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어는 중국 내륙과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주요 방언으로는 샹시 방언, 첸둥 방언, 촨첸뎬 방언 등이 있으며, 동남아시아에서는 백색 몽어와 청색 몽어가 주로 사용된다. 몽어는 분석적 SVO 언어이며, 다양한 자음과 모음, 7~8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몽어는 고유한 어휘, 색깔, 숫자 체계를 가지며, 다양한 표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현재는 로마자 대중 알파벳(RPA)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몽어는 미국에서 상당한 사용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번역 서비스에서도 지원된다. 몽어는 영화 《그랜 토리노》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몐어족 - 몽어파
    몽어파는 중국에서 먀오어, 서구권에서 몽으로 불리며 다양한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부 몽어군, 북부 먀오어군, 동부 먀오어군 등으로 분류되며 여러 문자로 기록되지만 표준 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 몽몐어족 - 서어 (서족)
    서어는 '산 사람들'이라는 뜻의 'Ho Le'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루오푸 방언과 롄화 방언으로 나뉘며 소멸 위기에 놓여 있고, 중국어의 영향으로 계통 분류에 어려움을 겪지만 흐몽어군 또는 지옹나이어와의 관련성이 논의되며, 고대 한어에서 유래된 차용어를 다수 포함하고 중국 정부는 서어 사용자를 사족으로 분류한다.
  • 라오스의 언어 - 베트남어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베트남의 공식 언어이자 킨족을 비롯한 다수 베트남인의 모국어로, 지역 방언이 존재하며 6성조를 사용하는 단음절 고립어이고, 로마자 기반의 꾸옥응으를 사용하며 한자어와 외래어가 풍부하게 사용된다.
  • 라오스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몽어
지도 정보
몽-미엔어족 지도, 서부 몽어는 자주색으로 표시됨
몽-미엔어족 지도, 서부 몽어는 자주색으로 표시됨
기본 정보
언어 이름몽어
다른 이름
고유어 이름


(베트남)

문자몽어 문자: 파하우 몽어 문자, 니야켄 푸아추에 몽어 문자, 다수의 로마자 표준 포함
사용 국가중국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미국
사용자450만 명
사용 시기2015년
민족몽족
어족몽몐어족
어파몽어파
어군중심 몽어군
서부 몽어군
추안첸디안 방언군
소수 언어중국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태국
언어 코드
ISO 639-2hmn
ISO 639-2 설명중국, 라오스 몽어/몽어(중국, 라오스)
ISO 639-3hmn
ISO 639-3 설명hmf와 hmv를 제외한 모든 중심 몽어군 언어들을 포함한 몽어/몽어 마크로 언어 (중국, 라오스)
Glottologfirs1234
Glottolog 설명초기 토착 몽어
Lingua48-AAA-a
하위 언어
cqd추안첸디안 방언군 묘어 (중국 내 몽어를 포괄하는 용어)
hea북부 첸둥 묘어
hma남부 마산 몽어
hmc중부 후이수이 몽어
hmd큰 꽃 묘어
hme동부 후이수이 몽어
hmf몽돈어 (베트남)
hmg남서부 구이양 몽어
hmh남서부 후이수이 몽어
hmi북부 후이수이 몽어
hmj거어
hml루오포허 몽어
hmm중부 마산 몽어
hmp북부 마산 몽어
hmq동부 첸둥 묘어
hms남부 첸둥 묘어
hmv몽도어 (베트남)
hmw서부 마산 몽어
hmy남부 구이양 몽어
hmz몽슈아어 (한화된 묘족)
hnj몽느주아/몽렝 (중국, 라오스), 블루/그린 몽어 (미국)
hrm아흐모어, 뿔 묘어 (중국)
huj북부 구이양 몽어
mmr서부 샹시 묘어
muq동부 샹시 묘어
mww몽다우어 (중국, 라오스), 백몽어 (미국)
sfm작은 꽃 묘어
추가 정보

2. 방언

몽어는 지리적 분포와 언어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크게 중국 내륙에서 사용되는 방언들과 동남아시아(라오스, 태국, 베트남 등) 및 기타 지역으로 이주한 몽족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방언들로 구분할 수 있다.

중국 내에서는 전통적으로 몽어를 향서(湘西) 방언(동부), 겸동(黔東) 방언(중부), 천겸전(川黔滇) 방언(서부)의 세 가지 주요 갈래로 분류해왔다. 하지만 이 분류는 행정적 구분에 가까우며, 실제 언어적 차이는 매우 커서 각 '방언'을 별개의 언어로 보아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특히 천겸전 방언은 내부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여러 하위 언어 또는 방언으로 다시 세분된다.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언으로는 백색 몽어(Hmoob Dawb|흐몽 다우hmn, 중국어: 白苗)와 청색/녹색 몽어(Moob Leeg|모옵 렝hmn, 중국어: 青苗)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중국의 천겸전 방언 집단, 그중에서도 '제1토착 방언'(第一土语)으로 불리는 그룹에 속하며, 역사적 이주 과정을 통해 라오스 등지로 퍼져나간 것으로 여겨진다. 이 외에도 중국화된 묘족 방언으로 분류되는 몽슈아(Hmongb Shuat|hmn) 등이 있다.

언어학 연구 기관인 에스노로그는 과거 라오스 방언(백색 몽어, 청색 몽어), 중국화된 몽슈아, 베트남 방언(몽도, 몽돈) 등을 구분했으나, 2007년에는 뿔묘(Horned Miao), 소화묘(Small Flowery Miao) 등을 별도로 분류하는 등 몽어 방언 분류 체계는 지속적으로 연구 및 업데이트되고 있다.[5] 특히 베트남 지역에서 사용되는 몽도(Mong Do|hmn), 몽돈(Mong Don|hmn) 등의 방언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고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5]

백색 몽어와 청색 몽어는 발음과 어휘에 차이가 있지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숙련된 화자 간에는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으로, 이는 영국 영어미국 영어의 차이와 유사하다고 비유된다.[6]

2. 1. 중국 내륙 방언

중국에서는 묘어족 중 사어와 뿌누어(布努语)를 제외한 모든 언어를 하나의 몽어(묘어)로 간주하고,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들은 '방언'이라고 하기에는 언어적 차이가 상당히 크며, 단일 계통으로 묶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중국 정부가 분류하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은 다음과 같다.

  • 샹시 방언(湘西[향서] 방언): 호남성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동부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 첸둥 방언(黔東[겸동] 방언): 귀주성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중부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 촨첸뎬 방언(川黔滇[천겸전] 방언): 사천성, 귀주성, 운남성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며, '서부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이 방언은 내부적으로 가장 복잡한 다양성을 보인다.

