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음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음화는 음운 현상의 하나로, 소리가 비음의 성질을 띠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비음 자음은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 발음하는 자음으로, 'ㅁ', 'ㄴ', 'ㅇ' 등이 한국어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비음화는 비음 자음의 영향을 받아 자음이 비음성을 띠는 경우, 모음이 비음 자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 모음이 되는 경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일부 언어에서는 비음 모음이 음소로 기능하며, 비음화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변이가 존재하기도 한다. 또한, 비음성이 사라지는 탈비음화 현상과 자음 앞에 짧은 비음이 붙는 전비음화 현상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운 동화 - 순음화
    순음화는 자음이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발음되는 현상으로, 여러 언어에서 음소적으로 대립되며, 연구개 및 구개수 자음에서 자주 발생하고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위첨자 w (ʷ)로 표기한다.
  • 음운 동화 - 움라우트
    움라우트는 모음이 다른 모음의 영향을 받아 발음이 변하는 현상으로, 게르만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명사의 단수와 복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다양한 언어에서 모음 변이의 형태로 나타난다.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비음화
개요
정의발음을 내는 동안 연구개가 내려가면서 코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는 현상
관련음성학
설명
비음연구개가 올라가면서 코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고 입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리
언어한국어에서는 모든 모음이 비음화될 수 있음
영어'man'의 /m/, 'no'의 /n/, 'sing'의 /ŋ/과 같은 자음은 비음임
표현
국제 음성 기호⟨◌̃⟩ (물결표)를 사용하여 비음화를 나타냄
예시 ̃


p
b
m
n
l
ɹ
m
t
d
m
n
l
ɹ
n
k
ɡ
m
n
l
ɹ
ŋ

2. 비음 자음

가장 흔한 비음 자음으로는 [m], [n], [ŋ] 등이 있다. 대부분의 비음 자음은 입 안의 통로를 막아 입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대신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면서 소리를 내는 폐쇄음이다. 이는 입으로 공기를 내보내는 파열음과 발음 방법에서 대응된다. 한국어의 'ㄴ', 'ㅁ', 'ㅇ' 받침 소리가 대표적인 비음 자음에 해당한다.

2. 1. 비음화된 자음

비음화된 파열음이나 비음 모음과 비교했을 때, 다른 자음이 비음화되는 경우는 훨씬 드물다.

  • 비음화된 마찰음과 접근음:
  • 중세 중국어의 자음 '日'([ȵʑ];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는 [ʐ])은 복잡한 변화를 겪었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는 [ʐ]와 [ɑɻ] (또는 방언에 따라 [ɻ]와 [ɚ])로, 민난어에서는 [z]/[ʑ]와 [n]으로, 일본어 차용 과정에서는 [z]/[ʑ]와 [n]/[n̠ʲ]로 변화했다. 이 자음은 과거에 비음화된 마찰음, 아마도 구개음 [ʝ̃]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코아초스판 믹스텍어에서는 마찰음과 파찰음이 무성음일 때조차 비음 모음 앞에서 비음화된다.
  • 후파어에서는 연구개 비음 /ŋ/이 종종 혀가 완전히 접촉하지 않아 비음화된 접근음 [ɰ̃]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이는 다른 아타바스칸어족 언어의 비음화된 구개 접근음 [ȷ̃]과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
  • 움분두어에서는 음소 /ṽ/는 이음(異音)으로 나타나는 비음화된 접근음 [w̃]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는 /ṽ/가 접근음보다는 진정한 마찰음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고대 아일랜드어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연음화된 m이 비음화된 양순 마찰음 [β̃]이었다.[11]

  • 비음화된 성문 파열음: 간자어[12]는 음소로서 비음화된 성문 파열음 [ʔ̃]을 가지고 있으며, 순다어에서는 이음으로 나타난다. 비음화된 파열음은 인두 또는 그보다 아래에서 조음될 때만 가능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순한 비음(nasal stop)이 된다.[13]

  • 비음화된 탄음: 비음 탄음(flap)은 이음으로 흔하게 나타난다. 많은 서아프리카 언어에서는 비음 모음 앞에서 [ɾ̃](또는 [n̆])이 /ɾ/의 이음으로 사용된다. 남아시아 언어에서는 유성 권설 비음 탄음이 /ɳ/이 모음 사이에서 실현될 때 흔히 나타나는 이음이다.

  • 비음화된 전동음: 비음 전동음(trill) [r̃]은 루마니아어의 일부 방언에서 보고되었으며, 로타시즘의 역사적 중간 단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소리의 음성적 변이는 크며, 실제로 얼마나 자주 떨림(trill)이 동반되는지는 불분명하다.[14] 토로-테구 도곤어[15]나 이노르어와 같이, /r, r̃/을 음소적으로 대조하는 언어도 있다.

