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어는 나이지리아 남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1777년에 출판된 서적을 통해 처음 기록되었다. 1913년 연합 이보어 성경을 통해 교회 용어로 표준화되었으며, 중앙 이보어를 거쳐 표준 이보어로 발전했지만, 언어 표준화 과정에서 논쟁이 있었다. 이보어는 모음 조화와 성조를 특징으로 하며,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고립어에 가깝고, 다중 동사 구문을 활용한다. 현재 이보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영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적도 기니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적도 기니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언어 - 풀라어 풀라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서아프리카에서 9천 5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명사류 체계와 자음 교체 등의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아들람 문자로 표기되고 기니의 공용어이다.
나이지리아의 언어 - 요루바어 요루바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 구비 및 기록 문학,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이보어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
이보어
고유 이름
''
발음
''
민족
이보족
사용 지역
'이그보랜드: 아비아 주, 아남브라 주, 에보니 주, 에누구 주, 이모 주, 델타 주, 리버스 주'
'라틴 문자 (Önwu 알파벳) 느와구 아네케 문자 네오-은시비디 문자 은데베 문자 이보어 점자 아카구 문자'
기관
관련 기관
이보어 문화 진흥 협회
언어 코드
ISO 639-1
ig
ISO 639-2
ibo
ISO 639-3
ibo
Linguasphere
98-GAA-a
Glottolog
nucl1417
Glottolog 참조
Igbo
음성학
발음
''
발음 (미국)
''
로마자 표기
''
로마자 표기 (미국)
''
2. 역사
이보어에 관하여 출간한 최초의 서적은 1777년에 출판된 《History of the Mission of the Evangelical Brothers in the Caribbean》이다.[58] 1789년에는 전 노예였던 올라우다 에퀴아노가 쓴 《The Interesting Narrative of the Life of Olaudah Equiano》라는 책이 영국 런던에서 출판되었고, 여기에 79개의 이보어 낱말이 기록되었다.[58]
최초로 이보어 어휘를 수록한 책은 1777년에 출판된 『카리브 제도의 복음주의 형제회 선교 역사』(Geschichte der Mission der Evangelischen Brüder auf den Carabischen Inselnde)이다.[8] 그 직후인 1789년에는 런던에서 전 노예였던 올라우다 에쿠아노(Olaudah Equiano)가 집필한 『올라우다 에쿠아노의 흥미로운 삶 이야기』가 출판되었는데, 이 책에는 이보어 79개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8] 이 이야기는 에쿠아노의 고향 에사카(Essaka)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보족 삶의 다양한 측면을 자세히 보여준다.[9] 1854년과 1857년 영국 나이저 원정 이후, 새뮤얼 아자이 크로우더(Samuel Ajayi Crowther)는 그와 함께 1857년 아보(Aboh)로 여행한 젊은 이보 선교사 사이먼 조너스(Simon Jonas)가 암호화한 이보어 입문서를 출판했다.[10]
이 언어는 1913년 연합 이보어 성경(Union Igbo Bible)을 통해 교회 용어로 표준화되었다.[11] 중앙 이보어(Central Igbo)는 나이지리아 동부 오웨리(Owerri)와 우무아히아(Umuahia) 마을 사이의 중앙 오웨리 주(Central Owerri Province)에 있는 에지니파이트(Ezinifite) 이보족 그룹 구성원들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1939년 아이다 C. 워드(Ida C. Ward)에 의해 문학적 형태로 제안된 이후, 점차 지역 전역의 선교사, 작가, 출판사에 의해 받아들여졌다.
표준 이보어(Standard Igbo)는 다른 이보어 방언의 단어를 차용어(loan words)를 채택하여 중앙 이보어와 교차 수분(cross-pollinate)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8]
치누아 아체베는 1999년 오웨리(Owerri)의 로마 가톨릭 대교구가 후원한 강연에서 연합 이보어부터 중앙 이보어, 그리고 마지막으로 표준 이보어에 이르기까지 언어 표준화 노력을 열렬히 비난했다.[12][13]
3. 음운
이그보어는 성조 언어로서, 방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3가지 음역(register) 성조와 3가지 등고(contour) 성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성조만 다른 별개의 단어들이 존재한다.[18] 예를 들면, ákwá는 "울다", àkwà는 "침대", àkwá는 "계란", ákwà는 "천"을 의미한다. 그러나 글을 쓸 때는 성조를 자주 생략한다.
존 골드스미스는 자신의 저서 ''영어의 음운 구조''에서 이그보어의 톤 시스템이 선형 모델을 넘어서는 자동분절 현상의 예시라고 언급했다.[18]
일반적으로 이그보어 사전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때로는 세 가지) 톤은 실제 발음에서 단어가 어떻게 들리는지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이것은 이그보어가 이전에 인식되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톤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오다"를 의미하는 ''bia''의 명령형은 "그가 왔다"를 의미하는 서술문 ''O bia''에서 사용되는 톤과 다르다.