2. 1. 1. 샹시 방언 (동부 방언)

중국 내 묘어족 분류에서 호남성 서부 지역의 방언을 가리키며, '동부 방언' 또는 '적묘(赤苗)'라고도 불린다. 언어학적으로는 Xongund 또는 Qo Xongund으로 표기된다. 중국 정부는 이를 묘어의 한 방언으로 분류하지만, 다른 '방언'들과의 언어적 차이가 커서 실제로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해야 한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샹시 방언은 다음과 같이 두 개의 하위 토어(土語)로 나뉜다.

  • 서부 토어 [mmr]
  • 동부 토어 [muq]

2. 1. 2. 첸둥 방언 (중부 방언)

중국에서 분류하는 몽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로, 겸동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어 겸동 방언(黔東方言)이라고도 불린다. Hmu|흐무hmn 또는 흑묘(黒苗)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첸둥 방언은 다음과 같은 하위 토어(土語)로 나뉜다.

구분ISO 639-3 코드
북부 토어[hea]
남부 토어[hms]
동부 토어[hmq]


2. 1. 3. 촨첸뎬 방언 (서부 방언)

촨첸뎬 방언(천겸전 방언) 또는 서부 방언은 몽어의 세 가지 주요 방언 중 하나로 분류된다. 이 방언은 다른 방언들에 비해 내부적으로 가장 복잡한 다양성을 보이며, 언어학 데이터베이스인 Ethnologue에서는 이를 19개의 서로 다른 언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중국 내에서의 촨첸뎬 방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차방언토어ISO 639-3 코드다른 이름
전북 차방언[hmd]대화묘(大花苗), 위닝묘 (A-Hmao)
라박하 차방언[hml]
중안강 차방언[hmj]
Ge 문자
가어(家語) (Ge)
촨첸뎬 차방언제일 토어[cqd]협의의 몽어 (Hmong)
제이 토어[sfm]소화묘(小花苗) (Gha-Mu)
귀양 차방언북부 토어[huj]
서부 토어[hmg]
남부 토어[hmy]
회수 차방언북부 토어[hmi]
서남 토어[hmh]
중부 토어[hmc]
동부 토어[hme]
마산 차방언중부 토어[hmm]
북부 토어[hmp]
서부 토어[hmw]
남부 토어[hma]


2. 2. 동남아시아 방언

동남아시아 지역, 특히 베트남 북부, 태국 북부, 라오스 등지에 거주하는 먀오족은 주로 몽어의 서부 방언(중화인민공화국 분류의 천강전 방언)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한다.[45][46] 이 지역의 몽어 사용 인구는 약 50만에서 60만 명으로 추산된다.[45]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주요 몽어 방언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중국의 전천전묘(川黔滇苗, Sichuan–Guizhou–Yunnan Miao) 방언 집단, 특히 '제1토착 방언'(第一土语)으로 분류되는 방언들이 라오스 등지로 이주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 백색 몽어(Hmong Daw|hmn): Hmoob Dawb|hmn, Hmong Der|hmn, Hmong Dleu|hmn, Hmongb Dleub|hmn 등으로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백묘(白苗)라고 한다.
  • 청색/녹색 몽어(Hmong Njua|hmn): Moob Leeg|hmn, Moob Ntsuab|hmn, Mongb Nzhuab|hmn 등으로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청묘(青苗)라고 한다.
  • 몽슈아(Hmongb Shuat|hmn): 중국화된 묘족 방언으로 분류된다.


에스노로그는 과거 라오스의 백색 몽어와 청색 몽어, 중국화된 몽슈아, 그리고 베트남의 방언인 Mong Do|hmn와 Mong Don|hmn을 구분하기도 했다.[5] 베트남의 Mong Do|hmn와 Mong Don|hmn 방언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고 분류가 명확하지 않으며, 사용자 수 추정치도 없다. 이들 방언은 베트남어뿐만 아니라 과거 식민지 시기프랑스어나 이후 미국 영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백색 몽어와 청색 몽어는 숙련된 화자에게 상호 이해 가능하며, 두 방언 간의 발음 및 어휘 차이는 영국 영어미국 영어의 차이와 유사한 수준이다.[6] 공식적으로 어느 방언이 더 우수하다고 정해진 바는 없으나, 실제로는 백색 몽어가 여러 면에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6] 로마자 표기법(RPA)은 백색 몽어의 발음을 기준으로 만들어졌으며, 교육받은 몽족 대부분이 백색 몽어를 사용한다. 이는 청색 몽어만 이해하는 백색 몽어 화자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대부분의 몽어 사전은 백색 몽어 중심으로 편찬되었으며, 젊은 세대일수록 백색 몽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청색 몽어 화자가 백색 몽어 화자보다 상대방의 방언을 더 잘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6] 동남아시아에서는 백색 몽어 사용자가 청색 몽어 사용자보다 더 많을 수 있다.[46]

중국의 전천전묘 방언 집단 내 다른 방언들과의 상호 이해 가능성에 대해, 한 연구자는 미국, 태국, 중국의 관련 방언 화자들과의 대화 및 전문가 논의를 통해 이 집단 내 방언들 간에 높은 수준의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문화적으로도 각 하위 집단은 고유성을 가지면서도 다른 하위 집단을 동일한 민족 집단의 일부로 인식한다. 그러나 방언들이 지리적으로 넓게 분포하고 다양성이 존재하므로, 전체적인 상호 이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테스트가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되었다.[8]

2. 3. 미국 내 방언

라오스 내전 이후 미국으로 이주한 몽족 난민의 영향으로, 미국 내에는 약 20만 명의 몽어 사용자가 있다.[47] 이들은 주로 캘리포니아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에 거주하며,[48] 특히 미네소타주에서는 영어, 스페인어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49]

미국 내 몽어는 주로 백색 몽어(Hmoob Dawb|흐몽 다우hmn, 때로는 백묘(白苗)로도 불림)와 몽렝어(Moob Leeg|모옵 렝hmn, 또는 청묘(靑苗)) 두 방언으로 나뉜다.[6][47] 이 두 방언은 중국 언어학 분류상 전천전(川黔滇) 방언군의 '제1토착 방언'에 속하는 방언들이 라오스를 거쳐 미국으로 유입된 것이다. 미국 내 몽어 화자의 약 60%가 백색 몽어를, 40%가 몽렝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6]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백색 몽어와 몽렝어는 숙련된 사람이 듣기에는 상호 이해가 가능하며, 그 차이는 영국 영어미국 영어의 차이와 유사하다고 평가된다.[6] 그러나 일부 화자들은 서로 다른 방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몽렝어 사용자가 백색 몽어를 포함한 두 방언 모두를 더 잘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

공식적으로 어느 방언이 더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 내에서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백색 몽어가 더 선호되거나 기준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6] 널리 사용되는 로마자 표기법(RPA)은 백색 몽어 발음에 기반하고 있으며, 교육받은 몽족 다수가 백색 몽어를 사용한다. 이는 몽렝어 방언을 이해하는 백색 몽어 화자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대부분의 몽어 사전이 백색 몽어 중심으로 편찬되었으며, 젊은 세대에서 백색 몽어 사용 비율이 더 높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다.[6]

