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웨어는 가나 남부, 토고, 베냉, 서부 나이지리아 등지에서 사용되는 Gbe 언어의 방언 클러스터이다. 에웨어 방언에는 Aŋlɔ, Tɔŋu, 아베노르 등이 있으며, Waci와 Kpesi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음운론적으로는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성조 언어로서 고조, 중조, 저조의 세 가지 평성조와 굴곡성조가 존재한다. 에웨어는 SVO형 언어이며, 인식자 대명사를 사용하고 연속 동사 구문이 발달했다. 에웨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며, 출생 요일에 따라 이름을 짓는 독특한 명명 체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고의 언어 - 요루바어
요루바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 구비 및 기록 문학,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 토고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가나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나의 언어 - 하우사어
하우사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북부, 니제르, 수단, 카메룬 등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보코와 아랍 문자 기반의 아자미 두 가지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성조 언어로서 복잡한 명사 복수형과 시제, 상, 법에 따라 변하는 주어 대명사 체계를 갖는다. - 볼타콩고어군 - 요루바어
요루바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 구비 및 기록 문학,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볼타콩고어군 - 아칸어
가나, 코트디부아르, 베냉 등 서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칸어는 아칸어군에 속하며 아브론어, 판티어, 트위어(아산테, 아콰핌 방언), 춤부리어, 와사어 등으로 나뉜다.
에웨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에웨어 |
원어 이름 | Èʋegbe |
사용 국가 | 가나, 토고, 베냉 |
사용 지역 | 볼타강 동쪽 가나 남부 |
사용자 | 에웨족 |
언어 사용자 수 | 5,026,230명 (2013–2019년) |
언어 분류 | |
어족 | 니제르-콩고어족 |
어파 | 대서양-콩고어파 |
어군 | 볼타-콩고어군 |
하위 어군 | 볼타-니제르어군 |
언어군 | 그베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라틴 문자 (에웨 알파벳) |
점자 | 에웨 점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ee |
ISO 639-2 | ewe |
ISO 639-3 | ewe |
ISO 639-3 (세부) | lc1: wci ld1: 와치어 lc2: kef ld2: 케페시어 |
Glottolog | ewee1241 |
Glottolog (세부) | glotto2: kpes1238 glottoname2: 케페시 glotto3: waci1239 glottoname3: 와치 그베 |
ELP | 5078 |
ELP 이름 | 케페시 |
지도 정보 | |
![]() | |
기타 정보 | |
에웨족 | Eʋeawó |
에웨 땅 | Eʋenyígbá |
에웨 사람 | Eʋe |
방언 | 와치어 케페시 |
2. 방언
일반적으로 쓰이는 에웨어('Vhe') 방언에는 ''아베노르, 아가베족, 에베도메, 아울란, Gbín, 페키, Kpándo, Vhlin, Hó, Avɛ́no, Vo, Kpelen, Vɛ́, Danyi, Agu, Fodome, Wancé, Wací, Adángbe'' (Capo)가 있다.[2]
에스놀로그 16판에서는 Waci와 Kpesi (Kpessi)를 별개의 언어로 간주할 만큼 충분히 다르다고 보았다. 이들은 에웨어와 겐 (Mina)과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85%의 상호 이해도를 가진다.[2] 에웨어 변종인 Gbin, Ho, Kpelen, Kpesi, Vhlin은 에웨어와 겐 사이의 서부 Gbe 방언의 세 번째 클러스터로 간주될 수 있지만, Kpesi는 해당 시나리오에서 에웨어에 남아 있는 Waci 및 Vo 방언과 더 가깝거나 비슷하다. Waci는 지리적으로 에웨어와 겐 사이에 위치한다. Kpesi는 Kabye 지역에 Gbe 섬을 형성한다.
