의 중요하고 유명한 사례이다.
잘츠부르크 구시가지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위를 위협하지 않고 현대 건축물을 추가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몇몇 새로운 건축물들이 추가되었다. 바로크식 미라벨 정원에 있는 모차르테움(건축가: 로베르트 레케나우어),[32] 2001년 완공된 컨그레스 하우스(건축가: 프리메이슨), 2011년 완공된 우니파크 논탈(건축가: 슈토르흐 엘러스 파트너스), 2001년 완공된 "마카르트슈테크" 다리(건축가: HALLE1), 잘츠부르크 구시가지 중심부에 위치한 크리스티네 레히너와 호르스트 레히너 건축가의 "주거 및 스튜디오 하우스"(2010년 잘츠부르크 건축상 수상작)[33][34] 등이 있다. 구시가지 외부에는 과학대학 건물(잘츠부르크 대학교 – 건축가: 빌헬름 홀츠바우어)이 녹지 공간 가장자리에 세워져 있으며, 잘츠부르크 공항에 있는 레드불 행가 7(건축가: 볼크마르 부르크슈탈러[35])의 블롭 건축 양식과 디트리히 마테쉬츠의 플라잉 불스와 유로파크 쇼핑센터(건축가: 마시밀리아노 푹사스) 등 현대 건축의 다른 예시들을 찾아볼 수 있다.
잘츠부르크는 도시 중심부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맑은 잘차흐 강을 기준으로 서쪽의 구시가지(첸트룸)와 동쪽의 신시가지로 나뉜다. 신시가지에는 미라벨 궁전과 정원(1606년), 주립극장(1776년), 성 안드레 교회(1898년), 모차르테움(국제 모차르테움 재단 건물, 1914년), 잘츠부르크 인형극단이 공연되는 미라벨 카지노가 있다. 마카르트 광장에는 모차르트의 주택(1774년 구시가지 생가에서 이주)과 크리스티안 도플러의 생가가 있다.
마카르트 다리 또는 슈타츠 다리를 건너 구시가지로 들어가면 모차르트의 생가가 있는 게트라이데 거리가 나온다. 구시가지에는 잘츠부르크를 지배했던 대주교의 주택인 레지덴츠가 있고, 동쪽에는 두 개의 탑이 있는 돔(대성당)이 있으며, 레지덴츠 광장, 모차르트 광장으로 이어진다. 돔 남쪽에는 큰 성 페터 교회, 서쪽에는 음악제에 사용되는 축제 대극장, 모차르트를 위한 극장(구 축제 소극장), 페르젠라이트슈레(암벽에 인접한 승마학교 터의 콘서트홀)가 있다.
도시 남쪽 고지대에는 호엔잘츠부르크 성이 있다. 멘히스베르크 구릉의 고지대는 구시가지 남쪽을 1.3km에 걸쳐 이어지며 높이는 약 50미터이다(최고 고도 508미터). 1077년에 요새로 지어진 이 성은 레온하르트 폰 코이차흐 대주교(재임 1495~1519년) 시대에 크게 확장되었다. 병영이나 감옥으로 사용되었지만, 외부에 점령된 적이 없어 유럽 중세의 모습을 완벽하게 보존한 희귀한 사례이다. 확장 공사는 1681년에 완공되었다. 성까지는 1892년에 개통된 케이블카를 타거나 걸어서 오를 수 있다. 성에서는 시가지와 부르크호프(성의 안마당)의 남쪽 전망을 볼 수 있으며, 운터스베르크 산이 아름답게 내려다보인다.
케이블카 아래 역에서 동쪽으로 가면 1471년에 완성된 농베르크 수녀원이 있는데, 이 수녀원은 고대 기원 700년경에 창설되었다.
잘츠부르크 구시가지 및 기타 역사적 건축물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잘츠부르크 시가지의 역사 지구"로 등록되어 있다.
6. 2. 관광 명소
잘츠부르크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며, 성수기에는 현지 주민보다 방문객 수가 더 많을 때도 있다.'''구시가지'''
- 잘츠부르크 시 역사 지구(Historic center of the city of Salzburg)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잘츠부르크 대성당(Salzburg Cathedral)과 미라벨 정원 등 바로크 양식 건축물과 구조물들이 유명하다.
- 펠젠라이츠슐레(Felsenreitschule)는 잘츠부르크 대성당 건설에 사용된 채석장에 지어진 야외극장이다.
