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무가얏 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리 무가얏 샤는 16세기 초 아체 술탄국의 첫 번째 술탄으로, 1512년에서 1515년 사이에 즉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피디를 정복하고 포르투갈 세력과 대립하며 아체 술탄국의 영토를 확장했다. 1524년에는 파사이를 점령하여 포르투갈을 몰아냈으며, 1520년대에는 포르투갈과의 전투에서 승리하며 아체 술탄국의 기반을 다졌다. 알리 무가얏 샤는 1530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들이 술탄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왕족 - 아누웡
아누웡은 1804년 비엔티안의 통치자로 임명된 라오스의 왕으로, 불교 후원과 인프라 구축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참파삭 왕국을 통합했으나, 시암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라오스 민족주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라오스에서는 영웅으로 기려지지만 태국에서는 반란자로 평가받는다. - 아시아의 왕족 - 디파느가라
디파느가라는 1785년 족자카르타에서 태어나 네덜란드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자바 전쟁을 이끌었으며, 체포 후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했고, 인도네시아의 국민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1530년 사망 - 정현왕후
정현왕후는 조선 성종의 계비로서 중종의 어머니이며, 1462년에 태어나 1480년 왕비가 되었고, 연산군 즉위 후에는 왕대비, 중종반정 이후에는 자순화혜왕대비로 불리다가 1530년에 사망하여 선정릉에 안장되었다. - 1530년 사망 - 바부르
바부르는 티무르 제국 후예이자 무굴 제국 창시자로, 페르시아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별칭을 가졌으며, 권력 다툼 끝에 카불을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화약 무기를 지원받아 1526년 파니파트 전투에서 로디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건설한 군사 전략가이자 시인이다.
| 알리 무가얏 샤 | |
|---|---|
| 기본 정보 | |
![]() | |
| 칭호 | 술탄 |
| 전체 이름 | 알리 무가얏 샤 |
| 출생지 | 아체 왕국, 반다아체 (현재의 인도네시아) |
| 사망일 | 1530년 8월 7일 |
| 사망지 | 아체 왕국, 반다아체 (현재의 인도네시아) |
| 매장지 | 반다아체, 아체 술탄 칸당 XII의 묘지 단지 |
| 통치 | |
| 즉위 | (대략) 1514년 |
| 통치 시작 | (대략) 1514년 |
| 통치 종료 | 1530년 8월 7일 |
| 전임자 | 술탄국 설립 |
| 후임자 | 살라후딘 (아체) |
| 왕조 | 메우쿠타 알람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샴스 샤 |
| 어머니 | 이나얏 샤의 이름 없는 딸 |
| 배우자 | 미상 |
| 자녀 | 살라후딘 (아체) 알라웃딘 알-카하르 |
| 종교 | |
| 종교 | 이슬람 |
2. 아체의 기원 및 대두
15세기, 수마트라섬 최북단을 지배한 세 개의 항만 왕국이 있었다. 사무드라 파사이는 13세기 후반부터 무슬림 군주(술탄)국으로서,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는 아시아 간 무역의 일부를 담당했다. 그러나 16세기 초 정치적 혼란으로 멸망했다. 두 번째 주요 세력은 후추의 주요 생산지였던 피디였으며, 1509년부터 포르투갈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세 번째는 다야(현재의 칼랑(Calang)으로 추정)로, 16세기 초에 포르투갈인이 정착했다.[3]
