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안나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안나툼은 초기 왕조 시대 수메르의 라가시 제1왕조의 왕으로, 우르난쉐의 손자이자 아쿠르갈의 아들이다. 그는 수메르 도시들을 정복하고 키시를 속국으로 만들었으며, 움마와의 전쟁에서 승리했다. 에안나툼은 독수리 비석을 통해 자신의 업적을 기록했으며, 텔로 유적에서 발견된 일련의 기념비들을 통해 당시 전쟁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는 엘람, 우루아, 움마, 우르, 우루크 등을 정복하고, 키시의 왕 칭호를 얻었으며, 마리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다. 에안나툼은 라가시에 많은 사원과 왕궁을 건설했으며, 그의 사후에는 형제인 엔안나툼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통치자 - 전욱
    전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오제 중 한 명으로, 황제의 손자이자 창의의 아들이며, 여러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고, 역법, 점성술, 종교 개혁을 통해 무속 신앙을 억제하고 가부장제를 지지했으며, 하늘과 인간의 소통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했다는 신화와 관련이 있다.
  • 기원전 25세기 통치자 - 루갈안네문두
    루갈안네문두는 수메르 왕 목록에 등장하는 아다브의 왕으로, "사방의 왕"이라 칭하며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고 주장하는 비문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를 문학적 허구로 간주하며, 그의 통치 후 아다브는 공격받아 함락되었다고 한다.
  • 라가시의 왕 - 푸제르마마
  • 라가시의 왕 - 우르난셰
    우르난셰는 기원전 26세기경 라가시를 통치하며 신전 건축과 딜문과의 교역을 통해 번영을 이끌었고, 그의 업적은 비문과 조각상으로 남아있으며 아들 아쿠르갈이 왕위를 계승하여 세습 왕조가 이어졌다.
  • 엘람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 엘람 - 일람주
    일람주는 이란 서남부에 위치하며 기원전 5000년경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엘람 문명의 발상지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카자르 왕조 시대에 로레스탄에서 분리된 후 1929년 일람으로 개명되었고, 자그로스 산맥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쿠르드족과 루르족이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수공예품과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며 관광 산업 개발을 추진하는 주이다.
에안나툼
기본 정보
라가시 왕 에안나툼이 전쟁 전차를 타고 있다 (독수리 석비 세부). 그의 이름
라가시 왕 에안나툼이 전쟁 전차를 타고 있다 (독수리 석비 세부).
칭호라가시 왕
원어 표기𒂍𒀭𒈾𒁺
로마자 표기Eannatum
통치 기간
재위기원전 2500년 – 2400년경
가계
아버지아쿠르갈
후계자엔안나툼 1세
왕조라가시 제1왕조

2. 수메르 통일 전쟁

에안나툼은 우르난쉐의 손자로, 엔샤쿠샤나가 다스리던 우르를 비롯해 니푸르, 악샤크, 라르사, 우루크 등 수메르 전 지역을 정복한 왕이었다.[1] 그는 키시를 속국으로 삼았으나, 키시는 그의 사후 독립을 되찾았다. 또 움마를 조공국으로 만들어, 그곳 백성은 여신 니나와 신 인구리사에게 일정량의 곡물을 바쳐야 했다.[5][1]

에안나툼은 구-에딘의 비옥한 평원을 두고 움마와 분쟁을 벌였다.[1] 그는 직접 군대를 지휘해 우시를 격파하고, 우시의 후계자인 에나칼레와 경계 조약을 맺었다. 이 내용은 독수리 비석과 엔테메나의 엔테메나 원뿔에 기록되어 있다.[2][1]

2. 1. 키시 정복과 칭호

에안나툼은 우르난쉐의 손자로, 니푸르, 악샤크, 라르사, 우루크를 포함한 수메르 전체와 우르를 정복한 왕이었다. 그는 또 키시를 속국으로 만들었는데, 키시는 그의 사후에 독립을 되찾았다. 그는 움마를 조공국으로 만들어, 그곳의 모든 이는 일정량의 곡식을 여신 니나와 신 인구리사의 보고에 바쳐야 했다.

2. 2. 움마와의 전쟁과 독수리 비석

에안나툼은 우르난쉐의 손자이자 아쿠르갈의 아들로, 우르, 니푸르, 악샤크(주주가 통치), 라르사, 우루크(왕 목록에 등재된 엔샤쿠샤나가 통치)를 포함한 수메르 전체를 정복한 라가시의 왕이었다.[1] 그는 구-에딘의 비옥한 평원을 두고 우마와 분쟁에 들어갔으며,[1] 직접 군대를 지휘하여 우시를 격파하고, 마침내 우시의 후계자인 에나칼레와 경계 조약을 맺었다. 이는 독수리 비석과 엔테메나의 엔테메나 원뿔에 묘사되어 있다.[2][1]

에안나툼은 우마를 조공국으로 만들었고, 모든 사람은 여신 니나와 신 잉구리사에게 일정량의 곡물을 바쳐야 했다.[5][1]

특히 움마와는 에안나툼 왕의 치세부터 장기간에 걸친 전쟁을 벌였다. 라가시의 사료에 따르면, 움마는 과거 키시 왕 메실림(메스안네파다?)의 중재로 국경이 정해지고 경계석이 놓였었지만, 움마 왕 우시가 경계석을 파괴하고 침략해 왔기 때문에 이를 격퇴했다. 라가시 시와 움마 시 사이에는 '''구에딘나''' (수메르어: GU.EDEN.NAsux."평야의 경계"라는 뜻[18])라고 불리는 비옥한 평야가 있었는데, 이 평야의 소유권을 둘러싼 문제에서 전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우시 왕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은 장기간 지속되었지만, 에안나툼은 이를 격퇴하고, 움마의 다음 왕 에나칼레는 국경선을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경계석을 다시 설치하는 것에 동의하여 평화를 맺었다.

