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늘은 짐승의 가죽을 꿰매는 데 사용된 가시나 날카로운 돌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도구이다. 초기에는 뼈나 상아로 만들어졌으며, 금속 제련 기술 발달에 따라 청동, 철, 강철 바늘이 등장했다. 바늘은 재봉, 의료,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종류와 크기가 다양하다. 한국 문화에서는 '바늘 방석', '정문일침', '짚 더미에서 바늘 찾기' 등의 속담과 비유로 사용되며, 세계 각지에서도 다양한 상징과 비유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느질 - 재단사
    재단사는 의류 제작을 전문으로 옷감의 재단, 바느질, 마무리를 담당하며, 선사 시대부터 존재하여 기술 분업과 재봉틀 발명으로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다.
  • 바느질 - 단추
    단추는 옷이나 장식에 사용되는 작은 물건으로, 고대부터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왔으며, 옷을 여미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사회문화적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바늘
기본 정보
바느질에 사용되는 바늘의 모습
바느질에 사용되는 바늘의 모습
용도바느질
재료강철, 뼈, 나무
관련 도구, 골무, 바늘쌈지

2. 역사

바늘의 역사는 인류 문명의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바느질은 동물의 가죽 등을 꿰매기 위해 가시나 날카로운 돌, 뼈 조각 등을 바늘처럼 사용하고, 동물의 힘줄이나 식물성 재료를 실처럼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5][26][8][9] 구석기 시대 후기에는 이미 골각으로 만든 바늘이 사용되었으며,[21] 이후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를 거치며 금속 바늘이 등장했다.

티베트 바늘집


바늘을 이용한 초기 기술 중 하나인 나레바인딩(Nålebinding)은 뜨개질이나 코바늘 뜨개질보다 수천 년 앞선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비교적 짧고 거친 실로도 작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한편,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주변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재료로 바늘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용설란 식물의 잎은 끝의 날카로운 부분을 바늘로, 여기에 연결된 섬유를 실로 활용하여 바늘과 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했다.

2. 1. 고대

최초의 바느질은 짐승의 가죽을 꿰매기 위해 가시, 날카로운 돌, 뼈 조각 등을 바늘로 사용하고,[25][8] 동물의 힘줄이나 식물성 재료를 실로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26][9] 초기에는 바늘 재료에 구멍을 뚫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으며, 이러한 방식의 흔적은 천에 구멍을 내 실을 통과시키는 송곳 사용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5,000년에서 25,000년 전 사이의 눈 달린 뼈 바늘이 발견된 유적지 지도


마들렌 문화 시기 뼈 바늘 (구르당-폴리냥, 프랑스). 툴루즈 박물관 소장.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바늘 유물 중 하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부두 동굴에서 발견된 약 61,000년 전의 뼈 바늘로 추정되는 첨두이다.[10] 약 50,000년 전 데니소바인이 만든 것으로 보이는 새의 뼈로 만든 바늘이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견되기도 했다.[11] 슬로베니아 포토크 동굴(Potočka zijalka)에서는 오리냐크 문화 시대(47,000년 ~ 41,000년 전)의 뼈 바늘이 발견되었고,[12] 중국 랴오닝 성 샤오구산 선사 유적지에서는 30,000년에서 23,000년 전 사이의 뼈와 상아 바늘이 출토되었다.[13] 러시아 코스텐키 유적지에서도 약 30,000년 전의 상아 바늘이 발견되었다.[14] 구석기 시대 후기 마들렌 문화에서도 골각으로 만든 바늘이 사용되었다.[21] 이후 신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약 8,600년 전의 뼈 바늘이 현재 튀르키예 데니즐리 주인 서부 아나톨리아의 에크시 호유크에서 발견되었다.[15]

