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가시는 고대 수메르 문명의 도시 국가로,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지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라가시는 수메르 왕명록에 포함되지 않은 라가시 제1왕조 시기에 주변 도시 국가들과 영토 분쟁을 벌였으며, 특히 에안나툼 시대에 세력을 확장했다. 이후 아카드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구티족의 붕괴 이후 구데아 시대에 번성하며 예술적 발전을 이루었다. 라가시는 우르 제3왕조 시대에 멸망했으며, 텔 알-히바가 라가시의 유적지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가시 - 악샤크
악샤크는 수메르 왕 목록에 기록된 고대 도시 국가로, 라가시와의 전투에서 함락되고 움마의 지배를 받았으며, 정확한 위치는 불확실하지만 키시와 기르수 근처로 추정된다. - 라가시 - 기르수
기르수는 현재 이라크 텔로에 위치한 수메르 문명의 도시로, 우바이드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와 라가시 왕국 시대에 번성했고, 구데아 왕 시기에는 라가시 왕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종교 및 행정 중심지로 기능했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적지이다. - 1887년 발굴 - 아마르나 문서
아마르나 문서는 기원전 14세기 중반 이집트 아마르나 지역에서 발견된 아카드어 설형 문자로 쓰인 외교 서신 모음으로, 당시 파라오와 주변 국가 지배자들이 주고받은 국제 관계 및 사회상을 보여주는 역사 자료이며, 특히 아크나톤 통치 시기의 정세와 하비루 세력에 대한 초기 언급을 담고 있다. - 디카르주 - 라르사
라르사는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이신-라르사 시대를 거쳐 독립 왕조를 건설하고 아랍-페르시아 만 무역의 중심지를 차지했으나, 함무라비에게 정복당하고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적지로 남아 있다. - 디카르주 - 기르수
기르수는 현재 이라크 텔로에 위치한 수메르 문명의 도시로, 우바이드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와 라가시 왕국 시대에 번성했고, 구데아 왕 시기에는 라가시 왕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종교 및 행정 중심지로 기능했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적지이다.
라가시 | |
---|---|
지리 정보 | |
위치 | 알샤트라, 지카르 주, 이라크 |
지역 | 메소포타미아 |
면적 | 400 ~ 600 헥타르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알-히바 |
유형 | 도시 국가 |
역사 | |
건설 시기 | 기원전 3천년기 |
시대 | 초기 왕조 시대 사르곤 시대 우르 제3왕조 |
문화 | 수메르 |
폐허 시기 | 알 수 없음 |
고고학 | |
발굴 | 1887년 1968년-1976년 1990년 2019년-현재 |
고고학자 | 로버트 콜데바이 본 E. 크로포드 도널드 P. 한센 |
기타 | |
소유 | 알 수 없음 |
관리 | 알 수 없음 |
접근성 | 알 수 없음 |
2. 역사
라가시의 역사는 수메르 문명의 발전과 함께 한다.
초기 왕조 시대에 라가시는 수메르 지역에서 중요한 도시 국가였다. 텔로에서 발견된 4만여 점의 왕정 문서는 당시 라가시의 번영을 보여준다. 비록 수메르 왕 목록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라가시 제1왕조의 왕들은 건축, 관개 시설 보수, 주변 도시 국가들과의 전쟁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104]
우르-난쉐와 그 후계자들은 움마와 영토 분쟁을 벌였고, 우르, 우루크, 마리, 엘람, 키시 등과도 경쟁했다. 라가시 제1왕조는 우루이님기나 왕 때 루갈자게시에게 정복당했고, 이후 셈족의 악카드 왕국에 복속되었다.[104]
아카드 왕국 멸망 후, 라가시는 우르-바바와 구데아 치하에서 다시 번성하여 수메르 문화와 예술 발전의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구데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발했고, 예술적 발전이 두드러졌다. 그는 스스로를 신격화한 지도자였으며, 그의 조각상은 사실적인 묘사로 유명하다.[104]
셈족 정복 이전 우르-난쉐, 에안나툼, 엔메테나 시대의 작품 중에는 에안나툼의 독수리 석판과 라가시 문장이 새겨진 은제 물병이 유명하다.[104]
구데아 시대 라가시의 수도는 기르수였고, 왕국은 17개의 큰 도시와 8개의 지방 수도, 40여 개의 마을을 포함하여 약 1600km2에 달했다. 라가시는 기원전 2075년에서 2030년 사이에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는 추정도 있다.[104]
