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폰소 9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폰소 9세는 1171년에 태어나 1188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즉위 후 카스티야 왕국과의 대립, 무와히드 왕조와의 동맹, 그리고 여러 차례의 결혼과 이혼을 겪었다. 1188년 레온의 코르테스를 소집하여 유럽 민주주의 의회 형성에 기여했으며, 1218년 살라망카 대학교를 설립했다. 레콩키스타에는 소극적이었으며, 1230년 사망 후 카스티야와 레온 왕위는 통합되었다.
알폰소 9세는 1171년에 태어나 1188년 페르난도 2세가 사망한 뒤 레온의 왕위에 올랐다.[18] 즉위 직후,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8세와 대립하였고,[18] 1191년 아라곤 왕국의 알폰소 2세, 나바라 왕국의 산초 6세, 포르투갈의 산슈 1세와 반(反)카스티야 동맹을 맺었다.[9] 1195년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알폰소 8세가 패배하자, 알폰소 9세는 무와히드 왕조와 동맹을 맺고 카스티야를 공격했다.[10]
1171년 페르난도 2세와 아폰수 1세의 딸 우라카 사이에서 태어났다. 알폰소 9세는 두 번 결혼했는데, 두 번 모두 가까운 친척과 결혼했고, 두 결혼 모두 근친혼으로 무효화되었다.
2. 생애
알폰소 9세는 1188년 레온의 코르테스를 산 이시도로 대성당 회랑에서 소집했다.[2] 이는 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인해 알폰소 9세는 코르테스를 소집, 왕실 지출에 대한 통제 요구로 이어졌으며, 많은 역사가들은 이 코르테스가 유럽의 민주적 의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2]
알폰소 9세는 1191년에 그의 사촌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결혼했지만, 이 결혼은 혈족 결혼으로 인해 무효로 선언되었다.[3] 1197년에는 카스티야의 베렌가리아와 결혼했지만,[11] 이 역시 혈족 결혼으로 인해 1204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무효화되었다.[3] 알폰소 9세는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알폰소 8세가 패배한 후, 무와히드 왕조의 도움을 받아 카스티야를 침공했고, 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즉각 파문당했다.[3]
레콩키스타에는 소극적이었던 알폰소 9세는[12] 1212년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 참전하지 않았다.[12] 1213년 알칸타라를 함락시킨 것만으로 레온으로 철수했다.[12] 1221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요구로 이슬람 군과 싸웠으나, 카세레스와 바다호스 포위에 실패했다.[13] 1229년 카세레스를 함락시켰고,[13] 1230년 산티아고 기사단과 협력하여 메리다와 바다호스를 함락시켰다.[13]
알폰소 9세는 1230년 9월 24일에 사망했다. 알폰소 9세 사후, 페르난도 3세가 레온 왕위를 계승하여 카스티야와 레온의 왕위는 통합되었다.