금속 바늘은 청동기 시대 이후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집트나카다 유적에서는 플린더스 피트리에 의해 기원전 4400년부터 기원전 3000년 사이에 제작된 구리 바늘이 발견되었다.[16] 철기 시대에 들어서면서 철제 바늘도 사용되었는데, 독일 만칭 오피둠에서는 기원전 3세기의 철 바늘이 발견되었다.[17] 금속 바늘의 제작은 기원전 2천 년기부터 나타난 와이어 제조 기술과 관련이 있다. 금과 같이 유연한 금속으로는 균일한 선을 만들기 쉬웠으나, 구리나 청동 바늘은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었다. 바늘귀는 와이어 끝을 구부려 인발 공정을 통해 다이를 통과시켜 만들 수 있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주변의 자연 재료를 활용하여 바늘을 만들었다. 대표적으로 용설란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바늘과 실을 동시에 얻었다. 잎을 물에 담가두면 섬유질과 잎 끝의 날카로운 부분이 남는데, 이 끝부분을 바늘로 사용하고 연결된 섬유를 실로 삼아 바느질을 했다.

일본에서도 석기 시대골각으로 만든 낚싯바늘(구멍 없는 형태)이 사용되었으며, 석기 시대 말기에는 '메도'라고 불리는 바늘귀(구멍)가 있는 유공 바늘도 등장했다.[21] 이후 한반도 등을 통해 금속 제련 기술과 함께 금속 바늘이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21] 일본의 고대 기록인 『고지키』 스진 천황 조에는 옷깃에 바늘을 꽂아 사용했다는 내용이 있으며,[21] 헤이안 시대에는 시장에서 바늘이 판매되어 일반 서민들도 옷을 꿰매는 데 사용했다고 전해진다.[21]

한편, '나레바인딩'이라 불리는 바늘을 이용한 레이스 제작 기법은 뜨개질이나 코바늘 뜨개질보다 수천 년 앞선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비교적 짧고 거친 실로도 작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2. 2. 금속 바늘의 등장

금속 바늘은 시대에 따라 재질이 변화하며 발전했다.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 바늘이, 철기 시대에는 철 바늘이 사용되었으며, 구리 바늘도 만들어졌다[21]

10세기 중국에서 고품질 강철 제련 기술이 도입되면서 강철 바늘이 등장했다[21]。 이 기술은 이슬람 국가를 거쳐 유럽으로 전파되었고, 한반도를 통해 일본에도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특히 스페인에는 카탈루냐 제련소 형태로 도입되어 비교적 높은 품질의 강철을 상당량 생산하게 되었으며, 이후 독일프랑스로도 확장되었다.

유럽에서는 10세기 무렵 바늘 철사가 발명되어, 기존의 쇠붙이를 단조하는 방식이 아닌 바늘 철사를 절단하여 만드는 방식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21]。 반면 영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늦은 1639년 레디치에서 바늘 생산을 시작했으며,[18]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는 인발 와이어 기술을 개발했다.[19] 1655년경에는 런던에 바늘 제작자 길드가 설립될 정도로 영국의 바늘 제조업체들이 성장했지만, 레디치는 여전히 주요 생산지로 남았다.[20]

한편, 일본에서는 1600년대부터 부러진 바늘을 기리는 하리쿠요 축제가 시작되었다.

2. 3. 한국에서의 역사

강철로 만든 바늘은 중국에서 시작되어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이는 고대에 한반도가 기술 전파의 중요한 통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3. 종류

현대에는 바늘이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크게 재봉용 바늘, 의료용 바늘, 그리고 그 외 다양한 용도의 바늘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용도에 맞춰 바늘의 형태, 크기, 끝의 날카로움 등이 다르게 제작된다.