3. 음운

몽어는 성조 언어이며, 일반적으로 복잡한 음절두 자음 체계를 가지는 반면 은 모음 또는 모음+비음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50] 몽어의 음운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주요 방언으로는 백(白)묘족어 또는 흐몽 더으(Hmong Der)라고도 불리는 흐몽 다우(Hmong Daw),[9] 청(靑)/녹(綠)묘족어 또는 몽 ㄹ렝(Mong Leng)이라고도 불리는 몽 ㄹ렝(Mong Leeg),[10] 그리고 중국의 표준 묘족어인 다난산(大南山, Dananshan) 방언이 있다.[11] 흐몽 다우와 몽 ㄹ렝은 미국 몽족이 사용하는 주요 방언으로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만, 어휘나 음운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몽 ㄹ렝에는 흐몽 다우에 있는 무성 유기 비음 /m̥/가 없고, 대신 비음화된 모음 /ã/가 존재한다. 다난산 방언은 고유어에 몇 가지 추가 이중모음이 있고 중국어 차용어가 많으며, 8개의 성조를 가진다.

몽어의 음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여, 대부분의 음절은 초성 자음과 중성 모음(단모음 또는 이중모음)으로 이루어진다. 종성 자음으로는 비음만 나타날 수 있는데, 흐몽 다우와 몽 ㄹ렝에서는 이것이 비음화된 모음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으며 약한 [ŋ] 소리가 동반될 수 있다.[12] 또한, 특정 성조에서는 약한 성문 폐쇄음 [ʔ]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난산 방언의 경우, 중국어 차용어에서 음절적인 /l̩/이 나타나기도 한다.

몽어의 자음, 모음, 성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자음

몽어는 유기음무기음, 그리고 전비음화된 자음 등 여러 언어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음소 대조를 보인다.[9][10][11] 모든 파열음파찰음은 유기음과 무기음 형태를 구분하며, 대부분은 전비음화 여부도 구분한다.

아래 표는 백색 몽어(Hmong Daw) 방언과 몽렝어(Mong Leeg) 방언의 자음 목록이다. 두 방언에 특유한 자음은 각각 표시되어 있다.[12]

백색 몽어(Hmong Daw)와 몽렝어(Mong Leeg) 자음 (IPA 표기 / RPA 표기)
colspan="2" rowspan="2" |순음치음 / 치경음권설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무성측면 방출측면 방출 자음(/pˡ/, /mˡ/ 등)을 단일 음소로 볼지, 아니면 /l/이 결합된 자음군(/pl/, /ml/ 등)으로 볼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있다. 단일 음소 분석은 분포상의 증거(이 자음들이 유일한 자음군 형태임)와 방언 간 대응 관계(예: 몽렝어 /tˡʰ/는 백색 몽어 /d/에 해당)를 근거로 한다. 반면 자음군 분석은 일반적인 음성학적 원리(측면 방출을 가진 순음은 매우 드묾)에 기반한다.무성마찰음측음무성마찰음
비음무성/m̥/ (hm) (백색 몽어)(/m̥ˡ/) (hml) (백색 몽어)/n̥/ (hn) (백색 몽어)/ɲ̥/ (hny) (백색 몽어)
유성/m/ (m)(/mˡ/) (ml)/n/ (n)/ɲ/ (ny)(/ŋ/) (g) (드묾)/ɴ/
파열음/
파찰음
무기음/p/ (p)(/pˡ/) (pl)/t/ (t)/ts/ (tx)(/tˡ/) (dl) (몽렝어)/ʈ/ (r)/tʂ/ (ts)/c/ (c)/k/ (k)/q/ (q)/ʔ/ (표기 없음)
유기음/pʰ/ (ph)(/pˡʰ/) (plh)/tʰ/ (th)/tsʰ/ (txh)(/tˡʰ/) (dlh) (몽렝어)/ʈʰ/ (rh)/tʂʰ/ (tsh)/cʰ/ (ch)/kʰ/ (kh)/qʰ/ (qh)
유성/d/ (d) (백색 몽어)
숨소리 유성음/dʱ/ (dh) (백색 몽어)
전비음화/ᵐb/ (np)(/ᵐbˡ/) (npl)/ⁿd/ (nt)/ⁿdz/ (ntx)(/ⁿdˡ/) (ndl) (몽렝어)/ᶯɖ/ (nr)/ᶯdʐ/ (nts)/ᶮɟ/ (nc)/ᵑɡ/ (nk)/ᶰɢ/ (nq)
/ᵐpʰ/ (nph)(/ᵐpˡʰ/) (nplh)/ⁿtʰ/ (nth)/ⁿtsʰ/ (ntxh)(/ⁿtˡʰ/) (ndlh) (몽렝어)/ᶯʈʰ/ (nrh)/ᶯtʂʰ/ (ntsh)/ᶮcʰ/ (nch)/ᵑkʰ/ (nkh)/ᶰqʰ/ (nqh)
마찰음무성/f/ (f)/s/ (x)/ɬ/ (hl)/ʂ/ (s)/ɕ/ ~ /ç/ (xy)/h/ (h)
유성/v/ (v)/l/ (l)/ʐ/ (z)/ʑ/ ~ /ʝ/ (y)
접근음/ɻ/



중국의 다난산(Dananshan) 표준 방언의 자음 체계는 백색 몽어 및 몽렝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아래 표는 다난산 방언의 자음 목록이다. (다른 두 방언과의 음소 차이는 표시되어 있다.)

다난산(Dananshan) 묘어 자음 (IPA 표기 / 병음 표기)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무성측면 방출무성마찰음측면 방출무성마찰음
비음무성/m̥/ (hm)(없음)/n̥/ (hn)/ɲ̥/ (hni)
유성/m/ (m)(없음)/n/ (n)/ɲ/ (ni)/ŋ/ (ngg) (추가됨)
파열음/ 파찰음무기음 (병음: 유성자)/p/ (b)(/pˡ/) (bl)/t/ (d)/ts/ (z)(/tˡ/) (dl)/ʈ/ (dr)/tʂ/ (zh)/tɕ/ (j)/k/ (g)/q/ (gh)(/ʔ/) (표기 없음)
유기음 (병음: 무성자)/pʰ/ (p)(/pˡʰ/) (pl)/tʰ/ (t)/tsʰ/ (c)(/tˡʰ/) (tl)/ʈʰ/ (tr)/tʂʰ/ (ch)/tɕʰ/ (q)/kʰ/ (k)/qʰ/ (kh)
유성(없음)
전비음화/ᵐp/ (nb)(/ᵐpˡ/) (nbl)/ⁿt/ (nd)/ⁿts/ (nz)(없음)/ᶯʈ/ (ndr)/ᶯtʂ/ (nzh)/ⁿtɕ/ (nj)/ᵑk/ (ng)/ᶰq/ (ngh)
/ᵐpʰ/ (np)(/ᵐpˡʰ/) (npl)/ⁿtʰ/ (nt)/ⁿtsʰ/ (nc)(없음)/ᶯʈʰ/ (ntr)/ᶯtʂʰ/ (nch)/ⁿtɕʰ/ (nq)/ᵑkʰ/ (nk)/ᶰqʰ/ (nkh)
마찰음무성/f/ (f)/s/ (s)/ɬ/ (hl)/ʂ/ (sh)/ɕ/ (x)/x/ (h)
유성/v/ (v)/l/ (l)/ʐ/ (r)/ʑ/ ~ /ʝ/ (y)(/w/) (외래어)



다난산 방언에서는 기음, 무성 마찰음, 무성 비음, 성문 파열음은 특정 성조(1, 3, 5, 7)에서만 나타난다.

