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라베르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베르디는 아르메니아 로리 주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정착의 역사를 가지며 우라르투, 아케메네스 제국, 아르메니아 왕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 분할 이후 사산 제국, 우마이야 왕조, 바그라티드 아르메니아 왕국 등을 거쳐 조지아 왕국에 통합되었다. 12세기 셀주크 제국 침략 이후 조지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555년 사파비 페르시아에 합병되었다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8세기 폰토스 그리스인 광부들이 구리 채굴을 위해 재정착했고, 1899년 철도 건설과 함께 구리 제련소가 설립되었다. 1935년 도시 이름을 알라베르디로 변경하였고, 1938년 도시형 정착지 지위를 받았다. 데베드 강 협곡에 위치하며 냉대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구리 제련소를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진다. 미코얀 형제 박물관, 시립 극장 등 문화 시설이 있으며, 오드준 교회, 사나힌 수도원 등 역사적 기념물이 있다. 예레반-트빌리시 철도와 M-6 고속도로가 지나며, 코불레티, 폴라츠크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도시 - 흐라즈단
    흐라즈단은 아르메니아 코타이크 주의 도시로, 흐라즈단강을 따라 위치하며 고대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였고, 소련 시대 주요 산업 중심지로 발전하여 현재는 코타이크 주의 중심지로서 문화 시설과 교회 유적을 보유한 교통 요충지이다.
  • 아르메니아의 도시 - 가바르
    가바르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아르메니아 게가르쿠니크 주의 도시로, 고대 우라르투 왕국의 요새 유적과 중세 시대의 유물을 보유하며, 1830년 재건 이후 1995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되어 게가르쿠니크 주의 주도로 기능한다.
알라베르디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라베르디 스카이라인, 알라베르디의 오래된 동굴, 알라베르디-사나힌 다리, 그레고리 오브 나레크 교회, 데베드 강, 구리 콤바인과 케이블카, 알라베르디 파노라마 뷰
알라베르디 스카이라인, 알라베르디의 오래된 동굴, 알라베르디-사나힌 다리, 그레고리 오브 나레크 교회, 데베드 강, 구리 콤바인과 케이블카, 알라베르디 파노라마 뷰
공식 명칭Ալավերդի
로마자 표기Alaverdi
위치아르메니아 로리 주
시장(정보 없음)
설립1899년
면적18km2
고도715m
시간대AMT
UTC 오프셋+4
전화 지역 번호(+374) 253
공식 웹사이트알라베르디 공식 웹사이트
인구
2017년13,186명

2. 역사

알라베르디 주변 지역은 중세 시대에 마나스고메르 또는 마니츠 곰으로 알려졌다. 17세기부터는 투르크족 보르찰리 부족의 지도자 알라베르디 몰라오글루 타르칸의 이름을 따서 알라베르디로 불리게 되었다.[2]

1899년 사나힌 마을 북쪽 외곽의 마단 (현재 알라베르디의 일부) 마을 근처에 구리 제련소가 문을 열었다. 제련소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주거 막사가 건설되면서 역사적인 마니츠 곰에서 유래된 마네스라는 정착지가 형성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현대 알라베르디 지역은 기원전 2000년기 전반에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에는 우라르투 왕국의 일부였다. 아케메네스 제국의 침략 이후에는 아르메니아 사트라피에 속했다가 기원전 33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건국되면서 구가르크의 ''드조라포르'' 칸톤(지방)의 일부가 되었다.