아체 술탄국의 정확한 기원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15세기 말 다르 알-카말과 라무리의 통일로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2. 1. 전승 및 문헌 기록
아체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히카얏 아체''(Hikayat Aceh)에 따르면, 두 명의 ''비다다리''(천상의 요정)가 라무리(Lamuri)에서 온 두 왕자 형제와 결혼하여 왕가를 낳았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미낭카바우, 아랍 또는 심지어 셀주크의 왕실 기원을 말하기도 한다. ''세자라 멜라유''(Sejarah Melayu)에 따르면, 참파의 왕자 샤 폴링(Syah Poling)은 참파 왕 샤 파우 쿠바흐(P'an-Lo T'ou-Ts'iuan)의 아들로, 1471년 레 왕조가 수도 비자야를 약탈했을 때 참파에서 도망쳐 아체에 왕실을 세웠다고 한다.[4]아체 술탄국의 정확한 기원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북수마트라의 두 왕국인 다르 알-카말의 아체와 라무리가 통일되면서 처음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1] 15세기 말, 압둘라 알말리크 알무빈의 아들 이나야트 샤(Inayat Syah)가 반다 아체의 직접적인 전신인 다르 알-카말의 아체를 통치했다. 그는 두 아들, 즉 다야의 왕이었던 알라딘(Alauddin, 1508년 사망)과 그의 뒤를 이은 술탄 무자파르 샤를 두었다. 무자파르는 아마도 피디의 왕에 의해 추방되었고 1497년에 사망했다. 포르투갈인들이 몇 년 후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아체가 피디의 봉신국이라고 들었다. 이 시기에는 무나와르 샤의 아들 샴수 샤가 통치했다. 샴수 샤는 나중에 아들 알리 무가얏 샤에게 양위해야 했고 1530년에 사망했다. 알리는 다야의 알라딘의 딸 시트 후르(Sitt Hur, 1554년 사망)와 결혼하여(또는 라자 이나야트 샤의 딸 푸테리 세티아 인데라와 결혼) 아체 통치자 두 계보를 연결했다. 그는 그의 형제이자 뛰어난 군 사령관인 라자 이브라힘의 강력한 지원을 받았다.[5] 권위 있는 연대기 ''부스타누스 살라틴''(Bustanus Salatin)에 따르면 그는 아체의 첫 번째 술탄이었다.
2. 2. 초기 지배 가문
15세기 말, 압둘라 알말리크 알무빈의 아들 이나야트 샤가 반다 아체의 직접적인 전신인 다르 알-카말을 다스리고 있었다. 이나야트 샤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다야의 왕이었던 알라딘(1508년 사망)과 무자파르 샤였다. 무자파르 샤는 후계자였지만 피디의 왕에 의해 추방되어 1497년에 사망한 것으로 여겨진다.[5]몇 년 후 포르투갈인들이 도착했을 때, 그들은 아체가 피디의 신하라고 들었다. 이 시기 아체는 무나와르 샤의 아들인 샴수 샤가 통치했다. 샴수 샤는 나중에 아들 알리 무가얏 샤에게 양위하고 1530년에 사망했다. 알리 무가얏 샤는 다야의 알라딘의 딸 시트 후르(1554년 사망) 또는 라자 이나야트 샤의 딸 푸테리 세티아 인데라와 결혼하여 아체 지배자의 두 계통을 연결했다. 권위 있는 연대기 ''부스타누스 살라틴''은 알리 무가얏 샤를 아체의 초대 술탄으로 칭하고 있다.[5]
3. 알리 무가얏 샤의 통치와 확장
술탄 알리 무가얏 샤의 즉위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후대의 연대기들은 그의 통치 기간을 15년, 16년, 또는 18년으로 기록하고 있어, 대략 1512년에서 1515년 사이로 추정된다.[6] 그러나 알리의 통치는 피디의 술탄 마아리프 샤(1511년 사망)의 통치 기간과 겹친다는 기록이 있어 이보다 더 이를 수도 있다.