- 프란치스카너키르헤는 1208년에 지어진 잘츠부르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며, 1642년부터 프란치스코 수도회에서 사용하고 있다.
- 게트라이데가세(Getreidegasse)는 높은 타운하우스가 많은 번화한 좁은 쇼핑 거리이다.
- 그로세 페스트슈필하우스(Großes Festspielhaus)는 1960년에 지어진 오페라 하우스이자 콘서트홀로, 매년 열리는 잘츠부르크 페스티벌(Salzburg Festival)을 위해 건설되었다.
- 모차르트 하우스(Haus für Mozart)는 이전에는 ''클라이네 페스트슈필하우스''였던 오페라 하우스이자 1925년에 지어진 콘서트홀이다.
- 호엔잘츠부르크 요새(Hohensalzburg Fortress)(''Festung Hohensalzburg'')는 구시가지를 내려다보는 유럽에서 가장 큰 성 중 하나이다.
- 성삼위일체 교회(''Dreifaltigkeitskirche'')는 1694년에 지어졌다.
- 골데너 히르슈 호텔(Hotel Goldener Hirsch)은 적어도 1407년부터 있던 ''게트라이데가세'' 건물에 위치한 5성급 호텔이다.
- 콜레기엔키르헤는 잘츠부르크 대학교(University of Salzburg)의 바로크 양식(Baroque architecture) 교회이다.
- 미라벨 궁전(Mirabell Palace)(''Schloss Mirabell'')은 1606년에 지어진 넓은 정원과 대리석 홀을 갖춘 별장이다.
- 잘츠부르크 현대미술관(Museum der Moderne Salzburg)은 구시가지와 뮌흐스베르크에 위치한 현대미술관이다.
- 모차르트 광장(Mozartplatz)에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기념비가 있는 역사적인 광장이다.
- 모차르트 생가(Mozart's birthplace)(''Mozarts Geburtshaus'')는 현재 모차르트를 기리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게트라이데가세''에 있는 집이다.
- 논베르크 수도원(Nonnberg Abbey)(''Stift Nonnberg'')은 약 712/715년에 설립된 베네딕트회 수도원이다.
- 레지덴츠 (''Residenz'')는 전 대주교의 거주지였다.
- 레지덴츠갤러리(Residenzgalerie)는 레지덴츠에 있는 미술관이다.
- 레지덴츠 광장(Residenzplatz)은 레지덴츠 외부에 있는 크고 화려한 분수가 있는 큰 광장이다.
- 잘츠부르크 란데스테아터(Salzburger Landestheater)는 배우, 가수, 무용수의 상주 단원이 있는 오페라, 연극, 무용 공연장이다.
- 잘츠부르크 마리오네텐극장(Salzburger Marionettentheater)은 1912년에 설립된 인형극장이다.
- 잘츠부르크 박물관(Salzburg Museum)은 잘츠부르크 시와 지역의 예술 및 문화 역사 박물관이다.
- 지그문트슈토어(Sigmundstor)는 18세기 터널로 알트슈타트와 뮌흐스베르크를 통과하여 리덴부르크 지역과 연결된다.
- Sphaerade는 금색 구체 위에 있는 남성 조각상이다. (슈테판 발켄홀, 2007년)
- 성 페터 수도원(''Stift Sankt Peter'')은 베네딕트회 수도원으로 696년에 설립되었으며 잘 알려진 묘지가 있다.
- Sebastianskirche (Salzburg)|St Sebastian's Churchde (''Sebastianskirche'')는 1511년에 봉헌된 교회이다.
'''구시가지 외부'''
- 레오폴드스크론 궁전(Schloss Leopoldskron)은 레오폴드스크론-모스, 잘츠부르크 남부 지역에 있는 로코코 양식의 궁전이자 국가 사적이다.
- 헬브룬(Hellbrunn)은 그 공원과 성이 있다.
- 사운드 오브 뮤직 영화 촬영지 투어를 운영하는 투어 회사들이 있다.
- 항가르-7(Hangar-7)은 역사적인 비행기, 헬리콥터 및 포뮬러 원 경주용 자동차를 소장하고 있는 레드불(Red Bull) 소유의 다기능 건물이다.
- 하슬라흐뮐레(Haslachmühle)는 그니글 지구에 있는 역사적인 밀가루 공장이다.