387년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 사이에 아르메니아가 분할되고, 428년 아르사케스 왕조가 붕괴되면서 드조라포르 지역을 포함한 동아르메니아는 사산 제국의 통치를 받았다. 658년 우마이야 왕조에게 정복되었으나, 9세기 말 바그라티드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979년 키우리케 1세가 타시르-드조라게트 왕국(로리 왕국)을 세웠으나, 1118년 조지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12세기 초 셀주크 제국의 침략을 받았지만, 1118~1122년 조지아 왕 다비드 4세가 로리를 정복하고 오르벨리아 왕조에게 통치를 넘겼다. 1177년 오르벨리아 왕조의 반란 실패 후, 킵차크인 후바사리가 로리의 ''스파살라리''(총독)로 임명되었다. 1185년 조지아의 타마르 여왕이 자카리드 왕자 사르키스를 총독으로 임명하면서 자카리드 왕조가 통치하게 되었다.[3]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 하그파트 수도원, 사나힌 수도원, 오드준 교회가 세워지면서 아르메니아 문화, 신학, 과학의 중심지가 되었고, 호브하네스 이마스타세르 등의 학자들이 활동했다.[3] 그러나 몽골의 조지아 침략으로 황폐화되었고, 자카리드 왕조는 14세기 후반에 쇠퇴했다.[3]

1555년 아마시아 조약으로 사파비 페르시아에 합병되어 카르틀리-카케티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1747년 나데르 샤 사후 조지아 왕국들이 독립했고, 1762년 카르틀리-카케티 왕국으로 통일되었다.[4] 1801년 로리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3] 1813년 골리스탄 조약으로 공식적으로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어 티플리스 현 내 ''보르찰리 우예즈드''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2. 2. 근대

18세기 러시아 통치 하에 폰토스 그리스인 광부들이 구리 채굴을 위해 이 지역에 재정착하였고, 이는 아르구틴스키-돌고루키 가문의 노력 덕분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러시아 전체 구리의 약 4분의 1이 알라베르디에서 채굴되었다. 19세기 말, 광산 채굴권은 프랑스 회사에 판매되었다. 1899년 트빌리시-알렉산드로폴 철도가 건설되면서 사나힌과 아코리 사이의 '마다' 마을 근처에 새로운 구리 제련소가 문을 열었고, 이는 제련소 직원의 거주지가 된 새로운 정착촌('마네스')의 기반이 되었다.[2]

알라베르디의 전경


1918년 5월, 로리는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18년 말,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민주 공화국은 로리 지역을 두고 조지아-아르메니아 전쟁을 벌였다. 1919년 1월, 영국군은 로리 중립 지대를 설치했다. 1920년 12월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화된 후, 마네스를 포함한 로리는 1921년 2월 11일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편입되었다.[3]

소련 시대 건물


소련 통치 하에서, 1929-1930년에 건축가 미카엘 마즈마니안은 '마네스'의 첫 번째 주요 계획을 도입했다. 마네스는 1935년에 '알라베르디'로 개명되었고, 1938년에는 '알라베르디 라욘'의 중심지가 되기 위해 도시형 정착지 지위를 부여받았다. 알라베르디가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의 주요 산업 중심지로 발전함에 따라, 1946년 건축가 하이라 이사베키안이 도시의 주요 계획을 개정 및 개발하여 현재의 사회주의적 산업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 1959년에서 1962년 사이에는 건축가 레본 체르케지안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도시 남쪽 절반이 데베드 강 우안의 사나힌 고원에 건설되었다.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이후, 알라베르디는 1995년 행정 개혁에 따라 새로 형성된 로리 주에 포함되었다. 알라베르디 지방 자치 단체에는 인근 농촌 정착지인 아크네르도 포함된다. 지역 주요 산업 시설 중 하나인 알라베르디 구리 제련소는 1997년 민영화 이후 현재 ACP가 운영하고 있다.

2. 3. 현대

1931년 발굴 조사에 따르면, 현대 알라베르디 지역은 기원전 2천년기 전반에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기원전 8세기에서 6세기 사이 우라르투 왕국의 일부였다가 아케메네스 제국 침략으로 아르메니아 사트라피에 편입되었다. 기원전 331년 아르메니아 왕국 건국 후, 이 지역은 대아르메니아 13번째 주인 구가르크 ''드조라포르'' 칸톤의 일부가 되었다.