다음은 로마자 대중 알파벳(RPA)에서 사용되는 자음 표기 목록이다. 백색 몽어와 몽렝어 방언 모두에 사용되지만, 일부 표기는 특정 방언에서만 사용된다.

RPA 표기IPA비고
c/c/
ch/cʰ/
d/d/백색 몽어
dh/dʰ/백색 몽어
dl/tˡ/몽렝어
dlh/tɬ/ (/tˡʰ/)몽렝어
f/f/
h/h/
hl/ɬ/
hm/m̥/백색 몽어
hml/m̥ɬ/ (/m̥ˡ/)백색 몽어
hn/n̥/백색 몽어
hny/ɲ̥/백색 몽어
k/k/
kh/kʰ/
l/l/
m/m/
ml/mˡ/
n/n/
nc/ᶮɟ/
nch/ᶮcʰ/
ndl/ⁿdˡ/몽렝어
ndlh/ⁿdɬ/ (/ⁿtɬʰ/)몽렝어
nk/ᵑɡ/
nkh/ᵑkʰ/
np/ᵐb/
nph/ᵐpʰ/
npl/ᵐbˡ/
nplh/ᵐpɬʰ/ (/ᵐpˡʰ/)
nq/ᶰɢ/
nqh/ᶰqʰ/
nr/ᶯɖ/
nrh/ᶯʈʰ/
nt/ⁿd/
nth/ⁿtʰ/
nts/ᶯdʐ/
ntsh/ᶯtʂʰ/
ntx/ⁿdz/
ntxh/ⁿtsʰ/
ny/ɲ/
p/p/
ph/pʰ/
pl/pˡ/
plh/pɬʰ/ (/pˡʰ/)
q/q/
qh/qʰ/
r/ʈ/
rh/ʈʰ/
s/ʂ/
t/t/
th/tʰ/
ts/ʈʂ/
tsh/ʈʂʰ/
tx/ts/
txh/tsʰ/
v/v/
x/s/
xy/ç/ (/ɕ/)
y/ʝ/ (/ʑ/)
z/ʐ/



성문 파열음 /ʔ/은 일반적으로 표기되지 않으며, 모음으로 시작하는 일부 단어에서 드물게 어퍼스트로피(')로 표시되기도 한다.

3. 2. 모음

몽어의 주요 방언으로는 백(白)묘족어 또는 Hmong Der라고도 불리는 댜어(Hmong Daw),[9] 청(靑)/녹(綠)묘족어 또는 Mong Leng이라고도 불리는 몽레어(Mong Leeg),[10] 그리고 표준 중국어 묘족어인 다난산(Dananshan) 방언이 있다.[11] 댜어와 몽레어는 미국 몽족이 사용하는 두 주요 방언으로 서로 이해 가능하지만 어휘와 음운론에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몽레어에는 댜어의 무성 유기 비음 /m̥/가 없고, 세 번째 비음화 모음 /ã/가 있다. 다난산 방언은 고유어에 몇 가지 추가 이중모음과 중국어 차용어가 많으며, 8번째 성조가 있다. 각 방언은 모음 체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다음 표는 댜어(Hmong Daw) 방언(†)과 몽레어(Mong Leeg) 방언(‡)의 모음 체계를 보여준다.[12] 각 방언에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음소는 기호로 표시했다. 표의 첫 줄은 IPA와 몽어 음운 표기, 두 번째 줄은 냐켕푸아추에 표기, 세 번째 줄은 파하우 표기이다.

단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비구개음화비음화비구개음화비음화비구개음화비음화
고모음/i/ ⟨i⟩
𖬂, 𖬃
/ɨ/ ⟨w⟩
𖬘, 𖬙
/u/ ⟨u⟩
𖬆, 𖬇
중모음/e/ ⟨e⟩
𖬈, 𖬉
/ẽ/~/eŋ/ ⟨ee⟩
𖬀, 𖬁
/ɔ/ ⟨o⟩
𖬒, 𖬓
/ɔ̃/~/ɔŋ/ ⟨oo⟩
𖬌, 𖬍
저모음/a/ ⟨a⟩
𖬖, 𖬗
/ã/~/aŋ/ ⟨aa⟩
𖬚, 𖬛
align=center |align="center" |



이중모음
종지 이중모음중심 이중모음
종지 모음이 전설/ai/ ⟨ai⟩
𞄤𞄦, 𞄣
𖬊, 𖬋
/iə/ ⟨ia⟩
𞄦𞄤, 𞄞
𖬔, 𖬕
종지 모음이 중설/aɨ/ ⟨aw⟩
𞄤𞄬, 𞄢
𖬎, 𖬏
종지 모음이 후설/au/ ⟨au⟩
𞄤𞄨, 𞄠
𖬄, 𖬅
/uə/ ⟨ua⟩
𞄧𞄤, 𞄜
𖬐, 𖬑



중국 다난산(Dananshan) 표준어의 모음 체계는 댜어 및 몽레어와 유사하며, 차이점은 아래 표에 색깔로 표시되어 있다.

다난산 묘어 단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비구개음화비음화비구개음화비음화비구개음화비음화
고모음/i/(/ɨ/) (추가됨)/u/
중모음/e//en//o//oŋ/
저모음/a//aŋ/



다난산 묘어 이중모음
종지 이중모음중심 이중모음
종지 모음이 전설/aj/ ⟨ai⟩(없음)
종지 모음이 후설/aw/ ⟨au⟩/wɒ/ ⟨ua⟩
/əw/ ⟨ou⟩
/eβ/ ⟨eu⟩
(추가됨)
align=center |



다난산 방언의 /ɨ/는 비구개음화 파찰음 뒤에만 나타나며, 중국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i'로 표기된다. 구개음화 자음 뒤에서는 /u/가 [y]로 발음된다. /jeβ/ ⟨ieu⟩와 같은 삼중모음도 있으며, /waj/와 같은 중국어 차용어에서 i- 와 u- 로 시작하는 다른 음절열도 있다.

