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모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모시는 헝가리 역사의 인물로, 헝가리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1200년경에 쓰여진 '헝가리인의 행위'에 따르면 아틸라의 혈통이며, 출생과 관련하여 어머니 에메세가 맹금류가 자신을 임신하는 꿈을 꿨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알모시는 헝가리 부족 연맹의 지도자로 선출되었으며, 헝가리인들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를 침략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게스타 헝가로룸'에서는 언급이 없으나, '삽화 연대기'에서는 트란실바니아에서 살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헝가리 사람 - 아르파드
아르파드는 9세기 말 마자르족을 이끌고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마자르족 연합체의 첫 번째 수장으로, 도나우강 중류 지역으로 이주 및 세력 확장, 그리고 헝가리의 민족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895년 사망 - 미나모토노 도루
미나모토노 도루는 헤이안 시대 초기의 황족이자 공경으로 사가 천황의 아들이며 사다이진까지 올랐고, 그의 저택 정원은 겐지 이야기의 히카루 겐지 모델 중 하나로 여겨지며 와카에도 능했다. - 895년 사망 - 후고 (알자스 공작)
후고는 로타르 2세의 사생아로 알자스 공작을 지냈으며, 왕위 회복 시도와 반란, 노르만족과의 동맹 실패 후 뚱보왕 카를에게 체포되어 형벌을 받고 사망했다. - 820년 출생 - 교황 니콜라오 1세
교황 니콜라오 1세는 9세기 로마 출신 교황으로, 서유럽에서 교회의 로마 수위권을 옹호하며 교황의 권위를 강화하고 기독교 도덕성 수호와 혼인 규율 확립에 힘썼으며, 동방 교회와의 관계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와 갈등을 겪었으나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820년 출생 - 로드리 마우르
로드리 마우르는 9세기 웨일스의 군주로서 그위네드 왕국의 왕위를 계승하여 웨일스 대부분 지역을 통치하며 잉글랜드의 압력과 바이킹의 침략에 맞서 싸웠고, 포이스와 케레디기온을 상속받아 영토를 확장하다 878년 전투에서 전사했다.
알모시 | |
---|---|
기본 정보 | |
칭호 | 켄데 또는 줄라 (헝가리어 칭호) |
이름 | 알모시 |
전체 이름 | (알 수 없음) |
![]() | |
계승 | 헝가리 대공 |
통치 기간 | 기원전 850년경 – 기원전 895년경 |
대관식 | (알 수 없음) |
선임자 | 레베디 (?) |
후임자 | 아르파드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아르파드 |
가문 | 투룰 |
아버지 | 외게크 또는 엘뢰드 |
어머니 | 에메세 |
출생일 | 기원전 820년경 |
출생 장소 | (알 수 없음) |
사망일 | 기원전 895년경 (75세) |
사망 장소 | 트란실바니아 (논쟁 중) |
매장 장소 | (알 수 없음) |
종교 | 헝가리 이교 |
언어 정보 | |
추가 정보 | |
로마자 표기 | Álmos |
2. 가계와 전설
알모스의 가계는 중세 헝가리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전설적인 인물들과 연결되었다. 벨라 3세 통치 시대의 익명의 서기는 1200년경 또는 1210년경 작성된 ''헝가리인의 행위''에서 알모스가 전설적인 훈족의 왕 아틸라의 "혈통"에서 나왔다고 기록했다.[2] 13세기 말의 연대기 작가인 케자의 시몬은 알모스가 "투룰 친족"이라고 썼다.[2]
특히 알모스의 탄생과 관련해서는 그의 어머니 에메세가 송골매의 모습을 한 신성한 새(투룰)가 나오는 꿈을 꾸고 알모스를 잉태했다는 전설이 ''헝가리인의 행위''와 ''삽화 연대기'' 등에 기록되어 있다.[10][11] 이 투룰 전설은 유라시아 유목민 문화권에서 발견되는 시조 탄생 설화와 유사성을 보이며,[5][6] 알모스 가문의 토템 신화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기록들은 알모스와 그 후손인 아르파드 왕조의 기원을 신성하고 영웅적인 과거와 연결하여 그 정통성을 강조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알모스의 부모, 이름의 유래, 투룰 전설의 구체적인 내용 등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2. 1. 출생과 투룰 전설