'''잘츠부르크 광역권'''
- 아니프 성은 아니프(Anif) 시 남쪽에 위치해 있다.
- 마리아 플레인 성모 마리아 성지는 잘츠부르크 북쪽 가장자리에 있는 후기 바로크 양식의 교회이다.
- 잘츠부르크 프리리히트 박물관 그로스가인은 역사적인 환경에 조립된 주 전역의 오래된 농가가 있는 야외 박물관이다.
- 클레스하임 궁전(Schloss Klessheim)은 궁전이자 카지노이며, 이전에는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가 사용했었다.
- 베르크호프는 베르히테스가덴(Berchtesgaden) 근처에 있는 히틀러의 산중 별장이었다.
- 켈슈타인하우스(Kehlsteinhaus)는 히틀러의 베르크호프 유적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 잘츠카머구트(Salzkammergut)는 도시 동쪽에 있는 호수 지역이다.
- 운터스베르크(Untersberg) 산은 오스트리아-독일 국경에 있는 도시 옆에 있으며, 잘츠부르크와 주변 알프스 산맥의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한다.
- 스키는 겨울철 관광 명소이다. 잘츠부르크에는 스키 시설이 없지만 남쪽 스키 지역으로 가는 관문이다. 겨울에는 유럽 전역에서 전세편이 잘츠부르크 공항으로 들어온다.
- 잘츠부르크 동물원(Salzburg Zoo)은 아니프(Anif) 시 남쪽에 위치해 있다.
1965년에는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이 잘츠부르크와 잘츠부르크 연방주에서 촬영되었다. 이 영화는 잘츠부르크의 수녀였던 마리아 폰 트랍이 귀족 가문과 동반해 독일의 점령으로부터 탈출했던 실제 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영화는 오스트리아인에게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촬영지를 방문함으로써 영화를 되새기기 위해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많다.


6. 3. 스포츠
잘츠부르크는 2010년 동계 올림픽과 2014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도전했으나, 각각 밴쿠버와 소치에 패하여 실패하였다. 이후 잘츠부르크는 더 이상 동계 올림픽 유치 운동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였다.[1]
FC 레드불 잘츠부르크의 전신인 SV 아우스트리아 잘츠부르크는 1994년 UEFA컵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2005년 4월 6일, 레드불이 클럽을 인수하여 팀명을 FC 레드불 잘츠부르크로 변경하였다. FC 레드불 잘츠부르크는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홈 구장은 2008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경기장 중 하나였던 발스 지젠하임 경기장이다.[1]
레드불이 SV 아우스트리아 잘츠부르크를 인수하여 팀명과 팀 색깔을 바꾸자, 일부 팬들은 이에 반발하여 2005년에 옛 이름과 옛 색깔을 가진 새로운 클럽인 SV 아우스트리아 잘츠부르크를 창단하였다. 이 클럽은 한때 에르슈테리가에서 활동했으나, 최근에는 오스트리아 3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잘츠부르크에서 활동하고 있다.[1]
레드불은 지역 아이스하키 팀인 EC 잘츠부르크 레드불도 후원하고 있다. 이 팀은 오스트리아, 헝가리,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체코 팀이 참가하는 에르슈테 방크 아이스하키 리가(Erste Bank Eishockey Liga)에서 활동한다.[1]
잘츠부르크 주에서는 겨울 스포츠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30분 정도 거리에 다흐슈타인과 스키 아만데 등의 대규모 스키장 집적지가 있다.[1]
연중 스포츠로는 축구가 인기이며, 수용 능력 3만 명의 레드불 아레나를 연고지로 하는 FC 레드불 잘츠부르크가 있다. 미토마 아레산드로(三都主アレサンドロ), 미야모토 코세이(宮本恒靖), 미나미노 타쿠미(南野拓実) 등이 이 팀에 소속되었었다.[1]
7. 교통
잘츠부르크는 철도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동서를 가로질러 빈, 뮌헨, 인스부르크, 취리히 등으로 연결되는 철도가 있으며, 매일 두 번 운행하는 인터시티 익스프레스(ICE)도 있다. 남쪽을 향해 알프스를 지나 이탈리아로 연결되는 철도의 중심지 역할도 한다.
잘츠부르크 공항에는 프랑크푸르트, 빈, 런던, 암스테르담, 취리히 등 유럽 주요 도시를 잇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 중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항공편은 전세기편이다.
