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 연구개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 연구개음은 연구개음과 양순음의 이중 조음으로 발음되는 자음으로,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k͡p]과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ɡ͡b], 양순 연구개 비음 [ŋ͡m] 등이 있다.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 뉴기니 동쪽 끝 지역의 언어에서 주로 나타나며, 코트디부아르의 로랑 그바그보 전 대통령의 이름과 같은 예시가 있다. 일부 언어에서는 순음화된 양순 연구개음과 연구개 순음 흡착음이 존재하며, 베트남어에서는 단어 끝에서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양순 연구개음 | |
---|---|
음성학적 정보 | |
조음 방법 | 양순성과 연구개성을 동시에 가짐 |
조음 위치 | 양순음과 연구개음 |
발성 | 무성 또는 유성 |
해당 기호 | k͡p, g͡b (IPA) |
사용례 | 아프리카 언어에서 주로 나타남 |
특징 | |
조음 | 혀의 뒷부분이 연구개에 닿음과 동시에 입술이 닫혀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짐. |
분포 | 서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및 뉴기니에서 발견됨 |
예시 (국제음성기호) | |
[k͡p] | /k͡p/ (예: 일부 아프리카 언어) |
[ɡ͡b] | /ɡ͡b/ (예: 에웨어) |
[ŋ͡m] | /ŋ͡m/ |
출현 빈도 | |
희귀성 | 일반적인 자음은 아님. |
분포 지역 | 주로 아프리카와 뉴기니에서 발견됨. |
2. 양순 연구개 파열음
진정한 이중 조음 양순 연구개음에는 파열음 [k͡p, ɡ͡b], 비음 [ŋ͡m], 내파음 [ɠ͜ɓ] 등이 있다. 이 소리들을 발음하려면 연구개음을 먼저 발음하려는 시도를 하고, 그 후 양순 성분을 위해 입술을 닫았다가 떼어야 한다. 폐쇄의 90%가 겹치지만, 연구개음의 시작은 양순음의 시작보다 약간 앞서고, 양순음의 해제는 연구개음의 해제보다 약간 늦다. 그래서 앞선 모음은 연구개음에 이어지는 것처럼 들리고, 뒤따르는 모음은 양순음에 선행되는 것처럼 들린다. [k͡p]와 [ɡ͡b]의 문자 순서는 이러한 소리의 음성학적 세부 사항에 의해 결정된다.
양순 연구개음은 서아프리카와 중앙 아프리카 대부분의 언어(예: 코트디부아르의 전 대통령 로랑 그바그보의 이름), 뉴기니 동쪽 끝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콩고 민주 공화국의 레세어에서는 드문 내파음 [ɠ͜ɓ]이 발견된다.[3][4] 누수어의 아두 방언에는 유기음화된 버전인 [k͡pʰ, k͡p, ɡ͡b, ᵑɡ͡b, ŋ͡m]이 존재한다.[5] 파푸아뉴기니 로셀 섬의 옐레어에는 양순-연구개음과 양순-치경음이 모두 존재한다. 베트남어에서는 양순-연구개 파열음과 비음이 단어 끝에서만 나타난다.
변이음 양순-연구개음은 베트남어에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일반 연구개 자음 [k] 및 [ŋ]의 변형이다.
2. 1. 양순 연구개 파열음의 예시
IPA | 설명 | 예시 | |||
---|---|---|---|---|---|
언어 | 정자법 | IPA | 의미 | ||
무성 양순-연구개 파열음 | 로그바어 | ò-kpàyɔ̀ | '신' | ||
유성 양순-연구개 파열음 | 에웨어 | Èʋegbe | '에웨어' | ||
무성 양순-연구개 내파음 | 이보어 | 'kp'ọ́ | '부르다' | ||
유성 양순-연구개 내파음 | 레세어 | colspan="2" | | '안에' | ||
양순-연구개 비음 | 베트남어 | cung | '부문' | ||
비음화된 유성 양순-연구개 파열음 | 넨어(파푸아어) [6] | dénḡ | '구식 대나무 파이프 또는 용기' |
2. 2. 자음군과의 구별
이러한 소리는 분명히 자음군이 아닌 단일 자음이다. 예를 들어 에곤어는 , , 를 대조한다. 톤을 무시하면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있다.[6]단일 자음 | 두 자음 시퀀스 | |||
---|---|---|---|---|
찧다 | 파다 | |||
개 | 때리다, 죽이다 | |||
방 | 배 | |||
부수다 | 갈다 | |||
죽다 | 무릎 꿇다 | |||
도착하다 | 나누다 |
일부 언어, 특히 파푸아뉴기니와 바누아투에서는 순음-연구개 자음과 순음화된 순음-연구개 접근음을 결합한다. 예를 들면 k͡pʷ, ŋ͡mʷ이다. 사멸된 언어인 볼로어에는 순음화된 비음화된 순음-연구개 파열음 ᵑ͡ᵐɡ͡bʷ이 있었다.[7][8]
3. 순음화된 양순 연구개음
3. 1. 순음화된 양순 연구개음의 예시
도릭어의 'r'''q'''a'는 로 소리나며 '여자'를 뜻한다.[9] 므웬어의 'ē'''m̄'''는 로 소리나며 '집'을 뜻한다.[8] 사멸된 언어인 볼로어의 'n-le'''q̄'''evēn'는 로 소리나며 '여자'를 뜻한다.[7]
IPA | 설명 | 언어 | 표기법 | IPA | 의미 |
---|---|---|---|---|---|
무성 순음-연구개 파열음 및 순음화 | 도릭어 | rqa | '여자' | ||
순음-연구개 비음 및 순음화 | 므웬어 | ēm̄ | '집' | ||
비음화된 유성 순음-연구개 파열음 및 순음화 | 볼로어 | n-leq̄evēn | '여자' |
4. 연구개 순음 흡착음
양순 흡착음은 입술과 연구개 모두에서 폐쇄가 일어나는 파열음이다. 이러한 발음은 종종 기류기제의 일부로 등쪽 조음을 분석하므로 이러한 파열음을 입술음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연구개 입술 흡착음(k͡ʘ ɡ͡ʘ ŋ͡ʘ)과 구개수 입술 흡착음(q͡ʘ ɢ͡ʘ ɴ͡ʘ) 사이에는 구분이 있을 수 있으며, 단순히 입술음으로 설명하면 이러한 구분이 포착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WALS Online – Chapter Presence of Uncommon Consonants
https://wals.info/ch[...]
2022-08-07
[2]
논문
The historical morphology of personal pronouns in northern Vanuatu
http://alex.francois[...]
[3]
간행물
Phonetic characteristics of double articulations in some Mangbutu-Efe languages
https://hal.archives[...]
1997-09
[4]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8-09-10
[5]
논문
On doubly articulated labial-velar stops and nasals in Tibeto-Burman
[6]
논문
Nen
2016
[7]
논문
A typological overview of Mwotlap, an Oceanic language of Vanuatu
https://www.academia[...]
[8]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the Volow language
https://pangloss.cnr[...]
[9]
논문
Phonotactics and the prestopped velar lateral of Hiw: Resolving the ambiguity of a complex segment
https://www.academia[...]
[10]
문서
which と witch を区別するような英語の方言([[スコットランド英語]]など)で使わ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