3. 1. 재봉 바늘

손 바느질에 사용되는 바늘


5호 섀프 바늘의 귀에 실이 꿰어진 모습


재봉에 사용하는 '''바늘'''(sewing needle|재봉 바늘eng)은 가늘고 긴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한쪽 끝이 뾰족하다. 반대쪽 끝에는 '귀'라 불리는 작은 구멍이 있어, 이 구멍에 을 꿰어 천 등을 꿰뚫고 실을 통과시킬 수 있다. 미싱 바늘의 경우, 구멍이 뾰족한 끝 부분에 있다. 고대의 바늘은 나무나 뼈 등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재봉용 바늘은 지금으로부터 약 3~4만 년 전 동시베리아 지역에서 처음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손 바느질 바늘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등급으로 나뉘며, 각 종류마다 크기도 다르다.[3]

  • '''섀프 바늘''': 일반적인 손 바느질에 사용된다. 뾰족한 끝과 둥근 귀를 가졌으며 중간 길이이다. 두 겹 귀 바늘은 두 가닥의 실을 사용할 수 있고 천과의 마찰을 줄여준다.
  • '''아플리케 바늘''': 아플리케와 패치워크를 포함한 다용도 바늘로 여겨진다.
  • '''자수 바늘''': 크루엘 바늘이라고도 하며, 섀프 바늘과 비슷하지만 여러 가닥의 자수실이나 더 두꺼운 을 쉽게 꿰도록 귀가 더 길다.
  • '''비트윈 또는 퀼팅 바늘''': 섀프 바늘보다 짧고, 작고 둥근 귀를 가졌다. 재단, 퀼트 제작 및 기타 정교한 손 작업처럼 두꺼운 천에 섬세한 바늘땀을 만들 때 사용된다. 일부 제조사는 퀼팅 바늘과 퀼팅 '비트윈' 바늘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후자가 전자보다 약간 더 짧고 좁다.
  • '''밀리너 바늘''': 일반적으로 섀프 바늘보다 길며, 가봉 및 주름 제작에 유용하고, 주로 모자 제작 작업에 사용된다.
  • '''쉬운 또는 자동 실 끼우기 바늘''': 캘릭스 아이 섀프, 옆면 실 끼우기,[4] 나선형 귀라고도 불린다.[5] 일반적인 폐쇄형 귀 대신 실을 쉽게 끼울 수 있도록 열린 슬롯 형태의 귀를 가지고 있다.
  • '''비즈 바늘''': 매우 가늘고, 비즈와 스팽글의 중심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귀가 좁다. 여러 개의 비즈를 한 번에 꿰어 잡기 쉽도록 바늘대(자루)가 길다.
  • '''보드킨 바늘''': 볼포인트라고도 하며, 끝이 뭉툭하고(볼포인트) 귀가 크고 길쭉한 길고 두꺼운 바늘이다. 평평하거나 둥근 형태가 있으며, 주로 옷감의 접힌 부분(케이싱)이나 구멍(레이스 구멍)을 통해 고무줄, 리본, 테이프 등을 꿰는 데 사용된다.
  • '''쉬닐 바늘''': 태피스트리 바늘과 비슷하지만, 크고 긴 귀와 매우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어 촘촘하게 짜인 천을 뚫는 데 사용된다. 리본 자수에 유용하다.
  • '''누비기 바늘''': 때때로 마감 바늘이라고도 불리며, 뭉툭한 팁과 큰 귀를 가지고 있어 태피스트리 바늘과 유사하지만 더 길다. 실 누비기는 가장 튼튼한 하위 종류이다.
  • '''인형 바늘''': 길고 가늘게 만들어져 주로 인형 제작, 특히 얼굴 디테일을 위한 연성 조각에 사용된다.
  • '''가죽 바늘''': 글로버 바늘 또는 쐐기 바늘이라고도 하며, 가죽을 찢지 않고 구멍을 낼 수 있도록 끝이 삼각형 모양이다. 비닐 및 플라스틱과 같은 가죽 유사 재료에도 자주 사용된다.
  • '''돛 제작자 바늘''': 가죽 바늘과 유사하지만, 삼각형 모양의 팁이 바늘대 위쪽으로 더 길게 뻗어 있다. 두꺼운 캔버스나 두꺼운 가죽을 꿰매도록 설계되었다.
  • '''태피스트리 바늘''': 귀가 커서 다른 바늘보다 굵은 실을 사용할 수 있다. 뭉툭한 팁(종종 바늘의 나머지 부분에서 약간 구부러짐)은 자수용 캔버스나 균일한 직조 재료와 같이 느슨하게 짜인 천을 걸거나 찢지 않고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틀에 고정된 천에 사용하며, 두 가지 색상의 실을 사용하는 이중 귀 버전도 있다.
  • '''태팅 바늘''': 태팅 기법에 사용되는 이중 바늘땀을 통해 실을 당길 수 있도록 귀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균일한 두께로 길게 제작되었다.
  • '''실내 장식 바늘''': 무겁고 긴 바늘로, 곧거나 구부러진 형태가 있다. 두꺼운 천, 실내 장식 작업, 태프팅(장식 술을 다는 작업), 퀼트 묶기 등에 사용된다. 구부러진 형태는 직선 바늘을 사용하기 어려운 가구의 구석진 곳 작업에 실용적이다. 아주 튼튼한 30cm 길이의 바늘은 매트리스 수리에 사용된다. 직선 바늘은 약 7.62cm~약 30.48cm, 곡선 바늘은 약 3.81cm~약 15.24cm 길이로 나온다.


