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타르크토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타르크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거대한 초식 공룡으로, 현재는 두 종, A. 위치마니아누스와 A. 기간테우스가 인정된다. 이 공룡은 아르헨티나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긴 목과 꼬리를 가진 사족보행 동물로 추정된다. A. 위치마니아누스는 턱의 형태가 특이하여 수생 식물을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A. 기간테우스는 거대한 크기로 유명하다. 과거에는 여러 종이 안타르크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파란토돈
    파란토돈은 백악기 초기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서식했으며, 부분적인 두개골과 이빨 화석으로 알려진 검룡류 공룡의 한 속으로, 투오장고사우루스, 로리카토사우루스와 같은 다른 검룡류와 가까운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 192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렙토넥테스
    렙토넥테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부터 쥐라기 초기에 살았던 어룡의 한 속으로, 유럽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긴 꼬리와 뾰족한 주둥이를 특징으로 한다.
  • 프리드리히 폰 후에네가 명명한 분류군 - 용각아목
    용각아목은 트라이아스기 중기에 출현하여 긴 목과 꼬리, 잎을 먹는 이빨을 가진 초식 공룡의 아목으로, 초기에는 이족 보행을 하다가 대형화되면서 사족 보행으로 진화했으며, 쥐라기와 백악기에 번성하다가 백악기-제3기 대멸종으로 멸종했다.
  • 프리드리히 폰 후에네가 명명한 분류군 - 지배파충하강
    지배파충하강은 이궁아강에 속하는 파충류 그룹으로, 린코사우리아, 알로코토사우리아, 아르코사우르포르메스, 원시악어류 등을 포함하며 페름기부터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했고, 공룡, 익룡, 악어류, 조류 등으로 진화했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기가노토사우루스
    기가노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거대한 수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 인해 정확한 크기 추정은 어렵지만 가장 큰 육식 공룡 중 하나로 간주되며, 티라노사우루스와 크기 비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안타르크토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Hypothetical Antarctosaurus wichmannianus skull diagram showing the bones illustrated by von Huene in 1929. It's not certain that the mandible and braincase belong to the same individual or even same genus.
1929년 폰 후에가 그린 뼈대를 보여주는 가설적인 Antarctosaurus wichmannianus 두개골 다이어그램. 하악골과 뇌곽이 동일 개체 또는 동일 속에 속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학명Antarctosaurus
명명자폰 후에, 1929
A. wichmannianus von Huene, 1929 (타입)
동의어Laplatasaurus wichmannianus von Huene, 1929
생물학적 분류
상목공룡상목
용반목
아목†용각아목
하목용각하목
하목 계급 없음티타노사우루스류
안타르크토사우루스과
시대
생존 시기백악기 후기,

2. 발견 및 명명

이 공룡 화석은 1916년에 처음 언급되었지만, 공식적인 기재와 명명은 1929년에 폰 퓌네에 의해 이루어졌다.[44] ''안타르크토사우루스''(Antarctosaurus)라는 속명은 '남쪽 도마뱀'이라는 뜻으로, 화석이 발견된 남반구의 지리적 위치와 파충류의 특성을 반영한다. 속명의 어원은 '반대'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αντι- (''anti-'')와 '북쪽'을 뜻하는 αρκτός (''arktos''), '도마뱀'을 뜻하는 σαυροςgrc (''sauros'')이다.

폰 후에는 1929년에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된 화석들을 바탕으로 안타르크토사우루스 위치마니아누스(''A. wichmannianus'')와 안타르크토사우루스 기간테우스(''A. giganteus'') 두 종을 명명했다. ''A. 위치마니아누스''는 리오네그로 주의 아나클레토 지층에서, ''A. 기간테우스''는 네우켄 주의 플로티에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후 인도, 카자흐스탄, 브라질 등지에서 발견된 화석들이 안타르크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의문명으로 간주되고 있다.

