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엔테메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테메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초기 왕조 시대의 라가시 왕으로, 아버지 엔안나툼 1세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우루크 왕 루갈키기네두두와 동맹을 맺어 우마의 침공을 물리치고, 니푸르의 엔릴 신전에 왕상을 봉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또한 채무 노예 해방을 실시하는 등 내정 개혁을 추진했으며, 라가시와 우마 간의 영토 분쟁을 겪었다. 엔테메나는 다양한 유물을 통해 그의 통치와 업적이 전해지며, 아들 엔안나툼 2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가시의 왕 - 에안나툼
    에안나툼은 기원전 25세기경 라가시를 통치하며 수메르 지역을 정복하고 키시 왕 칭호를 사용한 강력한 왕으로, 움마와의 분쟁, 건축물 건설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라가시의 왕 - 푸제르마마
  • 수메르의 왕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수메르의 왕 - 지우수드라
    지우수드라는 수메르 신화에서 신들의 홍수 심판으로부터 살아남아 인류를 보존한 영웅으로, 신의 경고를 받아 배를 만들어 재앙을 피한 후 영원한 생명을 얻어 딜문에서 살게 되었으며, 크시수트로스라고도 불리고 노아의 방주 이야기와 유사성을 가진다.
엔테메나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엔-테메-나
원어 표기𒂗𒋼𒈨𒈾
원어 음역EN-TE-ME-NA
엔테메나 조각상, 이라크 박물관
엔테메나 조각상, 이라크 박물관. 조각상 뒤쪽에는 엔릴에게 바치는 긴 비문이 있다.
통치 정보
칭호라가시
재위 시작기원전 2400년경
이전 통치자엔안나툼 1세
후임 통치자엔안나툼 2세
가문 정보
왕조라가시 제1왕조
아버지엔안나툼 1세
자녀엔안나툼 2세

2. 역사적 배경

엔테메나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활동했던 인물이다. 이 시기는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유역에서 여러 도시 국가들이 등장하여 서로 경쟁하며 세력을 확장하던 때였다. 엔테메나가 통치한 라가시 역시 이러한 도시 국가 중 하나로, 주변 세력들과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정치적, 군사적 활동을 펼쳤다.

2. 1. 라가시와 움마의 갈등

라가시의 엔테메나 총독


엔테메나의 통치 시기, 라가시와 이웃 도시국가 움마 사이에는 오랜 갈등이 이어졌다. 엔테메나가 남긴 "회고 비문"에 따르면, 갈등은 아버지 엔안나툼 1세 시절부터 시작되었다.[13] 당시 움마의 왕 우르-룸마는 움마가 라가시로부터 빌린 보리 대금 반환 문제를 빌미로 동맹국과 함께 라가시를 침공했다.[13] 엔안나툼 1세는 이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전사했고, 엔테메나가 왕위를 계승했다.[13]

왕위에 오른 엔테메나는 우루크의 왕 루갈키니셰두두(라가시 측 표기. 수메르 왕 목록에는 엔샤쿠샤나의 후계자로 기록됨)[5]와 동맹을 맺고 우르-룸마가 이끄는 움마 군대를 격파하여 침공을 물리쳤다.[13][5] 전쟁은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나, 우르-룸마가 사망하고 일(Il)이 새로운 움마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상황이 변했다.[13]

엔테메나는 새로 즉위한 움마 왕 일과도 영토 분쟁을 겪었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엔테메나의 원뿔형 비문("전쟁 비문")에는 이 분쟁이 기록되어 있다.[13] 분쟁의 핵심은 닌기르수와 난셰의 경계에 있는 수로의 물 사용권이었다. 비문에 따르면, 일은 이 수로의 물을 무단으로 사용했으며, 엔테메나가 사절을 보내 항의하자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고 한다.[13]

"그(움마의 총독 일)는 닌기르수와 난셰의 경계 수로에서 물을 끌어다 썼다(...). 그 수로 때문에 라가시의 총독 엔메테나가 일에게 사절을 보냈을 때, 밭을 빼앗고 악담을 하는 움마의 총독 일은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닌기르수와 난셰의 경계 수로는 내 것이다! 나는 안타수라에서 에딩갈라브주까지 경계 둑을 옮길 것이다!' 그러나 엔릴과 닌후르상은 그에게 허락하지 않았다."[13]