벨라 3세 시대 익명의 서기가 1200년경 또는 1210년경 작성한 ''헝가리인의 행위''와 13세기 말 케자의 시몬의 연대기는 알모스의 출생과 관련된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아노니무스는 알모스가 아틸라의 "혈통"이라고 언급했으며, 케자의 시몬은 알모스가 "투룰 친족"이라고 기록했다.[2] 시몬은 또한 아틸라가 "헝가리인들이 '투룰'이라 부르는 새의 형상"이 그려진 깃발을 사용했다고 덧붙였는데, 이는 매나 송골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이 투룰 새는 ''헝가리인의 행위''와 ''삽화 연대기'' 모두에 기록된 알모스의 탄생 설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전설에 따르면, 알모스의 어머니 에메세가 이미 알모스를 임신한 상태에서 "송골매 형상"의 맹금류가 꿈에 나타나 그녀를 잉태시키는 체험을 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유목 스텝 문화권의 설화들과 유사성을 보이는데, 예를 들어 ''몽골 비사''에는 칭기즈 칸의 장모가 하얀 매("발톱에 해와 달을 쥔"[5][6] -- 투룰은 종종 태양으로 묘사되었다 --)가 하늘에서 내려와 손에 앉아 자식의 탄생과 왕조의 시작을 예언하는 꿈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매는 다산과 왕조 창건 설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상징으로, 스텝 민족들의 전통에서 널리 나타나는 모티프이다.
역사학자 귈라 크리스토와 빅토르 스피네이는 이 이야기가 본래 알모스 가문의 토템 조상 설화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헝가리인의 행위''에 따르면, 알모스는 스키타이 지도자 위게크[6]와 "에네두벨리안 공작"의 딸인 에메세 사이에서 태어났다. 크리스토는 어머니를 뜻하는 고대 헝가리어 단어 ''(em)''을 포함하는 에메세라는 이름이 아노니무스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 있다고 보았다. 알모스의 아버지 이름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아노니무스는 위게크라고 기록했지만,[15] 14세기 ''삽화 연대기''는 위게크의 아들인 엘로디가 알모스의 아버지라고 전한다. 크리스토는 두 이름 모두 후대 연대기 작가들의 창작일 가능성을 제시하며, 위게크는 고대 헝가리어 ''ügy''(성스러운)에서, 엘로디는 단순히 '조상'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노니무스는 위게크가 819년에 에메세와 결혼했다고 기록했는데, 이 기록이 사실이라면 알모스는 820년경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아노니무스는 알모스의 이름과 헝가리어 단어 꿈(álom|알롬hun)을 연결하는데, 이는 아마도 그 이름의 가장 많이 인용되는 기원일 것이다.[16][17][18] 현대 헝가리어에서 그 이름은 "졸린", "나른한"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름 알모스는 언급했듯이 "꿈"을 의미하는 álom|알롬hun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 자체는 álmos|알모시hun, "졸린"의 어원이다.[18] "꿈"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은 그의 어머니의 꿈을 묘사하는 그의 출생을 둘러싼 전설에 더 잘 부합할 것이다.[18] 단어 álom|알롬hun은 원시 핀-우랄어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adema ("잠자는, 꿈")에서 유래한다. 동족어에는 메도우 마리어 омо (omo)와 만시어 ӯлем (ūlem, "꿈")이 있다. 크리스토조차도 알모스의 이름의 어원이 "익명의 서기가 묘사한 방식, 즉 이름 알모스가 헝가리어 단어 álom (almu) '꿈'에서 파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더 회의적인 저자들은 "이 이름이 헝가리어 일반 명사 álom '꿈'과 관련 있다는 어원은 [다른 제안된 어원처럼] 쉽게 거부될 수 없다"고 언급했다.[19]
역사학자 안드라스 로나-타스와 빅토르 스피네이는 그의 이름이 튀르크어 기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피네이 자신은 이름의 튀르크어 어원을 바탕으로 한 개인의 튀르크 기원 제안에 대해 이름의 어원이 항상 그 이름을 가진 사람의 민족성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현대 헝가리어 단어의 10%는 튀르크어 기원이며, 마자르족에게 일관된 유전적, 문화적 기여를 했다. 19세기에는 헝가리어에 대한 우랄어보다는 튀르크어 기원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수 세기 동안의 우랄-알타이어족과의 공존 이후 헝가리어가 흡수한 크고 다양한 차용어와 모든 헝가리어의 영향 때문이다. 마자르족의 역사적 사회 구조 자체도 튀르크 기원이라고 한다.[20] "헝가리인"과 "훈족"이라는 단어도 튀르크어 기원으로 간주된다. 많은 헝가리 이름과 동물 및 식물 이름도[21] 튀르크어 기원이며, 헝가리 부족 이름의 대다수는 튀르크어 기원이었다.[22] 그러나 마자르족은 튀르크 민족이 아니다.[23] 튀르크 이론에 따르면, 그 이름은 튀르크어로 "사들인 자"를 의미했다.
