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수궁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수궁주는 고려 숙종과 명의왕후의 셋째 딸로, 고려 예종의 여동생이다. 1105년 공주에 책봉되었으며, 안수궁(安壽宮)을 하사받았다. 안수궁주는 이복 숙부의 아들인 광평공 왕원과 결혼하여 아들 안평공 왕경을 두었다. 안평공 왕경은 안수궁주의 조카인 흥경공주와 혼인하였다. 안수궁주는 조선공 왕도의 아들 광평공 왕원과 혼인하여 근친혼의 사례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안수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안수궁주 |
다른 이름 | 안수공주, 순정공주 |
작위 | 고려 숙종의 공주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미상 |
가족 관계 | |
배우자 | 광평공 왕원 |
자녀 | 안평공 왕경 |
아버지 | 숙종 |
어머니 | 명의왕후 유씨 |
생애 | |
즉위 | 1105년 |
전임 | 흥수공주 |
후임 | 복녕궁주 |
섭정 | 왕옹, 숙종 |
섭정 유형 | 군주 |
가문 | |
왕가 | 왕가 (출생 및 혼인) |
2. 생애
숙종과 명의왕후의 셋째 딸인 안수궁주는 1105년 이전에 태어났다. 예종은 그녀의 친오빠였다.[3]
1105년(숙종 10년), 안수궁주는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었고, 같은 해 예종이 즉위하면서 "안수궁"(安壽宮)을 하사받았다.[3][2] 이후 안수궁주는 이복 숙부 조선공 왕도의 아들인 왕원과 결혼하여 아들 안평공 왕경을 낳았다. 왕경은 예종의 딸 흥경공주와 혼인하여, 안수궁주의 조카와 결혼한 셈이 된다.[3]
2. 1. 가계 및 가족 관계
숙종과 명의왕후의 셋째 딸로, 언제 태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예종 등과는 친남매간이며, 순종과 선종 등의 친조카이다.[3]안수궁주는 조선공 왕도의 아들 왕원과 혼인하였다. 왕원은 안수궁주에게 이복 사촌이 되기 때문에[10],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의 한 사례이다.
광평공과 안수궁주는 아들 안평공 왕경을 낳았다. 왕경은 예종의 딸이자 안수궁주의 친조카인 흥경공주와 혼인하였다.[9][13]
가계 및 가족 관계 | |
---|---|
조부 | 문종(1019~1083, 재위:1046~1083) |
조모 | 문종 제2비 인예왕후 |
백부 | 고려 제12대 순종(1047~1083, 재위:1083) |
백부 | 고려 제13대 선종(1049~1094, 재위:1083~1094) |
사촌 | 고려 제14대 헌종(1084~1097, 재위:1094~1095) |
아버지 | 고려 제15대 숙종(1054~1105, 재위:1095~1105) |
외조부 | 유홍(?~1091) |
어머니 | 명의왕후 |
남매 | 고려 제16대 예종(1079~1122, 재위:1105~1122) |
조카 | 고려 제17대 인종(1109~1146, 재위:1122~1146) |
남매 | 상당후 왕필(上黨侯 王佖, ?~1099) |
남매 | 원명국사 징엄(圓明國師 澄儼, 1090~1141) |
남매 | 대방공 왕보(帶方公 王俌, ?~1128) |
남매 | 대원공 왕효(大原公 王侾, ? ~ 1170) |
남매 | 제안공 왕서(齊安公 王偦, ? ~ 1131) |
남매 | 통의후 왕교(通義侯 王僑, 1097~1119) |
언니 | 대령궁주(大寧宮主, ?~1114) |
언니 | 흥수궁주(興壽宮主, ?~1123) |
동생 | 복녕궁주(福寧宮主, 1096~1133) |
시조모 | 문종 제3비 인경현비(생몰년 미상) |
시아버지 겸 이복 삼촌 | 조선공 왕도(朝鮮公 王燾, ?~1099) |
남편 | 왕원(廣平公 王源, 1083~1170) |
아들 | 안평공 왕경(安平公 王璥, 1117~1177) |
2. 2. 공주 시절
안수궁주는 1105년 이전에 태어났으며, 숙종과 명의왕후의 셋째 딸이자 예종의 여동생이다.[3]1105년(숙종 10년) 정식으로 공주에 책봉되었다. 같은 해 음력 10월 2일 숙종이 죽고 예종이 즉위하였으며,[7] 예종은 즉위하자마자 자신의 누이들에게 궁을 하사하였다. 이때 안수궁주는 안수궁(安壽宮)을 하사받았다.[8] 이후 안수궁주는 이복 숙부의 아들인 광평공 왕원과 결혼하여 아들 안평공 왕경을 낳았는데, 왕경은 안수궁주의 오빠인 흥경공주를 통해 안수궁주의 조카와 결혼하게 된다.[3] 호는 '''안수궁주'''(安壽宮主) 또는 '''안수공주'''(安壽公主)이다.[9]
2. 3. 혼인
안수궁주는 문종과 인경현비의 아들 조선공 왕도의 아들 왕원과 혼인하였다. 왕원은 안수궁주에게 이복 사촌이 되기 때문에[10],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의 한 사례이다. 왕원은 숙종과 인종 등으로부터 여러 관직을 받았으며, 처음에 광평백에 봉해졌다가 인종 때 광평공으로 진봉되고 식읍 2,000호와 식실 500호를 받았다[9]. 왕원은 1170년(의종 24년) 88세를 일기로 죽었다[11].광평공과 안수궁주는 아들 안평공 왕경을 낳았다. 왕경은 후에 평안백에 봉해졌다. 성격이 조용하고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여러 기술과 서화 등 다방면에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또 불교의 경전을 좋아하였다고도 기록되어 있다. 왕경은 이후 안평공[12]으로 진봉되었으며, 1177년(명종 7년) 음력 4월 13일 61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왕경은 예종의 딸로 자신에게는 외사촌이 되는 흥경공주와 혼인하였다[9][13].