3. 1. 모음
이그보어는 인두 공간 크기로 구분되는 두 가지 구개 모음 집합을 특징으로 하는 모음 조화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후퇴 설근(RTR)으로 설명된다. 이 모음은 모음 공간에서도 다른 위치를 차지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 음소 전사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매개변수 중 하나만을 구별되는 것으로 선택하는데, 오른쪽 차트와 이그보어 정자법에서와 같이 RTR이거나, 아래 알파벳 차트에서와 같이 모음 공간이다. 또한 비음 모음도 있다.[19]
인접한 모음은 말하는 동안 일반적으로 동화를 겪는다. 선행 모음의 소리는, 일반적으로 한 단어의 끝에 있는 소리가, 특히 다른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다음 모음의 소리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합쳐져, 말에서 두 번째 모음이 더 두드러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모음(첫 번째 단어에 있는)은 듣는 사람에게 약간만 식별 가능하며, 중앙화를 겪는다. 예를 들어, /kà ó mésjá/는 /kòó mésjá/ ("안녕")가 된다. 이 동화의 예외는 /nà àlà/ ("땅 위에")에서와 같이 /a/로 끝나는 단어(/nà/)인데, 빠른 말에서는 /n/으로 완전히 동화되어 "nàlà" 또는 "n'àl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방언에서는 /ọ́ nà èrí ńrí/ ("그는/그녀는/그것은 먹고 있다")에서와 같이 "nà"의 /a/의 경우 장모음 /ọ́ nèèrí ńrí/가 된다.[19]
에누-오니차 이보어와 같은 일부 방언에서는 이중 조음 /ɡ͡b/영어와 /k͡p/영어가 유성/무성 순연구개 흡입음으로 구현된다. 근사음 /ɹ/영어는 ''árá''와 같이 모음 사이에서 치경 탄음 ɾ영어으로 구현된다. 에누-오니차 이보어 방언은 델타 주에 있는 이보-아니오마 사람들이 사용하는 에누아니어와 매우 유사하다.
음운 분석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클라크(1990)에서 발췌한 전형적인 중부 방언의 자음 목록을 제시한다. 비음화는 모음이 아닌 자음의 특징으로 분석되어 왜 그렇게 적은 수의 자음만이 비음 모음 앞에 나타나는지에 대한 문제를 피한다.[20]
음절은 (C)V영어 (선택적 자음, 모음) 또는 N (비음 모음) 형태이다. CV는 가장 일반적인 음절 유형이다. 모든 음절에는 성조가 있다. 자음 군집은 발생하지 않는다. 반모음 j영어와 w영어는 일부 음절에서 자음과 모음 사이에 나타날 수 있다. /CjV/영어의 반모음은 기저 모음 "ị"로 분석되므로 ''-bịa''는 '오다'라는 뜻의 ''bjá''의 음소 형태이다. 반면에 /CwV/영어의 "w"는 순모음화의 예로 분석된다. 따라서 "말하다"라는 뜻의 동사 ''-gwá''의 음소 형태는 /-ɡʷá/영어이다.
3. 3. 성조
성조 언어인 이그보어는 방언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3가지 음역(register) 성조와 3가지 등고(contour) 성조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성조만 다른 여러 단어가 존재한다. (예: ákwá "울다", àkwà "침대", àkwá "계란", ákwà "천") 그러나 글을 쓸 때는 성조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18]
이그보어는 톤 언어이며, 톤은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세 가지 높낮이 톤과 세 가지 윤곽 톤을 가진다. 존 골드스미스는 이그보어의 톤 시스템을 자동분절 현상의 예로 제시했다.[18]
이그보어 단어는 톤만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ákwá''는 "울다", ''àkwà''는 "침대", ''àkwá''는 "달걀", ''ákwà''는 "천"을 의미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톤은 표기되지 않아 인쇄물에서는 모두 "akwa"로 표기된다.
많은 경우, 이그보어 사전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때로는 세 가지) 톤은 실제 발음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이그보어가 더 많은 톤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오다"를 의미하는 ''bia''의 명령형은 "그가 왔다"를 의미하는 서술문 ''O bia''와 톤이 다르다.
이그보어는 성조 언어이기 때문에 단어의 발음에 사용되는 성조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높은 성조는 엑센트(´), 낮은 성조는 그래브 악센트(`)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akwa"는 성조에 따라 "울다, 알, 천, 꿰매다"를 의미할 수 있다. 첫 음절과 마지막 음절을 높게 발음하면 "울다", 첫 음절을 낮게, 마지막 음절을 높게 발음하면 "알", 두 음절 모두 낮게 발음하면 "천" 또는 "꿰매다"를 의미한다.