  • 비음화된 측음: 비음 측음(lateral)은 일부 언어에서 보고되었으며, 느제마어는 /l, l̃/을 대조한다.[16]

  • 비음화된 흡착음: 코이산어족의 코에코에어 및 Gǀui 방언, 그리고 일부 !쿵어 등에서는 비음 흡착음(nasal click)이 나타난다. 비음 흡착음은 일반적으로 해당 자음 앞에 비음이나 위첨자 비음이 붙는 형태를 띤다 (예: 연구개-치경 ŋ͡ǀ 또는 ᵑǀ, 구개수-치경 ɴ͡ǀ 또는 ᶰǀ). 비음화된 측면 흡착음(예: [‖̃])은 발음하기는 비교적 쉽지만 음소로서는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음화된 측면 흡착음은 줄루어와 같은 남부 아프리카 언어에서는 흔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l/이 비음화될 경우 [n]으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

3. 비음 모음

모음을 발음할 때 코와 입으로 동시에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비모음(鼻母音)이라고 한다. 이는 구강 내에서 폐쇄가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음 자음과는 구별된다.

세계적으로 소수의 언어만이 비모음을 구강 모음과 구별되는 대조적인 음소로 사용한다.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힌두스탄어, 네팔어, 브르타뉴어, 알바니아어, 몽어, 민남어(취안저우어 포함), 요루바어, 체로키어 등이 그 예이다[10]。 이러한 언어들에서 비모음은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본어에서는 특정 환경에서 모음이 비음화되어 비모음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켄이치'(けんいち)와 같은 단어에서 모음이나 반모음이 비음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마찰음이나 접근음에서도 비음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3. 1. 비음성의 정도

비음성은 일반적으로 있다 없다의 이진적인 특징으로 여겨지지만, 실제 발음에서는 인접한 비음 자음의 영향 등으로 인해 비음성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팔란틀라 치난테크어와 같이 모음의 비음성 정도가 세 단계로 나뉘어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구강 모음 [e]와 가볍게 비음화된 [ẽ], 그리고 심하게 비음화된 [e͌]가 서로 다른 소리로 인식된다.[2][3] 하지만 언어학자 레이데포게드와 매디슨은 이 중 가볍게 비음화된 모음을 구강 모음과 비음 모음이 연속된 이중모음의 한 형태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레이데포게드와 매디슨이 심한 비음화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한 이중 물결표(͌)는 extIPA(확장 국제 음성 기호)에서 연구개 인두 마찰음을 나타내는 기호와 혼동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4. 진정한 비음 마찰음

비음화된 구강 마찰음 외에도, 진정한 비음 마찰음이 존재한다. 이는 이전에는 '나레알 마찰음' 또는 '전방 비음 마찰음'이라고도 불렸다. 이 소리는 입 안이 아닌 코의 앞부분(비강의 가장 좁은 부분)에서 공기 흐름의 난류를 만들어 내는 마찰음이다. 이는 일반적인 마찰음이 입 안에서 만들어지는 것과 다르다. 또한, 연구개와 목젖 사이 통로(연구개인두구)가 좁아져 난류가 생기는 연구개인두 마찰음과도 구별되는데, 진정한 비음 마찰음에서는 이 통로가 열려 있다.

이러한 소리는 주로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알려진 어떤 언어도 비장애 화자의 일반적인 발화에서 이 소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국제 음성 기호(IPA) 확장 기호로는 물결표(~)로 나뉜 쌍점(ː)과 비슷한 기호(◌͋)를 겹쳐 사용한다. 예를 들어, [n͋]는 입 밖으로 공기 흐름이 없는 유성 치조 비음 마찰음이고, [n̥͋]는 이에 대응하는 무성음이다. [v͋]처럼 구강 마찰음과 동시에 비음 마찰음이 나는 경우도 있다.

5. 탈비음화

탈비음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음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탈비음화된 소리는 마치 감기에 걸렸을 때 비음을 발음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1][2] 한국어처럼 언어의 역사적 변화 과정에서 비음 자음이 소실되는 경우, 이러한 탈비음화 현상이 병적인 상태가 아닌 일반적인 발화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1][2]

6. 문맥적 비음화

문맥적 비음화는 주변의 비음 자음이나 비모음에 동화되어 구강음이 비음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장 흔하게 비음화되는 것은 모음이다. 많은 언어에서 모음은 주변의 비음 자음에 영향을 받아 이음적으로 비음화된다. 예를 들어 태국어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비모음 이음이 나타난다. 아푸리나어와 같이 음소적이거나 이음적인 비모음에 인접한 다른 분절음까지 비음화되는 경우도 있다. 비모음은 일반적으로 구강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며 소리낸다. 전 세계 언어 중 소수이지만,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힌두스탄어, 네팔어, 브르타뉴어, 알바니아어, 몽어, 취안저우어, 요루바어, 체로키어 등은 음소로서 비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해당 언어의 구강 모음과 대조를 이룬다.[10] 일본어에서는 모음, 반모음, 마찰음, 탄음 앞이나 단어 끝의 받침 /N/(ん)이 비모음이나 비음화된 접근음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예: 켄이치)

모음 외에도 다양한 자음이 문맥적으로 비음화될 수 있다.