387년 비잔틴 제국과 사산 제국 간 아르메니아 분할, 428년 아르사케스 왕조 붕괴로 드조라포르를 포함한 동아르메니아는 사산 제국 통치를 받았다. 658년 우마이야 왕조에 정복되었다가 9세기 말 바그라티드 아르메니아 왕국 일부가 되었다. 979년 키우리케 1세가 타시르-드조라게트 왕국(로리 왕국)을 세웠으나 1118년 조지아 왕국에 합병되었다.

12세기 초 셀주크 제국 침략 후, 1118-1122년 조지아 왕 다비드 4세가 로리를 정복하고 오르벨리아 왕조에 통치를 넘겼다. 1177년 오르벨리아 왕조 반란 실패 후, 킵차크인 후바사리가 로리 ''스파살라리''로 임명되었다. 1185년 조지아의 타마르 여왕이 자카리드 왕자 사르키스를 총독으로 임명, 자카리드 왕조 통치를 받았다.[3] 11-13세기 하그파트 수도원, 사나힌 수도원, 오드준 교회가 세워져 아르메니아 문화, 신학, 과학 중심지가 되었고, 호브하네스 이마스타세르 등 학자들이 활동했다.[3] 그러나 몽골의 조지아 침략으로 황폐화, 자카리드 왕조는 14세기 후반 쇠퇴했다.[3]

1555년 아마시아 조약으로 로리는 사파비 페르시아에 합병, 페르시아 카르틀리-카케티 지역 일부가 되었다. 1747년 나데르 샤 사후, 카르틀리와 카케티 왕국은 독립했다가 1762년 카르틀리-카케티 왕국으로 통일되었다.[4] 1801년 로리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3] 1813년 골리스탄 조약으로 공식 러시아 제국 일부가 되어 티플리스 현 내 ''보르찰리 우예즈드'' 일부였다.

러시아 통치 하 18세기 폰토스 그리스인 광부들이 구리 채굴을 위해 재정착, 아르구틴스키-돌고루키 가문 노력으로 러시아 전체 구리 4분의 1이 알라베르디에서 채굴되었다. 19세기 말 광산 채굴권은 프랑스 회사에 판매되었다. 1899년 트빌리시-알렉산드로폴 철도 건설로 사나힌과 아코리 사이 ''마단'' 마을 근처 새 구리 제련소가 문 열었고, 제련소 직원 거주지 새 정착촌은 ''마네스''로 개명되었다.

1918년 5월 로리는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 일부였으나, 1918년 말 조지아 민주 공화국과 조지아-아르메니아 전쟁이 발발했다. 1919년 1월 로리 중립 지대 설치, 1920년 12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화 후, 마네스 포함 로리는 1921년 2월 11일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편입되었다.[3]

소련 통치 하 1929-1930년 ''마네스'' 첫 주요 계획 도입, 1935년 ''알라베르디''로 개명, 1938년 도시형 정착지 지위 부여받았다. 1946년 도시 주요 계획 개정, 현재 사회주의 산업 외관 갖게 되었다. 1959-1962년 도시 남쪽 절반이 데베드 강 우안 사나힌 고원에 건설되었다.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후, 알라베르디는 1995년 행정 개혁 따라 로리 주에 포함되었다. 알라베르디 지방 자치 단체에는 아크네르도 포함된다. 알라베르디 구리 제련소는 1997년 민영화, 현재 ACP 운영 중이다.

3. 지리 및 기후

데베드 강 협곡


알라베르디는 해발 1000m 지점의 데베드 강 협곡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높은 산과 푸른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데베드 강은 도시 중앙을 관통하며 도시를 북쪽과 남쪽, 두 부분으로 나눈다. 오래된 북쪽 절반은 데베드 협곡에, 새로운 남쪽 절반은 사나힌 고원에 위치해 있다. 알라베르디는 남동쪽의 사나힌, 동쪽의 하그파트, 서쪽의 아코리, 남서쪽의 오드준 등 큰 마을들로 둘러싸여 있다. 솜케티 산맥은 북쪽과 북서쪽에서, 팜박 산맥은 남쪽과 남서쪽에서 도시를 내려다본다. 해발 2544m의 랄바르 봉우리는 도시 북서쪽에 위치한다.