"eze"라는 단어는 높은 성조로 발음하면 "왕", 낮은 성조로 발음하면 "이빨"을 의미한다. 이처럼 이그보어에서 성조는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문법
이그보어는 굴절 형태소가 거의 없고 파생 및 확장 형태소가 많은 고립어이다. 주로 계층적인 방법으로 접미사를 사용하며, 접미사의 순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의미에 따라 결정된다.[16] 대부분의 파생어는 동사 어근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6]
이그보어 문헌에서 사용되는 확장 접미사는 파생어의 일부 특징만을 가진다. 이 접미사로 만들어진 단어는 항상 어근과 같은 어휘 범주에 속하며, 의미론적인 효과를 가진다. Emenanjo (2015)는 확장 접미사가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없지만, 많은 접미사들이 원래 파생된 다른 자유 형태소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들어, 확장 접미사를 구속된 어휘적 복합 구성 요소라고 주장한다.[16]
접사 외에도 이그보어는 동사로부터 동명사를 형성하기 위해 부분적 및 완전한 중복을 보인다. 부분적 형태는 처음 자음을 복사하고 고모음을 삽입하며, 완전한 형태는 처음 자음과 모음을 복사한다. 두 유형 모두 ''o-'' 접두사가 붙는다. 예를 들어, '-go' '사다'는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ògigo' '사는 것'을 형성하고, '-bu' '들다'는 완전히 중복되어 'òbubu' '드는 것'을 형성한다. 다른 일부 명사와 동사 형태도 중복을 보이지만, 중복된 형태의 의미가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경우 중복은 통시적으로 생산적이지 않으며 별개의 어휘 항목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좋다.[16]
이그보어는 수동태와 같은 일반적인 원가 감소 작용이 부족하여, "이그보어에서 목소리는 관련 없는 범주이다"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16] 그러나 이 언어는 더 넓은 정의에 따라 목소리로 해석될 수 있는 몇 가지 원가 증가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그보어는 또한 접미사 ''-rV''(여기서 ''V''는 이전 모음을 복사함)를 취하는 사적 구문을 가지고 있으며, 사적 목적어는 동사 바로 뒤에 온다. 사적 접미사는 과거 시제 접미사와 형태가 동일하지만 혼동해서는 안 된다.[14]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21]
:Íbè nye-re m Ógù ákwụkwọ|이베가 나를 위해 오구에게 책을 주었다.ig
4. 1. 어휘 범주
이보어의 어휘 범주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접속사, 그리고 하나의 전치사가 포함된다.[14]
이보어에서 형용사는 기능어에 가까운 닫힌 품사(closed class)로서 그 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Emenanjo (1978)에 따르면 서로 대립쌍을 이루는 다음 8개의 형용사만이 있다:[59] ''ukwu'' '큰', ''nta'' '작은'; ''oji'' '어두운', ''ọcha'' '밝은'; ''ọhụrụ'' '새로운', ''ochie'' '오래된'; ''ọma'' '좋은'; ''ọjọọ'' '나쁜'. (Payne 1990)[60] 그 외의 형용사적 의미는 상태 동사나 추상 명사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하나뿐인 전치사인 naig의 의미는 유동적이며 문맥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에메난조(2015)는 다음 예시를 통해 그 의미 범위를 보여준다.
이보어에서 가장 두드러진 범주인 동사는 언어의 대부분의 형태론을 담당하며 가장 기본적인 범주로 보인다. 많은 과정을 통해 동사에서 새로운 단어를 유도할 수 있지만, 다른 범주의 단어에서 동사를 유도하는 과정은 거의 없다.[16]
이보어 대명사는 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남성, 여성, 무생물에 대해 동일한 대명사를 사용한다. 따라서 ọ makaig라는 문장은 "그는/그녀는/그것은 아름답다"를 의미할 수 있다.
4. 2. 동사
이그보어는 명사구에 명시적인 격 변화를 표시하지 않으며, 어순을 통해서만 문법 관계를 나타낸다. 전형적인 이그보어 문장은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보이며, 주어는 자동사의 유일한 논항 또는 타동사의 작용자와 유사한 (외부) 논항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그보어는 목적격 배열을 보인다.
일부 이그보어 동사가 어느 정도의 능격을 보인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이견도 있다.[16] (4)에서 동사는 하나의 논항 ''nnukwu mmīri''를 가지며, 이는 주어 자리에 나타난다. 그리고 타동사 문장 (5)에서 동일한 논항은 목적어 자리에 나타나는데, 두 논항은 의미적으로 동일하다. 이를 바탕으로 Emenanjuo (2015)와 같은 저자들은 이 논항이 절대격이며, 따라서 이그보어는 어느 정도의 능격성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견을 제시하며, 관련 범주가 배열이 아니라 기저 논항 구조라고 주장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4)와 (5)는 변형의 적용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자동사 가설과 확장 투영 원리로 완전히 설명될 수 있다.[21] 명사 논항은 목적어 자리에서 생성되며, (4)와 같이 주어 자리로 올라가거나, (5)와 같이 주어 자리가 빈소거 대명사로 채워진다.
4. 3. 다중 동사 구문
이보어는 다중 동사 구문을 허용하며, 이는 전치사가 부족한 것을 보완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다중 동사 구문으로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의미 유형에는 도구, 간접 목적어, 동반, 목적, 그리고 방법이 있다. 아래 (13)과 (14)는 각각 도구적 및 간접 목적어 동사 연쇄를 보여준다.[16]
:Ọ nà-èji mmà à-bacha jī.|그는 칼로 고구마 껍질을 벗긴다.ig
:Ọ zụ̀-tà-rà akwụkwọ nye m̄.|그는 책을 사서 나에게 주었다.ig
5. 어휘
이보어에서 형용사는 기능어에 가까운 닫힌 품사(closed class)로서 그 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Emenanjo (1978)[59]에 따르면 서로 대립쌍을 이루는 다음 8개의 형용사만이 있다: ''ukwu'' '큰', ''nta'' '작은', ''oji'' '어두운', ''ọcha'' '밝은', ''ọhụrụ'' '새로운', ''ochie'' '오래된', ''ọma'' '좋은', ''ọjọọ'' '나쁜'. (Payne 1990)[60]
많은 이보어 이름은 사실 오래된 낱말과 어구가 결합된 형태이다.