실을 통과시키는 구멍이 없는 바늘도 있는데, 이는 시침핀으로, 꿰맬 천들을 임시로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천을 통과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을 위해 뒤쪽 끝에 장식이 달려 있는 경우가 많다.

바늘은 가늘어서 떨어뜨리면 찾기 어렵고, 뾰족한 끝 때문에 다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용할 때는 바늘꽂이에 꽂아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바늘은 가늘고 단단하여 휘어지기보다는 부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부러진 바늘 조각은 더욱 위험하므로 보관에 주의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부러진 바늘을 공양하는 바늘공양 풍습이 있다. 바느질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바늘아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3. 2. 의료용 바늘


  • '''주사 바늘''' (Hypodermic needle영어): 의약품 등을 주사하거나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늘고 긴 원통형 바늘이다.
  • '''채혈/수혈/헌혈 바늘''': 혈액 검사를 위한 채혈이나 수혈, 헌혈 등에 사용되는 바늘이다.
  • '''봉합 바늘''': 상처 부위를 봉합하는 데 사용하는 바늘이다. 봉합사 문서 참고.
  • '''''' (Acupuncture영어): 한의학에서 몸의 경혈에 찔러 넣어 신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치료에 사용되는 주사 바늘

3. 3. 기타 용도

무언가를 찔러서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 옷이나 장식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찔리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바늘 끝을 평평하게 하거나 덮개로 감싼 안전핀( safety pin영어 )이나, 넥타이셔츠를 함께 꿰어 고정하는 넥타이핀 등이 있다. 넥타이핀의 뾰족한 끝에는 보통 덮개가 부착된다.
  • '''압정''': 회화나 게시물을 벽 등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 '''손잡이 달린 바늘''': 생물 관련 실험 도구 중 하나로, 해부 시 세밀한 부분을 조작하거나 펼쳐서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곤충 표본용 바늘''': 곤충 표본을 만들 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용 바늘이 판매된다.
  • '''바디 피어싱용 바늘''': 인체 일부에 구멍을 뚫어 장신구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의복에 고정하는 장신구에도 바늘이 사용된다.
  • '''문신용 바늘''': Tattoo machine|문신 기계영어에 사용되어 피부에 문신을 새긴다.
  • '''기록 및 표시용 바늘''':

: 스타일러스: 글자나 그림을 새기거나 입력하는 도구.

: 철필: 철로 된 바늘 모양의 심이 달린 펜. 스타일러스를 번역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 긁개 바늘: 금속 가공 등에서 표면에 선을 긋거나 표시하기 위한 도구.

: 레코드 바늘: 레코드 플레이어에서 소릿골을 따라 움직이며 소리를 재생하는 부품.