구데아 이후 라가시는 정치적 세력을 잃었지만, 카라센에 편입되고 셀레우시드 요새가 건설될 때까지 간접적인 언급만 있을 뿐 중요한 자료는 없다. 텔로에서 발견된 유물은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라가시 유적지에서는 우루크 시대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지만, 본격적인 점유는 고대 왕조 I 시대(기원전 2900-2600년경)에 시작되었다. 고대 왕조 III 시대(기원전 2500-2334년경)에 최대 500ha 면적에 달했으며, 이는 라가시 제1왕조 시기에 해당한다.[5] 라가시는 아카드 제국, 우르 제3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이신-라르사와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에도 약간의 점유가 있었다.[6] 그 후 기원전 2세기에 셀레우코스 제국 요새가 건설될 때까지 버려졌다.[7]
라가시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고고학 유적지 중 하나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3.5km, 동쪽에서 서쪽으로 1.5km이며 최대 6m 높이로 평원 수준보다 비교적 낮다. 오래된 지역의 대부분은 현재 지하수면에 잠겨 연구가 불가능하다. 드론 조사를 통해 라가시가 일부 출입구가 있는 4개의 늪 섬에서 발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3] 이 도시는 늪을 기반으로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74] 유적지는 둔덕을 가로지르는 운하/강의 바닥에 의해 나뉘어져 있다. 이 유적지는 1887년 로베르트 콜데바이에 의해 6주 동안 처음 발굴되었다.[75]
1953년 토르킬드 야콥센과 푸아드 사파르가 이 지역을 조사하는 동안 라가시로 확인되는 첫 번째 증거를 발견했다.[77] 알-히바와 텔로 지역의 주요 정치는 이전에 ŠIR.BUR.LA('''''Shirpurla''''')로 확인되었다.[78]
텔 알-히바는 1968년부터 1976년까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뉴욕 대학교 미술 연구소의 팀에 의해 5시즌 동안 다시 탐사되었다. 12개의 고고학적 층이 발견되었으며, 가장 아래 9개 층은 초기 왕조 시대였고 가장 아래 층은 지하수면 아래에 있었다. 주요 초점은 이난나의 사원 입갈과 닌기르수의 사원 바가라, 그리고 관련 행정 구역을 발굴하는 것이었다.[79][80][81][82] 1990년에 D. P. 한센이 이끄는 6번째 발굴이 있었다. 닌기르수의 바가라 사원도 작업되었다. 두 사원 모두 초기 왕조 시대 3기 왕인 에안나툼에 의해 건설되었다. 가툼다그, 난셰, 바우 여신을 위한 사원이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운하는 기르수의 닌기르수 사원 E-닌누, 니긴의 난셰 사원 E-시라라, 라가시의 바가라 사원을 연결했는데, 이 세 도시는 하나의 대규모 국가의 일부였다.[83][84][85] 1984년 표면 조사를 통해 대부분의 유물이 초기 왕조 시대 3기에서 나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우루크, 젬데트 나스르, 이신-라르사, 고 바빌론, 카시트 조각의 소량이 고립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86]
2019년 3월에서 4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펜 박물관의 홀리 피트만 박사가 지휘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피사 대학교의 사라 피치멘티와 협력하여 라가시 고고학 프로젝트[87]로 현장 작업이 재개되었다. 2021년, 2022년에 추가적인 작업이 진행되었다.[88] 이 작업은 주로 초기 왕조 시대 구역 G와 구역 H의 위치와 지구물리학적 조사 및 지구고고학을 포함했다. 주요 초점은 산업 지역과 관련 거리, 주거지 및 가마였다. 라가시에 대한 항공 매핑은 UAV 드론 매핑과 위성 이미지를 모두 사용하여 수행되었다.[89] 2022년 가을, 4번째 발굴 시즌이 재개되었다. 발견된 것 중에는 오븐, 냉장 시스템, 벤치, 다수의 그릇과 비커가 있는 대중 식당이 있었다.[90][91][92][93]
역사 시대에 들어가기 전부터 라가시에는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2. 1.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3000년 ~ 기원전 2300년경)
텔로에서 발견된 40,000여 점의 왕정 문서에 따르면, 라가시는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였다. 수메르 왕 목록에는 없지만, 라가시 제1왕조의 왕들은 건물을 짓고 관개시설을 보수하며 주위 도시 국가들과 전쟁을 벌였다.[104]우르-난쉐와 그 후계자들은 움마와 영토 분쟁을 벌였고, 우르, 우루크, 마리, 엘람, 키시 등과도 경쟁했다. 라가시 제1왕조는 우루이님기나 왕 때 루갈자게시에게 정복당했고, 이후 셈족의 악카드 왕국에 복속되었다.[104]
악카드 왕국 멸망 후 라가시는 다시 번영하여 수메르 문화와 예술 발전의 중심지가 되었다. 우르-바바와 구데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발했고, 특히 구데아는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그는 스스로를 신격화한 지도자였으며, 그의 조각상은 사실적인 묘사로 유명하다.