6. 문자 체계
이보어 문자는 여러 발전 단계를 거쳤다.
이보족은 이웃 부족과의 기본적인 서면 의사소통을 위해 엔시비디 표의문자를 발명했다.[22] 엔시비디는 나이지리아 남동부와 카메룬 남서부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고대 그림 의사소통 체계이다. 그러나 엔시비디는 이보어를 특정적으로 기록할 수 없어 완전한 문자 체계는 아니었다.
1960년에는 나구 아네케(Nwagụ Aneke)가 나구 아네케 문자라는 음절 문자를 개발했다.[24]
이보어의 공식적인 표기법이 있기 전, 여행가와 저술가들은 파열음, 순음화 연구개음 등 특정 음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850년대 카를 리하르트 레프시우스(Karl Richard Lepsius)는 표준 알파벳을 발표했고, 이것은 최초의 이보어 표기법이 되었다. 이 표기법은 34개의 문자를 포함했다.[25]
레프시우스 표기법은 1929년 아프리카 언어의 실용 표기법(아프리카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 국제 아프리카 언어 및 문화 연구소 (IIALC)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표기법은 36개의 문자를 가졌고, 발음 부호를 없앴다. 그러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1960년대 초에 대체되었다.[25]
현재 쓰이는 Ọnwụ 알파벳은 이전의 레프시우스 알파벳과 IIALC가 지지하는 알파벳의 절충안이다.[26] Ọnwụ 알파벳의 문자와 발음은 아래 표와 같다.
와 는 동시조음 와 그리고 파열음으로 설명된다. 과 은 각각 비음 자음과 음절 비음을 나타낸다. 성조는 때때로 표시되기도 한다.
1976년 이그보 표준화 위원회는 공식 정자법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새로운 표준 정자법을 제시했지만,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다.[27] 최근에는 표준 정자법에서 벗어나는 알파벳 기호, 음조 표기 등의 무분별한 사용에 대한 개혁 요구가 있다.[25]
2009년에는 로타나 이그웨-오둔제(Lotanna Igwe-Odunze)가 Ndebe 문자라는 고유 문자를 개발했다.[30]
6. 1. 역사
이보어에 관하여 출간한 최초의 서적은 1777년에 출판된 《History of the Mission of the Evangelical Brothers in the Caribbean》이다.[58] 1789년에는 전 노예였던 올라우다 에퀴아노가 쓴 《올라우다 에퀴아노의 흥미로운 삶 이야기》라는 책이 영국 런던에서 출판되었고, 여기에 79개의 이보어 낱말이 기록되었다.[58] 이 이야기는 에쿠아노의 고향 에사카(Essaka)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보족 삶의 다양한 측면을 자세히 보여준다.[9] 1854년과 1857년 영국 나이저 원정 이후, 새뮤얼 아자이 크로우더는 그와 함께 1857년 아보(Aboh)로 여행한 젊은 이보 선교사 사이먼 조너스(Simon Jonas)가 암호화한 이보어 입문서를 출판했다.[10]
이 언어는 1913년 연합 이보어 성경(Union Igbo Bible)을 통해 교회 용어로 표준화되었다.[11]
이보족은 이웃 부족인 에코이족과 에제감족과의 기본적인 서면 의사소통을 위해 엔시비디 표의문자를 발명했다.[22] 엔시비디는 나이지리아 남동부와 카메룬 남서부 크로스 강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고대의 그림 의사소통 체계이다. 이웃 에코이족, 에제감족, 에피크족, 이비비오족도 사용한다. 하지만 엔시비디는 이보어를 특정적으로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문자 체계는 아니다. 1960년, 농촌 토지 소유주이자 디비아인 나구 아네케는 이보어 우물레리 방언을 위한 음절 문자를 개발했는데, 그의 이름을 딴 나구 아네케 문자는 1991년 아네케가 사망할 때까지 수백 개의 일기 항목을 쓰는 데 사용되었다. 나구 아네케 프로젝트는 나구의 해설과 일기를 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24]
이보어에 대한 공식적인 표기법이 존재하기 전, 여행가와 저술가들은 자신들의 언어의 표기법을 사용하여 이보어의 음을 기록했지만, 파열음, 순음화 연구개음, 음절 모음, 비확장 모음과 같은 특정 음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850년대에 독일의 언어학자 카를 리하르트 레프시우스(Karl Richard Lepsius)는 세계 모든 언어에 적용 가능한 표준 알파벳을 발표했고, 이것은 최초의 이보어 표기법이 되었다. 이 표기법은 34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아프리카 언어의 독특한 음을 기록하기 위해 이중자음과 발음 부호를 포함했다.[25] 레프시우스 표준 알파벳에 포함된 문자는 다음과 같다.[25]
a
b
d
e
f
g
h
i
k
l
m
n
o
p
r
s
t
u
v
w
y
z
gb
gh
gw
kp
kw
ṅ
nw
ny
ọ
s
ds
ts
레프시우스 표기법은 1929년 나이지리아의 식민 정부에 의해 아프리카 언어의 실용 표기법(아프리카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 국제 아프리카 언어 및 문화 연구소 (IIALC)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표기법은 36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었고, 발음 부호를 없앴다. 새로운 표기법과 관련된 많은 논쟁적인 문제들은 결국 1960년대 초에 그것이 대체되는 결과를 가져왔다.[25] 아프리카 표기법에 포함된 문자는 다음과 같다.[25]
a
b
c
d
e
f
g
gb
gh
h
i
j
k
kp
l
m
n
ŋ
ny
o
ɔ
ɵ
p
r
s
t
u
w
y
z
gw
kw
nw
6. 2. Ọnwụ 알파벳
현재 Ọnwụ 알파벳은 이전의 레프시우스 알파벳과 (IIALC)가 지지하는 새로운 알파벳의 절충안으로, 다음 표에 국제 음성 기호에 따른 해당 문자의 발음과 함께 제시되어 있다.[26]
성조는 때때로 문자로 표시되기도 하고, 표시되지 않기도 한다. 성조가 표시될 때는 저음은 모음 위에 무거운 악센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예를 들어 → 와 같이 표시하며, 고음은 모음 위에 예각 악센트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 와 같이 표시한다.