《히카야트 아체》에 따르면, 마아리프 샤는 알리의 여동생에게 구혼했지만, 평민과 식사를 했다는 점과 알리의 가문이 "비다다리"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격분한 마아리프는 아체를 공격했으나, 알리의 뛰어난 전술에 의해 패배했고, 아체의 피디에 대한 의존은 종말을 맞이했다. 이후 마아리프 샤는 1511년에 사망하고 그의 아들 술탄 아흐마드가 피디의 술탄이 되었지만, 아체와의 전쟁에서 최선을 다하지 않아 백성들의 존경을 받지 못했다. 얼마 후 술탄 알리는 피디를 침략했고, 피디의 통치자는 백성들에게 버림받고 그의 노예들만이 그를 지켰다. 술탄 아흐마드는 파사이로 도망쳤고, 피디는 아체 왕국에 병합되었다.[8]
3. 1. 피디 정복
술탄 알리 무가얏 샤의 즉위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후대의 기록에는 그의 통치 기간이 15년, 16년, 또는 18년으로 나타나 있어, 대략 1512년에서 1515년 사이로 추정된다.[6] 그러나 그의 통치는 피디의 술탄 마아리프 샤(1511년 사망)의 통치 기간과 겹친다는 기록이 있어 이보다 더 이를 수도 있다. 《히카야트 아체》에 따르면, 술탄 마아리프는 술탄 알리의 여동생에게 결혼을 제안했지만, 그가 평민들과 함께 식사하고 술탄 알리의 가문이 "비다다리"의 후손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분노한 마아리프는 아체를 공격했으나 술탄 알리의 뛰어난 전술에 패배했고, 이는 아체가 피디에 의존하는 관계를 끝내는 계기가 되었다.[7]1511년에 사망한 술탄 마아리프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술탄 아흐마드가 피디의 술탄이 되었지만, 아체와의 전쟁에서 최선을 다하지 않아 백성들의 존경을 받지 못했다. 1512년에서 1515년 사이의 포르투갈 자료는 아체와 피디 사이의 전쟁이 그 당시 격렬하게 벌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23] 얼마 후 술탄 알리는 피디를 침략했고, 피디의 통치자는 백성들에게 버림받고 그의 노예들만이 그를 지켰다. 술탄 아흐마드는 파사이로 도망쳤고, 피디는 아체 왕국에 병합되었다.[8] 포르투갈 자료에 따르면 이 사건은 1520년대 초에 일어났다.
3. 2. 포르투갈과의 충돌
1511년 포르투갈이 믈라카를 정복한 후, 무슬림 상인들은 해협의 다른 항구 도시로 이동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 과정에서 강력한 무슬림 국가인 아체는 인도양 지역과 홍해 무역에 접근할 수 있는 전략적인 위치 덕분에 이익을 얻었다.[9] 오스만 제국의 불확실한 기록에 따르면, 1516년에 아체의 술탄이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던 셀림 1세에게 신종, 예속을 신청했다고 한다.[10] 그러나 아체와 오스만 제국의 관계는 그 이후 술탄 알리의 아들인 알라우딘 알카하르의 치세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아체와 포르투갈의 첫 직접적인 접촉은 1519년에 이루어졌다. 이후 술탄 알리와 그의 형제 라자 이브라힘은 수마트라 섬 북부 지역을 지배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시작했고, 결국 1521년 아체 전투로 이어졌다.
3. 2. 1. 1521년 아체 전투
1511년 포르투갈이 믈라카를 정복하면서, 이 지역의 다른 항구 도시로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는 무슬림 및 다른 상인들의 반감을 샀다. 이 과정에서 강력한 무슬림 국가인 아체는 인도양 지역과 홍해 무역에 접근할 수 있는 전략적인 위치 덕분에 이익을 얻었다.[9]아체와 포르투갈의 첫 직접적인 접촉은 1519년 가스파르 다 코스타가 배를 타고 도착했지만 주민들에게 붙잡히면서 이루어졌다. 그는 나중에 샤반다르(항만 관리자) 파사이에게 몸값을 받고 그곳에서 피신했다. 이듬해 술탄 알리와 그의 형제 라자 이브라힘은 수마트라 북부 지역을 지배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1521년에 호르헤 데 브리토가 이끄는 200명의 포르투갈 함대가 도착했다. 술탄 알리는 아체에 머물던 포르투갈인을 사절로 보내 선물을 전했다. 그러나 사절은 편을 바꾸어 데 브리토에게 아체의 수도를 공격하도록 설득했다. 술탄 알리는 6마리의 코끼리와 함께 800~1,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나와 포르투갈군에게 완전한 패배를 안겨주었다. 데 브리토는 사망했고 생존자들은 배를 타고 도망쳤다.[13] 많은 유럽 대포가 노획되었고, 이는 피디를 상대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3. 2. 2. 파사이 정복
1524년, 아체는 파사이를 점령하고 그곳에 있던 포르투갈 수비대를 몰아냈다.[13] 이 사건은 1511년 포르투갈의 믈라카 정복 이후 이슬람 상인들이 인도양과 홍해 무역로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아체로 거점을 옮기면서 아체가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9]3. 3. 추가적인 정복 활동과 죽음
페디 정복 직후, 지원을 위해 파견된 포르투갈 함대도 격퇴되었다. 알리의 형제이자 사령관인 라자 이브라힘은 1523년 11월 30일 정복 전쟁 중에 사망했지만,[5] 1524년에 파사이는 점령되었고, 주둔하던 포르투갈 수비대는 추방되었다. 파사이 술탄은 믈라카로, 페디와 다야의 원래 지배자는 아루(대략 델리 술탄국에 해당)로 도망갔다.
