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언양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양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는 읍으로, 1996년 언양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언양군 폐지 이후 울산군 언양면으로 시작하여, 울산시·울산군 통합, 울산광역시 승격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언양읍은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35호선이 지나 교통의 요지이다. 주요 시설로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언양초등학교 등 교육 기관과 병원, 은행 등이 있으며, 언양읍성, 반구대 암각화, 영남알프스 등 관광 명소도 위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주군의 행정 구역 - 청량읍
    청량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2018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9개의 법정리와 26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해고속도로 등 교통 시설과 세인고등학교 등 교육 기관을 갖추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 울산광역시의 읍·면 - 청량읍
    청량읍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속하며 2018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9개의 법정리와 26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해고속도로 등 교통 시설과 세인고등학교 등 교육 기관을 갖추고 있다.
  • 울주군 - 언양군
    언양군은 신라시대 거지화현에서 시작하여 고려시대 현양으로 개칭, 조선시대 언양현을 거쳐 언양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울산군에 통합되며 소멸된 경상남도의 옛 군이다.
  • 울주군 - 웅촌면
    웅촌면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하며, 울산의 기원인 우시산국의 중심지로, 신라 시대 우화현으로 불렸고, 현재 9개의 법정리, 26개의 행정리, 8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해보건대학교와 국도 제7호선, 울산고속도로 등이 위치해 있다.
언양읍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언양읍(彦陽邑)
로마자 표기Eonyang-eup
McCune-Reischauer 표기Ŏnyang-ŭp
종류읍(邑)
방언경상도
지리
면적68.8 km²
행정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도울산광역시
시/군/구울주군
법정리반송리, 반천리, 반곡리, 어음리, 송대리, 평리, 다개리, 대곡리, 직동리, 동부리, 서부리, 남부리, 반연리, 태기리, 구수리
행정리39
271
읍사무소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동문길 7
인구 통계
인구 (2023년)28,217
세대 (2014년 11월 30일 기준)10,678
웹사이트
홈페이지언양읍 행정복지센터

2. 역사

언양은 삼국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이었다. 사적 제153호로 지정된 언양성은 삼국 시대에 처음 건설되었으며, 평지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다른 한국의 성과 다르다. 언양은 경주, 울산, 밀양, 양산을 연결하는 교통 중심지였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을 것으로 보인다. 원래 진흙으로 지어졌던 이 성은 조선 시대(14세기)에 돌을 사용하여 재건축되었다.

언양 고인돌 표지판


영바우 고인돌


언양읍에는 여러 개의 고인돌(dolmen) 또는 거석묘가 있다. 그 예로 지역 주민들이 "영바우"(Yongbau)라고 부르는 고인돌이 있다.

반구대 암각화(Bangudae Petroglyphs)는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대 암각화에는 고래, 거북이, 호랑이, 사슴과 같은 생물의 이미지가 재현되어 있다. 인간도 조각 중에 묘사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와 디자인도 있다.

자수정 동굴 공원은 폐쇄된 자수정 광산을 활용한 관광 명소이다. 동굴 내부에는 지역 문화, 동굴 역사와 관련된 장면을 묘사한 전시물과 디오라마가 있다. 동굴의 평균 기온은 12°C~14°C이며, 길이는 2.5km이다.[1]

영남알프스는 휴양림의 파래소 폭포와 신불산의 경치를 보기 위해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이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언양은 울산과는 별개의 독립된 행정구역이었다. 신라는 언양에 굴아화현(屈阿火縣)을 설치했고, 757년(경덕왕 16년) 굴아화현을 하곡현(河曲縣)으로 고치고 헌양현(巘陽縣)으로 다시 이름을 바꾸었다. 고려940년(태조 23년) 헌양현을 언양(彦陽)으로 고쳤고, 1018년(현종 9년)에는 울주의 속현으로 편입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1413년(태종 13년) 언양에 현감을 두면서 울산과 분리되었다. 언양현은 임진왜란 때 울산성 전투와 도산성(島山城) 전투의 주요 격전지 중 하나였다.