알라베르디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반건조 기후(BSk)를 보인다.[1]

알라베르디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0.6°C2°C5.8°C10.5°C15°C19.2°C22.1°C22.8°C18.2°C13.1°C7.1°C2.6°C
평균 기온 (°C)-7.4°C-5.5°C-1°C6°C11.1°C14.3°C17.6°C17.7°C13.6°C7.9°C1.9°C-3.9°C6.1°C
평균 최저 기온 (°C)-11°C-8.9°C-4.9°C0.1°C5.3°C9.8°C13.2°C13.6°C9.5°C4.1°C-3.1°C-8.5°C
강수량 (mm)23mm27mm35mm67mm111mm104mm64mm49mm45mm41mm31mm22mm615mm
평균 강수일5611151713989965


3. 1. 지리



알라베르디는 해발 1000m 지점의 데베드 강 협곡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높은 산과 푸른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데베드 강은 도시 중앙을 관통하며 도시를 2부분으로 나눈다. 알라베르디의 오래된 북쪽 절반은 데베드 협곡에, 새로운 남쪽 절반은 사나힌 고원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남동쪽의 사나힌, 동쪽의 하그파트, 서쪽의 아코리, 남서쪽의 오드준을 포함한 큰 마을들로 둘러싸여 있다. 솜케티 산맥은 북쪽과 북서쪽에서 도시를 내려다보고 있으며, 팜박 산맥은 남쪽과 남서쪽에서 도시를 내려다본다. 해발 2544m의 랄바르 봉우리는 도시의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

알라베르디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반건조 기후 (BSk)를 보인다.

3. 2. 기후

알라베르디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냉대 반건조 기후(BSk)를 보인다.

알라베르디의 기후[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0.6°C2°C5.8°C10.5°C15°C19.2°C22.1°C22.8°C18.2°C13.1°C7.1°C2.6°C
평균 기온 (°C)-7.4°C-5.5°C-1°C6°C11.1°C14.3°C17.6°C17.7°C13.6°C7.9°C1.9°C-3.9°C6.1°C
평균 최저 기온 (°C)-11°C-8.9°C-4.9°C0.1°C5.3°C9.8°C13.2°C13.6°C9.5°C4.1°C-3.1°C-8.5°C
강수량 (mm)23mm27mm35mm67mm111mm104mm64mm49mm45mm41mm31mm22mm615mm
평균 강수일5611151713989965


4. 인구

알라베르디는 주로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하며, 소규모 그리스인 공동체가 있다. 아르메니아의 그리스인들은 폰토스 방언을 사용하며 아르메니아어러시아어에 능통하다.[5] 소련 시대에 알라베르디의 "마단" 지역은 큰 그리스인 공동체를 가지고 있었다.[5]

알라베르디의 그리스 커뮤니티 센터

4. 1.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07년3,250명
1916년1,185명
1926년4,500명
1939년10,010명
1959년16,805명
1970년23,311명
1979년23,182명
1989년14,835명


4. 2. 민족 구성

알라베르디는 주로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하며, 한때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던 소규모 그리스인 공동체가 있다. 아르메니아의 그리스인들은 폰토스 방언을 사용하며 아르메니아어러시아어에 능통하다.[5]

5. 문화

알라베르디에는 여러 문화 시설이 있다. 1932년 아르멘 아르메니안이 설립한 알라베르디 시립 극장은 저명한 예술가를 많이 배출한 아르메니아의 주요 극장 중 하나이다. 1937년에 결성된 알라베르디 전통 음악 밴드는 소련 주요 도시를 순회 공연했으며, 독일, 프랑스, 벨기에에서도 공연했다. 이 도시에는 대극장과 큰 공공 도서관을 갖춘 드라마 극장도 있다. 아르메니아 국립 미술관은 1987년에 알라베르디 분관을 열었다. 1997년에는 알라베르디 문화 궁전이 문을 열었는데, 이곳은 도시의 공공 도서관이기도 하다. 2009년 현재 알라베르디에는 로마노스 멜리키안의 이름을 딴 음악 아카데미와 총 600명의 학생이 다니는 3개의 학교가 있다.[10]

5. 1. 문화 시설

아나스타스아르툠 형제를 기리는 미코얀 형제 박물관이 사나힌에 있다.[9]

1932년 아르멘 아르메니안이 설립한 알라베르디 시립 극장은 저명한 예술가를 많이 배출한 아르메니아의 주요 극장 중 하나이다.

