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잉엔하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잉엔하우스는 1730년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1799년 사망한 네덜란드 출신의 의사이자 식물학자이다. 그는 종두법 보급에 기여했으며,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주치의를 역임했다. 광합성 연구를 통해 빛이 식물의 녹색 부분에서 기체를 발생시키고, 이 기체가 산소임을 밝혀냈으며, 식물의 세포 호흡을 발견하는 등 식물 생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브라운 운동의 현상을 관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의사 - 버나드 맨더빌
버나드 맨더빌은 네덜란드 출신으로 영국에서 의사이자 철학자, 사회사상가로 활동하며 '사적 악덕이 공공의 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쳐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론에 영향을 주었고 윤리, 경제, 정치, 사회에 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 네덜란드의 의사 - 외젠 뒤부아
외젠 뒤부아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따라 인류와 유인원의 중간 고리를 찾고자 자바 원인을 발견하여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고생물학자이다. - 네덜란드의 식물학자 - 휘호 더프리스
휘호 더프리스는 네덜란드의 식물학자이자 유전학자로, 식물 생리학 연구와 멘델의 유전 법칙 재발견, 그리고 돌연변이설을 통해 유전학 발전에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식물학자 - 프리드리히 안톤 빌헬름 미쿠엘
프리드리히 안톤 빌헬름 미쿠엘은 독일 태생의 식물학자로, 암스테르담 대학교와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식물학 교수를 지내며 네덜란드 식민지의 식물 연구에 매진했고, 해외 채집 활동은 하지 않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 인도 표본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많은 종과 속을 보고했으며, 그를 기려 벼과의 속명 미켈리아가 헌정되고 위트레흐트 대학교에 미쿠엘 기금이 설립되었다. - 네덜란드의 생리학자 - 빌럼 에인트호번
빌럼 에인트호번은 네덜란드의 생리학자로, 심전도 발명에 기여하여 192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현수 검류계 시제품 개발과 심전도 관련 용어 정립에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생리학자 - 크리스티안 에이크만
크리스티안 에이크만은 각기병의 원인이 빈약한 식생활에 있음을 밝혀 비타민 발견에 기여하고 192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네덜란드의 생리학자이자 위트레흐트 대학교 교수이다.
얀 잉엔하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얀 잉엔호우스 |
원어 이름 | Jan Ingenhousz 또는 Jan Ingen-Housz (네덜란드어) |
출생 | 1730년 12월 8일 |
출생지 | 네덜란드 공화국, 스타츠-브라반트, 브레다 |
사망 | 1799년 9월 7일 (68세) |
사망지 | 영국, 윌트셔 주, 칼른 |
국적 | 네덜란드 |
학문 분야 | |
분야 | 생리학 화학 |
연구 기관 | 해당사항 없음 |
모교 | 뢰번 가톨릭 대학교 |
지도 교수 | 해당사항 없음 |
지도 학생 | 해당사항 없음 |
알려진 업적 | 광합성 |
수상 | 해당사항 없음 |
2. 생애
얀 잉엔하우스는 1730년 12월 8일 네덜란드 브레다에서 태어났다. 1765년부터 1768년까지 런던에서 의사로 활동하며 에드워드 제너의 종두법을 지지하였다. 1772년부터 1779년까지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의 주치의를 지냈다.