2. 2.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 1914년 3월 1일 언양군이 폐지되어 울산군 상북면과 중북면이 되었고, 같은 해 4월 1일 두 면에 중남면, 두동면, 두서면 각 일부를 편입하여 14개 리를 관할하는 '''언양면'''이 설치되었다.


개편 전개편 후
상북면 송대동(松臺洞)송대리(松臺里)
상북면 서부동(西部洞), 노상동(路上洞)서부리(西部里)
상북면 동부동(東部洞), 노동동(路東洞)동부리(東部里)
상북면 남부동(南部洞)남부리(南部里)
상북면 어음동(於音洞), 중남면 평리 일부어음리(於音里)
상북면 반소동(盤所洞)반송리(盤松里)
상북면 천소동(泉所洞), 천상동(泉上洞), 반소동·반호동 일부반천리(盤泉里)
상북면 반호동(盤湖洞), 동부동 일부, 중북면 반곡동 일부반연리(盤淵里)
중북면 대곡동(大谷洞), 반곡동 일부, 두동면 대곡동(大谷洞)대곡리(大谷里)
중북면 반곡동(盤谷洞), 두서면 천전리·구영동 일부반곡리(盤谷里)
중북면 다개동 일부평리(平里)
중북면 다개동(茶開洞), 두서면 차동 일부다개리(茶開里)
중북면 태동(台洞), 기지동(機池洞)태기리(台機里)
중북면 직동(直洞), 남동(南洞), 기지동 일부직동리(直洞里)


  • 1952년 4월 25일 지방 선거가 시행되고 초대 언양면의원 13명이 선출되었다.
  • 1961년 9월 1일 언양면의회가 해산되었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일부에 울산시가 설치되면서 울주군 언양면이 되었다.
  • 1973년 7월 1일 삼남면 구수리를 편입하였다.
  • 1982년 10월 5일 면청사를 현위치로 이전하였다.
  • 1991년 1월 1일 울주군이 울산군으로 개칭하면서 울산군 언양면이 되었다.
  • 1995년 1월 1일 울산시·울산군 통합으로 울산시 울주구 언양면이 되었다.
  • 1996년 2월 1일 언양면이 '''언양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가 울산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이 되었다.

2. 3. 언양면의회 (1952~1961)

1952년 4월 25일 초대 면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언양면의원 13명(자유당 1명, 대한독립촉성국민회 5명, 대한청년단 1명, 무소속 6명)이 선출되었다. 1956년 8월 8일 2대 면의원 선거에서는 12명의 언양면의원 전원(자유당)이 선출되었다. 1960년 12월 12일 3대 면의원 선거에서 12명의 언양면의원이 선출되었다. 언양면의회는 1961년 9월 1일 군사 정권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다.

3. 행정 구역

언양읍의 행정 구역 (2015년 12월 31일 기준)
법정리한자행정리 수세대인구
송대리松臺里1267649
서부리西部里93,2829,294
동부리東部里63,1268,271
남부리南部里2447834
어음리於音里26511,431
반송리盤松里3379897
구수리九秀里3169308
반천리盤泉里41,2653,298
반연리盤淵里1261309
대곡리大谷里14690
반곡리盤谷里2161287
평리平里1117248
다개리茶開里1183399
태기리台機里15189
직동리直洞里2318669
총계언양읍3910,72327,073



언양읍의 행정구역


언양읍은 15개 법정리와 39개 행정리, 271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소재지는 동부리이다.

4. 주요 시설

기관명구분
경남은행 언양지점금융
국민은행 언양점금융
서울주새마을금고금융
울주신협금융
농협중앙회 울산점금융
언양농협금융
울산축협금융
울주경찰서 언양파출소치안
울산중부소방서 언양119안전센터소방
울산우체국우편


5. 교육 기관

언양읍에는 언양초등학교, 영화초등학교, 반곡초등학교, 반천초등학교, 신언중학교, 언양중학교, 언양고등학교, 울산과학기술원 등의 교육 기관이 있다.