2. 1. 안타르크토사우루스 위치마니아누스 (Antarctosaurus wichmannianus)

이 공룡의 유해는 1916년에 처음 인쇄물에 언급되었지만,[1] 1929년 고생물학자 프리드리히 폰 후에가 쓴 단행본에서 완전히 묘사되고 명명되었다.[2] '''''안타르크토사우루스 위치마니아누스'''''는 1912년에 화석을 발견한 지질학자 리카르도 위치만의 이름을 따서 1929년에 명명된 이 속의 모식종이다.[2] 폰 후에는 아르헨티나 리오네그로 주의 아나클레토 지층에서 발견된 것으로 여겨지는 많은 양의 뼈를 설명하기 위해 ''A. 위치마니아누스''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19] 이는 아마도 초기 캄파니절 시대일 것이다.[3]

''A. wichmannianus''로 알려진 화석 유해는 표본 번호 MACN 6904를 받았다.[2] 알려진 재료에는 상자, 불완전한 하악골 (아래턱), 경추(목) 척추, 미추(꼬리) 척추, 늑골 조각, 그리고 넙다리뼈를 포함한 수많은 사지 뼈가 포함된다. 개별 화석 중 어느 것도 모식 표본으로 지정되지 않았으므로 MACN 6904는 공동 모식 표본의 덩어리로 간주된다.[21]

''A.wichmannianus''의 골격 재구성. 기술된 모든 유해가 한 개체와 관련되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폰 후에는 또한 추가 넙다리뼈와 정강이뼈를 ''A. wichmannianus''에 할당했는데, 넙다리뼈인 FMNH P13019는 길이가 1.85m 이상이다. 한 연구에서 이 넙다리뼈의 치수는 회귀 분석에 사용되어 ''A. wichmannianus''의 질량을 약 34MT로 추정했다.[23]

''A. wichmannianus''에 속하는 불완전한 하악골은 앞쪽이 각져 있으며 각 치골이 ''L''자 모양이다.[25] 이빨은 아래턱의 앞쪽에만 제한되어 있었고 작고 가늘었다.[19] 각진 턱은 지면의 낮은 식물이나 물에 떠 있는 식물과 같은 표면 근처에서 먹이를 먹는 것과 같은 특수한 식습관을 시사한다.[6]

등쪽(위쪽)에서 본 ''A.wichmannianus''의 '각진' 또는 ''L''자 모양의 턱뼈.


이 뼈들은 대부분 서로 관련이 없었지만, 지층 전체에 흩어져 있었다. 결과적으로 많은 과학자들은 그들이 모두 같은 종류의 동물에 속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매우 각진 아래턱은 종종 ''니제르사우루스''와 유사한 레바키사우루스과 용각류에 속한다고 제안되어 왔다.[26][27][28] 그러나 2004년에 기술된 ''보니타사우라''의 턱은 전체적인 모양이 비슷하고 티타노사우르 골격 유해와 명확하게 관련되어 있어, 아래턱이 결국 ''A. wichmannianus''에 속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29]

두개골 뒤쪽과 나머지 골격은 연구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티타노사우르로 간주되지만, 반드시 같은 종류의 티타노사우르에 속하지는 않는다.[5][26][31]

2. 2. 안타르크토사우루스 기간테우스 (Antarctosaurus giganteus)

222x222px


220x220px


1929년, 폰 후에는 안타르크토사우루스의 두 번째 종인 ''A. giganteus''를 명명했다. 종명은 '거대한'이라는 뜻이다.[44] 화석은 매우 적게 알려져 있으며, 의문명(''nomen dubium'')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4]

이 종의 모식 표본(MLP 26-316)은 왼쪽 및 오른쪽 대퇴골, 부분적인 왼쪽 및 오른쪽 치골, 손상된 경골의 원위단, 다수의 갈비뼈 및 미추골 파편, 그리고 6개의 크고 식별할 수 없는 뼈를 포함한다.[2] 두 개의 거대한 대퇴골은 길이가 2.35m이며, 이는 알려진 모든 용각류 중 가장 큰 것 중 하나이다.[23] 대퇴골이 크지만, 구조적으로 약간 가늘다.[19]

이 화석은 아르헨티나 네우켄 주에 있는 플로티에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19][4] 후기 백악기 시대의 코니아크절-상통절 (약 8700만 년 전~8500만 년 전)에 해당한다.[3] 플로티에는 더 젊은 아나클레토 지층과 마찬가지로 네우켄 군의 일원이다.[3]

''A. giganteus''의 골격 재구성. 제한된 유해로 인해 정확한 크기는 불확실하다.