1105년 이전에 태어난 안수궁주는 숙종과 명의왕후의 셋째 딸이었다. 미래의 예종의 여동생이었다.[3]
1105년(숙종 10년)에 처음으로 작위를 받았고, 같은 해 오빠 예종이 즉위한 후 자신의 저택으로 "안수궁"(안수궁|安壽宮한국어)을 하사받았다.[3][2] 이후 이복 숙부의 아들인 광평공 왕원(광평공 왕원|한국어)과 결혼하여 아들 안평공 왕경(안평공 왕경|한국어)을 두었는데, 그는 흥경공주(흥경공주|한국어)를 통해 안수궁주의 조카와 결혼하게 된다.[3]
3. 가족 관계
안수궁주는 문종과 인경현비의 소생인 조선공 왕도의 아들 왕원과 혼인하였다. 왕원은 안수궁주에게 이복 사촌이 되기 때문에[10], 이 둘의 혼인은 근친혼의 한 사례이다.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문종 | 1019년 ~ 1083년 | 고려 제11대 국왕 |
조모 | 인예왕후 | ? ~ 1092년 | |
백부 | 순종 | 1047년 ~ 1083년 | 고려 제12대 국왕 |
백부 | 선종 | 1049년 ~ 1094년 | 고려 제13대 국왕 |
사촌 | 헌종 | 1084년 ~ 1097년 | 고려 제14대 국왕 |
아버지 | 숙종 | 1054년 ~ 1105년 | 고려 제15대 국왕 |
외조부 | 유홍 | ? ~ 1091년 | |
어머니 | 명의왕후 | ? ~ 1112년 | |
오빠 | 예종 | 1079년 ~ 1122년 | 고려 제16대 국왕 |
언니 | 대령궁주 | ? ~ 1114년 | |
오빠 | 상당후 왕필 | ? ~ 1099년 | |
언니 | 흥수궁주 | ? ~ 1123년 | |
오빠 | 원명국사 징엄 | 1090년 ~ 1141년 | |
오빠 | 대방공 왕보 | ? ~ 1128년 | |
오빠 | 대원공 왕효 | ? ~ 1170년 | |
오빠 | 제안공 왕서 | ? ~ 1131년 | |
동생 | 복녕궁주 | 1096년 ~ 1133년 | |
조카 | 인종 | 1109년 ~ 1146년 | 고려 제17대 국왕 |
시조모 | 인경현비 | 생몰년 미상 | |
시아버지 겸 이복 삼촌 | 조선공 왕도 | ? ~ 1099년 | |
남편 | 왕원 | 1083년 ~ 1170년 | |
아들 | 안평공 왕경 | 1117년 ~ 1177년 | |
며느리 | 흥경공주 | ? ~ 1176년 | [9][13] |
왕경은 후에 평안백에 봉해졌다. 성격이 조용하고 학문을 좋아하였으며, 여러 기술과 서화 등 다방면에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또 불교의 경전을 좋아하였다고도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 권88 > 열전 권제1 > 후비(后妃) > 숙종 후비 명의태후 유씨 > 명의태후 유씨의 왕비 책봉과 소생 자녀
http://db.history.go[...]
2022-05-30
[2]
논문
고려 전기 공주 책봉제의 시행과 의의
https://www.dbpia.co[...]
2020-06
[3]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03-01
[4]
문서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고려시대 사료 〈왕원묘지명〉
http://db.history.go[...]
[5]
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주〉
https://terms.naver.[...]
[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유홍〉
https://web.archive.[...]
2012-08-01
[7]
간행물
《고려사》권12〈세가〉권12 - 예종 즉위년 10월 - 왕이 유언을 남기고 죽다
[8]
간행물
《고려사》권12〈세가〉권12 - 예종 즉위년 10월 - 세 공주에게 궁전을 내려주다
[9]
간행물
《고려사》권90〈열전〉권3 - 조선공 왕도
[10]
문서
안수궁주 ← 숙종 ← 문종 → 조선공 → 왕원
[1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왕원〉
https://web.archive.[...]
2012-08-01
[12]
문서
《고려사》〈열전〉에는 평안백(平安伯)으로, 《고려사》〈세가〉에는 안평공(安平公)으로 되어 있다. 평안과 안평 중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어 각 기록에 나온 그대로 적는다.
[13]
간행물
《고려사》권19〈세가〉권19 - 명종 7년 4월 - 안평공 왕경이 죽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