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두아르두 몬들라느는 1920년 포르투갈령 동아프리카(현재 모잠비크)에서 태어난 모잠비크의 정치인이자 인류학자이다. 그는 모잠비크 독립 운동의 지도자로서, 1962년 여러 독립 운동 단체를 통합하여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을 결성하고 초대 의장을 맡았다. 몬들라느는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지향하며 게릴라전을 이끌었으나, 1969년 FRELIMO 본부로 배달된 소포 폭탄으로 암살되었다. 그의 사후 모잠비크는 1975년 독립 국가가 되었으며,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대학교로 그의 이름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잠비크의 공산주의자 - 사모라 마셸
    사모라 마셸은 모잠비크 해방전선의 지도자이자 초대 대통령으로서, 독립 전쟁을 이끌고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내전과 경제난을 겪었으며, 그의 사망은 남아프리카공화국 개입 의혹과 함께 아프리카 해방 투쟁의 상징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1953년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1953년
출생 이름에두아르두 시밤부 몬들라느 (Eduardo Chivambo Mondlane)
출생일1920년 6월 20일
출생지포르투갈령 모잠비크 만들라카지, 느와자하니 (Nwajahani, Mandlakazi)
사망일1969년 2월 3일
사망지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
국적모잠비크
직업
직업정치인
교수
전문 분야인류학자
학력
모교오벌린 대학교 (문학사)
노스웨스턴 대학교 (문학 석사, 철학 박사)
정치 경력
소속 정당모잠비크 해방 전선
직책모잠비크 해방 전선 의장
임기 시작1962년 9월
임기 종료1969년 2월 3일
이전직책 신설
이후사모라 마셸

2. 초기 생애 및 교육

에두아르두 치밤보 몬들라느는 1920년 포르투갈령 동아프리카(현재의 모잠비크) 가자주 만들라카지 구역의 N'wajahani에서 반투어를 사용하는 총가족 족장의 16명의 아들 중 넷째로 태어났다.[4] 그는 12세까지 양치기로 일했다.

그는 여러 초등학교를 다닌 후 만자카지 근처의 스위스–장로교 선교 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남아프리카 트란스발주 지역(현재의 림포포주) 레마나에 위치한 같은 스위스 장로교 소속의 레마나 칼리지에서 중등 교육을 마쳤다. 그 후 얀 H. 호프마이어 사회사업학교에서 1년을 보낸 뒤 요하네스버그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아파르트헤이트 정부가 들어선 후인 1949년 남아프리카에서 추방되었다.

1950년 6월, 몬들라느는 포르투갈의 수도인 리스본에 있는 리스본 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업을 이어갔다. 그러나 그의 요청에 따라 미국으로 건너갈 기회를 얻었고, 31세의 나이로 오하이오주 오벌린에 있는 오벌린 칼리지에서 펠프스 스토크스 장학금을 받으며 1951년 3학년으로 편입했다. 1953년 인류학사회학 학사 학위를 받으며 오벌린 칼리지를 졸업했다. 그는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있는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학업을 계속하여, 멜빌 J. 허스코비츠의 지도 아래 "역할 갈등, 참조 집단 및 인종"을 주제로 1955년 석사 학위를, 1960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5]

1956년, 그는 감리교 청년 회의에서 만난 자넷 레이 존슨과 결혼했다. 자넷은 인디애나주 출신의 백인 미국인이었다.[5]

3. 인류학 경력

몬들라느는 1957년 유엔 신탁통치부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이 직책을 통해 아프리카 여러 지역을 여행하며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할 수 있었다.[15][6] 멜빌 헤르스코비츠(Melville J. Herskovits)의 지도 아래, 그의 연구는 프란츠 보아스와 시카고 학파의 자유주의적 인류학 전통에 영향을 받았다.[16][7]

1960년 인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61년에는 유엔 직책을 사임하고 학계로 자리를 옮겼다. 같은 해 시러큐스 대학교에서 교수로 임용되어 동아프리카 연구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며 인류학자로서의 경력을 이어갔다.

4. 정치 경력

몬들라느는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던 중인 1957년 국제 연합(UN) 신탁통치부 연구관으로 일하기 시작했다.[6] 이 직책 덕분에 그는 아프리카 여러 지역을 방문하며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고, 이는 멜빌 허스코비츠의 지도 아래 프란츠 보아스의 "자유주의" 전통에 초점을 맞춘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6][7]

1960년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몬들라느는 1961년 정치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UN에서의 직무를 사임했다. 같은 해 시라큐스 대학교에서 교직을 맡아 동아프리카 연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했다.[6]

당시 포르투갈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권 하에서 해외부 장관을 맡고 있던 정치학 교수 아드리아누 모레이라는 UN에서 몬들라느를 만나 그의 자질을 높이 평가했다. 모레이라는 몬들라느를 포르투갈 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포르투갈령 모잠비크 행정부의 직책을 제안했지만, 몬들라느는 이를 거절했다.[8][12] 대신 그는 지도자가 부족했던 모잠비크 독립 운동에 투신하기로 결심했다.