언어학자 벨라 칼만은 다음과 같이 썼다. "그러나 알모스라는 이름은 튀르크 기원이 아니라 헝가리어 단어 핀-우그리아어 기원인 álom의 헝가리어 2차 형성으로, 꿈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24]
헝가리 공작과 "모든 헝가리인의 어머니"인 에메세에게서 태어난 알모스는[25] 튀르크계 페체네그족의 공격을 받은 후 카르파티아 분지 정복으로 자신의 백성을 이끌었다. 그는 마자르족의 지도자로 선택되었는데, 마자르족은 처음에 레베드를 영구적인 지도자로 임명했다. 헝가리 민족은 알모스 부족의 이름을 따서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는 7개의 헝가리 부족 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아노니무스는 ''헝가리인의 행위''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우리 주님의 성육신 819년,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마곡 왕의 가문 출신인 위게크는 한참 후에 스키타이의 가장 고귀한 공작이 되었고, 덴툼오게르에서 에네두벨리안 공작의 딸 에메세와 결혼하여 아들 알모스를 낳았다. 그러나 그는 신성한 사건에서 알모스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그녀가 임신했을 때 맹금류의 형태로 그의 어머니에게 꿈에서 신성한 환영이 나타났고, 마치 그녀에게 온 것처럼 그녀를 임신시켜 그녀의 자궁에서 급류가 나오고 그녀의 허리에서 영광스러운 왕들이 생겨날 것이지만, 그들은 그들의 땅에서 번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꿈은 헝가리어로 "알롬"이라고 불리고 그의 출생이 꿈에서 예언되었으므로 그는 알모스라고 불렸다. 또는 그는 그렇게 알모스, 즉 거룩하다고 불리는데, 그의 가문에서 거룩한 왕과 공작들이 태어났기 때문이다."[31]
2. 2. 아버지와 어머니
1200년경 또는 1210년경 벨라 3세 시대의 익명의 아노니무스가 쓴 헝가리인의 행위에 따르면, 알모스의 아버지는 스키타이 지도자 위게크이며[6], 어머니는 "에네두벨리안 공작"의 딸인 에메세이다.[14] 아노니무스는 위게크가 819년에 에메세와 결혼했다고 기록했는데,[9] 이 기록이 정확하다면 알모스는 820년경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10]그러나 알모스의 아버지 이름은 헝가리 연대기 기록에 따라 달라 불확실하다.[9] 아노니무스는 위게크가 그의 이름이라고 주장했지만,[15] 14세기의 삽화 연대기는 엘뢰드(Előd)가 알모스의 아버지이며, 엘뢰드 자신은 위게크의 아들이라고 기록했다.[9] 역사학자 귈라 크리스토는 두 이름 모두 연대기 작가가 만들어낸 것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는 위게크라는 이름이 '성스럽다'는 의미의 고대 헝가리어 'ügy'에서 유래했을 수 있고, 엘뢰드는 단순히 '조상'을 의미하는 단어일 수 있다고 보았다.[9] 마찬가지로 어머니 에메세의 이름에 대해서도 크리스토는 '어머니'를 뜻하는 옛 헝가리어 단어 'em'을 포함하고 있어 아노니무스가 지어낸 이름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9]
알모스의 출생과 관련해서는 그의 어머니 에메세가 꾼 꿈에 대한 전설이 전해진다.[10] 헝가리인의 행위와 삽화 연대기 모두에 기록된 이 전설에 따르면, 에메세가 이미 알모스를 임신했을 때 "송골매(투룰)의 모습을 한" 맹금류가 꿈에 나타나 그녀를 임신시키는 환상을 보았다고 한다.[10][11] 이 이야기는 유목민 문화, 특히 몽골 비사에 나오는 칭기즈 칸의 장모가 꾼 흰 매 꿈 이야기와 유사성을 보인다.[5][6] 역사학자 귈라 크리스토와 빅토르 스피네이는 이 이야기가 원래 알모스 가문의 토테미즘 조상 신화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본다.