몽어의 음절 구조는 비교적 단순하다. 모든 음절은 두음 자음을 가지며(일부 기능어 제외), 핵은 단모음 또는 이중모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종지 자음으로는 비음만 나타난다. 댜어와 몽레어에서는 비음 종지가 비음화된 모음으로 실현되지만, 약하게 발음되는 [ŋ]이 동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짧은 [ʔ]이 저하강 성문 협착 성조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다난산 방언에는 중국어 차용어에서 음절적인 /l̩/ (⟨l⟩)가 있는데, 예를 들어 'lf' ('둘'), 'lx' ('아이') 등이 있다.

다음은 Golston and Yang (2001)을 바탕으로 한 백묘어(강귀전차방언 제1토어의 한 종류)의 모음 체계이다. 이는 중국에서 표준으로 여기는 대남산 방언과는 약간 다르다.

단모음구강모음 비모음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전설모음후설모음
고모음/i//ɨ//u/  
중모음/e/ /ɔ//ẽ//ɔ̃/
저모음 /a/   



이중모음종결부가 고모음종결부가 중모음
시작부가 전설 고모음/ai//iə/
시작부가 중설 고모음/aɨ/ 
시작부가 후설 고모음/au//uə/


3. 3. 성조

몽어는 성조 언어이며, 방언에 따라 7개 또는 8개의 서로 다른 성조를 사용한다. 백색 몽어(Hmoob Dawb)와 몽렝어(Mong Leeg)는 7개, 다난산어(Dananshan)는 8개의 성조를 가진다. 성조는 음절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색 몽어(Hmoob Dawb) 성조 예시[14]
성조의미몽어/몽 RPA 표기베트남식 몽어 표기몽어 발음
고성조 (High)pobpoz
몽어 pob 발음
중성조 (Mid)비장popo
몽어 po 발음
저성조 (Low)가시pospos
몽어 pos 발음
고하강성조 (High Falling)여성pojpox
몽어 poj 발음
중상승성조 (Mid Rising)던지다povpor
몽어 pov 발음
저성조 폐쇄음 (Low checked, creaky)
(문장 끝: 긴 저상승성조 Low-rising)
보다pompov
몽어 pom 발음
중하강성조 (Breathy)할머니pogpol
몽어 pog 발음



다난산어의 성조는 순수 성조로 표기되지만, 여러 성조가 매우 유사하여 백색 몽어나 몽렝어처럼 숨소리나 삐걱거리는 소리(creaky voice) 같은 음성적 차이도 있을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다난산어의 4번과 6번 성조는 무성 파열음 뒤에서 성문 마찰음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백색 몽어의 'g' 성조(-g)와 유사한 숨소리나 삐걱거리는 소리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7번과 8번 성조는 초기 중국어 차용어에서 입성(과거 중국어의 짧고 막히는 듯한 성조)에 해당하는 단어에 사용된 점으로 미루어, 과거에는 폐쇄음절(받침 소리)을 표시했을 가능성이 있다.

무성 자음 중 무성 파열음을 제외한 자음들은 특정 성조(다난산어 기준 1, 3, 5, 7번) 앞에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다난산 미야오어 성조
성조설명표기
1고하강성조 (43)b
3최고성조 (5)d
5고성조 (4)t
7중성조 (3)k
2중하강성조 (31)x
4저하강성조 (숨소리, 21)l
6저상승성조 (숨소리, 13)s
8중상승성조 (24)f



성조를 통해 많은 정보가 전달되기 때문에, 음악적 멜로디만으로도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과거 젊은 연인들이 서로의 마음을 몰래 전달하기 위해 입금(구금, 口琴)을 연주하여 성조의 높낮이를 모방하는 전통이 있었다.[15]

아래 표는 몽어의 여러 방언 및 표기법에서 성조가 어떻게 대응되는지 보여준다. 중국어 음조 이름(평성, 상성 등)은 초기 중국어 차용어가 각 몽어 성조와 어떻게 연관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몽어 방언별 성조 대응 및 역사적 연관성
음조
종류(Tone
class)
음조
번호(Tone
number)
다난산(Dananshan)
표기(orthog.)
RPA베트남식(Vietnamese)
몽어(Hmong)
백색 몽어(Hmoob Dawb)몽렝어(Mong Leeg)
평(平) 또는 A1bbz
2xjx
상(上) 또는 B3dvr
4lsgs
거(去) 또는 C5t(표시 없음)
6sgl
입(入) 또는 D7kss
8fm ~ dv ~ k



백색 몽어(Hmoob Dawb)에서는 역사적으로 음조 4와 7이 하나로 합쳐졌고, 몽렝어(Mong Leeg)에서는 음조 4와 6이 합쳐졌다.[20]

몽어가 속한 묘어족(Hmong-Mien languages) 내에서도 방언에 따라 성조 체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아래는 주요 묘어 방언의 성조 값을 비교한 표이다.

묘어 주요 방언 성조 값 비교 (5점 척도)
성조 순서성조 기호성조 값
향서(湘西) 방언검동(黔東) 방언천검전(川黔滇) 방언전북(滇東北) 방언
1b35334353
2x31553135
3d44355555
4l33222111
5t53444433
6s42132431
7k44533311
8f33311331


4. 문법

몽어는 분석적 언어이며, 어순은 SVO이다.

4. 1. 명사구

몽어는 분석적 SVO 언어로, 형용사와 지시어가 명사 뒤에 온다.

명사구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괄호)는 선택적 요소를 나타낸다).[21]

(소유격) + (수량사) + (분류사) + 명사 + (형용사) + (지시어)

몽어의 인칭 대명사 체계는 세 가지 문법적 인칭과 세 가지 수 – 단수, 쌍수, 복수 – 를 구분한다. 이들은 격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 즉, "나"와 "나를", "그녀"와 "그녀를" 등을 번역하는 데 같은 단어가 사용된다. 다음은 흰 몽어(Hmong Daw)와 녹색 몽어(Mong Leng)의 인칭 대명사이다.

'''흰 몽어 대명사'''

수:단수쌍수복수
1인칭kuvwbpeb
2인칭kojnebnej
3인칭nwsnkawdlawv



'''녹색 몽어 대명사'''

수:단수쌍수복수
1인칭kuvibpeb
2인칭kojmebmej
3인칭nwgob tugpuab


4. 2. 동사

몽어 동사는 형태 변화, 즉 굴절을 하지 않는다. 이는 몽어가 형태소 대부분이 단음절인 격리어이기 때문이다. 시제, 상, 법, 인칭, 수, 성, 격 등 문법적 기능은 동사 자체의 변화가 아닌 별도의 단어(어휘)를 통해 표현된다.[22]

몽어에서 시제, 상, 법을 나타내는 몇 가지 일반적인 표지어는 다음과 같다.

  • '''진행상''': 동사 앞에 'taab tom'(녹색 몽어) 또는 'tab tom'(백색 몽어)을 붙여 표현한다.
  • 예시 (녹색 몽어): ''Puab taab tom haus dlej.'' (그들은 물을 마시고 있다.)
  • 이 표현은 막 시작하려는 상황을 나타낼 때도 쓰이며, 특히 미실현 표지어 'yuav'와 함께 쓰일 때 그 의미가 명확해진다. 문맥상 진행 또는 시작 의미가 분명할 때는 생략되기도 한다.