이 전쟁에 관해서는 적대자인 움마 측의 기록이 발견되지 않아, 라가시의 기록이 어느 정도 진실을 전하고 있는지 검증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에안나툼은 '''키시 왕'''을 칭할 정도의 세력을 가진 왕이었으며, 실제로 수많은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여겨진다.

엔테메나의 엔테메나 원뿔에는 에안나툼이 엔테메나의 삼촌이라고 기록되어 있다.[3][4]

2. 2. 1. 독수리 비석의 내용

독수리 비석은 1881년 이라크 기르수(고대 기르수)의 텔로에서 발견된 석회암 석비 조각이다. 이 비석은 높이 1.8m, 너비 1.3m로 재건되었으며, 기원전 2500~2400년경에 세워졌다.[10] 라가시의 에안나툼이 움마의 왕 우시를 상대로 거둔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그의 후계자 에나칼레와 경계 조약을 맺는 계기가 되었다.[11][5]

비석에는 전쟁의 다양한 사건들이 묘사되어 있다. 한 구획에는 왕(머리 주변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음)이 중무장한 병사들의 팔랑크스 앞에서 오른손에 링으로 묶인 세 개의 금속 막대로 구성된 곡선형 무기를 들고 서 있다. 다른 구획에는 왕(다시 머리 주변에 이름이 새겨져 있음)으로 보이는 인물이 전투의 한복판에서 전차를 타고 있으며, 킬트를 입고 헬멧을 쓰고 창을 든 그의 추종자들이 그의 뒤를 따라 행진하고 있다.[5]

비석의 다른 면에는 전쟁의 신 닌우르타가 포로로 잡힌 우마인들을 큰 그물에 가두고 있는 모습이 있다. 이것은 에안나툼이 자신의 승리를 닌우르타에게 돌렸고, 따라서 신의 보호를 받았음을 암시한다(어떤 설명에서는 그가 자신의 승리를 라가시의 수호신인 엔릴에게 돌렸다고 한다).[10][5]

에안나툼의 승리는 비석의 파편적인 비문에 언급되어 있는데, 이는 전장에서 3,600명의 병사를 잃은 후 우시가 그의 수도 우마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살해되었음을 시사한다: “[…] (에안나툼)이 그를 물리쳤다. 그(우마)의 3600구의 시체가 하늘의 기저에 닿았다 [...] 그에게 손을 들어 우마에서 그를 죽였다.”.[12]

"신화적" 측면의 상부 구획

3. 수메르 외부 원정

에안나툼은 수메르의 경계를 넘어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했다. 그는 현대 페르시아 만 연안의 도시 엘람을 포함한 일부 지역을 정복했고, 슈부르를 쳤다고 전해지며, 악샤크를 격퇴한 후, "키시의 왕"이라는 칭호를 주장했고 (그의 사후에 독립을 되찾았다), 마리까지 조공을 요구했다.[1]

दिनीर्शु नुमिन्दिर|닌기르수의 안타수라sux에서 악샤크의 왕 주주를 격파하고 악샤크까지 파괴했으며,[6] 악샤크의 왕은 그의 땅으로 도망갔다.[6] 그는 닌기르수의 안타수라에서 키시, 악샤크, 마리를 격파했다.[6]

에안나툼은 자신의 승리를 석비에 기록했으며, 엘람의 땅, 우루아, 움마, 우르를 정복했다.[7][8]

그러나 그의 제국에서는 종종 반란이 일어났다.[9]

4. 건설 사업

에안나툼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사원과 왕궁이 특히 라가시에 건설되었다. 도시 니나는 아마 니네베의 전신으로 재건되었는데, 많은 운하와 저수지가 발굴되었다.

5. 유산 및 평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 출력 결과는 빈칸이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으며,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Wiley 2004
[2] 서적 The Cities of Babylon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Ancient History
[3] 웹사이트 Cone of Enmetena, king of Lagash https://www.louvre.f[...] 2020
[4]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018-03-12
[5] 서적 Archaeological History Of The Ancient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6] 서적 "KING OF KISH" IN PRE-SARGONIC SUMER https://www.jstage.j[...] Orient: The Reports of the Society for Near Eastern Studies in Japan, Volume 17 1981
[7]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8] 웹사이트 Louvre Museum Official Website http://cartelen.louv[...]
[9] 서적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From Hunting and Gathering to Agriculture, Cities, and the State of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10]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 Volume 1 https://archive.org/[...] Thomson Wadsworth
[11] 서적 The Cities of Babylon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Ancient History
[12] 서적 History & Philology https://www.assyriol[...] Walther Sallaberger & Ingo Schrakamp (eds), Brepols 2015
[13]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14] 웹사이트 Louvre Museum Official Website http://cartelen.louv[...]
[15]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16]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
[17] 웹사이트 Louvre Museum Official Website http://cartelen.louv[...]
[18] 문서 グ・エディン・ナは[[エデンの園]]({{Rtl翻字併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