에웨어는 Gbe 언어의 방언 클러스터 자체이며, 여기에는 겐, Aja, Xwla 등이 포함되며 가나 남부 지역에서 토고, 베냉 및 서부 나이지리아까지 사용된다. 모든 Gbe 언어는 서로 적어도 어느 정도의 상호 이해도를 공유한다. 에웨어의 일부 해안 및 남부 방언에는 Aŋlɔ, 통구(Tɔŋu), 아베노르, Dzodze, Watsyi 등이 있다. 에웨도메게로 토착적으로 특징지어지는 일부 내륙 방언에는 호, Kpedze, 호호에, 페키, Kpando, Aveme, Liati, Fódome, Danyi, Kpele 등이 있다. 많은 분류가 있지만, 불과 몇 마일 떨어진 마을들 사이에도 뚜렷한 차이가 존재한다.
에웨어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
- 호 (ewe-hoo)
- 블린 (ewe-vli)
- 빈 (ewe-gbi)
- 후두 (ewe-hud)
- 베 (ewe-bee)
- 클렌 (ewe-kpe)
- 토고 (ewe-tog)
- 아단 (ewe-ada)
- 앙글로 (ewe-ang)
- 코타포아 (ewe-kot)
- 아베노 (ewe-ave)
- 아우나 (ewe-awu)
- 보 (ewe-voo)
- 아구 (ewe-agu)
3. 음운론
에웨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 모음, 성조로 구성된다.
에웨어는 와 , 와 가 대립하는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순치 마찰음 와 는 보통의 언어에서보다 강한 마찰을 동반한 , 로 발음되며 윗입술이 눈에 띄게 들어올려져, 보다 약한 , 와 구별된다.[14]
은 다른 자음과 함께 자음군을 이룰 수 있으며, 설정음 앞에서는 (또는 )가 된다.
페키 방언에는 가 없다. 많은 방언은 전설 중모음 음소 중 하나가 없고, 가나의 일부 방언은 와 음소가 추가로 있다.
에웨어에는 성절 비음 가 있는데, 그 발음은 뒤따르는 자음에 의해 결정되며 성조를 받는다.
에웨어 문자 표는 다음과 같다.
A a | B b | D d | style="width:3.5em; text-align:center; padding: 3px;" | | Dz dz | E e | style="width:3.5em; text-align:center; padding: 3px;" | | F f |
---|---|---|---|---|---|---|---|
/a/ | /b/ | /d/ | /ɖ/ | /d͡z/ | /e/ | /ɛ/ | /f/ |
G g | Gb gb | H h | I i | K k | Kp kp | ||
/ɸ/ | /ɡ/ | /ɡ͡b/ | /ɣ/ | /h/ | /i/ | /k/ | /k͡p/ |
L l | M m | N n | Ny ny | Ŋ ŋ | O o | P p | |
/l/ | /m/ | /n/ | /ɲ/ | /ŋ/ | /o/ | /ɔ/ | /p/ |
R r | S s | T t | Ts ts | U u | V v | W w | |
/l/ | /s/ | /t/ | /t͡s/ | /u/ | /v/ | /β/ | /w/ |
X x | Y y | Z z | |||||
/x/ | /j/ | /z/ |
3. 1. 자음
''H''는 유성 마찰음으로, 구개수음( ), 인두음( ), 또는 성문음( )이라고 한다.[14]
비음()은 비모음 앞에만 나타나므로 변별적이지 않다. 따라서 에웨어에는 비음이 없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비음 이 기저형이고 구강모음 앞에서 탈비음화한다고 분석할 수도 있다.
는 비원순(비후설) 모음 앞에 나타나고 는 원순(후설) 모음 앞에 나타난다.
에웨어는 와 , 와 가 대립하는 것으로 알려진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순치 마찰음 와 는 보통의 언어에서보다 강한 마찰을 동반한 , 로 발음되며 윗입술이 눈에 띄게 들어올려져, 보다 약한 , 와 구별된다.[14]
은 다른 자음과 함께 자음군을 이룰 수 있다. 설정음 앞에서는 (또는 )가 된다.