3. 헝가리 부족 연맹의 지도자
알모시는 9세기 중반 마자르족의 헝가리 부족 연맹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여겨진다. 그가 어떻게 부족 연맹의 지도자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기록이 전해진다. 중세 헝가리 연대기인 《게스타 헝가로룸》은 알모시가 일곱 부족장의 자발적인 선출과 '혈맹'(vérszerződéshu)이라는 의식을 통해 지도자로 추대되었다고 설명한다.[1] 반면, 비잔틴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는 카자르 카간의 개입으로 알모시의 아들 아르파드가 첫 지도자로 선출되었다고 기록하여[32], 알모시의 역할에 대해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이러한 선출 과정의 구체적인 내용과 해석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있다.
역사학자 귈라 크리스토는 알모시가 대략 850년경부터 부족 연맹을 이끌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초기에는 카자르 카간국의 영향 아래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14], 860년경부터는 헝가리 부족 연맹이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여 중앙 유럽에서 군사 활동을 전개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14] 862년 동프랑크 왕국의 루트비히 2세 영토를 침공한 기록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알모시의 지도 아래 헝가리 부족 연맹은 세력을 확장하기도 했다. 860년대 또는 870년대에는 카자르에서 이탈한 세 부족, 즉 콘스탄티누스 7세가 '카바로이'(Κάβαροιgrc)[36]라고 칭한 집단이 헝가리인들과 합류했다. 일부에서는 익명의 저자가 키예프에서 "쿠만족"의 일곱 공작이 알모시에게 복종했다고 기록한 것을[37] 이러한 세력 통합 과정과 연관 짓기도 한다.
또한 알모시는 당시 동유럽의 주요 세력이었던 키예프 루스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나타난다. 익명의 저자는 알모시가 지휘한 헝가리군이 키예프 루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기록했으며[42], 러시아의 《원초 연대기》는 키예프 내 "헝가리 언덕"[38]과 "올마의 성"(Олъминъ дворъorv)을 언급하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를 알모시와 관련된 지명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3. 1. 지도자 선출 과정
《게스타 헝가로룸》에 따르면, 알모시는 일곱 마자르 부족 수장들에 의해 자유롭게 "지도자이자 지배자"로 선출되었다.[1] 익명의 저자는 이 선출을 확고히 하기 위해 일곱 추장이 "이교도 방식으로 한 그릇에 피를 흘려 맹세"하는 의식을 거행했다고 덧붙였다.[1] 또한, 이 과정에서 알모시 자손의 지위 세습권과 선출자 후손의 공작 평의회 참여권 등 정부의 기본 원칙이 마련되었다고 기록했다. 이 '피의 맹세'(vérszerződéshu) 기록은 후대 헝가리 역사학자들에게 중요하게 인식되었으며, 일부는 이를 유럽 초기 의회적 사고의 발현으로 해석하기도 했다.반면, 약 950년경 비잔틴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는 상당히 다른 기록을 남겼다. 그는 알모시가 아닌 그의 아들 아르파드가 헝가리 부족 최초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이 선출은 카자르 카간의 주도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32] 황제에 따르면, 페체네그족에 의해 원래 거주지에서 밀려나 에텔코즈라는 새 영토에 정착한 헝가리 부족들에게 카간이 사절을 보냈다.[32] 카간은 부족장(보이보드) 중 한 명인 레베디를 카간의 이익을 대변할 지도자로 임명하려 했으나, 레베디는 이를 거절하고 대신 알모시나 그의 아들 아르파드를 추천했다. 카간은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헝가리인들은 카간의 주도 하에 첫 지도자를 선출하게 되었는데, 이때 알모시보다 그의 아들 아르파드를 더 선호하여 지도자로 삼았다. 콘스탄티누스 7세의 기록은 서방 학자들에게 대체로 신뢰받지만, 종종 혼란스럽고 전설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평가도 받는다.[33][34][23]
많은 역사학자들은 포르피로게니투스가 아르파드를 강조하며 알모시를 생략한 기록에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알모시의 탄생과 관련된 투룰 전설이 그가 왕조의 시조임을 시사한다고 본다. 일부 학자들은 황제의 기록이 아르파드의 후손에게서 나온 정보에 기반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는 아르파드 가문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알모시의 다른 후손들을 배제하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고 해석한다. 안드라스 로나-타스는 콘스탄티누스의 기록이 실제로는 알모시(귈라)가 레베디(켄데)에 대항하여 일으킨 권력 투쟁의 기억을 반영하며, 알모시가 경쟁자 대신 자신의 아들 아르파드를 신성한 통치자로 내세웠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9세기 말 알-자이하니를 비롯한 이슬람 학자들의 기록에는 헝가리인들에게 '켄데'(신성 통치자)와 '귈라'(군사 사령관)라는 두 개의 최고 직책이 있었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알모시가 이 중 어떤 직책을 맡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학자들 간의 논쟁이 있다.