5. 1. 울산과학기술원 (UN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과학기술을 중시하는 대학교이다. 2012년 4월 기준으로 교수진은 184명, 학생 수는 3,800명이 넘는다.

6. 교통

언양읍은 도로와 철도 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읍을 지나며, 울산고속도로와 분기하는 언양 분기점이 있다. 과거 언양 나들목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쇄되어, 고속도로 진입을 위해서는 인접한 삼남면의 서울산 나들목을 이용해야 한다. 국도 제24호선(울밀로)과 국도 제35호선(반구대로)이 읍내에서 교차한다.

경부고속선이 언양읍을 지나지만, 별도의 역은 설치되지 않았다. 열차 이용을 위해서는 인접한 삼남읍 신화리에 위치한 울산역을 이용해야 한다.

6. 1. 도로

경부고속도로가 언양읍을 지나고, 울산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언양 분기점이 있다. 언양 나들목이 있었지만 현재는 폐쇄되어 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삼남면에 있는 서울산 나들목으로 진입해야 한다.

국도 제24호선(울밀로)과 국도 제35호선(반구대로)이 언양읍에서 교차한다.

6. 2. 철도

경부고속선이 언양읍을 지나지만 역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열차를 이용하려면 인접한 삼남읍 신화리에 소재한 울산역으로 가야 한다.

7. 주거

아파트명건설사입주일
신울산 경남아너스빌SM경남기업2010년 1월
서울산 두산위브두산건설2009년 4월
언양 삼성아파트삼성물산 건설부문1996년 8월
서울산 한신휴플러스한신공영2013년 6월
언양 서부리 스타골든캐슬해창종합건설2018년 2월
KTX울산역 양우내안애 더 퍼스트양우건설2019년 1월


8. 관광

자수정 동굴 공원, 언양읍성, 반구대 암각화, 영남알프스 등은 언양읍의 주요 관광지이다.[1]

8. 1. 자연

자수정 동굴 공원은 폐쇄된 자수정 광산으로, 현재 언양의 관광 명소가 되었다. 자수정 동굴 공원에는 도보로 탐험할 수 있는 동굴과 일련의 수로가 있다. 이 공원에는 소규모 놀이 시설과 몇몇 놀이기구도 있다. 동굴 내부에는 지역 문화 모티프, 동굴 역사와 관련된 장면, 그리고 일부 인류학적 연구를 묘사한 전시물과 디오라마가 있다. 동굴의 평균 기온은 12°C~14°C이며, 길이는 2.5km이다. 공원 안팎에서 다양한 명소와 전시물 외에도, 이 동굴의 이름이 된 희귀한 대형 자수정 결정 표본을 볼 수 있다.[1]

영남알프스는 문화 휴식 센터, 숙박 시설, 야영장을 갖춘 휴양림의 파래소 폭포와 신불산의 경치를 보기 위해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곳이다.

8. 2. 문화 유적


  • 언양읍성[1]
  •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언양읍성은 사적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삼국시대에 처음 건설되었고 역사 유적지로 공식적으로 보존되어 있다. 산이 아닌 평지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다른 한국의 성과 다르다. 이 성은 현재 언양의 지리적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언양은 경주, 울산, 밀양, 양산을 연결하는 교통 중심지였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중요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성은 원래 진흙으로 지어졌지만, 조선 시대(14세기)에 돌을 사용하여 재건축되었다. 이 성은 고려와 조선의 정치 시대 사이의 성곽 건축 방식 변화를 보여주기 때문에 연구자들에게 중요하다.

반구대 암각화는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언양에 위치해 있다. 고대 암각화에는 고래, 거북이, 호랑이, 사슴과 같은 생물의 이미지가 재현되어 있다. 인간도 조각 중에 묘사되어 있으며,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와 디자인도 있다. 이러한 조각의 목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언양읍에는 여러 개의 고인돌(dolmen) 또는 거석묘가 있다. 그 예로 지역 주민들이 "영바우"(Yongbau)라고 부르는 고인돌이 있으며, 한국어, 영어, 일본어로 된 설명판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