비문은 엔릴과 닌후르상 신들이 일의 주장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기록하며, 엔테메나가 결국 일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음을 나타낸다.[13] 엔테메나는 이 승리 과정에서도 우루크 왕 루갈키니셰두두의 도움을 받았다.[5] 이후 일과의 강화 조약이 성립되었다.[13] 이 일련의 전쟁은 라가시-우마 전쟁의 일부이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 외에도 엔테메나는 라가시 왕으로서는 유일하게 니푸르 시의 엔릴 신전에 자신의 왕상을 봉헌했는데, 이는 그의 세력이 상당히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13]

또한 엔테메나는 내정에도 힘썼다. 그는 덕정령을 실시하여 빚 때문에 노예가 된 사람들을 해방시켰는데, 이는 기록상 알려진 가장 오래된 채무 면제 사례이다. 이러한 조치는 주로 신전 건설과 같은 기념 행사와 함께 이루어졌다.[13]

3. 엔테메나의 생애와 통치

수메르의 도시 국가 라가시의 통치자(엔시)였던 엔테메나는 아버지 엔안나툼 1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의 통치 기간은 이웃 도시 국가 움마와의 계속된 영토 분쟁으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일(Il)과의 전쟁 기록은 엔테메나의 원뿔형 비문에 상세히 남아있다.

엔테메나는 움마와의 전쟁 과정에서 우루크의 왕 루갈키니셰두두와 군사 동맹을 맺었는데, 이 동맹 조약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외교 문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을 바탕으로 엔테메나는 라가시의 세력을 확장했으며, 수메르 종교의 중심지였던 니푸르엔릴 신전에 자신의 왕상을 봉헌하기도 했다.

군사적 업적 외에도 엔테메나는 내정에 힘썼다. 그는 백성들의 부채를 탕감하고 채무 때문에 노예가 된 이들을 해방시키는 덕정령을 실시했는데, 이는 기록으로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채무 면제 사례 중 하나로 민생 안정에 기여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엔테메나 사후에는 그의 아들 엔안나툼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3. 1. 출생과 즉위

전 왕 엔안나툼 1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3. 2. 라가시-움마 전쟁

엔테메나는 움마의 왕 일(Il)과 영토 분쟁을 벌였으며, 이 내용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그의 원뿔형 비문("전쟁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13] 비문에 따르면, 일은 라가시의 주신 닌기르수와 여신 난셰에게 바쳐진 경계 수로의 물을 무단으로 사용하고, "닌기르수와 난셰의 경계 수로는 내 것이다! 나는 안타수라에서 에딩갈라브주까지 경계 둑을 옮길 것이다!"라고 선언하며 영토 침범 의사를 보였다. 그러나 비문은 신들(엔릴과 닌후르상)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고 덧붙인다.[13]

일은 결국 엔테메나에게 패배했는데, 엔테메나는 이 과정에서 수메르 왕 목록에 있는 엔샤쿠샤나의 후계자이자 우루크의 왕인 루갈키니셰두두의 도움을 받았다.[5]

엔테메나의 원뿔 파운데이션은 상태가 매우 좋으며, 초기 왕조 시대 III기에 라가시와 우마 도시 국가 간의 전쟁 시작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기록된 가장 초기의 국경 분쟁 중 하나로 여겨진다(RIME 1.09.05.01).[14] 이 원뿔은 기원전 2400년경 작은 점토 원뿔에 새겨졌으며,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참조 AO 3004).[14] 원뿔에 새겨진 내용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범위음역번역
I.1–7den-lil2 lugal kur-kur-ra ab-ba dig̃ir-dig̃ir-re2-ne-ke4 inim gi-na-ni-ta dnin-g̃ir2-su dšara2-bi ki e-ne-sur"모든 땅의 왕, 모든 신들의 아버지인 엔릴은 그의 확고한 명령에 따라 닌기르수와 샤라 사이의 경계를 정했다."
8–12me-silim lugal kiški-ke4 inim dištaran-na-ta eš2 gana2 be2-ra ki-ba na bi2-ru2"키시의 왕인 메실림은 이쉬타란의 명령에 따라 밭을 측량하고 그곳에 비석을 세웠다."
13–17uš ensi2 ummaki-ke4 nam inim-ma diri-diri-še3 e-ak"우쉬, 우마의 통치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행동을 했다."
18–21na-ru2-a-bi i3-pad edin lagaški-še3 i3-g̃en"그는 그 비석을 뽑아 라가시 평원으로 진군했다."
22–27dnin-g̃ir2-su ur-sag den-lil2-la2-ke4 inim si-sa2-ni-ta ummaki-da dam-ḫa-ra e-da-ak"닌기르수는 엔릴의 전사였고, 그의 정당한 명령에 따라 우마와 전쟁을 벌였다."
28–31inim den-lil2-la2-ta sa šu4 gal bi2-šu4 SAḪAR.DU6.TAKA4-bi eden-na ki ba-ni-us2-us2"엔릴의 명령에 따라 그는 그의 거대한 전투 그물을 그 위에 던져 평원에 그를 위해 매장 고분을 쌓았다."
32–38e2-an-na-tum2 ensi2 lagaški pa-bil3-ga en-mete-na ensi2 lagaški-ka-ke4"에안나툼, 라가시의 통치자, 엔테메나의 삼촌, 라가시의 통치자"
39–42en-a2-kal-le ensi2 ummaki-da ki e-da-sur"에나칼레, 우마의 통치자와 경계를 정했다."