3. 2. 모음
전설 | 후설 | |
---|---|---|
고모음 | i|이und, ĩ|잉und | u|우und, ũ|웅und |
중고모음 | e|에und, ẽ|엥und | o|오und, õ|옹und |
중저모음 | ɛ|에und, ɛ̃|엥und | ɔ|오und, ɔ̃|옹und |
저모음 | a|아und, ã|앙und |
에웨어의 모음 체계는 위와 같다. 페키 방언에는 õ|옹und가 없다. 많은 방언에는 전설 중모음 음소 중 하나가 없고, 가나의 일부 방언에는 ə|어und, ə̃|엉und 음소가 추가로 있다.
에웨어는 자음에서 비음과 구강음의 대립이 없다. 또 에웨어에는 성절 비음 [m ~ n ~ ŋ]|([음 ~ 은 ~ 응])und가 있는데, 그 발음은 뒤따르는 자음에 의해 결정되며 성조를 받는다.
3. 3. 성조
에웨어는 성조 언어이다. 예를 들어 다음 세 단어는 성조로만 구별된다.- tó ‘산’ (고조)
- tǒ ‘회반죽’ (상승조)
- tò ‘물소’ (저조)
음성적으로는 고조·중조·저조의 세 가지 평성조와 세 가지 굴곡성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방언에서 음운적으로는 고조와 중조의 두 가지 평성조만이 존재하며 유성 장애음 뒤에서는 고조가 중조(또는 상승조)로 낮아지고 중조가 저조로 낮아진다. 또 중조는 절이나 발화의 끝에서도 저조로 발음된다.
성조는 양음 부호, 억음 부호, 곡절 부호, 반대 곡절 부호로 나타낸다. 이 부호들은 비모음을 나타내는 물결표와 함께 쓰이기도 한다.[15]
4. 정서법
에웨어는 로마자와 국제 음성 기호를 섞어 놓은 듯한 아프리카 참조 알파벳을 사용한다.[15]
A a | B b | D d | Ɖ ɖ | Dz dz | E e | Ɛ ɛ | F f | Ƒ ƒ | G g | Gb gb | Ɣ ɣ |
---|---|---|---|---|---|---|---|---|---|---|---|
H h | I i | K k | Kp kp | L l | M m | N n | Ny ny | Ŋ ŋ | O o | Ɔ ɔ | P p |
R r | S s | T t | Ts ts | U u | V v | Ʋ ʋ | W w | X x | Y y | Z z | |
colspan="2" | |
모음 글자 뒤에 ‘n’을 써서 비모음을 나타낸다. 성조는 혼동의 여지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표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인칭 복수 대명사 ''mí''는 2인칭 복수 대명사 ''mi''와 구별하기 위해 고조로 나타내고, 2인칭 단수 대명사 ''wò''는 3인칭 복수 대명사 ''wó''와 구별하기 위해 저조로 나타낸다.
- ekpɔ wò — '그가 너를 보았다'
- ekpɔ wo — '그가 그들을 보았다'
5. 문법
에웨어는 SVO형 언어이다.[16] 소유자는 피소유자에 선행한다.[17] 형용사, 수사, 지시사, 관계절은 핵어 명사보다 뒤에 나온다. 에웨어는 전치사가 아닌 후치사를 사용한다.[18]
에웨어는 인식자 대명사(logophoric pronoun)를 지닌 것으로 유명하다. 인식자 대명사는 간접인용문에서 발화나 생각의 주체를 가리키는 데 쓰이며, 영어 등의 언어에서라면 중의적이 될 문장의 뜻을 분명하게 해 준다. 다음 예문에서 두 번째 문장의 yè가 인식자 대명사이다.
- Kofi be e-dzo '코피는 그가 떠났다고 말했다' (그 ≠ 코피)
- Kofi be yè-dzo '코피는 그가 떠났다고 말했다' (그 = 코피)
에웨어에는 연속 동사 구문이 풍부하게 발달하였다.