  • '''완료상''': 문장이나 절 끝에 'lawm'을 붙여 동작이나 상태의 완료를 나타낸다.
  • 예시 (녹색/백색 몽어): ''Kuv noj mov lawm.'' (나는 밥을 다 먹었다./나는 이미 밥을 먹었다.)
  • 'lawm'은 때로 동작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기도 한다.
  • 예시 (백색 몽어): 소년이 석궁을 얻고 나서 놀러 갔다. (소년은 석궁을 얻었기 때문에 놀러 갔다.)

  • '''완료/달성''': 동사 'tau'(얻다/획득하다)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 주요 동사 앞에 'tau'가 오면('tau' + 동사) 상황의 달성이나 성취를 나타낸다. 시제는 문맥에 따라 결정되며, 과거 사건을 나타낼 경우 영어의 과거 시제처럼 번역될 수 있다.
  • 예시 (백색 몽어): 그들은 소고기를 먹었다. ('tau' + 먹다)
  • 명시적인 과거 표시(예: 'nag hmo' - 어젯밤)가 있으면 'tau'는 생략 가능하다.
  • 미래 상황의 성취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 (백색 몽어): 새해가 되면 모두 새 옷을 입게 된다. ('tau' + 입다)
  • 주요 동사 뒤에 'tau'가 오면(동사 + 'tau') 행동의 목적 달성을 나타낸다.
  • 예시 (녹색 몽어): 나는 그것을 곰곰이 생각하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생각하다 + 'tau')
  • 'tau'는 연쇄 동사 구문에서도 흔히 쓰여 성취의 의미를 더한다. (예: 백색 몽어 'nrhiav tau' - 찾아내다, 'caum tau' - 따라잡다, 'yug tau' - 낳다)

  • '''미래 시제 / 미실현법''': 동사 앞에 'yuav'를 사용하여 미래 시제나 미실현(irrealis) 상황을 나타낸다.
  • Kuv yuav moog. (나는 갈 것이다.)
  • 예시 (몽어): ''Kuv yuav moog.'' (나는 갈 것이다.)
  • 'yuav'는 아직 실현되지 않았거나 가정적인 상황(과거, 현재, 미래 모두 포함)을 나타내는 미실현법 표지로도 분석된다.
  • 예시 (백색 몽어 민담): ''Tus Tsov hais tias, "Kuv tshaib tshaib plab li kuv yuav noj koj".'' (호랑이가 말했다, "나는 너무 배가 고파서 너를 먹을 것이다.")
  • 예시: ''Tus Qav tsis paub yuav ua li cas li.'' (개구리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


또한 몽어에서는 동사를 연달아 사용하는 연쇄 동사 구문이 흔하다. 하나의 절 안에서 두 개 이상의 동사가 같은 주어를 공유하며 이어질 수 있으며, 때로는 다섯 개까지 연결되기도 한다.

  • 예시 (백색 몽어): ''Yam zoo tshaj plaws, nej yuav tsum '''mus''', '''nrhiav''', '''nug''', '''xyuas''', '''saib''' luag muaj kev pab hom dab_tsi nyob ncig ib cheeb_tsam ntawm nej.''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분의 이웃을 '''탐험하고''', '''찾아보고''', '''묻고''', '''조사하고''', '''살펴보아''' 어떤 서비스가 이용 가능한지 알아내는 것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가다', '찾다', '묻다', '조사하다', '보다'의 다섯 동사가 연쇄적으로 사용되었다.

5. 어휘

몽어 어휘는 여러 출처에서 유래한다. 고유한 몽어 어휘 외에도 중국어 차용어, 티베트-버마어족 언어 차용어가 존재한다. 또한 중국 외 지역에 거주하는 몽족 공동체는 해당 국가의 언어, 예를 들어 태국어라오어, 영어 등에서 추가적인 어휘를 차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5. 1. 색깔

몽어에서 '색깔'을 뜻하는 고유어는 kobmww이지만, 많은 몽족과 몽어 학습자들은 태국어라오어에서 차용한 ximmww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Liab yog xim ntawm kev phom sijmww라는 문장은 "빨간색은 위험의 색깔이다" 또는 "빨간 색깔은 위험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아래는 몽다오(백몽)와 몽리그(녹몽) 방언에서 사용되는 주요 색깔 용어 목록이다.

색깔몽다오/몽리그 표기 (로만자)파하우몽 문자
빨강liabmww / labmww𖬔𖬞 / 𖬖𖬲𖬞
초록ntsuabmww𖬐𖬶𖬝
보라tsam xemmww𖬖𖬝𖬰 𖬈𖬮
검정dubmww / dlubmww𖬆𖬰𖬞𖬰 / 𖬆𖬰𖬭𖬰
파랑xiavmww / xavmww𖬔𖬲𖬮 / 𖬗𖬮
흰색dawbmww / dlawbmww𖬎𖬞𖬰 / 𖬎𖬭𖬰
갈색avmww / kas fesmww𖬗𖬮𖬰 / 𖬗𖬲 𖬉𖬲𖬜𖬵
노랑dajmww𖬖𖬰𖬞𖬰
회색txhomww𖬓𖬰𖬦𖬰
주황kab ntxwvmww / kaab ntxwvmww𖬖𖬲 𖬙𖬢𖬰 / 𖬚𖬲 𖬙𖬢𖬰
분홍paj yeebmww / paaj yeebmww𖬖𖬰𖬪𖬵 𖬀𖬶𖬤 / 𖬚𖬰𖬪𖬵 𖬀𖬰𖬤



몽어의 색깔 용어 중 일부는 dubmww('검정'), dawbmww('흰색'), liabmww('빨강')처럼 원시 몽몐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유 어휘이다. 반면, dajmww('노랑')과 같은 단어는 매우 초기에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다른 색깔 용어들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신조어에 해당한다.

5. 2. 숫자

숫자몽어 숫자파하우 몽어몽어 RPA몽어 차용어파하우 기호
0Ntxaiv쏨 (태국어/라오어에서 온 용어)(일의 자리)
1Ib
2Ob
3Peb
4Plaub
5Tsib
6Rau
7Xya
8Yim
9Cuaj
10Kaum(십의 자리)
11Kaum ib
20Nees nkaum
21Nees nkaum ib
30Peb caug
31Peb caug ib
40Plaub caug
41Plaub caug ib
50Tsib caug
51Tsib caug ib
60Rau caum
61Rau caum ib
70Xya caum
71Xya caum ib
80Yim caum
81Yim caum ib
90Cuaj caum
91Cuaj caum ib
100Ib puas(백의 자리)
1,000Ib txhiabIb phav (태국어/라오어 단어)(천의 자리)
10,000Kaum txhiabKaum phav (태국어/라오어 단어)(만)
100,000Ib puas txhiabIb puas phav (태국어/라오어 단어)(십만)
1,000,000Ib roobIb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백만)
10,000,000Kaum roobKaum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천만)
100,000,000Ib puas roobIb puas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억)
1,000,000,000Ib kemIb phav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십억)
10,000,000,000Kaum kemKaum phav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백억)
100,000,000,000Ib puas kemIb puas phav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천억)
1,000,000,000,000Ib tasIb lab lab (태국어/라오어 단어)(조)



57023은 𖭕𖭗𖭐𖭒𖭓로 쓴다.