  • 코아초스판 믹스텍어에서는 마찰음파찰음이 비모음 앞에서 비음화된다.
  • 후파어에서는 연구개 비음 /ŋ/이 종종 완전한 폐쇄 없이 발음되어 비음화된 비음 근사음 [ɰ̃]으로 소리 난다. 이는 다른 아타바스칸어족 언어의 비음화된 구개 근사음 [ȷ̃]과 어원이 같다. 움분두어에서는 음소 /ṽ/가 이음적으로 비음화된 근사음 [w̃]과 대조를 이룬다.
  • 고대 아일랜드어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연음화된 /m/이 비음화된 양순 마찰음 [β̃]이었다.[4]
  • 간자어는 음소로서 비음화된 성문 파열음 [ʔ̃]을 가지고 있으며[5], 순다어에서는 이음으로 나타난다.
  • 비음화된 탄음 역시 이음으로 흔하게 나타난다. 많은 서아프리카 언어에서는 비모음 앞에서 [ɾ̃] (또는 [n̆])이 /ɾ/의 이음으로 쓰인다. 남아시아 언어에서는 유성 권설 비음 탄음이 /ɳ/의 자음 사이 이음으로 흔하다.
  • 비음화된 설전음 [r̃]은 루마니아어 일부 방언에서 보고되었으며, 로타시즘의 중간 단계로 추정되기도 한다.[6] 토로-테구 도곤어[7]나 이노르어처럼 /r/과 /r̃/이 음소적으로 대립하는 언어도 있다.
  • 비음화된 측음도 존재하는데, 느제마어는 /l/과 /l̃/의 대립을 보인다.[8]
  • 코이산어족의 코에코에어, Gǀui 방언, 일부 !쿵어 등에서는 비음화된 클릭음(예: [ŋ͡ǀ] 또는 [ᵑǀ], [ɴ͡ǀ] 또는 [ᶰǀ])이 나타난다. 줄루어와 같은 남아프리카 언어에서는 비음화된 측면 클릭음이 흔하다. 종종 /l/이 비음화되면 [n]이 되기도 한다.


문맥적 비음화는 언어의 음운 체계 변화로 이어져 새로운 음소를 만들어내기도 한다.[9] 프랑스어가 대표적인 예이다. 프랑스어에서는 단어 끝의 비음 자음이 점차 소실되었는데, 이 자음들이 사라지기 전에 앞선 모음을 비음화시켰다. 그 결과 원래는 없었던 비모음 음소들이 언어에 새로 생겨났다. 예를 들어, 현대 프랑스어 단어 vin blanc|뱅 블랑프랑스어 ("백포도주")은 라틴어 vinum|비눔la과 blancum|블랑쿰la에서 유래했는데, 라틴어 시기에는 없었던 비모음 [ɛ̃]과 [ɑ̃]이 문맥적 비음화를 통해 프랑스어에 자리 잡게 된 것이다.[17]

6. 1. 전비음화

자음, 특히 파열음 앞에 짧은 비음이 붙어 하나의 음소를 이루는 현상을 전비음화(前鼻音化)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반투어군이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일부 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본어의 경우, 과거에는 다행(だ행)과 바행(ば행)의 유성 파열음이 전비음화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특징은 현대 일본어의 방언도호쿠 방언 등에 남아있다. (참고로, 가행(が行)은 원래부터 비음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7. 비음화되지 않은 비모음

비모음은 프랑스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등에서는 음소가 된다. 즉, 화자의 인식에서 비음이 아닌 모음과 구별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비음 "화"라고 말하지 않는다.[18][19]

참조

[1] 웹사이트 'nasal ! speech sound' https://www.britanni[...] 2022-07-23
[2] 서적 Evolutionary Phonology: The Emergence of Sound Patter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Preliminaries of Linguistic Phonetics
[4] 서적 A Grammar of Old Irish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5] 논문 A Phonology of Ganza http://journals.dart[...] 2017-01-16
[6] 간행물 Nasal Vowel Evolution in Ro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 Grammar of Toro Tegu (Dogon), Tabi mountain dialect https://deepblue.lib[...]
[8] 논문 Some Notes on the Phonology of the Nzema and Ahanta Dialects 1955
[9] 논문 Vowel Nasalization http://wals.info/cha[...]
[10] 서적 Evolutionary Phonology: The Emergence of Sound Patter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A Grammar of Old Irish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2] 논문 A Phonology of Ganza http://journals.dart[...] 2017-01-16
[13] 논문 Some Notes on the Phonology of the Nzema and Ahanta Dialects 1955
[14] 간행물 Nasal Vowel Evolution in Ro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A Grammar of Toro Tegu (Dogon), Tabi mountain dialect https://deepblue.lib[...]
[16] 논문 Some Notes on the Phonology of the Nzema and Ahanta Dialects 1955
[17] 논문 Vowel Nasalization http://wals.info/cha[...]
[18] 서적 Vowels and Consonants Wily-Blackwell
[19] 서적 母音と子音:音声学の世界に踏み出そう 開拓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