  • '''탐침''': 프로브 카드의 프로빙이나 주사 탐침 현미경 등에서 표면을 감지하거나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지침''': 아날로그 시계, 나침반, 각종 계기나 저울 등에서 방위나 수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영어로는 hand영어라고 한다. (비유적으로 일의 방향을 제시하는 '지침(指針)'과는 다르다.)
  • '''제도용 바늘''': 콤파스나 디바이더와 같이 도면을 그리거나 길이를 측정하는 도구에 사용된다.
  • '''낚시 바늘''' ( fish hook영어 ): 낚시를 할 때 물고기를 잡기 위해 사용된다.

4. 바늘의 구조

재봉 바늘은 크게 6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 shaft|샤프트영어: 바늘의 주요 몸통 부분이다.
  • shank|섕크영어: 재봉틀에 바늘을 부착하거나 손으로 바느질할 때 잡는 부분이다.
  • groove|그루브영어: 샤프트를 따라 길게 파인 홈으로, 바늘이 을 통과할 때 이 이 홈에 자리 잡아 마찰로부터 보호받도록 돕는다.
  • eye|아이영어: 실을 꿰는 바늘 끝 부분의 구멍이다. 흔히 '바늘귀'라고도 부른다.
  • scarf|스카프영어: (주로 재봉틀 바늘에서) 재봉틀의 후크(hook)가 실 고리를 쉽게 걸어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돕기 위해 약간 파인 부분이다.
  • point|포인트영어: 을 직접 꿰뚫는 바늘의 뾰족한 끝 부분이다.

5. 바늘 크기

바늘 크기는 제조사 포장에 하나 이상의 숫자로 표시된다. 철사 게이지와 마찬가지로 바늘 크기를 정하는 일반적인 관례는, 주어진 바늘 종류 내에서 크기 번호가 감소할수록 바늘의 길이와 두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7] 예를 들어, 9호 바늘은 12호 바늘보다 두껍고 길다. 그러나 바늘 크기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 종류의 10호 바늘이 다른 종류의 12호 바늘보다 더 얇거나 가늘 수 있다.

포장에 "20 Sharps 5/10"과 같이 바늘 수와 두 개의 크기 번호가 함께 표시된 경우, 두 번째 숫자 세트는 해당 팩 내의 바늘 크기 범위를 나타낸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5호 10개, 10호 10개 (총 20개)의 샤프 바늘을 의미한다. 또 다른 예로, "16 Milliners 3/9"로 표시된 팩에는 3호에서 9호까지의 밀리너스 바늘 16개가 들어 있다.

6. 문화

바늘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날카롭고 무언가를 꿰맨다는 특성 때문에 속담, 민담, 예술 작품 등에서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한국 문화에서는 바늘과 관련된 여러 속담이 전해져 내려오며, 이는 바늘의 뾰족한 성질이나 섬세한 쓰임새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정문일침'과 같은 표현은 따끔한 충고를 비유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여러 세계 문화권에서도 바늘은 이야기나 속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잠자는 숲속의 미녀와 같은 동화에서는 이야기 전개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서유기에서는 강력한 무기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 더미에서 바늘 찾기"와 같이 찾기 어려운 상황을 비유하는 속담은 여러 언어권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체스 용어인 '' 역시 바늘로 고정하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6. 1. 한국 문화

바늘의 날카롭고 뾰족한 특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속담이 있다.

  • 바늘 방석
  • 정문일침 (頂門一鍼): 머리 위에 바늘 한 개를 꽂는 것처럼, 사람의 급소를 찌르는 적절한 가르침을 의미한다.

6. 2. 세계 문화

바늘은 여러 문화권의 이야기와 속담에서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 이야기 속 바늘
  • 일치 법사: 바늘을 이용한 기술과 지혜를 보여주는 이야기가 있다.
  • 잠자는 숲속의 미녀: 동화 속 공주는 물레 바늘에 찔려 깊은 잠에 빠진다.
  • 서유기: 주인공 손오공이 바다 밑에서 '해저침(海底針)'이라는 거대한 바늘을 발견하여 자신의 무기인 여의봉으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 '해저침'이라는 이름은 태극권의 기술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 속담 속 바늘
  • 날카로움을 비유:
  • "거짓말을 하면, 바늘 천 개를 삼킨다": 거짓말에 대한 경고를 담은 표현으로, 특히 서양 문화권에서 비슷한 속담을 찾아볼 수 있다.
  • "바늘 방석": 앉아 있기 매우 불편하고 불안한 자리를 의미한다.
  • "정문일침(頂門一鍼)": 정수리에 침 하나를 놓는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핵심을 찌르는 따끔한 충고나 교훈을 비유한다.
  • 작고 찾기 어려움을 비유:
  • " 더미에서 바늘 찾기": 매우 찾기 어렵거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을 비유하는 속담으로, 여러 언어권에서 비슷한 표현이 존재한다.