셈족 정복 이전, 우르-난쉐, 에안나툼, 엔메테나 시대의 작품 중에는 에안나툼의 독수리 석판과 라가시 문장이 새겨진 은제 물병이 유명하다.[104]
구데아 시대 라가시의 수도는 기르수였고, 왕국은 17개의 큰 도시와 8개의 지방 수도, 40여 개의 마을을 포함하여 약 1600km2에 달했다. 라가시는 기원전 2075년에서 2030년 사이에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다는 추정도 있다.
구데아 이후 라가시는 정치적 세력을 잃었지만, 카라센에 편입되고 셀레우시드 요새가 건설될 때까지 간접적인 언급만 있을 뿐 중요한 자료는 없다. 텔로에서 발견된 유물은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라가시 유적지에서는 우루크 시대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지만, 본격적인 점유는 고대 왕조 I 시대(기원전 2900-2600년경)에 시작되었다. 고대 왕조 III 시대(기원전 2500-2334년경)에 최대 500ha 면적에 달했으며, 이는 라가시 제1왕조 시기에 해당한다.[5] 라가시는 아카드 제국, 우르 제3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이신-라르사와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에도 약간의 점유가 있었다.[6] 그 후 기원전 2세기에 셀레우코스 제국 요새가 건설될 때까지 버려졌다.[7]
역사 시대 이전부터 라가시에 사람이 살았고,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라가시 제1왕조(기원전 26세기경 - 기원전 24세기경) 하에서 최성기를 맞았다. 라가시 제1왕조는 수메르 왕 목록에는 없지만, 유적을 통해 유력한 국가였음을 알 수 있다. 이신-라르사 시대에는 수메르 왕 목록을 모방한 라가시 왕 목록이 작성되었다.
2. 1. 1. 라가시 제1왕조 (기원전 2520년 ~ 기원전 2260년경)


텔로에서 발견된 40,000여 점의 왕정문서에 따르면, 라가시 제1왕조는 수메르 왕명록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여러 유적과 기록을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된다.[104] 우르난쉐(Ur-Nanshe)와 그의 후계자들은 주위 도시국가들, 특히 움마와 영토분쟁을 벌였다.[104]
라가시 왕조는 초기 왕조 시대의 강대국이자 수 세기 동안 주요 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수메르 왕 명단''(SKL)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후기 구 바빌로니아 시대의 한 점토판인 ''라가시의 통치자들''은 SKL의 풍자적인 패러디로 간주된다.[8][9]
라가시의 처음 두 통치자인 엔-헤갈과 루갈샤엥구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엔-헤갈의 이름이 적힌 점토판에는 그가 토지를 매입하는 사업 거래가 묘사되어 있다.[10]
우르-난셰의 재위 기간에 대해서는 여러 비문이 발견되었으며, 우르에서 발견된 비문은 그가 움마와의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주장한다.[14] 그는 "구-니.두의 아들"로 묘사되며, 그의 비문에는 여러 아들과 딸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15] 그의 아들 아쿠르갈이 그의 뒤를 이었다.[16]
에안나툼은 아쿠르갈의 아들이자 우르-난셰의 손자로, 라가시를 메소포타미아의 주요 세력으로 만들었다. 그는 페르시아만의 우루아즈를 점령하고, 마리까지 조공을 요구했다. 그러나 그가 정복한 많은 왕국들은 종종 반란을 일으켰다.[19]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딜문은 주요 무역 파트너였다.[21]

루갈샤엥구르 시대부터 라가시와 움마 사이에 오랜 국경 분쟁이 있었다.[22] 움마 통치자 메실림 시대에 공식적인 국경이 설정되었고, 에안나툼은 메실림의 경계 표지를 복원했다.