1937년에 결성된 알라베르디 전통 음악 밴드는 소련의 주요 도시를 순회 공연했으며, 독일, 프랑스, 벨기에에서도 공연했다. 이 도시에는 대극장과 큰 공공 도서관을 갖춘 드라마 극장도 있다.

아르메니아 국립 미술관은 1987년에 알라베르디 분관을 열었다.

1997년에는 알라베르디 문화 궁전이 문을 열었다. 이곳은 도시의 공공 도서관이기도 하다.

2009년 현재 알라베르디에는 로마노스 멜리키안의 이름을 딴 음악 아카데미와 600명의 학생이 다니는 3개의 학교가 있다.[10]

5. 2. 교육

구가르크 주는 아르메니아 역사 전반에 걸쳐 주요 교육 중심지 중 하나였다. 966년에 바그라투니 왕조의 코스로바누쉬 여왕의 노력으로 문을 연 역사적인 사나힌 대학교는 알라베르디 남동쪽 외곽에 위치한 오늘날의 사나힌 마을에 있었다.

현재 이 도시는 로리 주의 중요한 교육 중심지 중 하나이다. 2009년 기준으로 알라베르디에는 약 2,000명의 학생이 재학하는 10개의 공립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또한, 이 도시의 약 400명의 아이들이 6개의 유치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 알라베르디 국립 중급 대학은 2년 과정의 교육학을 제공하며, 북부 대학교 투마니안 분교는 간호학 및 치과 보철학 학위를 제공한다.

5. 3. 역사적 기념물

알라베르디 주변 지역은 역사적 기념물과 자연환경이 풍부한 곳으로 유명하다. 도시 근처에는 아르메니아 건축 유산의 여러 표본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오드준 교회: 5세기에 지어졌다.
  • 호로마이르 수도원: 오드준 마을 근처에 있으며 7세기에 지어졌다.
  • 아르드비의 수르프 호브하네스 수도원: 8~13세기에 지어졌다.
  • 카이촌 성: 10세기에 지어졌으며 데베드 강 유역 근처에 있다.
  • 카얀 요새: 알라베르디 근처에 있으며, 10세기 아르메니아 국왕 아쇼트 예르카트가 건설했다.
  • 사나힌 수도원: 10세기에 지어졌다.
  • 하그파트 수도원: 10세기에 지어졌다.
  • 40인의 순교자 교회: 11세기에 지어졌다.
  • 알라베르디-사나힌 다리: 1195년에 건설되었으며 데베드 강 위에 있다.

6. 교통

알라베르디 기차역


알라베르디는 예레반-귬리-트빌리시 노선의 주요 기차역으로, 1899년부터 운영되어 왔다. 이 철도는 현재 알라베르디를 아르메니아 서부 및 중부, 그리고 조지아와 연결한다.

예레반트빌리시를 연결하는 M-6 고속도로가 알라베르디를 통과한다.

도시의 남쪽 절반은 데베드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와 케이블카를 통해 북쪽 부분과 연결된다.

알라베르디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은 도시에서 서쪽으로 51km 떨어진 스테파나반 공항(재건 중)이다.

7. 경제

알라베르디 제련소


알라베르디 지역이 조지아의 지배를 받던 시기, '''알라베르디 구리 제련소'''는 1770년 조지아 국왕 에레클레 2세의 명령으로 설립되었다. 19세기 말, 이 지역은 러시아와 프랑스의 야금 사업 투자가 늘면서 번영했다. 1903년, 알라베르디 지역의 구리 생산량은 러시아 제국 전체 구리 생산량의 약 13%를 차지했다.