5. 3. 요일

요일파항 몽어몽어 RPA태국어/라오어 차용어
일요일𖬘𖬲𖬥𖬰 𖬆𖬰𖬩Zwj hnubVas thiv
월요일𖬘𖬲𖬥𖬰 𖬃𖬥Zwj hliVas cas
화요일𖬘𖬲𖬥𖬰 𖬑𖬶𖬦𖬵Zwj quagVas as qhas
수요일𖬘𖬲𖬥𖬰 𖬀𖬶𖬜𖬵Zwj feebVas phuv
목요일𖬘𖬲𖬥𖬰 𖬀𖬶𖬧𖬵Zwj teebVas phab hav
금요일𖬘𖬲𖬥𖬰 𖬐𖬶Zwj kuabVas xuv
토요일𖬘𖬲𖬥𖬰 𖬗𖬶𖬯Zwj cagVas xom ~ Vas xaum[23]



차용어나 직역어를 사용하지 않고 "오늘은 월요일입니다"와 같은 문장을 몽어로 표현하면 Hnub no yog zwj hli가 되며, Hnub no yog hnub ib/Monday와 같이 표현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영어권 국가의 몽어 사용자들은 때때로 요일에 대해 태국어/라오어 차용어나 영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몽 렁(Hmong Leng) 방언의 ua ntej nub Saturday는 '토요일 전'을 의미한다.

5. 4. 월

몽어는 각 월을 나타내는 고유한 표현을 가지고 있으며, 공식적인 파하우 몽 문자 표기와 로마자 표기법 (RPA) 표기가 있다. 또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비공식적인 표현도 존재한다.

월 ! 파하우 몽어(공식) ! 몽어 RPA ! 비공식
1월𖬀𖬰𖬤 𖬀𖬶𖬯Yeej ceeb[Lub] Ib hlis
2월𖬆𖬰 𖬀𖬶𖬮Kub xeeb[Lub] Ob hlis
3월𖬖𖬰𖬤 𖬔𖬲Yaj kiav[Lub] Peb hlis
4월𖬀 𖬒𖬯Keem com[Lub] Plaub hlis
5월𖬆𖬰 𖬆𖬶𖬬Kub nuj[Lub] Tsib hlis
6월𖬒𖬶𖬧𖬵 𖬔𖬶𖬞Tov liaj[Lub] Rau hlis
7월𖬐𖬰𖬟 𖬀𖬶𖬮Huaj xeeb[Lub] Xya hlis
8월𖬀𖬶𖬯 𖬑𖬯Ceeb cua[Lub] Yim hlis
9월𖬔𖬝𖬰 𖬆𖬰 𖬀𖬰𖬞Tsiab kub leej[Lub] Cuaj hlis
10월𖬀𖬪𖬵 𖬋𖬰𖬪𖬰Peem tshais[Lub] Kaum hlis
11월𖬌𖬲𖬞 𖬀𖬲 𖬀𖬦𖬰Looj keev txheem[Lub] Kaum ib hlis
12월𖬑𖬶𖬨𖬵 𖬎𖬯Npuag cawb[Lub] Kaum ob hlis


6. 표기법

20세기 초까지 몽어에는 고유한 문자가 없었다. 고대에 문자가 있었다는 전설이 전해지지만, 이를 실증할 증거는 없다. 2014년 후난성 샤오양시 청푸 미야오족 자치현에서 발견된 석각 문자가 고대 몽어 문자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51], 아직 해독되지 않았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몽어를 표기하기 위한 여러 체계가 개발되었다. 기독교 선교사 사무엘 폴라드는 폴라드 문자를 발명하여 일부 방언(A-Hmao어) 사용자들에게 보급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선교사 모리스 허튼은 1920년대에 주음부호를 이용해 다른 방언(Hmu어)을 표기하려 했으나[52]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이후 라오스 북부의 선교사들이 개발한 라틴 문자 기반의 RPA 표기는 중국 외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슝 루 양이 고안한 파하우 흐몽 문자도 라오스에서 일부 사용된다. 한편,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1957년 병음과 유사한 라틴 문자 표기법을 발표했으나 보급에 성공하지는 못했다.

6. 1. 로마자 대중 알파벳 (RPA)



20세기 초까지 몽어에는 고유한 문자가 없었다. 전설상 고대 문자가 있었다고 전해지나 실증할 수는 없다.[51] 20세기에 들어 기독교 선교사 사무엘 폴라드가 개발한 폴라드 문자나 주음부호를 활용한 표기 시도[52] 등이 있었지만,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50년대 라오스 북부의 기독교 선교사들이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로마자 대중 알파벳(RPA 표기, Romanized Popular Alphabet, RPA)을 개발했다. 이 표기법은 중국 외부의 몽족 사회를 중심으로 보급되었다.

RPA 외에도 슝 루 양이 고안한 파하우 흐몽 문자가 라오스 내 일부 지지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며,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병음 기반의 라틴 문자 표기법을 발표하기도 했으나 널리 쓰이지는 않았다.

6. 2. 중국 내 표기법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병음과 유사한 라틴 문자를 사용한 표기법을 "방언"별로 4가지 발표했으나,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다.

7. 사용 현황

몽어는 주로 중국, 베트남, 라오스, 태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과 미국 등지에 분포하여 사용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상당수의 인구가 몽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1. 미국 내 사용 현황

몽어는 미국, 특히 미네소타주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몽족은 인도차이나 공산화 이후인 1975년 말 미네소타주에 처음 도착했다. 지도력 경험과 영어 구사 능력을 갖춘 많은 몽족 엘리트들이 미네소타 주민들에게 먼저 환영받았다. 이러한 엘리트들은 난민들을 위한 사회 서비스를 강화하여 다른 몽족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도록 유도하는 데 기여했다. 첫 몽족 가족은 1975년 11월 5일에 미네소타주에 도착했다.[24]

미네소타 대학교 아시아 및 중동 연구 학과의 몽어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언어 인증 몽어 수업을 제공한 최초의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25]

7. 2. 번역

2012년 2월, 마이크로소프트는 빙 번역기에 '몽어 다오'를 선택지로 추가했다.[26] 이어서 2013년 5월에는 구글 번역이 몽어 다오(단순히 '몽어'로 표기) 지원을 시작했다.[27]

간호학 연구에 따르면, 영어를 몽어로 번역할 때는 몽어가 구전 전통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동일한 개념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립선'에 해당하는 단어나 개념이 몽어에는 없다.[28]

8. 대중문화 속 몽어

클린트 이스트우드(Clint Eastwood)가 감독한 2008년 영화 그랜 토리노(Gran Torino)는 미국의 몽족 배우들이 많이 출연한 작품이다.[37][38] 영화의 대본은 영어로 쓰였지만, 배우들은 몽어 대사를 즉흥적으로 연기했다. 몽족 배우를 캐스팅한 것은 몽족 사회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9]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American Film Institute)가 선정한 2008년 최고의 영화 10편에 들었으며, 프랑스 세자르 영화제(César Awards)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40][41]

다음 영화들에서도 몽어가 사용되었다.