1963년, 몬들라느는 시라큐스 대학교에서의 직책을 사임하고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의 해방 투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탄자니아로 이주했다. 그는 이미 1962년 6월, 여러 소규모 독립 운동 단체들을 통합하여 결성된 FRELIMO의 초대 의장으로 선출된 상태였다.[8] 이후 FRELIMO의 활동과 내부 노선 갈등, 그리고 모잠비크 독립 전쟁의 전개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모잠비크 독립 전쟁

에두아르두 몬들라느는 대학교 졸업 후 국제 연합(UN)에서 근무했다. 당시 포르투갈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정권의 주요 인물 중 하나이자 정치학 교수였던 아드리아누 모레이라는 포르투갈 해외부 장관으로 임명된 후 UN에서 몬들라느를 만나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모레이라는 몬들라느를 포르투갈 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포르투갈령 모잠비크 행정부의 자리를 제안했지만, 몬들라느는 이를 거절하고 모잠비크 독립 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심했다.[8][12]

몬들라느는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반대하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며, 1962년 여러 소규모 독립 운동 단체들을 통합하여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 Frente de Libertação de Moçambique)을 결성하고 초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8] 1963년에는 FRELIMO 본부를 탄자니아다르에스살람으로 이전했다.[8] FRELIMO는 서방 국가들과 소련, 그리고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원을 받으며[8][12] 1964년부터 포르투갈 식민 통치에 맞서 게릴라전을 통한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8]

FRELIMO 초기에는 지도부 내에서 독립 이후 모잠비크의 사회 체제를 둘러싼 노선 갈등이 있었다. 몬들라느를 중심으로 마르셀리누 두스 산투스, 사모라 마셸, 조아킴 치사노 등 다수의 중앙위원들은 단순한 독립을 넘어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삼았다. 반면, 라자로 은카반다메, 우리야 시망고 등은 독립은 원했지만 사회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는 바라지 않았고, 흑인 엘리트가 백인 엘리트를 대체하는 것을 원했다.[8][12] 이러한 내부 갈등 속에서 1968년 7월 열린 제2차 당 대회에서는 몬들라느가 이끄는 사회주의 노선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몬들라느는 당 의장으로 재선되었으며, 농민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장기적인 게릴라전 전략이 FRELIMO의 주요 투쟁 방식으로 채택되었다.[8][12]

4. 2. FRELIMO 내부 갈등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초창기에는 지도부 내부에 이념적 분열이 있었다. 에두아르두 몬들라느가 이끄는 파벌은 모잠비크의 독립뿐만 아니라 사회주의 사회로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했다. 이러한 입장은 마르셀리누 두스 산투스, 사모라 마셸, 조아킹 알베르투 시사노를 비롯한 당 중앙위원회 다수의 지지를 받았다.[8][12]

반면, 라자로 응카반다메, 우리야 시망고 등이 대표하는 반대파는 독립은 원했지만 사회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는 바라지 않았고, 기존의 백인 엘리트를 흑인 엘리트가 대체하기를 원했다.[8][12]

이러한 내부 갈등은 1968년 7월에 열린 제2차 당 대회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대회에서는 몬들라느가 주장한 사회주의 노선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고, 그는 당 의장(혹은 서기장)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또한, 성급한 쿠데타 시도 대신 농민을 기반으로 한 장기적인 게릴라전을 펼치는 전략이 채택되었다.[8][12] 이 결정으로 FRELIMO의 노선 갈등은 일단락되었으나, 내부 긴장은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5. 암살

1969년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에 위치한 FRELIMO 본부로 폭탄이 담긴 책 소포가 몬들라느에게 배달되었다.[17] 그는 미국인 친구 베티 킹의 집에서 이 소포를 열던 중 폭탄이 폭발하여 사망했다.[17][9]

이 암살 사건의 배후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미해결 상태이다.[18] 여러 세력이 용의자로 거론되고 있는데, FRELIMO 내부의 경쟁 세력, 탄자니아 정치인, 국제 행위자, 그리고 포르투갈의 비밀 정보 기관인 PIDE/DGS와 포르투갈의 반공산주의 조직인 아그인터 프레스 등이 포함된다.[18][10] 일부 역사가들은 PIDE/DGS와 FRELIMO 일부 구성원이 이 정치적 암살에 연루되었다고 보고 있다.

전직 PIDE 요원 오스카 카르도소는 동료 PIDE 요원이었던 카지미루 몬테이루가 몬들라느를 살해한 폭탄을 직접 설치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6. 유산

몬들라느의 죽음 이후, 1969년 그의 오벌린 동창이자 친구였던 에드워드 호울리 목사의 집전으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호울리 목사는 장례식 연설에서 몬들라느가 "인간은 존엄성과 자결권을 위해 만들어졌다는 진실을 위해 자신의 삶을 바쳤다"고 추모했다.