기원전 2450년경, 라가시와 움마는 비옥한 구에데나 지역을 둘러싼 국경 분쟁으로 갈등을 겪었다. 독수리 비석에 묘사된 바와 같이, 에안나툼은 군대를 이끌고 움마를 정복했다.[25] 라가시 군대는 밀집된 팔랑크스 대형으로 움마 군대를 격파했다. 이 전투는 알려진 가장 초기에 조직된 전투 중 하나이다.[27]
에안나툼은 그의 형제인 엔-안나-툼 1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엔-안나-툼 1세 통치 기간에는 움마와의 갈등이 계속되었다. 움마 측의 갈등은 통치자 우르-룸마로부터 비롯되었다.
엔메테나 왕 시대에는 움마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라가시 제1왕조 마지막 왕 우루이님기나는 루갈자게시에게 정복당했다. 이후 수메르 지방 전체가 셈족에게 정복당하고, 악카드 왕국의 사르곤과 그 후계자들의 속국이 된다.[104]
우루이님기나는 쿠데타로 왕위를 찬탈했지만, 라가시 지배자들의 부정부패를 규탄하고 약자 보호를 위한 개혁을 주장하는 비문을 남겼다. 이는 정치적 정통성을 위한 선언으로 여겨지지만, 약자 구제 개념을 보여주는 오래된 문헌으로서 중요하다.
우루이님기나 치세에 루갈자게시가 라가시를 정복하고 신전과 궁전을 불태우는 등 대규모 약탈을 감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2. 2. 아카드 제국 시대 (기원전 2300년 ~ 기원전 2100년경)
아카드의 사르곤은 우루크를 정복하고 파괴한 후 우르와 에-닌마르를 정복하고 라가시에서 바다에 이르는 영토를 황폐화시켰으며, 움마를 정복하고 파괴하고 마리와 엘람에서 조공을 받았다. 그는 총 34개 도시에서 승리했다.[39]사르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리무쉬는 광범위한 반란에 직면하여 반란을 일으킨 ''엔시''로부터 우르, 움마, 아다브, 라가시, 데르, 카잘루 도시를 다시 정복해야 했다.[40]
리무쉬는 수메르 도시 국가의 대량 학살과 대규모 파괴를 자행했으며, 자신의 파괴 행위에 대한 세심한 기록을 유지했다.[40] 대부분의 주요 수메르 도시가 파괴되었고, 수메르의 인명 피해는 막대했다. 우르와 라가시 도시의 경우, 그는 8,049명이 사망하고, 5,460명이 "사로잡혀 노예가 되었으며", 5,985명이 "추방되어 전멸"했다고 기록했다.[40][41]
루브르 박물관 AO 2678에 소장된 여러 조각(총 3개)으로 된 승리비는 양식과 금석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리무쉬의 것으로 추정된다.[42] 조각 중 하나에는 아카드와 라가시가 언급되어 있다.[43] 이 비석은 아카드 군대에 의한 라가시의 패배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44] 이 비석은 라가시 영토의 주요 도시 중 하나인 고대 기르수에서 발굴되었다.[43]
thumb 루갈자게시의 정복 이후, 라가시 시는 반쯤 버려지고 쇠퇴했지만, 라가시 왕국의 정치적 틀 자체는 기르수를 중심으로 존속했으며, 속왕으로서 라가시 왕의 계통도 (혈연은 불분명하지만) 남아있었다고 생각된다. 아카드 왕조 시대에는 라가시 왕 키쿠이드가 아카드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것이 기록되어 있다 ('''라가시 제2왕조'''). 키쿠이드의 반란은 진압되었지만, 구티인의 침입으로 아카드가 약화되자, 라가시는 다시 독립을 되찾았다.
2. 3. 라가시 제2왕조 (기원전 2260년 ~ 기원전 2023년경)
아카드 왕국이 멸망한 후, 라가시는 우르바바와 구데아 왕의 통치 아래 다시 번성하여, 먼 지역까지 무역을 활발히 하였다. 특히 구데아 왕은 예술적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그의 조각상들은 이전에는 찾을 수 없는 실물 위주의 현실주의로 표현되었다.[104] 구데아 이후에도 라가시는 계속 사람들이 거주했으나, 정치적인 세력은 잃은 것으로 보인다.라가시 제2왕조의 군주와 재위 기간은 다음과 같다.