알폰소 9세는 1218년 살라망카 대학교를 설립했다.[15]
2. 1. 초기 생애
알폰소 9세는 1171년 사모라에서 레온의 페르난도 2세와 포르투갈의 우라카 사이에서 태어난 외아들이었다.[18] 그의 아버지는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의 둘째 아들이었는데, 알폰소 7세는 자신의 왕국을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이는 알폰소 9세의 아들인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가 왕국을 재통일할 때까지 가족 내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1188년 아버지 페르난도 2세가 죽은 뒤 왕위에 올랐다.[18] 즉위 직후, 외숙부인 카스티야 왕국 왕 알폰소 8세와 국경의 성 몇 개를 빼앗긴 것을 계기로 대립하였다.[9] 알폰소 9세는 왕국을 통일하고 싶어, 사촌인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8세와 대립했다.[18] 1188년 7월, 알폰소 8세는 젊은 알폰소 9세가 연장자를 봉신으로 인정하는 대가로 연장자가 젊은이가 레온에서 권위를 인정하도록 요구했다. 1191년 아라곤 왕 알폰소 2세, 나바라 왕 산초 6세, 외삼촌인 포르투갈 왕 산슈 1세와 반(反)카스티야 동맹을 맺었다.[9]
1195년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알폰소 8세가 무와히드 왕조의 아미르인 야쿠브 멘수르에게 패하자,[10] 알폰소 9세는 기회를 삼고 공격했다. 다시 반(反)카스티야로 돌아서 멘수르와 동맹을 맺고 자금과 원군을 제공받았다. 그런 다음 나바라 왕 산초 7세(산초 6세의 아들)와 공모하여 카스티야를 양면 공격했고, 알폰소 9세는 서쪽에서 진군하여 티에라 데 캄포스를 침략했다.[10]
2. 2. 즉위와 갈등
알폰소 9세는 1171년에 태어나 1188년 페르난도 2세가 사망한 뒤 레온의 왕위에 올랐다.[18] 즉위 직후, 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8세와 대립하였고,[18] 1191년 아라곤 왕국의 알폰소 2세, 나바라 왕국의 산초 6세, 포르투갈의 산슈 1세와 반(反)카스티야 동맹을 맺었다.[9] 1195년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알폰소 8세가 패배하자, 알폰소 9세는 무와히드 왕조와 동맹을 맺고 카스티야를 공격했다.[10]
알폰소 9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레온의 코르테스가 산 이시도로 대성당 회랑에서 소집된 것이다.[2]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인해 세금 인상에 대한 항의와 도시 반란이 일어났고, 이에 대응하여 알폰소 9세는 귀족, 성직자, 도시 대표자들로 구성된 코르테스를 소집했다.[2] 이는 왕실 지출에 대한 통제 요구로 이어졌으며, 많은 역사가들은 이 코르테스가 유럽의 민주적 의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2] 1188년 코르테스 회의는 13세기에 열린 잉글랜드 의회의 첫 번째 회의보다 앞선다.
교황 첼레스티노 3세는 알폰소 9세의 결혼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3] 1191년 알폰소 9세는 사촌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결혼했으나, 이 결혼은 혈족 결혼을 이유로 무효화되었다.[3] 1197년, 알폰소 9세는 카스티야의 베렌가리아와 다시 결혼하여 레온과 카스티야 간의 평화를 공고히 하려 했으나,[11] 이 역시 혈족 결혼으로 인해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무효화되었다.[11]
1196년 알폰소 9세는 교황 첼레스티노 3세로부터 파문당했고,[10] 1197년 알폰소 9세와 싸우는 자에게는 십자군 참가와 같은 특권과 면죄부를 준다는 선언이 나왔다.[11] 그러나 백성들이 종교적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면 성직자들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위협에 따라 교황은 조치를 수정해야 했다.[3] 알폰소 9세는 개인적으로 파문당한 채로 남았지만, 성직자들의 지지를 받았다.[3]
레콩키스타에 소극적이었던 알폰소 9세는[12] 1212년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 참전하지 않았다.[12] 1213년 알칸타라를 함락시킨 것만으로 레온으로 철수했다.[12] 1221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의 요구로 이슬람 군과 싸웠으나, 카세레스와 바다호스 포위에 실패했다.[13] 1229년 카세레스를 함락시켰고,[13] 1230년 산티아고 기사단과 협력하여 메리다와 바다호스를 함락시켰다.[13]
알폰소 9세는 1188년 유럽 최초의 코르테스를 소집하고,[15] 1218년 살라망카 대학교를 설립했다.[15]
2. 3. 코르테스 소집과 살라망카 대학 설립
알폰소 9세는 1188년 레온의 코르테스를 산 이시도로 대성당 회랑에서 소집했다.[2] 이는 그의 통치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통치 초기 어려운 경제 상황으로 인해 알폰소 9세는 빈민 계층에 대한 세금을 인상해야 했고, 이는 항의와 몇몇 도시의 반란으로 이어졌다. 이에 대응하여 왕은 귀족, 성직자, 도시 대표자들로 구성된 코르테스를 소집했고, 그 결과 왕실 지출에 대한 보상 지출과 더 큰 외부 통제 및 감독에 대한 요구에 직면하게 되었다.[2] 알폰소 9세의 코르테스 소집은 존 키인을 포함한 많은 역사가들에 의해 유럽 전역의 민주적 의회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2] 다만, 아이슬란드는 이미 930년에 유럽 최초의 의회일 수 있는 싱베틀리르를 개최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1188년 코르테스 회의는 13세기에 열린 잉글랜드 의회의 첫 번째 회의보다 앞선다.