몬들라느가 이끌던 FRELIMO는 그의 사후에도 무장 투쟁을 이어갔다. 1970년대 초, 약 7,000명 규모의 FRELIMO 게릴라 부대는 모잠비크 중부 및 북부의 일부 농촌 지역을 포르투갈 식민 당국으로부터 해방시켰다. 이들은 약 6만 명의 포르투갈군과 맞서 싸웠는데, 포르투갈군은 주로 카호라 바사 댐 건설 지역에 병력을 집중시키고 있었다.

1974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발생한 카네이션 혁명으로 인해 포르투갈의 독재 정권이 무너지면서 포르투갈의 해외 식민지 정책에 큰 변화가 생겼다. 결국 1975년 6월 25일, 포르투갈은 FRELIMO에게 정권을 이양했고 모잠비크는 독립을 맞이하게 되었다.

독립 이후 모잠비크에서는 몬들라느를 기리는 여러 사업이 진행되었다. 1975년, 수도 마푸투(당시 로렌수 마르케스)에 위치했던 로렌수 마르케스 대학교(Universidade de Lourenço Marques)는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11] 또한, 미국 시라큐스 대학교의 아프리카 이니셔티브는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브라운 백 강연 시리즈를 주최하여 아프리카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에두아르두 몬들라느 대학교(2009년).


몬들라느의 유지는 그의 가족들에게도 이어졌다. 그의 아내 자넷 레이 존슨은 모잠비크 독립 이후 다양한 정부 직책을 역임했으며, 딸 니옐레티 몬들라느는 청소년 및 스포츠부 장관을 거쳐 젠더, 아동 및 사회 행동부 장관으로 활동했다.

7. 저작


  • ''The Struggle for Mozambique|더 스트러글 포 모잠비크영어''. Harmondsworth: 펭귄 북스, 1969.
  • * 일본어 번역: 노마 칸지로(野間寛治郎|노마 칸지로일본어), 나카가와 시노부(中川信夫|나카가와 시노부일본어) 역, アフリカ革命 = モザンビークの闘争|아프리카 가쿠메이 = 모잔비쿠노 도소일본어 (아프리카 혁명 = 모잠비크의 투쟁), 이론사, 1971년.
  • "A Conversation with Eduardo Mondlane|어 컨버세이션 위드 에두아르두 몬들라느영어", 헬렌 키친(Helen Kitchen|헬렌 키친영어) 인터뷰, ''아프리카 리포트'' (Africa Report), 12권, 1967년 11월, 51쪽.

참조

[1] 웹사이트 In memory of Eduardo Chivambo Mondlane '53 http://www.oberlin.e[...] Alumni News & Notes 2014-11-24
[2] 웹사이트 Eduardo Mondlane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www.sahistory[...] Sahistory.org.za 2012-12-01
[3] 웹사이트 Eduardo Mondlane: The man behind Mozambique's unity https://www.dw.com/e[...]
[4] 간행물 "Reviving the Memory of Eduardo Mondlane in Syracuse: Links between Syracuse and a Mozambican Liberation Leader" Syracuse Peace Council 2012-11-01
[5] 서적 Liberating Mission in Mozambique. Faith and Revolution in the Life of Eduardo Mondlane. Pickwick 2014
[6] 웹사이트 Eduardo Chivambo Mondlane '53 http://www.oberlin.e[...] Oberlin.edu 2012-12-01
[7] 서적 '90 Anos depois do seu nascimento. 41 anos depois da sua morte! Toda verdade sobre Mondlane' Dondza Editora 2010
[8] 서적 The Making of Portuguese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9] 뉴스 Moçambique tem de descobrir Eduardo Mondlane http://www.verdade.c[...] Verdade 2009-01-31
[10] 웹사이트 H-Diplo Article Review 707 on "The Assassination of Eduardo Mondlane: FRELIMO, Tanzania, and the Politics of Exile in Dar es Salaam." https://networks.h-n[...] 2017-07-05
[1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4-05-08
[12] 서적 The Making of Portuguese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3] 웹인용 Eduardo Mondlane |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www.sahistory[...] Sahistory.org.za 2012-12-01
[14] 웹인용 Eduardo Mondlane: The man behind Mozambique’s unity https://www.dw.com/e[...]
[15] 웹인용 Eduardo Chivambo Mondlane '53 http://www.oberlin.e[...] Oberlin.edu 2012-12-01
[16] 서적 90 Anos depois do seu nascimento. 41 anos depois da sua morte! Toda verdade sobre Mondlane Dondza editora 2010
[17] 뉴스 Moçambique tem de descobrir Eduardo Mondlane http://www.verdade.c[...] Verdade 2009-01-31
[18] 웹인용 H-Diplo Article Review 707 on "The Assassination of Eduardo Mondlane: FRELIMO, Tanzania, and the Politics of Exile in Dar es Salaam." https://networks.h-n[...] 2017-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