3. 2. 1. 엔테메나와 루갈키니셰두두의 동맹 조약

260px


기르수에서 발견된 점토 못은 엔테메나가 우루크의 루갈-키니셰-두두와 맺은 동맹 조약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왕들 간의 평화 조약에 대한 언급으로 여겨진다.[10][11]

루갈-키니셰-두두와의 동맹을 언급하는 엔테메나의 원뿔


점토 못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새겨져 있다:



1행:


''Dinanna-ra / Dlugal-e2-muš3-ra / en-mete-na / ensi2 / lagaški-ke4 / e2-muš3 e2 ki-ag2-ga2-ne-ne / mu-ne-du3 / KIBgunû mu-na-du11 / en-mete-na / lu2 e2-muš3 du3-a''


2행:


''D-ra-ni / dšul-utul12-am6 / u4-ba en-mete-na / ensi2 / lagaški / lugal-ki-ne2-eš2-du7-du7 / ensi2 / unuki-bi / nam-šeš e-ak''

번역:


1행:


"신 이난나를 위하여 / 그리고 신 루갈-에무시를 위하여 / 엔테메나 / 라가시의 통치자 / 에무슈, 그들이 사랑하는 사원을 / 세우고 / (이) 점토 못을 그들을 위해 명령했다. / 에무슈를 세운 엔테메나,"


2행:


"그의 개인적인 신 /은 슐-우툴이다. / 그때, 엔테메나 / 라가시의 통치자 / 그리고 루갈-키네슈-두두, / 우루크의 통치자 /는 형제애(동맹)를 확립했다."[12]


엔테메나가 남긴 "회고 비문"에 따르면, 이 동맹은 당시 라가시와 적대 관계에 있던 우마의 침공에 대응하기 위해 체결된 것으로 보인다. 우마의 왕 우르-룸마는 라가시가 빌려 간 보리의 변제 문제를 빌미로 동맹국과 함께 라가시를 침공했다. 이 전투에서 엔테메나의 아버지이자 선왕인 엔안나툼 1세가 패배하고 전사하자, 엔테메나가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엔테메나는 즉위 후 우루크의 왕 루갈키니셰두두(우루크 측 표기는 루갈키기네두두)와 동맹을 맺고, 우르-룸마가 이끄는 우마 군대를 격파하여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이후 우마의 왕이 일(Il)로 교체되면서 양국 간의 강화 조약이 성립되었다. 또한 라가시 왕으로서는 유일하게 니푸르 시의 엔릴 신전에 왕상을 봉납했으며, 이는 그의 세력 확대를 추측하게 한다.

3. 2. 2. 움마와의 영토 분쟁



엔테메나는 라가시의 통치자로서 바드티비라에서 우루크에 이르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들을 지배했다. 그의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때 엔테메나는 그의 사랑하는 신전인 E-무쉬를 바드티비라에 있는 신 루갈레무쉬를 위해 짓고 재건했으며, 우루크, 라르사, 바드티비라의 시민들을 해방시켰다."[7][8]