콘스탄티누스 포르피로게니투스: ''제국 통치에 관하여''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35]
''카간이'' [레베디]'에게 말했다. "우리는 당신이 고귀하고 현명하며 용감하고 [헝가리인] 중에서 으뜸이기 때문에 당신을 이 문제에 초대하여 당신을 국가의 공작으로 임명하고 우리의 말과 명령에 순종하게 하려 합니다." 그러나 그는 카간에게 대답했다. "저는 당신의 저에 대한 존경과 목적을 매우 존중하며 적절한 감사를 표하지만, 이 통치를 할 힘이 없으므로 당신에게 복종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저 외에 [알모시]라고 불리는 보이보드가 있으며 그의 아들 [아르파드]가 있습니다. [알모시]이든 그의 아들 [아르파드]이든 그 중 한 명을 공작으로 삼아 당신의 말에 복종하게 하십시오." 그 카간은 이 말을 기뻐하며 그의 사람들을 보내 그와 함께 헝가리인들에게 보냈고, 그들이 [헝가리인]과 그 문제를 논의한 후, [헝가리인]은 그의 아버지 [알모시]보다 [아르파드]를 공작으로 선호했는데, 그는 뛰어난 부분과 지혜, 조언 및 용맹에 대해 널리 존경받았고, 이 통치를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카자르의 관습 또는 '자카논'에 따라 그를 방패에 들어 올려 공작으로 만들었습니다.''
3. 2. 헝가리 부족 연맹의 발전
《게스타 헝가로룸》에 따르면, 알모시는 일곱 헝가리 부족의 수장들에 의해 자유롭게 "지도자이자 지배자"로 선출되었다고 한다.[1] 익명의 저자는 이 선출을 비준하기 위해 일곱 추장이 "이교도 방식으로 한 그릇에 피를 흘려 맹세했다"고 덧붙였다.[1] 또한, 이 저자는 알모시의 자손이 지위를 세습할 권리와 선출자의 후손이 공작의 평의회에 참여할 권리 등 정부의 기본 원칙을 이때 채택했다고 기록했다. 역사학자 팔 엥겔에 따르면, 저자의 정치 철학을 반영하는 이 "혈맹(vérszerződéshu)"에 대한 보고서는 1945년까지 헝가리 역사학자들에 의해 "유럽에서 현대 의회적 사고의 최초의 발현"으로 여겨졌다.반면, 약 950년경 비잔틴 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니투스는 알모시가 아니라 그의 아들 아르파드가 헝가리 부족의 첫 최고 지도자였으며, 아르파드의 선출은 카자르 카간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주장했다. 황제는 카간이 페체네그족에 의해 카자르 영토 근처의 거주지를 떠나 에텔코즈라는 새로운 영토로 이주한 헝가리 부족의 수장(보이보드)들에게 사절을 보냈다고 기록했다.[32] 카간은 자신의 이익을 대변하도록 레베디라는 보이보드 중 한 명을 헝가리 부족의 지도자로 임명하려 했으나, 레베디는 이를 거절하고 동료인 알모시나 그의 아들 아르파드를 대신 추천했다. 카간은 이 제안을 받아들였고, 그의 주도하에 헝가리인들은 첫 번째 공작을 선출했지만, 알모시보다 그의 아들 아르파드를 선호했다. 서구 학자들은 콘스탄티누스 7세의 기록이 본질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여기지만, 종종 혼란스럽고 전설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평가하며, 이 기록에서 마자르족을 투르크족으로 지칭했다.[33][34][23]