잘츠부르크 중앙역(Salzburg Hauptbahnhof)에는 동서를 잇는 빈(Vienna), 뮌헨(Munich), 인스브루크(Innsbruck), 취리히(Zürich)행 열차가 자주 운행되며, 매일 고속 ICE(InterCityExpress) 열차도 운행된다. 남북 방향 철도 노선은 베네치아(Venice), 프라하(Prague)와 같은 인기 있는 목적지로도 이어진다. 이 도시는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여 이탈리아(Italy)로 향하는 남행 열차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잘츠부르크 공항(Salzburg Airport)에는 프랑크푸르트(Frankfurt), 빈(Vienna), 런던(London), 로테르담(Rotterdam), 암스테르담(Amsterdam), 브뤼셀(Brussels), 뒤셀도르프(Düsseldorf), 취리히(Zürich)와 같은 유럽 도시뿐만 아니라 함부르크(Hamburg), 에든버러(Edinburgh), 더블린(Dublin)행 정기 항공편도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전세기가 운항된다.
도시 중심부에는 20개 이상의 노선을 가진 잘츠부르크 트롤리버스 시스템(Trolleybuses in Salzburg)과 버스 시스템이 있으며,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잘츠부르크에는 잘츠부르크 S-Bahn(Salzburg S-Bahn) 시스템이 있으며, 4개의 노선(S1, S2, S3, S11)이 운행된다. 기차는 중앙역에서 30분 간격으로 출발하며, 오스트리아 연방철도(ÖBB)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S1번 교외선은 약 25분 만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요한 밤 예배당이 있는 오버엔도르프 바이 잘츠부르크(Oberndorf bei Salzburg)에 도착한다.
잘츠부르크 시가지의 역사 지구에서 도보로 약 20분 거리에 잘츠부르크 중앙역이 있으며, 독일 뮌헨에서 약 2시간, 빈에서는 약 3시간 거리에 있다. 잘츠부르크 중앙역 서쪽에는 버스터미널이 있으며, 트롤리버스와 버스가 운행한다.
8. 자매 도시
9. 저명한 출신 인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신성 로마 제국 내 잘츠부르크 대주교령에 속했던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다. 그의 생가와 살던 곳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그의 가족은 구 도심의 작은 교회 뒷마당에 묻혔으며, 도시에는 그를 기리는 많은 동상들이 세워져 있다.[40]


- 요제프 모어는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프란츠 크사베르 그루버와 함께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을 작곡하고 작사했다. 근처에 위치한 오베른도르프의 사제였던 그는 1818년에 그 노래를 초연했다.[42]
- 슈테판 츠바이크는 1934년에 떠나기 전까지 15년간을 잘츠부르크에서 살았다.
- 한스 마카르트는 19세기의 오스트리아 미술가로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를 기리기 위한 마카르트 광장도 존재한다.[44]
- 토마스 베른하르트는 잘츠부르크에서 자랐다.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은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으며, 1989년에 부근의 아니프에서 사망하였다.

- 성녀 리우트베르가(사망 약 870년), 9세기 작센의 영향력 있는 수녀
- 파라켈수스(약 1493년–1541년), 스위스의 의사, 연금술사, 그리고 독일 르네상스 시대의 점성술사.[37]
- 바르바라 텐(1519–1579년), 상인이자 주화감독관
- 하인리히 비버(약 1644년–1704년), 1670년대 초부터 잘츠부르크에서 활동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38]
- 요제프 로이트게브(1732–1811년), 명인급 호른 연주자로 대주교의 궁정에 있었다.
- 요한 미하엘 하이든(1737–1806년), 작곡가이자 작곡가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 그의 작품은 모차르트와 슈베르트의 칭찬을 받았다. 그는 또한 카를 마리아 폰 베버와 안톤 디아벨리의 스승이었다. 그는 그의 성음악으로 유명하다.[39]
- 이그나츠 아스마이어(1790–1862년), 오스트리아의 교회 음악 작곡가.[41]
- 오토 그리스 국왕(1815–1867년), 바이에른의 오토 프리드리히 루드비히 왕자로 미라벨 궁전에서 태어났으며, 도시가 바이에른에서 오스트리아 통치로 환원되기 몇 일 전이었다.[43]
- 이르마 폰 트롤-보로스티아니(1847–1912년), 오스트리아 작가, 언론인, 여성 권리 운동가
- 루트비히 한스 피셔(1848-1915년), 풍경화가, 구리판화가, 에칭화가이자 민족학자.[45]
- 테오도르 헤르츨(1860–1904년), 현대 정치 시오니즘의 아버지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유대인 언론인이자 정치 활동가. 그는 1884년 법학 학위를 받은 후 잘츠부르크 법정에서 일했다.[46]
- 게오르크 트라클(1887–1914년), 독일 표현주의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 게오르크 폰 트랩(1880–1947년), 마리아 폰 트랩(1905–1987년)과 그들의 자녀들은 트랩 가족을 이루었고 나치가 권력을 장악한 후 미국으로 망명할 때까지 잘츠부르크에 살았다.