6. 3. 기타 표기법
이보족은 이웃 부족인 에코이족과 에제감족과의 기본적인 서면 의사소통을 위해 엔시비디 표의문자를 발명했다.[22] 엔시비디는 나이지리아 남동부와 카메룬 남서부 크로스 강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고대의 그림 의사소통 체계이다. 이웃 에코이족, 에제감족, 에피크족, 이비비오족도 사용한다. 아로 연합체 하에서 적어도 16세기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에크페와 같은 비밀 결사체에서 비밀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공개적으로 사라졌다.[23] 하지만 엔시비디는 이보어를 특정적으로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문자 체계는 아니다.
1960년, 농촌 토지 소유주이자 디비아인 나구 아네케는 이보어 우물레리 방언을 위한 음절 문자를 개발했는데, 그의 이름을 딴 나구 아네케 문자는 1991년 아네케가 사망할 때까지 수백 개의 일기 항목을 쓰는 데 사용되었다. 나구 아네케 프로젝트는 나구의 해설과 일기를 번역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24]
이그보어 표준 정자법에 대한 합의를 어렵게 만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1976년, 이그보 표준화 위원회는 타자기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부호를 표기하는 어려움, 음조 표시 규칙으로 음조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어려움(다른 환경에서 변화하기 때문), 특정 이그보 방언에 고유한 다양한 소리를 포착할 수 없다는 점을 들어 공식 정자법을 비판했다. 위원회는 ọ영어와 ụ영어 대신 ö영어와 ü영어를, ch영어 대신 c영어를, ṅ영어 대신 ñ영어를 사용하는 Ọnwụ 정자법의 수정된 버전인 새로운 표준 정자법을 제시했다.[27] 새로운 표준 정자법은 마이클 에체루오(Michael Echeruo)가 1998년에 편찬한 『이그보-영어 사전(Igbo English Dictionary)』에서 사용되는 등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다.
최근 개혁 요구는 표준 정자법에서 벗어나는 알파벳 기호, 음조 표기 및 철자 규칙의 무분별한 사용에 부분적으로 기반하고 있다.[25]
또한, 주로 이그보어가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했던 언어이기 때문에, 엔시비디(nsibidi)의 사용을 복원하고 현대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28][29]
6. 4. Ndebe 문자
이보족은 이웃 부족인 에코이족과 에제감족과의 기본적인 서면 의사소통을 위해 엔시비디 표의문자를 발명했다.[22] 엔시비디는 나이지리아 남동부와 카메룬 남서부 크로스 강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고대의 그림 의사소통 체계이다. 이웃 에코이족, 에제감족, 에피크족, 이비비오족도 사용한다. 아로 연합체 하에서 적어도 16세기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에크페와 같은 비밀 결사체에서 비밀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공개적으로 사라졌다. 하지만 엔시비디는 이보어를 특정적으로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문자 체계는 아니다.[23]
2009년, 로타나 이그웨-오둔제(Lotanna Igwe-Odunze)라는 이름의 나이지리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아티스트가 Ndebe 문자라는 고유 문자를 개발했다. 이 문자는 2020년에 Nsibidi와 완전히 독립적인 독립적인 문자 체계로 재설계되어 다시 출시되었다.[30][31] 이 문자는 나이지리아 언어학자 콜라 투보순(Kola Tubosun)이 라틴 문자에 비해 "단순하고" "논리적인" 어조와 방언의 다양성 표기 방식에 대한 글을 쓴 후 주목을 받았다.[30][32]
7. 사용 현황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인해 이보어는 노예로 끌려온 이보인들에 의해 아메리카 전역의 노예 식민지에 퍼져나갔다. 자메이카 파투아에서 그 예시를 찾아볼 수 있는데, 복수 대명사 unuig는 이보어에서 유래했고, 'Red eboe'는 이보인들 사이에서 보고된 밝거나 누런 피부색 때문에 밝은 피부색을 가진 흑인을 가리킨다.[34] 'Soso'는 이보어에서 유래한 '오직'이라는 뜻이다.[35] 더 많은 예시는 자메이카 파투아 어원 중 아프리카어 목록을 참조할 수 있다.