''A. giganteus''의 크기에 대한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 1956년 카를로스 루스코니는 길이를 약 30m로 추정했다.
  • 1969년 반 발렌은 기라파티탄(''Giraffatitan brancai'', 당시 ''Brachiosaurus brancai'')과 비슷한 크기로 보고, 약 80MT로 추정했다.[7]
  • 1994년 그레고리 S. 폴은 ''A. giganteus''와 아르젠티노사우루스의 무게를 에서 , 길이를 30m 에서 35m로 추정했다.[34]
  • 2004년 헤라르도 마제타와 동료들은 대퇴골 매개변수를 외삽하여 약 69MT로 추정했다. 이는 ''아르젠티노사우루스''(약 73MT)보다 약간 작다.[23]
  • 2006년 케네스 카펜터는 목이 짧은 ''살타사우루스''를 기준으로 23m로 추정했다.[35]
  • 토마스 홀츠는 길이를 33미터, 무게를 코끼리 9마리(약 에서 )로 추정했다.[36][37]
  • 2016년에는 상완골과 대퇴골 둘레를 기반으로 39.5MT로 추정되었다.[38]
  • 2019년 그레고리 S. 폴은 새로운 티타노사우루스 재구성을 기반으로 45MT 에서 범위로 추정했다.[39]
  • 2020년 몰리나-페레즈와 라라멘디는 길이를 30.5m, 무게를 로 추정했다.[40]


유해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모든 크기 추정치는 상당한 오차를 갖는다.[7] 특히, 이 화석으로부터 추정된 체중은 약 69ton으로, 이는 알려진 것 중 역대 가장 무거운 동물인 아르젠티노사우루스(Argentinosaurus)의 73ton보다 약간 작은 정도이다.[45]

''A. giganteus''에 대한 정보 부족과 ''A. wichmannianus'' 표본의 혼란 때문에, 현재로서는 ''A. giganteus''를 안타르크토사우루스 속에 확정적으로 분류할 수 없다.

2. 3. 기타 종

과거 안타르크토사우루스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은 현재 대부분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거나 의문명으로 간주된다.

  • ''"A." septentrionalis'': 1933년 폰 후에와 찰스 매틀리가 인도 마디아프라데시 주의 라메타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했으나,[9][10] 1994년 자이노사우루스(Jainosaurus)로 재분류되었다.[11]
  • ''"A." jaxartensis'': 1939년 아나톨리 랴비닌이 카자흐스탄에서 발견된 대퇴골 하나를 바탕으로 명명했으나,[41] 의문명으로 간주된다.[5][13][21][14]
  • ''"A." brasiliensis'': 1971년 아리드와 비조토가 브라질 북부 파라나 분지의 아다만티나 지층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했으나,[16] 의문명으로 간주된다.[5][6][17]


''"A." jaxartensis''와 ''"A." brasiliensis''는 모두 매우 단편적인 유해로 알려져 있다.

  • ''"A." jaxartensis''는 자이노사우루스(당시에는 ''"A." septentrionalis''로 불림)에 속하는 대퇴골과 유사하다고 보고된 단일 대퇴골로 알려져 있다.[41][13] 고생물학자 테레사 마리안스카는 ''A. jaxartensis''가 명명되었지만 제대로 묘사되거나 진단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12] 이 대퇴골은 티타노사우루스 분기군 리토스트로티아(Lithostrotia)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13]
  • ''"A." brasiliensis''의 모식 표본은 티타노사우루스류의 세 조각의 유해로만 알려져 있는데, 부분적인 왼쪽 대퇴골, 부분적인 오른쪽 상완골(humerus), 그리고 불완전한 등쪽 척추뼈이다. 대퇴골은 1.15m 보존되었으며, 완성되었을 경우 1.55m로 추정된다. 상완골은 65cm 보존되었으며, 완성되었을 경우 95cm로 추정된다. 등쪽 척추뼈의 척추체(centrum)는 17cm 길이이다.[16]

3. 특징

안타르크토사우루스는 긴 목과 꼬리를 가진 거대한 사족보행 초식 공룡이다. 골편을 가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3]