- 힐다 크로졸리(1900-1972년), 오스트리아 최초의 여성 건축가이자 토목 기술자
- 프란츠 크리거(1914–1993년),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난 사업가이자 사진가
- 알렉스 제사울렌코(1945년생), 유명한 전 오스트레일리아식 축구 선수
- 클라우스 아거(1946년생), 저명한 현대 작곡가이자 모차르테움 교수
- 롤란트 라첸베르거(1960–1994년), 포뮬러 원 레이싱 드라이버로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94년 산마리노 그랑프리 연습 중 사망했다.
- 펠릭스 바움가르트너(1967년생), 스카이다이버이자 베이스 점퍼로 세 개의 세계 기록을 세웠다.
- 페르디난트 합스부르크(1997년생), 레이싱 드라이버로 현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합스부르크-로렌 가문의 수장의 계승자이다.
- 후지오카 쿠미코(藤岡久美子) - 기자의 남편과 1999년에 국제결혼을 통해 거주.
- 율리안 바움가르트링거(Julian Baumgartlinger) - 축구 선수. 2016년부터 독일 분데스리가의 바이어 레버쿠젠(Bayer Leverkusen) 소속.
- 안드레아스 이벨츠베르거(Andreas Ibertsberger) - 축구 선수. 독일 분데스리가의 SC 프라이부르크(SC Freiburg) 등에 소속.
- 로만 키나스트(Roman Kynast) - 축구 선수. 2015년부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의 SK 슈투름 그라츠(SK Sturm Graz) 소속.
- 알렉산더 만닌거(Alexander Mannering) - 축구 선수. 2016년부터 프리미어리그의 리버풀(Liverpool FC) 소속.
참조
[1]
웹사이트
Salzburg in Zahlen
https://web.archive.[...]
2020-06-23
[2]
백과사전
Salzburg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Salzburg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29
[4]
사전
Salzburg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5-29
[5]
사전
Salzburg
Merriam-Webster
2019-05-29
[6]
웹사이트
Österreich – Größte Städte 2019
https://de.statista.[...]
2019-12-01
[7]
웹사이트
Historisches Zentrum der Stadt Salzburg
https://www.unesco.a[...]
2021-07-10
[8]
서적
Salzburger Ortsnamenbuch
Gesellschaft für Salzburger Landeskunde
[9]
백과사전
Rupert, St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10]
웹사이트
St. Erentrude, Virgin, of Austria
https://web.archive.[...]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2023-08-19
[11]
웹사이트
Chronology of Catholic Dioceses: Austria
http://www.katolsk.n[...]
Roman Catholic Diocese of Oslo
2023-08-19
[12]
서적
Dehio Salzburg. Stadt und Land
Verlag Anton Schroll & Co
1986
[13]
웹사이트
Der Name Salzburgs Entstehung und Frühgeschichte
https://www.zobodat.[...]
2023-04-17
[14]
웹사이트
Salzburg Museum: Fortress Museum: Hohensalzburg Fortress
https://www.salzburg[...]
2023-04-17
[15]
서적
Geschichte Salzburgs
Universitäts-Verlag Pustet
1984
[16]
서적
Stadt Salzburg, Geschichte in Bildern und Dokumenten
Municipality of Salzburg
2002
[17]
웹사이트
Salzburg's History: Coming a long Way
http://www.visit-sal[...]
Visit Salzburg
[18]
웹사이트
Catholics Cleanse Salzburg of Protestants
http://historicaltex[...]
The Georgia Salzburger Society
[19]
서적
Times Atlas of European History
[20]
서적
Castles of the World
Metro Books
2013
[21]
웹사이트
AEIOU Österreich-Lexikon – Konzentrationslager, KZ
http://austria-forum[...]