  • 기타
  • 체스에서는 특정 말이 움직이면 자신의 킹이 공격받게 되어 꼼짝 못 하는 상태를 (pin)이라고 부른다. 이는 마치 바늘로 꽂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모습에 비유한 것이다. 즉, 적의 킹과 자신의 말 사이에 상대방의 말이 놓여, 그 말이 움직이면 자신의 킹에게 체크가 걸리는 상황을 말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ntique Sewing Needle Cases http://www.collector[...] Collectors Weekly 2012-05-25
[2] 웹사이트 Antique Sewing Needle Cases http://www.collector[...] Collectors Weekly 2012-05-25
[3] 웹사이트 sewing.org http://www.sewing.or[...]
[4] 웹사이트 Home https://theneedlelad[...]
[5] 웹사이트 SPIRAL EYE NEEDLES, easy to thread sewing needles with an opening on the side of the eye. http://spiraleyeneed[...]
[6] 간행물 Sewing Basics - Know Your Needles https://www.janome.c[...] Janome
[7] 웹사이트 Some Insight on Needles http://www.pumpkinvi[...] Pumpkinvine Corner 2016-01-26
[8] 웹사이트 Prehistoric Clothing http://www.fashionen[...] Fashion, Costume, and Culture: Clothing, Headwear, Body Decorations, and Footwear through the Ages 2016-01-26
[9] 서적 Costume in England: A History of Dress from the Earliest Period Until the Close of the Eigh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Chapman and Hall
[10] 논문 Middle Stone Age bone tools from the Howiesons Poort layers, Sibudu Cave, South Africa
[11] 웹사이트 World's oldest needle found in Siberian cave that stitches together human history http://siberiantimes[...] 2016-08-23
[12] 논문 A Dufour Bladelet from Potočka zijalka (Slovenia) http://av.zrc-sazu.s[...]
[13] 웹사이트 Bone and Ivory Needles http://humanorigins.[...] The Smithsonian Institution's Human Origins Program 2016-01-25
[14] 문서 Excavations In Eastern Europe Reveal Ancient Human Lifestyles http://www.colorado.[...]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News Archive 2002-03-21
[15] 웹사이트 Textile tools dating back 8,600 years found in Denizli https://www.hurriyet[...] 2020-08-29
[16] 논문 The Eye of the Needle in Predynastic Egypt 2001
[17] 서적 The Scottish Invention of America, Democracy and Human Rights: A History of Liberty and Freedom from the Ancient Celts to the New Millenniu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01-25
[18] 웹사이트 History http://www.redditch.[...] 2016-01-26
[19] 웹사이트 How Needles Are Made http://www.jjneedles[...] John James Needles
[20] 논문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surgical instruments. V needles and their penetrating derivatives. 1986-01
[21] 논문 伝統技術の現況について(3) - 京都みすや針 - http://www.jshit.org[...]
[22] 문서 中世のかたち 中央公論新社
[23] 문서 河原ノ者・非人・秀吉 山川出版社
[24] 웹인용 Antique Sewing Needle Cases http://www.collector[...] Collectors Weekly 2012-05-25
[25] 웹인용 Prehistoric Clothing http://www.fashionen[...] Fashion, Costume, and Culture: Clothing, Headwear, Body Decorations, and Footwear through the Ages 2016-01-26
[26] 서적 Costume in England: A History of Dress from the Earliest Period Until the Close of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hapman and H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