모식종인 ''A. 위치마니아누스''(A. wichmannianus)의 뇌 내주형과 내이는 다른 티타노사우루스과 공룡들과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32] ''A. 위치마니아누스''의 각진 턱은 낮은 곳의 식물이나 물에 떠 있는 식물을 먹는 데 특화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6]

''A. 위치마니아누스''는 몸길이가 약 17m로 추정되었다.[22] 폰 후에는 키가 1.85m 이상인 넙다리뼈를 ''A. 위치마니아누스''에 할당했지만, 이후 연구자들은 이 넙다리뼈의 할당에 의문을 제기했다.[24] 한 연구에서는 이 넙다리뼈의 치수를 회귀 분석에 사용하여 ''A. 위치마니아누스''의 질량을 약 34MT로 추정했다.[23]

4. 분류

''안타르크토사우루스''는 2019년 필립 매니언 등 여러 연구진의 계통 발생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 연구에서 ''바히니'', ''자이노사우루스'', ''노르만니아사우루스'' 등과 함께 분석되었는데, ''안타르크토사우루스''는 ''바히니''와 ''자이노사우루스''의 분지군과 자매 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롱코사우리아 분지군과도 가까운 관계를 보였다.[42]

{| class="wikitable"

|-

! 티타노사우리아

|-

|

{| class="wikitable"

|-

| ''안데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루양고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닥시아티탄
시안산고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리토스트로티아

|-

|

{| class="wikitable"

|-

| ''말라위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무옐렌사우루스
린콘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피테쿤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안타르크토사우루스'''''

|-

|

자이노사우루스
바히니



|}

|}

|}

|-

|

{| class="wikitable"

|-

| ''노르만니아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롱코사우리아

|-

|

{| class="wikitable"

|-

| ''아르겐티노사우루스''

|-

| ''푸탈롱코사우루스''

|-

| ''멘도사사우루스''

|-

|

노토콜로서스
파타고티탄
푸에르타사우루스



|}

|}

|}

|}

|}

|}

|-

|

{| class="wikitable"

|-

|

네멕토사우루스
타푸이아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에올로사우루스
라페토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알라모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이시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살타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오피스토코엘리카우디아''