엔테메나의 통치 기간 중 움마와의 영토 분쟁은 중요한 사건이었다. 엔테메나가 남긴 "회고 비문"에 따르면, 분쟁은 움마의 왕 우르-룸마가 라가시로부터 빌린 보리의 변제 문제를 빌미로 동맹국과 함께 라가시를 침공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전투에서 엔테메나의 아버지인 엔안나툼 1세는 전사했고, 엔테메나가 급히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왕위에 오른 엔테메나는 우루크의 왕 루갈키니셰두두(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엔샤쿠샤나의 후계자[5], 라가시 측 비문 표기)와 동맹을 맺고, 우르-룸마가 이끄는 움마 군대를 격파하여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우르-룸마가 사망한 후에도 전쟁은 계속되었고, 새로 일이 움마의 왕으로 즉위했다. 엔테메나는 일과도 영토 분쟁을 겪었으며, 이 내용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그의 원뿔형 비문("전쟁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13] 비문에 따르면, 일은 라가시의 주신 닌기르수와 여신 난셰에게 바쳐진 경계 수로의 물을 무단으로 사용했다. 엔테메나가 사절을 보내 항의하자, 일은 오히려 다음과 같이 선언하며 영토 침범 의사를 드러냈다: "닌기르수와 난셰의 경계 수로는 내 것이다! 나는 안타수라에서 에딩갈라브주까지 경계 둑을 옮길 것이다!" 그러나 비문은 신들(엔릴과 닌후르상)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고 덧붙인다.[13]

결국 일은 엔테메나에게 패배했는데, 이 과정에서 엔테메나는 다시 우루크의 루갈키니셰두두의 도움을 받았다.[5] 이후 엔테메나는 일과 강화 조약을 맺었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을 바탕으로 엔테메나는 라가시 왕으로서는 유일하게 수메르 종교의 중심지인 니푸르 시의 엔릴 신전에 자신의 왕상을 봉헌했는데, 이는 그의 강력해진 세력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

내정 면에서도 엔테메나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비문에는 백성들의 부채를 탕감해주고 채무 노예를 해방하는 덕정령을 실시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것은 알려진 한 가장 오래된 채무 면제 기록이며, 주로 신전 건설과 같은 국가적인 기념 행사에 맞춰 시행되었다.

3. 3. 내정 개혁

내정 면에서는 덕정령을 실시하여, 빚 때문에 노예가 된 사람들을 해방시킨 기록이 비문에 남아 있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채무 면제 기록으로, 주로 신전 건설과 같은 기념 행사에 맞춰 시행되었다.

3. 4. 엔테메나의 죽음과 계승

사후, 아들인 엔안나툼 2세 Энаннатум II|엔안나툼 2세rus가 뒤를 이었다.

4. 엔테메나 시대의 유물과 기록

엔테메나의 점토 원뿔은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초기 왕조 시대 III기에 라가시우마 도시 국가 간의 전쟁 시작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기록된 가장 초기의 국경 분쟁 중 하나로 여겨진다.(RIME 1.09.05.01)[14] 이 텍스트는 기원전 2400년경 작은 점토 원뿔에 새겨졌으며,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참조 AO 3004).[14]

원뿔에 새겨진 설형 문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4]

구분음역번역
I.1–7den-lil2 lugal kur-kur-ra ab-ba dig̃ir-dig̃ir-re2-ne-ke4 inim gi-na-ni-ta dnin-g̃ir2-su dšara2-bi ki e-ne-sur"모든 땅의 왕, 모든 신들의 아버지인 엔릴은 그의 확고한 명령에 따라 닌기르수와 샤라 사이의 경계를 정했다."
8–12me-silim lugal kiški-ke4 inim dištaran-na-ta eš2 gana2 be2-ra ki-ba na bi2-ru2"키시의 왕인 메실림은 이쉬타란의 명령에 따라 밭을 측량하고 그곳에 비석을 세웠다."
13–17uš ensi2 ummaki-ke4 nam inim-ma diri-diri-še3 e-ak"우쉬, 우마의 통치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행동을 했다."
18–21na-ru2-a-bi i3-pad edin lagaški-še3 i3-g̃en"그는 그 비석을 뽑아 라가시 평원으로 진군했다."
22–27dnin-g̃ir2-su ur-sag den-lil2-la2-ke4 inim si-sa2-ni-ta ummaki-da dam-ḫa-ra e-da-ak"닌기르수는 엔릴의 전사였고, 그의 정당한 명령에 따라 우마와 전쟁을 벌였다."
28–31inim den-lil2-la2-ta sa šu4 gal bi2-šu4 SAḪAR.DU6.TAKA4-bi eden-na ki ba-ni-us2-us2"엔릴의 명령에 따라 그는 그의 거대한 전투 그물을 그 위에 던져 평원에 그를 위해 매장 고분을 쌓았다."
32–38e2-an-na-tum2 ensi2 lagaški pa-bil3-ga en-mete-na ensi2 lagaški-ka-ke4"에안나툼, 라가시의 통치자, 엔테메나의 삼촌, 라가시의 통치자"
39–42en-a2-kal-le ensi2 ummaki-da ki e-da-sur"에나칼레, 우마의 통치자와 경계를 정했다."