알폰소 9세는 1218년 살라망카 대학교를 설립했다.[15]
2. 4. 결혼과 이혼, 교황과의 갈등
알폰소 9세는 1191년에 그의 사촌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결혼했지만, 이 결혼은 혈족 결혼으로 인해 교황 특사 그레고리 추기경에 의해 무효로 선언되었다.[3] 1197년에는 레온과 카스티야 사이의 평화를 공고히 하기 위해 그의 숙부의 사촌인 카스티야의 베렌가리아와 결혼했다.[3] 그러나 이 역시 혈족 결혼으로 인해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1204년에 무효화되었다.[3]
알폰소 9세는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알폰소 8세가 패배한 후, 무슬림 군대의 도움을 받아 카스티야를 침공했고, 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즉각 파문당했다.[3] 그러나 백성들이 종교적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면 성직자들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고 이단이 퍼질 것이라는 위협에 따라 교황은 그의 조치를 수정해야 했다.[3] 왕은 개인적으로 파문당한 채로 남았지만, 그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고, 성직자들의 지지를 받았다.[3]
알폰소 9세는 1195년 알폰소 8세가 무와히드 왕조의 아미르인 야쿠브 멘수르에게 아랄코스 전투에서 패하자, 멘수르와 동맹을 맺고 카스티야를 공격했다.[10] 이로 인해 1196년 교황 첼레스티노 3세로부터 파문을 선고받았다.[10]
2. 5. 레콩키스타와 말년
알폰소 9세는 1188년 페르난도 2세가 죽은 뒤 왕위에 올랐다.[18] 즉위 직후, 외숙부인 카스티야 왕 알폰소 8세와 국경 문제로 대립하여, 1191년 아라곤 왕 알폰소 2세, 나바라 왕 산초 6세, 외삼촌인 포르투갈 왕 산슈 1세와 반(反)카스티야 동맹을 맺었다. 1192년 기독교 국가들의 대립을 우려한 로마 교황 첼레스티노 3세의 중재로 카스티야와 화해했다.[9]
하지만 1195년 알폰소 8세가 무와히드 왕조의 아미르에게 아랄코스 전투에서 패하자, 알폰소 9세는 무슬림 군대의 도움을 받아 카스티야를 침공했다.[10] 그는 교황 첼레스티노 3세에 의해 즉각 파문당했다.[3][10] 1196년 아라곤 왕 페드로 2세가 카스티야를 돕자 레온군은 고전했고, 같은 해 첼레스티노 3세로부터 파문을 선고받아 고립되었다. 1197년 알폰소 9세와 싸우는 자에게는 십자군 참가와 같은 특권과 면죄부를 준다는 선언이 나와 더욱 불리한 입장에 몰렸고, 같은 해 알폰소 8세의 딸 베렝게라와 결혼하여 화해했다.[11] 베렝게라와 사이에 페르난도를 포함한 5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1204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3세로부터 결혼 승낙을 얻지 못하고 이혼했다. 1209년 톨레도 대주교의 중재로 발라돌리드에서 알폰소 8세와 다시 화해했다.[11]
레콩키스타에는 소극적이었고, 1212년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는 참전하지 않았다.[12] 1213년 알폰소 8세의 부탁으로 이베리아 반도 남서부의 타호 강 유역에 있는 알칸타라를 함락시킨 것만으로 레온으로 철수했다.[12]
1221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로부터 이슬람교와 싸울 것을 요구하는 교서를 받고, 칼라트라바 기사단 등과 함께 이슬람 군과 싸웠다.[13] 1229년 카세레스를 함락시켜 왕립 도시로 지정했고, 1230년 산티아고 기사단과 협력하여 메리다와 바다호스를 함락시켜 남서부를 평정했다.[13]
1217년 전 부인 베렝게라의 동생 엔리케 1세가 요절한 후, 카스티야 왕위는 일시적으로 베렝게라가 맡았지만, 아들 페르난도 3세를 불러들여 왕위에 앉혔다.[14] 알폰소 9세는 1230년 9월 24일에 사망했다. 페르난도 3세는 알폰소 9세의 죽음 후 레온 왕위도 계승하여, 이후 카스티야와 레온의 왕위는 통합되었다.[14]