바베이도스의 별칭인 'Bim'은 노예로 끌려온 바베이도스인들(바베이도스인(바장))이 흔히 사용했다. 이 단어는 이보어의 'bi mu'(혹은 'bem', 'Ndi bem', 'Nwanyi ibem', 'Nwoke ibem')(My people영어)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지만,[36][37] 다른 기원을 가질 수도 있다(바베이도스 어원 참조).
쿠바에서는 이보어(그리고 에피크어와 함께)가 크리올어 형태로나마 아바쿠아 협회의 의식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현대 나이지리아의 에크페 협회와 동등하거나 유래한 것이다.
현대에는 디아스포라에 있는 이보인들이 이 언어의 학습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자원을 마련하고 있다.
예루살렘 방문 성당(Church of the Visitation)의 이보어로 번역된 마니피카트(Magnificat)
이보어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2006년 유네스코(UNESCO) 보고서에서 50년 안에 이보어가 멸종될 것이라는 예측을 한 데서 비롯된다.[38] 매사추세츠 대학교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문학 교수인 추쿠마 아주오니(Chukwuma Azuonye)는 단일어 사용 고령 화자의 감소하는 인구, 특히 어린이를 포함한 이보어 화자의 능력 및 사용 감소, 이보어의 문화적 미적 감각을 전달하는 관용구, 속담 및 기타 수사적 요소의 악화, 그리고 코드 전환(code-switching), 코드 혼합(code-mixing), 언어 전환(language shift)을 포함하는 기준에 근거하여 이보어 멸종 위험의 지표를 강조한다.[39]
이보어의 쇠퇴와 사용 감소의 원인으로 외부 및 내부 요인이 제기되었다. 포스트 식민지 나이지리아에서 영어에 대한 선호는 사회에서 이보어의 역할과 기능을 빼앗았는데,[39] 이보어 화자들은 영어를 지위와 기회의 언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39] 이러한 인식은 사회경제적 계층 전반에 걸쳐 이보어 화자들이 이보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38] 이보어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능력과 사용 감소는 가정 환경에서의 노출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이는 언어의 세대 간 전승에 영향을 미친다.[39] 영어는 나이지리아의 공식 언어이며 정부 행정, 교육 기관 및 상업에서 사용된다. 나이지리아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의 역할 외에도, 세계화는 경제 및 기술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영어를 보편적인 표준 언어로 사용하도록 압력을 가한다.[38] 이보아누시(Igboanusi)와 피터(Peter)가 2005년에 실시한 연구는 의사소통, 오락 및 미디어 영역에서 이보어 사람들 사이에서 이보어보다 영어에 대한 선호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보어 화자들은 구두 의사소통의 경우 56.5%, 서면 의사소통의 경우 91.5%, 오락의 경우 55.5~59.5%, 미디어의 경우 73.5~83.5%의 비율로 영어를 선호했다.[40]
이중 언어 사용 이보어 화자들 사이에서 영어가 이보어에 미치는 영향은 영어 외래어가 이보어에 통합되고 두 언어 간에 코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주로 명사인 영어 외래어는 영어 의미론을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일반적으로 이보어의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구조를 따른다. 어휘 항목은 이보어 음운론적 구조에 내재하는 모음 조화에 따른다. 예를 들어, 음절 말 자음이 있는 외래어는 자음 뒤에 모음을 추가하여 동화될 수 있으며, 이보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자음 군집 사이에 모음이 삽입된다.[42] 이는 영어 단어 'school'에서 유래한 외래어 ''sukulu''에서 볼 수 있는데, 이 단어는 이보어에 동화될 때 위에서 언급한 수정 패턴을 따랐다.[41] 더 긴 영어 구문 단위를 이보어 발화에 삽입하는 코드 전환에는 구절이나 전체 문장(주로 명사와 동사)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이보어 구문 패턴을 따를 수도 있고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 영어 동사에 대한 이보어 접사는 시제와 상을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영어 단어 'check'에 이보어 접미사 -i를 붙인 ''check-i''가 있다.[42]
표준 이보어는 수많은 이보어 방언의 단편적인 특징으로 구성되며, 기술적으로는 구어가 아니지만 의사소통, 교육 및 학문적 맥락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통합은 추쿠마 아주오니에 의해 방언 간의 다양성을 없앰으로써 이보어의 생존을 훼손하는 것으로 인식된다.[39] 각 방언은 이보어의 문화적 미묘함을 나타내는 고유한 번역 불가능한 관용구와 수사적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방언이 사라지거나 악화됨에 따라 이러한 것들이 사라질 수 있다.[39] 새롭게 만들어진 용어는 외래어를 동화하는 과정에서 방언의 어휘 형성에 맞지 않을 수 있다.[39]
속담은 문화적 지혜와 언어 표현에 대한 문맥적 의미를 전달하는 이보어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최근 세대의 화자들 사이에서 이보어 속담의 일상적인 사용이 감소하여 세대 간 전승에 위협이 된다.[43] 최근 이보어의 오가시(Ogwashi) 방언에 대한 연구는 고령 화자에 비해 젊은 세대의 속담에 대한 지식과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39] 이 연구에서 젊은 세대는 단순화되거나 불완전한 속담 표현을 사용했고, 다양한 속담 목록이 부족했으며, 다양한 속담 어휘를 사용하여 언어 표현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보여준 노인들과 비교하여 적절한 문맥적 사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39]