1909년 말, 데베드 강의 수력 발전소가 가동되어 급증하는 야금 공장에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했다.

소련 통치 시기, 사나힌을 비롯한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알라베르디에서 대규모 건설 작업이 진행되었다. 소련은 이 지역의 야금 산업 확장을 위해 중요한 단계를 거쳤으며, 그 결과 알라베르디는 작은 산업 정착지에서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의 현대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최근, "아르메니아 구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알라베르디 제련소의 구리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새로운 계획과 새로운 구리 광산 개발이 도입되었다.

구리 공장은 약 5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한다.

8. 스포츠

메탈루르크 경기장


알라베르디는 아르메니아의 주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1936년, 알라베르디의 메탈루르크 축구 클럽은 아르메니아 SSR을 대표하여 최초의 소련 축구 선수권 대회의 하위 리그에 참가했다.

1991년 아르메니아 독립 이후, 데베드 FC가 1992 시즌 동안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이 도시를 대표했다. 그러나 다른 많은 아르메니아 축구 클럽들과 마찬가지로 데베드 FC는 1993년에 해체되었고 현재 프로 축구 활동을 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알라베르디의 스포츠 인프라는 매우 열악하지만, 아르메니아 축구 협회는 이 지역에서 경기를 장려하기 위한 몇 가지 계획을 시행했다. 따라서 도시의 유일한 메탈루르크 경기장은 로리 주의 젊은 축구 선수와 스포츠 학교를 위해 개조되었다.

소련 시대 동안 알라베르디는 강력한 핸드볼 팀을 보유했었다. 1960년대 소련 핸드볼 선수인 올레그 고르부노프의 이름을 딴 알라베르디 핸드볼 훈련 학교는 1962년부터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11] 2006년부터는 체스와 복싱을 위한 전문 학교들도 마을에서 운영되고 있다.

알라베르디 풋살은 아르메니아 풋살 리그에서 이 도시를 대표하며, 올레그 고르부노프 스포츠 학교에서 경기를 치른다.

9. 자매 도시

도시국가체결일
코불레티조지아2007년 5월 28일[12]
니카이아-아기오스 이오아니스 렌티스그리스2007년 10월 1일[13]
폴라츠크벨라루스2012년 5월 26일[14]
다우가프필스라트비아2012년 10월 2일[15]
게오르게니루마니아2014년 9월 25일[16]


참조

[1] 문서 Lori http://armstat.am/fi[...]
[2] 웹사이트 Ալավերդի տեղանունը պետք է ջնջել սերունդների հիշողությունից - ankakh.com https://web.archive.[...] 2021-04-17
[3] 백과사전 Armenian Encyclopedia
[4]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Ethnic Minorities of Armenia
[6] 간행물 Cite Kavkazskiy Kalendar 1910
[7] 간행물 Cite Republic of Armenia Settlements Dictionary
[8] 웹사이트 News http://www.acp.am/en[...]
[9] 웹사이트 Mikoyan Brothers Museum Official Website https://www.mikoyanb[...] Mikoyan Brothers Museum 2021-10-09
[10] 웹사이트 Education in Alaverdi https://archive.toda[...]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2009-08-14
[11] 웹사이트 Sport in Alaverdi https://web.archive.[...]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2009-08-24
[12]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eb.archive.[...]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2009-08-24
[13]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eb.archive.[...] Alaverdi town official website 2009-08-24
[14] 웹사이트 Alaverdi sister cities: Polotsk http://www.alaverdi.[...]
[15] 웹사이트 Alaverdi sister cities: Daugavpils http://www.alaverdi.[...]
[16] 웹사이트 Կամուրջ՝ Ռումինիայի Գեորգեն և Ալավերդի քաղաքների միջեւ - Հետք - Լուրեր, հոդվածներ, հետաքննություններ http://hetq.am/arm/n[...] 2014-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