군주 | 재위 | 비고 |
---|---|---|
키쿠이드 | ||
엔길사 | ||
우르아 | ||
루갈우슘갈 | ||
푸제르마마 | 샤르-칼리-샤리와 동시대 | |
우르우투 | ||
우르마마 | ||
루바바 | ||
루갈라 | ||
카쿠 또는 카국 | ||
우르바우 또는 우르바바 | 기원전 2093년 ~ 기원전 2080년 | |
구데아 | 기원전 2080년 ~ 기원전 2060년 | 우르바바의 사위 |
우르닌기르수 | 기원전 2060년 ~ 기원전 2055년 | 구데아의 아들 |
피리그메 or 우그메 | 기원전 2055년 ~ 기원전 2053년 | |
우르가르 | 기원전 2053년 ~ 기원전 2049년 | |
남마하니 | 기원전 2049년 ~ 기원전 2046년 | 카쿠의 손자, 우르남무에 패함 |
2. 3. 1. 구데아 왕 시대
구티인이 아카드 제국 멸망으로 생긴 권력 공백을 부분적으로 메우는 동안, 구데아 시대의 라가시는 부와 권력으로 특징되는 독립 시대를 맞이했다.[55] 구데아는 아마누스와 시리아의 레바논 산맥에서 삼나무를, 아라비아 동부로부터 섬록암을, 중부와 남부 아라비아와 시나이로부터 구리와 금을 들여왔고, 그의 군대는 동쪽의 엘람과 전투를 벌였다.[104]그의 치세는 특히 예술적 발전이 두드러졌다. 구데아는 사르곤 이후에 스스로를 신격화한 첫 번째 지도자였다. 수메르 여러 사원들에서 발견되는 그의 조각상들은 이전에는 찾을 수 없는 실물 위주의 현실주의로 표현되어 있어 젊고 독실한 신앙을 가진 지도자의 얼굴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그의 동상들은 앉거나 선 자세로 신에게 기도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구데아는 당시 예술적 발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생김새를 수천년 후세에게까지 알리고자 하는 바램을 성취하였다. 당시 평민들은 스스로 조각상을 만들 만한 권위를 갖지 못했다.[104]
구데아 왕 때 라가시의 수도는 기르수(텔로)였다. 왕국의 영토는 대략 1600km2에 달하였고, 17개의 큰 도시들과, 여덟 개의 지방수도, 많은 마을들(이름이 알려진 것만 40개정도 된다.)을 포함하였다.[104] 한 추정에 따르면, 라가시는 기원전 2075년부터 2030년 사이에 가장 거대한 도시였다.[104]

그는 사찰 건축과 복원에 능했다.[60] 그는 동쪽으로 안샨과 엘람을 상대로 군사 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1][62] 구데아의 연호 20개가 알려져 있는데, 운하 건설을 기념하는 연호와 6년 차 "안잔 도시가 무기로 쳐부서진 해"를 제외하면 모두 종교적 성격을 띤다.[63]
2. 4. 우르 제3왕조 시대 (기원전 2100년 ~ 기원전 2000년경)
구티 왕조 시대에 라가시는 군소 국가 중 하나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우르 제3왕조와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마지막 왕 난마하니는 우르남무에게 살해당했다.[67] 우르 지배 하의 라가시 주(라가시, 기르수, 니긴)는 제국에서 가장 크고 번영한 지역 중 하나였다. 제국 내 두 번째로 높은 관직인 대재상이 라가시에 거주할 정도였다.[68][69][70][71] 우르 시대 라가시 총독 중 한 명으로 이르-난나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 마지막 우르 3세 통치자 이비-신의 치세 5년 이후, 그의 연호가 더 이상 라가시에서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우르가 더 이상 그 도시를 통제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72] 라가시 왕국의 수도 기르수는 라가시가 독립을 잃은 후 쇠퇴하였다. 한때 버려졌던 라가시 시는 이신-라르사 시대 이후 어느 정도 부흥을 보았지만, 이후 라가시가 다시 유력 세력으로 부상하지는 않았다.3. 유적
현대 이라크 남부의 텔 알-히바 유적이 고대 라가시의 위치로 확인되었다. 이 지역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약 3.5km, 동쪽에서 서쪽으로 1.5km이며 최대 6m 높이로 평원 수준보다 비교적 낮다. 오래된 지역의 대부분은 현재 지하수면에 잠겨 연구가 불가능하다. 드론 조사를 통해 라가시가 일부 출입구가 있는 4개의 늪 섬에서 발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3] 면적은 400ha 에서 600ha로 추정된다. 유적지는 둔덕을 가로지르는 운하/강의 바닥에 의해 나뉘어져 있다.