8. 멸종 위기
이보어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2006년 유네스코(UNESCO) 보고서에서 50년 안에 이보어가 멸종될 것이라는 예측을 한 데서 비롯된다.[38] 매사추세츠 대학교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문학 교수인 추쿠마 아주오니(Chukwuma Azuonye)는 단일어 사용 고령 화자의 감소하는 인구, 특히 어린이를 포함한 이보어 화자의 능력 및 사용 감소, 이보어의 문화적 미적 감각을 전달하는 관용구, 속담 및 기타 수사적 요소의 악화, 그리고 코드 전환(code-switching), 코드 혼합(code-mixing), 언어 전환(language shift)을 포함하는 기준에 근거하여 이보어 멸종 위험의 지표를 강조한다.[39]
이보어의 쇠퇴와 사용 감소의 원인으로 외부 및 내부 요인이 제기되었다. 포스트 식민지 나이지리아에서 영어에 대한 선호는 사회에서 이보어의 역할과 기능을 빼앗았는데,[39] 이보어 화자들은 영어를 지위와 기회의 언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39] 이러한 인식은 사회경제적 계층 전반에 걸쳐 이보어 화자들이 이보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38] 이보어를 사용하는 어린이의 능력과 사용 감소는 가정 환경에서의 노출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이는 언어의 세대 간 전승에 영향을 미친다.[39]영어는 나이지리아의 공식 언어이며 정부 행정, 교육 기관 및 상업에서 사용된다. 나이지리아 일상생활의 여러 측면에서의 역할 외에도, 세계화는 경제 및 기술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영어를 보편적인 표준 언어로 사용하도록 압력을 가한다.[38] 이보아누시(Igboanusi)와 피터(Peter)가 2005년에 실시한 연구는 의사소통, 오락 및 미디어 영역에서 이보어 사람들 사이에서 이보어보다 영어에 대한 선호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보어 화자들은 구두 의사소통의 경우 56.5%, 서면 의사소통의 경우 91.5%, 오락의 경우 55.5~59.5%, 미디어의 경우 73.5~83.5%의 비율로 영어를 선호했다.[40]
이중 언어 사용 이보어 화자들 사이에서 영어가 이보어에 미치는 영향은 영어 외래어가 이보어에 통합되고 두 언어 간에 코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주로 명사인 영어 외래어는 영어 의미론을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일반적으로 이보어의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구조를 따른다. 어휘 항목은 이보어 음운론적 구조에 내재하는 모음 조화에 따른다. 예를 들어, 음절 말 자음이 있는 외래어는 자음 뒤에 모음을 추가하여 동화될 수 있으며, 이보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자음 군집 사이에 모음이 삽입된다.[42] 이는 영어 단어 ''school''에서 유래한 외래어 ''sukulu''에서 볼 수 있는데, 이 단어는 이보어에 동화될 때 위에서 언급한 수정 패턴을 따랐다.[41] 더 긴 영어 구문 단위를 이보어 발화에 삽입하는 코드 전환에는 구절이나 전체 문장(주로 명사와 동사)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이보어 구문 패턴을 따를 수도 있고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 영어 동사에 대한 이보어 접사는 시제와 상을 결정하는데, 예를 들어 영어 단어 'check'에 이보어 접미사 -i를 붙인 ''check-i''가 있다.[42]
표준 이보어는 수많은 이보어 방언의 단편적인 특징으로 구성되며, 기술적으로는 구어가 아니지만 의사소통, 교육 및 학문적 맥락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통합은 추쿠마 아주오니에 의해 방언 간의 다양성을 없앰으로써 이보어의 생존을 훼손하는 것으로 인식된다.[39] 각 방언은 이보어의 문화적 미묘함을 나타내는 고유한 번역 불가능한 관용구와 수사적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방언이 사라지거나 악화됨에 따라 이러한 것들이 사라질 수 있다.[39] 새롭게 만들어진 용어는 외래어를 동화하는 과정에서 방언의 어휘 형성에 맞지 않을 수 있다.[39]
속담은 문화적 지혜와 언어 표현에 대한 문맥적 의미를 전달하는 이보어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최근 세대의 화자들 사이에서 이보어 속담의 일상적인 사용이 감소하여 세대 간 전승에 위협이 된다.[43] 최근 이보어의 오가시(Ogwashi) 방언에 대한 연구는 고령 화자에 비해 젊은 세대의 속담에 대한 지식과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39] 이 연구에서 젊은 세대는 단순화되거나 불완전한 속담 표현을 사용했고, 다양한 속담 목록이 부족했으며, 다양한 속담 어휘를 사용하여 언어 표현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보여준 노인들과 비교하여 적절한 문맥적 사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39]
참조
[1]
웹사이트
Igbo Dialects and Igboid Languages
https://okwuid.com/2[...]
2020-04-22
[2]
서적
Aspects of the morphology-syntax interface in four Niger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3]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 Overview
http://www.unhcr.org[...]
UNHCR
2008-05-20
[4]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 Overview
http://www.unhcr.org[...]