알폰소 9세는 1188년 코르테스(신분제 의회)를 소집했고, 1218년 살라망카 대학교를 설립했다.[15]
3. 가족
1191년, 알폰소 9세는 그의 어머니의 오빠의 딸이자 사촌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결혼했다. 테레사는 포르투갈 국왕 산슈 1세와 아라곤의 왕비 둘체 아라곤의 딸이었다. 이 결혼은 5년 후 근친상간을 이유로 교황 첼레스티누스 3세에 의해 무효화되었지만, 그때까지 세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1197년 11월 17일, 알폰소 9세는 카스티야의 인판타 베렝겔라와 재혼했다. 베렝겔라는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 국왕과 그의 왕비인 잉글랜드의 레오노르의 딸이었다. 알폰소 9세와 베렝겔라는 카스티야의 산초 3세를 통해 같은 왕조 또는 가문에 속했다. 이 결혼 역시 근친상간을 이유로 무효화되었으나,[17] 엘레오노르(1198년~1202년 11월 11일), 콘스탄스(1242년 사망),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1199/1201년~1252년), 몰리나의 알폰소(1272년 사망), 레온의 베렌가리아(1237년 사망) 등 다섯 명의 자녀를 낳았다.[17]
알폰소 9세는 많은 사생아를 두었다.
첫 번째 결혼이 파기된 후, 두 번째 결혼 전 약 2년 동안 이네스 이니게스 데 멘도사와 관계를 맺어 1197년경 딸 우라카 알폰소를 낳았다. 우라카 알폰소는 비스카이 영주인 로페 디아스 2세 데 아로와 결혼했다.
이후 갈리시아 귀족 여성 에스테파니아 페레스 데 파이암과 관계를 맺었다. 1211년 알폰소 9세는 그녀에게 오렌세 지역의 토지를 주었다. 이 관계에서 아들 페르난도 알폰소가 1211년에 태어났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에스테파니아와 관계 후, 살라망카 출신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마우라와 관계를 맺어 아들 페르난도 알폰소를 두었다. 그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대사제가 되었으며, 알다라 데 우요아와 사이에 자녀를 두었다.
1214년부터 1218년까지는 포르투갈 귀족 여성 알돈사 마르티네스 데 실바와 관계를 맺어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1218년년부터 1230년 알폰소 9세가 사망할 때까지 가장 오랜 관계를 맺은 여인은 테레사 질 데 소베로사였다. 이들 사이에는 네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알폰소 9세는 페드로 알폰소 데 레온이라는 또 다른 아들을 두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왕의 아들이라는 증거는 없다.
3. 1. 포르투갈의 테레사와의 결혼
1171년 페르난도 2세와 아폰수 1세의 딸 우라카(Urraca) 사이에서 태어났다. 테레사와 결혼해, 산차(Sancha), 페르난도(Fernando), 둘세(Dulce)를 낳았다.
1191년, 알폰소 9세는 그의 어머니의 오빠의 딸이자 사촌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결혼했다. 테레사는 포르투갈 국왕 1세 산초와 아라곤의 왕비 둘체 아라곤의 딸이었다. 이 결혼은 5년 후 근친상간을 이유로 교황 첼레스티누스 3세에 의해 무효화되었지만, 그때까지 세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3. 2. 카스티야의 베렌가리아와의 결혼
1191년, 알폰소 9세는 그의 어머니 우라카의 오빠의 딸이자 사촌인 포르투갈의 테레사와 결혼했다.[16] 테레사는 포르투갈 국왕 산슈 1세와 아라곤의 왕비 둘체 아라곤의 딸이었다. 이 결혼은 5년 후 근친상간을 이유로 무효로 선언되었지만,[16] 산차(1191년 이전~1243년 이전), 페르난도(1192/1193년~1214년), 둘체(1193/1194년~1248년) 3명의 자녀를 낳았다.