|-

|

디아만티나사우루스
사반나사우루스



|}

|}

|}

|}

|}

|}

|}

|}

|}

|}

|}

|}

참조

[1] 논문 Las capas con Dinosaurios en la Costa sur del Río Negro, frente a General Roca
[2] 간행물 Los saurisquios y ornitisquios del Cretáceo Argentino
[3] 서적 Paleoambientes sedimentarios del Cretácico Superior de la Formación Plottier (Grupo Neuquén), Departamento Confluencia, Neuquén Sedimentary paleoenvironments in the Upper Cretaceous Plottier Formation (Neuquen Group), Confluencia, Neuquén Asociación Geológica Argentina 2006
[4] 논문 Dinosaurs (Reptilia, Archosauria) at Museo de La Plata, Argentina: annotated catalogue of the type material and Antarctic specimens 2013-03-08
[5] 간행물 Sauropod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Revision of South American titanosaurid dinosaurs: palaeobiological, palaeobiogeographical and phylogenetic aspects Queen Victoria Museum and Art Gallery 2003
[7] 논문 What Was the Largest Dinosaur? 1969-08-29
[8] 논문 Los sauropodos de los grupos Neuquén y Chubut, y sus relaciones cronologicas 1979
[9] 논문 Cretaceous Saurischia and Ornithischia of the central provinces of India
[10] 서적 Reassessment of the sauropod dinosaur ''Jainosaurus (="antarctosaurus") septentrionali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India Museum of Paleontology,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09
[11] 간행물 The global sauropod fossil record
[12]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Russia and Mongo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3] 논문 Review of Cretaceous sauropod dinosaurs from Central Asia 2017-01-01
[14] 서적 The Dinosauri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논문 A Paleofauna Da Formação São José Do Rio Preto (Bacia Bauru, Cretáceo Superior) https://www.research[...] 2017
[16] 간행물 Antarctosaurus brasiliensis, um novo saurópode do Crétaceo superior do sul do Brasil
[17] 논문 Distribuição geográfica dos dinossauros da Bacia Bauru (Cretáceo Superior) https://www.research[...] 2004
[18] 논문 Brief review of dinosaur studies and perspectives in Brazil http://www.scielo.br[...] 2000
[19] 서적 The age of dinosaurs in South America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
[20] 서적 Biology of the Sauropod Dinosaurs : Understanding the Life of Giants.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
[21] 논문 Redescription of the Mongolian Sauropod ''Nemegtosaurus mongoliensis'' Nowinski (Dinosauria: Saurischia) and comments on Late Cretaceous Sauropod diversity. https://www.research[...] 2005-08
[22]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2016-10-25
[23] 논문 Giants and Bizarres: Body Size of Some Southern South American Cretaceous Dinosaurs
[24] 논문 A Reappraisal of the Late Cretaceous Argentinean Sauropod Dinosaur Argyrosaurus superbus, with a Description of a New Titanosaur Genus 2012
[25] 논문 Baalsaurus mansillai gen. et sp. nov. a new titanosaurian sauropod (Late Cretaceous) from Neuquén, Patagonia, Argentina 2019-01
[26]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Nemegtosauridae
[27] 논문 Cretaceous sauropods from the Sahara and the uneven rate of skeletal evolution among dinosaurs http://doc.rero.ch/r[...]
[28] 논문 Sauropod dinosaur phylogeny: critique and cladistic analysis
[29] 논문 ''Bonitasaura salgadoi'' gen. et sp. nov.: a beaked sauropod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30] 논문 A new titanosaur sauropod from the Late Cretaceous of Brazil 2013-08-20
[31] 서적 Thunder-lizards : the Sauropodomorph dinosaur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5
[32] 논문 Neuroanatomy of Titanosaurid Dinosaur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With Comments on Endocranial Variability Within Sauropoda 2012
[33] 논문 Reassessment of Laplatasaurus araukanicus (Sauropoda: Titanosaur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Patagonia, Argentina http://naturalis.fcn[...] 2015
[34] 웹사이트 Big sauropods – really, really big sauropods http://www.gspauldin[...] Fall
[35] 서적 Paleontology and Geology of the Upper Jurassic Morrison Formation
[36] 웹사이트 Genus List for Holtz (2007) Dinosaurs http://www.geol.umd.[...] 2012
[37] 웹사이트 Supplementary Information to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https://www.geol.umd[...]
[38] 간행물 A gigantic new dinosaur from Argentina and the evolution of the sauropod hind foot 2016
[39] 간행물 Determining the largest known land animal: A critical comparison of differing methods for restoring the volume and mass of extinct animals http://www.gspauldin[...] 2019
[40] 서적 Dinosaur Facts and Figures: The Sauropods and Other Sauropodomorphs Princeton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Some results of the studies of the Upper Cretaceous dinosaurian fauna from the vicinity of the Station Sary-Agach, south Kazakhstan. https://books.google[...] 1938
[42] 간행물 New information on the Cretaceous sauropod dinosaurs of Zhejiang Province, China: impact on Laurasian titanosauriform phylogeny and biogeography
[43] 문서 Antarctosaurus
[44] 문서 Los saurisquios y ornitisquios del Cretacéo Argentino 1929
[45] 문서 Giants and Bizarres: Body Size of Some Southern South American Cretaceous Dinosaurs 2004
[46] 문서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Nemegtosauridae 1999
[47] 문서 Cretaceous sauropods from the Sahara and the uneven rate of skeletal evolution among dinosaurs 1999
[48] 문서 Sauropod dinosaur phylogeny: critique and cladistic analysis 2002
[49] 문서 Bonitasaura salgadoi gen. et sp. nov.: a beaked sauropod from the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2004
[50] 문서 Redescription of the Mongolian sauropod Nemegtosaurus mongoliensis Nowinski (Dinosauria: Saurischia) and comments on Late Cretaceous sauropod diversity 2005
[51] 문서 Cretaceous Saurischia and Ornithischia of the central provinces of India 1933
[52] 문서 '[The Upper Cretaceous vertebrate fauna of south Kazakhstan I. Reptilia. Pt. 1 Ornithischia]' 1939
[53] 문서 Antarctosaurus brasiliensis, um novo saurópode do Crétaceo superiordo sul do Brasil 1971
[54] 문서 Sauropoda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