UNHCR
2008-05-20
[5]
백과사전
Igbo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6]
백과사전
Igbo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7]
백과사전
Ibo
[8]
서적
The Foundations of Igbo Studies: A Short History of the Study of Igbo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Publishing Co.
[9]
서적
The Interesting Narrative of the Life of Olaudah Equiano
https://books.google[...] [10]
서적
Reconciliation in Northern Nigeria: The Space for Public Apology
https://books.google[...]
Frontier Press
2017
[11]
학술지
An Igbo Esperanto: A History of the Union Ibo Bible 1900-1950
https://www.jstor.or[...]
2002
[12]
연설
Tomorrow is Uncertain: Today is Soon Enough
http://www.columbia.[...]
1999
[13]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Igbo Language
http://www.columbia.[...] [14]
서적
A Descriptive Grammar of Igbo
Deut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Institut für Orientforschung
[15]
서적
Elements of Modern Igbo Grammar - a descriptive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A Grammar of Contemporary Igbo: Constituents, Features and Processes
M and J Grand Orbit Communications
[17]
백과사전
Language Universals and Language Types
[18]
논문
Autosegmental Phonology
http://www.ai.mit.e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76-06
[19]
서적
African Language Struc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서적
The Tonal System of Igbo
De Gruyter
[21]
학술지
The Argument Structure of Igbo Verbs
https://manfredi.may[...]
1987-09
[22]
학술지
Some Notes on Nsibidi.
https://zenodo.org/r[...]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09-01
[23]
서적
The foundations of Igbo studies
University Publishing Co.
[24]
학술지
The Nwagu Aneke Igbo Script: Its Origins, Features and Potentials as a Medium of Alternative Literacy in African Languages
http://scholarwork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Boston
[25]
학술지
Stemming the tide of centrifugal forces in Igbo orthography
2007
[26]
서적
Igbo Dictionary & Phrasebook
https://archive.org/[...]
Hippocrene Books
[27]
학술지
Igbo language research: Yesterday and today
2014-03-27
[28]
웹사이트
Nsibidi
http://blog.nsibiri.[...] [29]
웹사이트
Update on the Ndebe Igbo Writing System
https://sugabellyroc[...]
2013-01-05
[30]
웹사이트
Writing Africa's Future in New Characters
http://popula.com/20[...]
2020-07-13
[31]
뉴스
Nigerian Woman, Lotanna Igwe-Odunze, Invents New Writing System For Igbo Language
http://saharareporte[...]
2020-07-05
[32]
뉴스
The Igbo Language Gets Its Own Modern Script, But Will It Matter?
https://www.channels[...]
2020-10-03
[33]
학술지
Sexual Taboos and Euphemisms in Igbo: An Anthropolinguistic Appraisal
https://iling-ran.ru[...] [34]
서적
A Dictionary of Jamaican Englis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Press
[35]
서적
The Missing Spanish Creoles: Recovering the Birth of Plantation Contact Langu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서적
Dictionary of Caribbean English Us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Press
2008-11-24
[37]
서적
A~Z of Barbados Heritage
Macmillan Caribbean Publishers Limited
[38]
학술지
UNESCO Prediction of the Igbo Language Death: Facts and Fables
http://www.academix.[...]
2013
[39]
학술지
Igbo as an Endangered Language
http://scholarworks.[...]
2002
[40]
학술지
Is Igbo an endangered language?
https://www.degruyte[...]
2008
[41]
학술지
Borrowings and Neologisms in Igbo
'1982-01-01' # 추정 날짜
[42]
학술지
Sociolinguistic consequences of language contact: English versus Nigerian Languages
1981
[43]
서적
Handbook of the Changing World Language Map
Springer International
2018
[44]
기타 # Harvnb는 참고문헌 스타일이므로 타입을 기타로 설정
[45]
웹사이트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Equatorial Guinea : Overview [世界の少数民族と先住民の台帳 – 赤道ギニアの概要]
https://archive.toda[...]
UNHCR
2012-12-18
[46]
웹사이트
Igbo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25
[47]
웹사이트 # Merriam-Webster는 웹사이트로 간주
Ibo
2019-07-25
[48]
웹사이트 # Oxford Dictionaries는 웹사이트로 간주
Igbo
2019-07-25
[49]
기타 # Harvnb는 참고문헌 스타일이므로 타입을 기타로 설정
[50]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ỌGBÀ, AN IGBOID LANGUAGE OF SOUTHERN NIGERIA
http://www.rogerblen[...]
Roger Blench, Kay Williamson Educational Foundation, Cambridge, UK
2016-04-21
[51]
기타 # Harvnb는 참고문헌 스타일이므로 타입을 기타로 설정
[52]
서적
Tomorrow is Uncertain: Today is Soon Enough
http://www.columbia.[...] [53]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Igbo Language
http://www.columbia.[...] [54]
기타 # Harvnb는 참고문헌 스타일이므로 타입을 기타로 설정
[55]
기타 # Harvnb는 참고문헌 스타일이므로 타입을 기타로 설정
[56]
서적
Aspects of the morphology-syntax interface in four Niger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LIT erlag Münster
[57]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58]
서적
The foundations of Igbo studies
University Publishing Co.
[59]
서적
Elements of Modern Igbo Grammar - a descriptive approach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Language Universals and Language Typ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