1197년 11월 17일, 알폰소 9세는 카스티야의 인판타 베렌가리아 카스티야와 재혼했다. 베렌가리아는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 국왕과 그의 왕비인 잉글랜드의 레오노르의 딸이었다. 알폰소 9세와 베렌가리아는 카스티야의 3세 산초를 통해 같은 왕조 또는 가문에 속했다. 이 결혼 역시 근친상간을 이유로 무효화되었으나,[17] 엘레오노르(1198년~1202년 11월 11일), 콘스탄스(1242년 사망), 카스티야의 3세 페르난도(1199/1201년~1252년), 몰리나의 알폰소(1272년 사망), 레온의 베렌가리아(1237년 사망) 등 다섯 명의 자녀를 낳았다.[17]
3. 3. 사생아
알폰소 9세는 많은 사생아를 두었다.
첫 번째 결혼이 파기된 후, 두 번째 결혼 전 약 2년 동안 이네스 이니게스 데 멘도사와 관계를 맺어 1197년경 딸 우라카 알폰소를 낳았다. 우라카 알폰소는 비스카이 영주인 로페 디아스 2세 데 아로와 결혼했다.
이후 갈리시아 귀족 여성 에스테파니아 페레스 데 파이암과 관계를 맺었다. 1211년 알폰소 9세는 그녀에게 오렌세 지역의 토지를 주었다. 이 관계에서 아들 페르난도 알폰소가 1211년에 태어났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에스테파니아와 관계 후, 살라망카 출신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마우라와 관계를 맺어 아들 페르난도 알폰소를 두었다. 그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대사제가 되었으며, 알다라 데 우요아와 사이에 자녀를 두었다.
1214년부터 1218년까지는 포르투갈 귀족 여성 알돈사 마르티네스 데 실바와 관계를 맺어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
1218년부터 1230년 알폰소 9세가 사망할 때까지 가장 오랜 관계를 맺은 여인은 테레사 질 데 소베로사였다. 이들 사이에는 네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알폰소 9세는 페드로 알폰소 데 레온이라는 또 다른 아들을 두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왕의 아들이라는 증거는 없다.
4.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Spain – The rise of Castile and Aragon
https://www.britanni[...]
2022-09-03
[2]
뉴스
Un anglosajón prueba que en León y no en Inglaterra nació la democracia
http://www.diariodel[...]
2006-06-19
[3]
백과사전
Alphonso s.v. Alphonso IX.
[4]
서적
Los Templarios en la Corona de Castilla
La Olmeda, D.L.
[5]
서적
Templarios. Del origen de las cruzadas al final de la Orden del Temple
Penguin Random House Grupo Editorial, S. A. U.
2015-10-22
[6]
웹사이트
document published by the Real Academia Gallega
http://academia.gal/[...]
1275-07-04
[7]
웹사이트
Find a Grave
[8]
백과사전
알폰소 9세
[9]
문서
ローマックス、P161 - P162、芝、P130、西川、P136 - P137
[10]
문서
ローマックス、P165、芝、P132、西川、P138 - P139
[11]
문서
ローマックス、P165 - P167、芝、P132 - P134、関、P153 - P154、西川、P139 - P140
[12]
문서
ローマックス、P170 - P171、P179、芝、P139、西川、P141
[13]
문서
ローマックス、P182 - P183、P194 - P195
[14]
문서
ローマックス、P180、芝、P145 - P146、西川、P143 - P144
[15]
문서
関、P152 - P153、P196
[16]
문서
西川、P140
[17]
문서
芝、P133
[18]
백과사전
알폰소 9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