귈라 크리스토를 비롯한 많은 역사학자들은 포르피로게니투스가 아들을 선호하여 알모시를 누락시킨 기록에 반박하며, 알모시의 탄생과 관련된 투룰 전설이 그가 왕조의 시조임을 증명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황제의 설명이 아르파드의 후손 중 한 명인 테르마추의 보고에 기반하며, 이를 통해 아르파드의 후손만이 헝가리를 통치할 자격이 있고 알모시의 다른 자손은 배제된다는 점을 강조하려 했다고 본다. 안드라스 로나-타스는 콘스탄티누스 7세의 기록이, 레베디 ''켄데''에 대항하여 알모시 ''귈라''가 일으킨 쿠데타의 기억을 보존하고 있으며, 알모시가 경쟁자 대신 자신의 아들 아르파드를 신성한 통치자로 내세웠다고 해석한다. 9세기 말 중앙아시아 학자 아부 압달라 알-자이하니는 이븐 루스타 등 이슬람 작가들의 저술에 부분적으로 보존된 그의 작품에서 헝가리인들 사이에 켄데(신성한 통치자)와 귈라(군사 사령관)라는 두 개의 높은 직책이 존재했음을 언급했다. 알모시가 이 중 어떤 직책을 맡았는지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이 있다.
콘스탄티누스 7세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카간이 [레베디]에게 말했다. "우리는 당신이 고귀하고 현명하며 용감하고 [헝가리인] 중에서 으뜸이기 때문에 당신을 이 문제에 초대하여 당신을 국가의 공작으로 임명하고 우리의 말과 명령에 순종하게 하려 합니다." 그러나 그는 카간에게 대답했다. "저는 당신의 저에 대한 존경과 목적을 매우 존중하며 적절한 감사를 표하지만, 이 통치를 할 힘이 없으므로 당신에게 복종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저 외에 [알모시]라고 불리는 보이보드가 있으며 그의 아들 [아르파드]가 있습니다. [알모시]이든 그의 아들 [아르파드]이든 그 중 한 명을 공작으로 삼아 당신의 말에 복종하게 하십시오." 그 카간은 이 말을 기뻐하며 그의 사람들을 보내 그와 함께 헝가리인들에게 보냈고, 그들이 [헝가리인]과 그 문제를 논의한 후, [헝가리인]은 그의 아버지 [알모시]보다 [아르파드]를 공작으로 선호했는데, 그는 뛰어난 부분과 지혜, 조언 및 용맹에 대해 널리 존경받았고, 이 통치를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카자르의 관습 또는 '자카논'에 따라 그를 방패에 들어 올려 공작으로 만들었습니다.''[35]
크리스토는 알모시가 850년경부터 헝가리 부족 연합을 이끌었다고 주장한다. 포르피로게니투스의 기록에 따르면, 초기에는 카간의 종주권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헝가리인들은 860년경 독립을 달성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 이후 중앙 유럽에 대한 그들의 약탈 습격 기록이 처음 나타나기 때문이다. 《성 베르탱 연대기》는 862년 동프랑크 왕국의 루트비히 2세 영토를 침공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860년대 또는 870년대에 카자르 카간국에서 분리된 세 부족, 즉 포르피로게니투스가 '카바로이'(Κάβαροιgrc)[36]라고 부른 이들이 헝가리인들과 합류했다. 스피네이는 익명의 저자가 키예프에서 "쿠만족"의 일곱 공작이 "알모시 공작에게 복종했다"고 언급한 부분이 이들의 합류에 대한 기억을 보존한 것이라고 주장한다.[37]
익명의 저자는 헝가리인과 키예프 루스 간의 전쟁에 대해서도 기록했는데, 알모시가 지휘한 헝가리인들의 승리로 끝났다고 한다. 러시아의 《원초 연대기》는 882년 노브고로드의 올레그가 키예프를 점령할 당시 키예프의 "헝가리 언덕"[38]을 언급한다. 같은 연대기는 같은 언덕에 있던 "올마의 성"(Олъминъ дворъorv)을 언급하는데, 조지 베르나드스키는 이 요새가 알모시의 이름을 딴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이 이론은 다른 역사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다.