이와 유사한 내용이 기록된 엔테메나의 "그물 원통"이라는 유물도 존재한다.[16] 이는 예일 바빌로니아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17][18]

4. 1. 엔테메나의 은제 꽃병



엔테메나가 자신의 신에게 바친 은제 꽃병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2] 이 꽃병의 목 부분에는 사자 무리가 아이벡스사슴을 잡아먹는 모습의 프리즈(띠 모양의 장식)가 매우 뛰어난 예술적 기량으로 새겨져 있으며, 구형 부분에는 라가시의 독수리 문장이 장식되어 있다. 이 꽃병은 당시 금세공 기술이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엔테메나가 바친 또 다른 방해석 꽃병도 니푸르에서 발견되었다.

은제 꽃병의 목에 새겨진 비문은 다음과 같다.

"닌기르수를 위하여, 엔릴의 가장 뛰어난 전사. 난셰가 마음속으로 선택한 라가시의 엔시인 엔테메나는 닌기르수의 위대한 엔시, 라가시의 엔시인 에난나툼의 아들 엔테메나가 닌기르수를 위해, 그를 사랑하는 왕을 위해 순수한 은과 돌(?)로 만든 꽃병을 만들어 닌기르수가 거기서 마시게 하고, 그의 생명을 위해 엔닌누의 닌기르수에게 가져갔다. 그 당시, 두두가 닌기르수의 ''상가''였다."[23][30]


4. 2. 엔테메나의 조각상

구출된 후 이라크 국립 박물관에 있는 엔테메나의 조각상


엔테메나의 조각상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알려진 왕의 조각상 중 가장 초기에 속한다. 이 조각상은 섬록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76cm이다.[19] 라가시 도시 국가의 통치자였던 엔테메나는 전형적인 신봉자의 옷을 입고 있다. 뒤쪽에 술이 달린 ''카우나케스'' 양털 치마를 입고 있다.[19] 그는 신 앞에서 영원한 참석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자세로 가슴에 손을 얹고 있다.[19]

엔테메나의 조각상은 시리아 마리에서 발견된 이쿤-샤마쉬의 조각상, 데르에서 발견된 엔지의 조각상, 머리가 온전하게 남아 있는 루갈-달루의 조각상 등과 같이 메소포타미아에서 알려진 몇 가지 다른 예시와 유사한 스타일을 반영한다.

엔테메나의 조각상은 측면 (오른쪽 팔)과 뒷면에 매우 긴 설형 문자가 새겨져 있다.[20] 여기에는 엔테메나의 이름과 칭호, 그리고 "엔릴 (최고의 수메르 신)은 엔테메나를 사랑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19]

이 조각상은 이라크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었다. 2003년 5월 2003년 이라크 침공 중에 조각상이 도난당했다. 2010년 뉴욕에서 발견되어 반환되었다.[21][19]

4. 3. 엔테메나의 봉헌 명판

엔테메나의 봉헌 태블릿으로, 설화석고로 만들어졌으며, 기초 못이 있다. 고대 오리엔트 박물관, 이스탄불.


엔테메나의 이름으로 된 여러 봉헌 태블릿이 알려져 있다. 이 태블릿들은 일반적으로 엔테메나의 이름, 칭호, 가계를 기록하고 있으며, 사원이나 헌신적인 이미지를 세운 그의 업적을 담고 있다. 태블릿은 종종 수메르어로 "기초"를 뜻하는 ''테멘''("foundation")이라고 불리는 "기초 못"과 연관되어 있다. 이 기초 못은 사원의 기초 아래에 새겨진 태블릿, 보석, 보호 신의 작은 조각상과 같은 공물과 함께 묻혔다.[26][28]

엔테메나의 기초석 중 하나에 새겨진 글귀에는 그가 "라가시에 자유를 세웠다. 그는 아이를 어머니에게, 어머니를 아이에게 돌려주었고, 이자를 취소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아마-기라는 단어가 처음 언급된 사례로, 여기서는 '자유'로 번역되었다.[27]

4. 4. 두두의 헌납판

엔테메나 시대 시르풀라의 파테시(Patesi)였던, 닌기르수의 사제 두두의 헌납판. 루브르 박물관.