1779년 잉엔하우스는 빛을 쬐면 식물의 녹색 부분에서 기체가 나오고, 빛이 없을 때는 기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어둠 속에서 식물이 내놓는 기체가 이산화 탄소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빛이 있을 때 식물이 흡수하는 산소의 질량이 빛이 없을 때 흡수하는 이산화 탄소의 질량보다 더 많다는 사실을 통해, 식물 질량의 일부가 토양이 아닌 공기에서 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같은 해 잉엔하우스는 이러한 공적으로 영국 왕립 학회의 국외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785년 잉엔하우스는 알코올 표면에서 석탄 먼지의 불규칙적인 운동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이후 브라운 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799년 9월 7일 영국 윌트셔 보우드에서 향년 69세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얀 잉엔하우스는 1730년 12월 8일 네덜란드 남부 브레다의 명문가 잉엔하우스 가문에서 태어났다. 16세에 루벤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는데, 당시 개신교 대학교는 가톨릭 신자였던 그에게 입학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753년에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라이덴 대학교에서 2년간 더 공부하며 피터 반 무셴브루크의 강의를 들었고, 이는 잉엔하우스가 평생 전기에 대한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1755년 브레다로 돌아와 의료 활동을 시작했다.2. 2. 종두법 보급과 오스트리아 궁정 활동
1765년부터 1768년까지 런던에서 의사로 활동하면서 에드워드 제너의 종두법을 지지하였다.[20] 1764년 7월 부친이 사망한 후, 잉엔하우스는 유럽 여행과 연구를 계획했으며, 그 첫 단계로 천연두 종두법의 최신 기술을 배우기 위해 영국으로 향했다. 1740년대부터 가족의 친구였던 존 프린글을 통해 런던에서 여러 인맥을 쌓았고, 곧 종두 전문가가 되었다. 1767년 허트퍼드셔에서 발생한 유행병을 해결하기 위해 700명의 마을 사람들에게 성공적으로 종두를 실시했다. 1768년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는 영국에서 천연두와의 싸움에서 성공했다는 프린글의 편지를 읽었지만, 오스트리아 제국 의료계는 종두에 크게 반대했다. 이에 마리아 테레지아는 먼저 자신의 가족에게 종두를 실시하기로 결정하고(사촌이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하노버 왕가를 통해 도움을 요청했다. 프린글의 추천으로 잉엔하우스가 선택되어 오스트리아로 초청받았다. 그는 천연두에 감염된 사람의 고름에서 채취한 천연두 균을 바늘과 실에 코팅하여 왕족에게 종두를 할 계획이었다. 종두의 মূল উদ্দেশ্য는 건강한 신체에 소량의 균을 투여하여 신체가 천연두에 대한 면역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었다. 종두는 성공적이었고, 잉엔하우스는 1772년부터 1779년까지 마리아 테레지아의 주치의로 활동했다.[20] 그는 1775년 아가타 마리아 자킨과 결혼하여 비엔나에 정착했다.2. 3. 광합성 연구
1779년 잉엔하우스는 빛을 쬐여주면 식물의 녹색 부분에서 기체가 나오고, 빛을 쬐여주지 않으면 기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는 어둠속에서 식물이 내놓는 기체가 이산화 탄소라는 사실 또한 밝혀내었다.[9][10] 거기에 그는 빛이 있을 때 식물이 흡수하는 산소의 질량이 빛이 없을 때 흡수하는 이산화 탄소의 질량보다 더 많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식물이 가지고 있는 질량의 일부가 토양이 아닌 공기 중에서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9][10]1770년대 잉엔하우스는 식물의 기체 교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771년 요제프 프리스틀리가 식물이 기체를 생성하고 흡수한다는 것을 발견한 이후로 이 연구를 시작했다. 잉엔하우스는 프리스틀리의 발견을 이어받아, 빛이 있을 때 식물의 녹색 부분이 공기를 정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도 세포 호흡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21]
2. 4. 말년
1785년 잉엔하우스는 알코올 표면에서 석탄 먼지의 불규칙적인 운동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이후 브라운 운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1]1799년 9월 7일 영국 윌트셔주 보우드에서 잉엔하우스는 향년 69세로 사망하였다. 그의 아내는 이듬해에 사망했다.[13]
3. 업적
잉엔하우스는 네덜란드와 빈에서의 활동 외에도 프랑스, 영국, 스코틀랜드, 스위스 등지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는 전기, 열전도, 화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벤자민 프랭클린과 헨리 캐번디시와 긴밀하고 빈번하게 서신을 주고받았다.[11] 1785년, 그는 알코올 표면에서 석탄 가루의 불규칙한 운동을 묘사했으며, 따라서 나중에 브라운 운동으로 알려진 현상의 발견자로서의 지위를 주장한다. 1769년 런던 왕립 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1786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12]
뛰어난 종두 기술을 가진 의사로도 평가받았지만, 식물 생리학 실험을 통해 식물의 작용 등에 관한 연구도 수행했다. 1779년에는 조지프 프리스틀리의 발견을 이어받아, 빛의 존재 하에 식물의 녹색 부분이 공기를 "정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동물뿐만 아니라 식물도 세포 호흡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21]
그 외에도 대형 정전기 발전기와 열전도 연구로도 알려져 있다.