4. 죽음과 유산
알모시의 최후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기록이 전해진다. 《게스타 헝가로룸》은 알모시가 헝가리인의 카르파티아 분지 침략을 이끌고 아들 아르파드에게 지도자 자리를 물려주었다고 기록하는 반면, 《조명 연대기》는 그가 판노니아에 도달하기 전 트란실바니아(에르델우)에서 살해되었다고 전한다.
이러한 상반된 기록과 그에 대한 다양한 해석(예: 의례적 희생, 정치적 암살 등)은 그의 죽음이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페체네그족의 침입과 새로운 고향으로의 이동이라는 격동적인 시대 상황 속에서 발생했음을 보여준다. 그의 죽음과 아르파드의 계승은 헝가리 민족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4. 1. 죽음에 대한 상반된 기록
알모시의 죽음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기록이 전해진다. 《게스타 헝가로룸》(Gesta Hungarorum)에 따르면, 알모시는 헝가리인의 카르파티아 분지 침략을 이끌었으며, 그 과정에서 아들 아르파드를 후계자이자 부족 연맹의 "지도자이자 주군"으로 임명했다고 한다. 이 기록에서는 이후 알모시에 대한 언급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반면, 《조명 연대기》(Chronicon Pictum, 또는 《삽화 연대기》)는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이 연대기에 따르면 알모시는 판노니아 땅에 들어서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에르델우"(Erdelw, 오늘날의 트란실바니아)에서 살해당했기 때문이다.
《조명 연대기》의 기록을 두고 학자들의 해석은 엇갈린다. 역사학자 크리스토 줄러(Kristó Gyula)는 이 기록이 알모시가 이끄는 헝가리 부족이 페체네그족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던 사건의 기억을 담고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의 죽음은 패배의 책임을 지는 의례적인 살해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알모시가 헝가리 부족 연맹의 신성한 지도자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언드라시 로너-터시(András Róna-Tas)는 다른 해석을 제시한다. 그는 《조명 연대기》의 기록이 신빙성이 있다면, 알모시가 정치적인 이유로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암살은 그의 아들인 아르파드가 저질렀거나 최소한 관여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빅토르 스피네이(Victor Spinei)는 《조명 연대기》보다 《게스타 헝가로룸》의 기록을 더 신뢰할 만하다고 본다. 그는 《게스타 헝가로룸》에서 헝가리인들이 카르파티아 분지를 침략할 때 트란실바니아 지역을 거치지 않았다고 기록한 점을 들어, 알모시가 트란실바니아에서 살해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4. 2. 헝가리 역사에 미친 영향

폰토스 스텝 서부에 거주하던 헝가리 부족들은 때때로 주변 강대국들의 전쟁에 용병으로 참여했다. 예를 들어, 892년에는 동프랑크 왕국의 카린티아의 아르눌프와 동맹을 맺고 대모라비아를 침공하기도 했다. 이후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비잔틴 제국 사이의 분쟁에 개입했다가 불가리아인과 페체네그족의 연합 공격을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헝가리인들은 895년경 폰토스 스텝을 떠나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어 새로운 터전을 찾아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주해야 했다.
헝가리의 역사 기록서인 《게스타 헝가로룸》에 따르면, 헝가리인들은 알모시의 지휘 아래 카르파티아 분지를 침략했으며, 알모시는 자신의 아들 아르파드를 헝가리 부족 연맹의 "지도자이자 주군"으로 임명했다고 한다. 이 기록 이후 《게스타 헝가로룸》에서는 알모시에 대한 언급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조명 연대기》는 다른 내용을 전한다. 이 연대기에 따르면 알모시는 "판노니아에 들어가지 못했는데, 그가 에르델우(트란실바니아)에서 살해되었기 때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역사가 크리스토(Kristó)는 이 기록이 알모시의 부족이 페체네그족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던 사건의 기억을 반영한다고 해석한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의 죽음은 부족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의례적인 살해였을 수 있으며, 이는 알모시가 헝가리 부족 연맹의 신성한 지도자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언드라시 론나-타스는 연대기의 기록이 신뢰할 만하다면, 알모시는 오히려 정치적인 이유로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그의 아들 아르파드에 의해 저질러졌거나 최소한 묵인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빅터 스피네이는 《조명 연대기》의 기록보다는 《게스타 헝가로룸》의 서술을 더 신뢰하며, 알모시가 트란실바니아에서 살해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 그는 《게스타 헝가로룸》에서 헝가리인들이 카르파티아 분지 침공 당시 트란실바니아 지역을 우회했다고 기록한 점을 근거로 든다.