  • 2008년 – 그랜 토리노 (Gran Torino):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빌 거버, 로버트 로렌즈 제작. 최근 아내와 사별한 한국 전쟁 참전 용사 월트 코왈스키는 가족과 멀어지고 세상에 대한 불만을 품고 살아간다. 그의 이웃인 어린 소년 타오 방 로어는 사촌의 강요로 갱단에 가입하기 위해 월트가 아끼는 1972년형 포드 토리노를 훔치려 한다. 월트는 이를 막게 되고, 이후 타오와 그의 가족과 관계를 맺게 된다.
  • 2011년 – 달콤씁쓸한 눈물 (Kua Muag Iab: 켈리 방 & 맨디 시옹 감독, 켈리 방 각본. 가오마오(제니 로어)와 봉(벵 항) 사이의 복수심과 사랑을 그린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봉은 충 예(빌리 양)의 외아들이다. 모든 것을 잃은 가오마오는 자신의 불행이 충 예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복수를 다짐한다. 가오마오는 자신의 감정을 극복하고 복수에 성공할 수 있을까?
  • 2016년 – 1985: 강 방 감독 및 각본. 모험심 강한 몽족 십대 소년이 신화 속 용으로 가는 비밀 지도를 발견하고, 세 명의 친구들과 함께 위험과 흥분, 자아 발견으로 가득한 여정을 떠나기로 결심하는 이야기이다.

참조

[1] 서적 Meaningful Tone: A Study of Tonal Morphology in Compounds, Form Classes, and Expressive Phrases in White Hmong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 서적 Serial Verbs in White Hmong https://books.google[...] Brill
[3] 간행물 The Asian Population: 201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3-03-20
[4] 일반
[5] 웹사이트 2007-188 - ISO 639-3 http://www.sil.org/i[...]
[6] 웹사이트 Chapter 2. Overview of Lao Hmong Culture https://web.archive.[...] 2013-05-05
[7] 일반
[8] 웹사이트 ISO 639-3 New Code Request http://www.sil.org/i[...] 2018-09-30
[9] 서적 Proceedings of HILP 5 http://zimmer.csufre[...] University of Potsdam
[10] 서적 Mother of Writing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10-29
[11] 서적 苗语简志 民族出版社
[12] 웹사이트 Hmong Dictionary - Dictionary Hmong http://www.hmongdict[...]
[13] 일반
[14] 서적 White Hmong–English Dictionary [White Meo-English Dictionary] Cornell Southeast Asia Program Publications
[15] 웹사이트 The beautiful languages of the people who talk like birds https://www.bbc.com/[...] 2020-03-25
[16] 서적 The spirit catches you and you fall down: a Hmong child, her American doctors, and the collision of two cultures Farrar, Straus and Giroux 1998
[17] 논문 Ethnicity, Reciprocity, Reputation and Punishment: An Ethnoexperimental Study of Cooperation among the Chaldeans and Hmong of Detroit (Michiga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8] 웹사이트 L2/17-002R3: Proposal to encode the Nyiakeng Puachue Hmong script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7-02-15
[19] 웹사이트 Hmong Language online encyclopedia http://www.hmonglang[...]
[20] 일반
[21] 학술지 Hmong–Mien demonstratives and pattern persistence https://web.archive.[...] 2012-02-18
[22] 서적 White Hmong Grammar
[23] 웹사이트 World Loanword Database (WOLD): hnub vas xaum https://wold.clld.or[...]
[24] 웹사이트 Hmong and Hmong Americans in Minnesota https://www.mnopedia[...] 2023-07-02
[25] 웹사이트 Hmong https://cla.umn.edu/[...]
[26] 웹사이트 Microsoft Translator celebrates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with the release of Hmong https://www.microsof[...] 2012-02-21
[27]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adds five more languages to its repertoire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3-05-08
[28] 서적 Hmong and Chines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Questions: Assumptions and Implications of Applying the Survey Back Translation Method (Chapter 9) in The Essential Role of Language in Survey Research https://www.rti.org/[...] RTI Press 2020-04-30
[29] 웹사이트 https://www.omniglot[...]
[30] 웹사이트 https://www.omniglot[...]
[31] 웹사이트 https://www.omniglot[...]
[32] 웹사이트 https://www.omniglot[...]
[33]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34] 웹사이트 Pahawh Hmong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omniglot.com[...]
[35] 웹사이트 Die geschichte der verlorenen schrift https://www.frobeniu[...]
[36] 웹사이트 세계의 문자들 http://podor.egloos.[...] 2020-12-28
[37] 웹사이트 Gran Torino movie review and film summary (2008) Roger Ebert https://www.rogerebe[...] 2022-09-15
[38] 웹사이트 Hmong get a mixed debut in new Eastwood film https://www.mprnews.[...] 2008-12-19
[39] 웹사이트 Rutgers scholar sheds light on 'Gran Torino' ethnic stars http://www.nj.com/en[...] The Star-Ledger 2009-01-15
[40] 웹사이트 Prison drama A Prophet sweeps French Oscars http://news.bbc.co.u[...] 2010-03-01
[41] 웹사이트 AFI Awards 2008 http://www.afi.com/t[...] American Film Institute 2008-12-16
[42] 웹사이트 Hmong https://www.ethnolog[...] 2024-11-09
[43] 논문 The Hmong-Mien Languages https://dr.ntu.edu.s[...] 2024-11-09
[44] 서적 タイ族が語る歴史 雄山閣
[45] 서적 言語学大辞典
[46] 웹사이트 Hmong http://www.lmp.ucla.[...]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47] 웹사이트 Language Use in the United States: 2011 http://www.census.go[...] 미국合衆国国勢調査局
[48]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Hmong American Community 2013 http://www.hndinc.or[...] Hmong National Development, Inc.
[49] 웹사이트 Minnesotans speak more than 100 languages at home, new data finds https://www.minnpost[...] MinnPost 2015-11-05
[50] 서적 中国の諸言語 大修館書店
[51] 웹사이트 城步苗文石刻遗址:改写苗族没有文字的历史定论 http://sxdsb.voc.com[...] 三湘都市报 2015-03-01
[52] 서적 (정보 부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