Austria-Forum.org
2013-06-24
[22]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3]
뉴스
The Salzburg Festival is a boon to the local economy
https://www.economis[...]
2017-09-26
[24]
웹사이트
Klimamittelwerte 1991–2020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23-06-05
[25]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Niederschla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26]
웹사이트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Salzburg-Flughafen
http://www.zamg.ac.a[...]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23-06-05
[27]
웹사이트
Station Salzburg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9-10-29
[28]
PDF file
Klimatafel von Salzburg (Flugh.), Salzburg / Österreich
https://www.dwd.de/D[...]
Deutscher Wetterdienst
2024-02-16
[29]
TXT
Salzburg Climate Normals for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oheric Administration
2024-02-16
[30]
웹사이트
Historic Censuses - STATISTICS AUSTRIA
https://www.statisti[...]
Statistics Austria
2024-08-02
[31]
웹사이트
Architecture : Salzburg Sights by Period
http://www.visit-sal[...]
Visit-salzburg.net
2013-03-12
[32]
웹사이트
http://www.rechenaue[...]
[33]
웹사이트
Preisträger Salzburg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flow – der VERBUND Blog
https://archive.toda[...]
Verbund.com
2012-10-15
[35]
웹사이트
Red Bull's Hangar-7 at Salzburg Airport
http://www.visit-sal[...]
Visit Salzburg
2013-03-12
[36]
웹사이트
fh-salzburg
https://www.fh-salzb[...]
2018-08-13
[37]
백과사전
Paracelsus
[38]
백과사전
Biber, Heinrich Johann Franz von
[39]
백과사전
Johann Michael Haydn
[40]
백과사전
Mozart, Wolfgang Amadeus
[41]
백과사전
Ignaz Assmayer
[42]
웹사이트
Joseph Mohr (1792–1848) Priest and author of Silent Night
https://www.salzburg[...]
2024-06-20
[43]
백과사전
Otto
[44]
백과사전
Makart, Hans
[45]
백과사전
Fischer, Ludwig Hans
[46]
웹사이트
Theodor Herzl (1860–1904)
https://web.archive.[...]
Jewish Agency for Israel
2009-08-08
[47]
서적
Untersuchungen zu ausgewählten Aspekten des Konsonantismus bei österreichischen Nachrichtensprechern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20-06-27
[48]
웹사이트
Salzburg Mundart: Stirbt der Dialekt in naher Zukunft aus?
https://web.archive.[...]
Weekend Online GmbH
2020-06-26
[49]
웹사이트
Dialekte in ihrer heutigen Form sterben aus
https://web.archive.[...]
Salzburg Digital GmbH
2020-06-26
[50]
뉴스
Germanist: 'Kinder vor Dialekt bewahren zu wollen ist absurd'
https://web.archive.[...]
2020-06-26
[51]
웹사이트
Salzburger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eb.archive.[...]
Stadt Salzburg
2015-05-29
[52]
웹사이트
Dresden — Partner Cities
https://web.archive.[...]
Landeshauptstadt Dresden
2008-12-29
[53]
웹사이트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 - 2000 - Salzburg-Flughafen
http://www.zamg.ac.a[...]
2010-06-14
[54]
웹사이트
The Historical Text Archive
http://historicaltex[...]
[55]
웹사이트
아카데미상 작품상 수상작『사운드 오브 뮤직』
https://disneyplus.d[...]
Desny+
2022-02-07
[56]
웹사이트
【라조나 가와사키】잘츠부르크의 종|가와사키의 이야기. Vol.3
https://www.muji.com[...]
2024-08-16
[57]
웹인용
Bevölkerung zu Jahres-/Quartalsanfang
http://www.statistik[...]
2018-06-22
[58]
웹인용
Klimamittelwerte 1991–2020
https://www.zamg.ac.[...]
오스트리아 중앙기상지구역학연구소
2023-06-05
[59]
웹인용
Klimamittel 1981–2010: Niederschlag
https://www.zamg.ac.[...]
오스트리아 중앙기상지구역학연구소
2019-10-29
[60]
웹인용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Salzburg-Flughafen
http://www.zamg.ac.a[...]
오스트리아 중앙기상지구역학연구소
2023-06-05
[61]
웹인용
Station Salzburg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9-10-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