이러한 군사 행동은 포르투갈의 해군력과 수마트라 섬 조호르 술탄국의 영유권에 대한 도전이었다.[14] 1520년대의 승리는 아체 전쟁 (1873년 - 1903년)까지 이어진 아체 술탄국의 기틀을 다졌다. 그러나 포르투갈과의 싸움은 계속되어, 1527년 프란시스코 데 멜루(Francisco de Mello) 선장은 수도 반다아체 교외에서 아체 왕국의 배를 침몰시키고 승무원을 살해했다. 1528년에는 시망 데 소우자 갈바웅(Simão de Sousa Galvão)이 폭풍으로 아체 왕국에 피난했다가 현지인들에게 습격당해 일행 대부분이 살해되었고 나머지는 포로가 되었다. 알리는 평화 협상을 시작했고, 아루와 포르투갈의 공동 원정 준비는 중지되었다. 그러나 곧 새로운 사건이 일어나 알리는 포르투갈인 포로를 모두 살해했다.[15] 1529년 알리는 믈라카 기습 정복을 계획했지만, 계획이 유출되어 실행되지 못했다.[16]
알리의 죽음에 대한 기록은 다양하지만, 묘비에 따르면 1530년 8월 7일에 사망하여 반다아체 쿠타라자(Kutaraja) 궁전 부지에 매장되었다. 포르투갈 연대기 작가 주앙 드 바루스는 다야 정복에 대한 복수로 다야 지배자의 여동생이었던 아내에게 독살되었다고 기록한다.[17] 아내 시트 후르는 알리보다 24년 더 오래 살았고 1554년 12월 6일에 사망했다.[18] 알리는 살라후딘과 알라딘 알-카하르 두 아들을 남겼다. 살라후딘은 왕위를 계승했지만 군사적 역량은 부족했다. 1530년대 이후 왕권의 실질적인 기반을 다진 것은 동생 알라딘이었다.
4. 16세기 이후 아체
알리 무가얏 샤 사후, 그의 아들 살라후딘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아버지와 같은 통치 능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1530년대 이후 아체의 실질적인 권력은 또 다른 아들인 알라딘 알-카하르가 닦았다.[17]
4. 1. 살라후딘과 알라딘 알-카하르
알리 무가얏 샤는 살라후딘과 알라딘 알-카하르라는 두 아들을 남겼다. 살라후딘은 왕위를 계승했지만, 아버지와 같은 군사적 재능은 없었다. 1530년대 이후 아체의 실질적인 권력은 막내 아들 알라딘이 닦았다.[17]참조
[1]
서적
Sovereign Women in a Muslim Kingdom – The Sultanahs of Aceh, 1641−1699
NUS Press; Cornell University Press
[2]
논문
Trade and statecraft in the Western Archipelago at the dawn of the European age
1981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간행물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간행물
[30]
간행물
[31]
간행물
[32]
간행물
[33]
간행물
[34]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