엔테메나와 관련된 또 다른 유물은 엔테메나 시대 닌기르수를 섬겼던 라가시의 사제 두두의 이름이 새겨진 헌납판이다.[29] 두두는 엔테메나 은제 항아리의 마지막 줄에 새겨진 비문을 통해 엔테메나 시대의 라가시 사제로 알려져 있다.[30] 이 판은 역청으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대부분의 헌납판이 석회암이나 석고로 만들어진 것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다.[29]

이 판에는 다양한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지팡이를 든 카우나케스를 입은 서 있는 남자, 쉬고 있는 암소, 그리고 라가시의 상징인 독수리(안주)가 두 마리의 사자를 움켜쥐고 있는 모습이 그것이다. 특이하게도 이 사자들은 독수리의 날개를 물고 있다.[29] 판의 하단에 있는 상징적인 물결무늬는 물의 흐름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9]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 "엔닌누의 닌기르수를 위해, 닌기르수의 사제 두두는 ... [이 재료를] 가져와 곤봉 받침대로 만들었다."[29] 이 판의 정확한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곤봉 받침대, 사원 벽에 못 박는 판 또는 문 패널 등으로 해석되어 왔다.[29]

4. 5. 기타 유물

300px


엔테메나의 "그물 원통"은 하단에 그물 무늬가 있는 독특한 디자인의 원통 유물이다. 이는 라가시우마 사이의 국경 분쟁을 다룬 두 번째로 알려진 원통이며, 내용은 원뿔 원통과 같다.[16] 현재 예일 바빌로니아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17][18]

이 외에도 엔테메나의 이름이 새겨진 문 소켓이나, 다른 비문에서 엔테메나와 관련된 인물로 언급되는 사제 두두의 명판 등이 유명한 관련 유물이다.

5. 엔테메나에 대한 현대적 평가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The Looting Of The Iraq Museum Baghdad The Lost Legacy Of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2005
[2]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3] 서적 Archaeological History Of The Ancient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4]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UP USA 2018-09-20
[5] 서적 Encyclopedia of gods : over 2,500 deiti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New York : Facts on File 1993
[6] 서적 THE EPONYMOUS OFFICIALS OF GREEK CITIES: I http://www.uni-koeln[...] 1990
[7] 서적 "KING OF KISH" IN PRE-SARGONIC SUMER https://www.jstage.j[...] Orient: The Reports of the Society for Near Eastern Studies in Japan, Volume 17 1981
[8]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9]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10] 서적 Chron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Ancient History 1950
[11] 간행물 Cuneiform Texts and Fragments in the Harvard Art Museum / Arthur M. Sackler Museum https://cdli.ucla.ed[...]
[12] 간행물 Cuneiform Texts and Fragments in the Harvard Art Museum / Arthur M. Sackler Museum https://cdli.ucla.ed[...]
[13] 서적 History & Philology https://www.assyriol[...] Walther Sallaberger & Ingo Schrakamp (eds), Brepols 2015
[14]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018-03-12
[15] 웹사이트 Cone of Enmetena, king of Lagash https://www.louvre.f[...] 2020
[16]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17] 논문 A Net Cylinder of Entemena 1916
[18] 서적 The Anchor Bible Job https://books.google[...] 1965
[19] 서적 The looting of the Iraq Museum, Baghdad: the lost legacy of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2005
[20]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s://cdli.ucla.ed[...]
[21] 뉴스 Kept safe in US, Iraqi royal statue heads home http://www.boston.co[...] Boston Globe 2010-09-07
[22]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23]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24]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25] 서적 Monuments et mémoires publiés par l'Académie des inscriptions et belles-lettres https://archive.org/[...] Paris : E. Leroux 1894
[26]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27] 서적 The lost tradition of biblical debt cancellations https://modernmoneyn[...] Henry George School of Social Science 2023-07-16
[28] 논문 Deux Tablettes Archaïques de Tello 1892
[29] 웹사이트 Perforated plaque of Dudu https://www.louvre.f[...]
[30]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