이처럼 알모시의 최후에 대해서는 기록마다 내용이 다르고 학자들의 해석도 분분하지만, 그가 헝가리 민족의 카르파티아 분지의 헝가리 정복이라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의 아들 아르파드가 새로운 시대를 여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은 여러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참조
[1]
서적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2]
서적
Simon of Kéz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3]
서적
Simon of Kéz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5]
웹사이트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based (An Adaptation of the Yuan Ch'ao Pi Shih, Based Primarily on the English Translation by Francis Woodman Cleaves)
https://faculty.wash[...]
North Point Press
[6]
서적
Falcon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6
[7]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I.B. Tauris Publishers
2001
[8]
서적
The Annals of St-Bertin
[9]
서적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i Középkorász Muhely
1996
[10]
서적
The Chronicle of Regino of Prüm
[11]
서적
In Search of a New Homeland: The Prehistory of the Hungarian People and the Conquest
Corvina Kiadó
1975
[12]
서적
The Taktika of Leo VI
[13]
서적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i Középkorász Muhely
1996
[14]
서적
Gesta Hungarorum
https://discovery.uc[...]
[15]
서적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16]
서적
Women Out of Place The Gender of Agency and the Race of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
[17]
서적
The Hungarians A Thousand Years of Victory in Defea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18]
서적
Llewellyn's Complete Book of Names for Pagans, Wiccans, Witches, Druids, Heathens, Mages, Shamans & Independent Thinkers of All Sorts who are Curious about Names from Every Place and Every Time
https://books.google[...]
Llewellyn Publications
2011
[19]
서적
Shaman Volumes 8-9
https://books.google[...]
Molnar & Kelemen Oriental Publishers
2000
[20]
서적
Transylvania in the medieval Hungarian kingdom (896-1526)
Social Science Monographs, University of Michigan, Columbia University Press, East European Monographs
2001
[21]
서적
Hungarian History--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Akadémiai K VIII
1984
[22]
서적
Romanians and Hungarians from the 9th to the 14th Century The Genesis of the Transylvanian Medieval State
https://books.google[...]
Romanian Cultural Foundation; Centrul de Studii Transilvane
1996
[23]
간행물
A MAGYAROK TÜRK MEGNEVEZÉSE BÍBORBANSZÜLETETT KONSTANTINOS DE ADMINISTRANDOIMPERIO CÍMÛ MUNKÁJÁBAN - Takács Zoltán Bálint, SAVARIAA VAS MEGYEI MÚZEUMOK ÉRTESÍTÕJE28 SZOMBATHELY, 2004, pp. 317–333
http://nadasdymuzeum[...]
[24]
서적
The World of Names A Study in Hungarian Onomatology
https://books.google[...]
Akadémiai Kiadó
1978
[25]
서적
Women Out of Place The Gender of Agency and the Race of National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
[26]
서적
Epics of the Hungarian Plain
https://books.google[...]
Publio Kiadó Kft
2016
[27]
서적
Gyula Juhasz The Beard Sunner
https://books.google[...]
Anton N. Nyerges
1980
[28]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Volume 2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998
[29]
서적
Holy Rulers and Blessed Princesses Dynastic Cults in Medieval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02
[30]
서적
Piroska and the Pantokrator Dynastic Memory, Healing and Salvation in Komnenian Constantinople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2
[31]
서적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https://discovery.uc[...]
[32]
서적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33]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The So-called Tartars of Russi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13-06-15
[34]
서적
Transylvania in the medieval Hungarian kingdom (896-1526)
Social Science Monographs, University of Michigan, Columbia University Press, East European Monographs
2001
[35]
서적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36]
서적
Constantine Porphyrogenitus: De Administrando Imperio
[37]
서적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38]
간행물
Russian Primary Chronicle
[39]
서적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40]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41]
서적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42]
서적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