4. 저서
- 《식물 실험》(1779년)
- 《식물의 호흡 작용》(1786년)
5. 기타
잉엔하우스는 네덜란드와 빈에서의 활동 외에도 프랑스, 영국, 스코틀랜드, 스위스 등지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는 전기, 열전도, 화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벤자민 프랭클린과 헨리 캐번디시와 긴밀하고 빈번하게 서신을 주고받았다.[11] 1785년, 그는 알코올 표면에서 석탄 가루의 불규칙한 운동을 묘사했으며, 따라서 나중에 브라운 운동으로 알려진 현상의 발견자로서의 지위를 주장한다. 잉엔하우스는 1769년 런던 왕립 학회의 회원이 되었고, 1786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이 되었다.[12]
1799년, 잉엔하우스는 윌트셔의 캘른 근처 보우드 하우스에서 사망했으며, 캘른의 성모 마리아 교회 묘지에 묻혔다. 그의 아내는 이듬해에 사망했다.[13]
참조
[1]
웹사이트
Jan Ingenhousz | Biography, Experiment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14
[2]
서적
Echoes of Ingen Housz
[3]
논문
Bicentenary homage to Dr Jan Ingen-Housz, MD (1730–1799), pioneer of photosynthesis research
[4]
간행물
Dr. Jan Ingenhousz, or why don't we know who discovered photosynthesis
http://philsci-archi[...]
[5]
논문
A 'misplaced chapter' in the history of photosynthesis research; the second publication (1796) on plant processes by Dr Jan Ingen-Housz, MD, discoverer of photosynthesis. A bicentenniel 'resurrection'
http://www.life.illi[...]
[6]
논문
The life of Dr Jan Ingen Housz (1730–99), private counsellor and personal physician to Emperor Joseph II of Austria
[7]
문서
Dr Jan IngenHousz,or why don't we know who discovered photosynthesis?
http://philsci-archi[...]
[8]
서적
Echoes of Ingen Housz
Hobnob Press
[9]
문서
Experiments upon Vegetables, Discovering Their great Power of purifying the Common Air in the Sun-shine, and of Injuring it in the Shade and at Night. To Which is Joined, A new Method of examining the accurate Degree of Salubrity of the Atmosphere
http://web.lemoyne.e[...]
McGraw Hill
[10]
웹사이트
Discovery of Photosynthesis
https://photosynthes[...]
2015-09-10
[11]
논문
Forgotten Chemists
http://www.jce.divch[...]
[12]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4-06
[13]
논문
Jan Ingenhousz
http://www.jce.divch[...]
[14]
웹사이트
Jan Ingenhousz's 287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17-12-08
[15]
문서
Ingen-Houszという綴りとも
[16]
서적
Echoes of Ingen Housz
[17]
논문
Bicentenary homage to Dr Jan Ingen-Housz, MD (1730-1799), pioneer of photosynthesis research
[18]
간행물
Dr. Jan Ingenhousz, or why don't we know who discovered photosynthesis
http://philsci-archi[...]
[19]
논문
The life of Dr Jan Ingen Housz (1730–99), private counsellor and personal physician to Emperor Joseph II of Austria
[20]
기타
Ingenhousz; John (1730 - 1799)
2012-05-02
[21]
논문
A 'misplaced chapter' in the history of photosynthesis research; the second publication (1796) on plant processes by Dr Jan Ingen-Housz, MD, discoverer of photosynthesis. A bicentenniel 'resurrection'
http://www.life.il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