Warburton (외 1968)에 따르면 시제가 있다고 하지만,[8] 대부분의 언어학자들은 에웨어를 "상(aspect) 중심 언어"라고 언급했다.[9][10][11]
6. 명명 체계
에웨족은 아이가 태어난 요일에 따라 이름을 짓는 독특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아이의 진정한 이름은 아이가 성격을 드러낸 후에야 결정될 수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아이에게는 출생 요일에 따른 임시 이름이 주어지고, 출생 7일 후 열리는 명명식에서 최종 이름이 결정된다.[1]
1970년대 이후, 많은 교육받은 에웨족들은 서구식 이름을 버리고 자신의 유산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생일 이름을 공식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1]
에웨족의 생일 이름은 다음과 같다.[1]
요일 | 남자 이름 | 여자 이름 |
---|---|---|
월요일 | Kɔdzo, Kwadzo (Kojo) | Adzo, Adzowɔ |
화요일 | Kɔmla, Kɔbla, Kwabla | Abra, Abla, Brã |
수요일 | Kɔku, Kwaku, Awuku | Aku, Akuwɔ |
목요일 | Yao, Yaw, Ayao, Kwawu | Yawa, Awo, Yaa |
금요일 | Kofi | Afua, Afi, Afiwa, Afiwɔ |
토요일 | Kɔmi, Kwami | Ama, Ami |
일요일 | Kɔsi, Kwasi | Akɔsia, Akɔsua, Esi, Awusi |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일 이름으로 불리며, 공식 문서에서만 주어진 이름이 사용된다. 같은 생일 이름을 가진 아이들은 접미사로 구분되는데, -gã는 '큰', -vi는 '작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먼저 태어난 Kofi는 Kofigã가 되고, 새로 태어난 Kofi는 Kofi가 된다. Wedome와 Tɔngu 에웨족 사이에서는 Kofivi 또는 Kofitse와 같은 접미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때로는 재명명이 두 번 일어나기도 한다.[1]
7. 사회적 사용
에웨어에는 "제발"을 뜻하는 meɖekuku|메제쿠쿠ewe와 "감사합니다"를 뜻하는 akpe|아크페ewe와 같은 공손함을 나타내는 표현이 있다.[5]
8. 사용 현황
에웨어는 토고와 가나의 국어이다.
9. 문학
학자들은 샘 J. 오비아님의 ''Amegbetoa alo Agbezuge fe nutinya''를 에웨어로 쓰인 최초의 소설로 꼽았다.[12]
참조
[1]
서적
Ewe Baisc Course
https://eric.ed.gov/[...]
African Studies Program, Indiana University
1968
[2]
간행물
Les états-nations face à l'intégration régionale en Afrique de l'ouest
2009
[3]
문서
[4]
서적
Nuseline's Ewe-English Dictionary
Independently published
[5]
웹사이트
Useful Ewe phrases
http://www.omniglot.[...]
2015-06-27
[6]
간행물
Ewe: Its Grammatical Constructions and Illocutionary Devic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Sydney
1991
[7]
간행물
A study of the Ewe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30
[8]
서적
Ewe Baisc Course
https://eric.ed.gov/[...]
African Studies Program, Indiana University
1968
[9]
서적
The expression of epistemic modality in Ewe
Africana Linguistica
2012
[10]
서적
Ewe
[11]
서적
Aspect and modality in Ewe: a survey
[12]
서적
L'effet roman: Arrivée du roman dans les langues d'Afrique
Editions L'Harmattan
[13]
웹사이트
Ewe
https://www.ethnolog[...]
[14]
문서
[15]
서적
Nuseline's Ewe-English Dictionary
Self published
[16]
간행물
Ewe: Its Grammatical Constructions and Illocutionary Devic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Sydney
1991
[17]
간행물
A study of the Ewe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30
[18]
간행물
Ewe Basic Course
Indiana University-African Studies Program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