라가시 유적지에서는 표면 조사를 통해 일부 우루크 시대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지만, 라가시 부지에 대한 상당한 점유는 기원전 3천 년 초, 고대 왕조 I 시대 (기원전 2900-2600년경)에 시작되었다. 표면 조사와 발굴 결과에 따르면, 약 500 헥타르 면적의 최고 점유는 고대 왕조 III 시대 (기원전 2500-2334년경)에 이루어졌다. 이는 현재 라가시 제1왕조라고 불리는 시기에 해당한다.[5]
3. 1. 발굴
19세기부터 라가시에 대한 발굴 조사가 시작되어, 수많은 유물과 기록이 발견되었다.[75] 텔로에서 라가시 왕의 비문 다수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한때는 텔로 유적이 라가시 시로 추정되었으나, 현재는 텔로 유적이 고대 ĝir₂-su|기르수sux이며, 도시 라가시는 현대의 텔 알-히바였음이 확인되었다. 국가 라가시의 수도가 기르수에 있었던 시대가 길었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다.텔 알-히바는 1887년 로베르트 콜데바이에 의해 6주 동안 처음 발굴되었다.[75] 1953년 토르킬드 야콥센과 푸아드 사파르가 이 지역을 조사하는 동안 라가시로 확인되는 첫 번째 증거를 발견했다.[77]
1968년부터 1976년까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뉴욕 대학교 미술 연구소의 팀에 의해 5시즌 동안 다시 탐사되었다. 본 E. 크로포드, 도널드 P. 한센, 로버트 D. 빅스가 팀을 이끌었다. 주요 초점은 이난나의 사원 입갈과 닌기르수의 사원 바가라, 그리고 관련 행정 구역을 발굴하는 것이었다.[79][80][81][82] 1990년에 D. P. 한센이 이끄는 6번째이자 마지막 발굴 시즌을 위해 팀이 돌아왔다. 이 작업은 주로 아직 발굴되지 않은 도시 남서쪽 가장자리에 있는 여신 이난나의 사원 입갈에 인접한 지역을 포함했다. 닌기르수의 바가라 사원도 작업되었다. 두 사원 모두 초기 왕조 시대 3기 왕인 에안나툼에 의해 건설되었다.[83]
2019년 3월부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펜 박물관의 홀리 피트만 박사가 지휘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피사 대학교의 사라 피치멘티와 협력하여 라가시 고고학 프로젝트[87]로 현장 작업이 재개되었다. 주요 초점은 산업 지역과 관련 거리, 주거지 및 가마였다. 라가시에 대한 항공 매핑은 UAV 드론 매핑과 위성 이미지를 모두 사용하여 수행되었다.[89] 2022년 가을, 4번째 발굴 시즌이 재개되었다. 발견된 것 중에는 오븐, 냉장 시스템, 벤치, 다수의 그릇과 비커가 있는 대중 식당이 있었다.[90][91][92][93]
3. 2. 주요 유적
우르-난쉐, 에안나툼, 엔메테나 등이 다스리던 시절 라가시의 작품 중 일부는 돋보인다. 특히 에안나툼의 독수리 석판(전쟁에 나선 군사들과 왕의 모습 묘사)과 라가시의 문장이 새겨진 은제 물병(날개를 펼치고 발톱으로 사자를 쥐고 있는 사자머리 독수리)이 유명하다.[104]텔로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현재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에 바빌로니아 유물들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4. 통치자 목록
라가시 유적에서는 우루크 시대 토기 조각이 일부 발견되었지만, 본격적인 점유는 기원전 3천 년 초, 고대 왕조 I 시대(기원전 2900-2600년경)에 시작되었다.[5] 라가시는 아카드 제국의 지배를 받기 전, 고대 왕조 III 시대(기원전 2500-2334년경)에 약 500 헥타르 면적에 달하는 최대 전성기를 누렸으며, 이 시기를 라가시 제1왕조라고 부른다.[5] 아카드 제국 멸망 후 라가시는 제2왕조 시기에 독립 세력으로 부활했다가 우르 제3왕조에 복속되었다. 우르 제3왕조 멸망 이후에는 이신-라르사와 고(古) 바빌로니아 시대에 잠시 점유되었다가,[6] 기원전 2세기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 요새가 건설될 때까지 버려졌다.[7]
''수메르 왕 목록''에는 라가시 제1왕조가 기록되지 않았지만, 초기 왕조 III 시대의 다른 왕조들과 동시대 비문에서 언급된다. 다음은 라가시 통치자 목록이다.
초상화 또는 비문 | 통치자 | 통치 연도 및 기간 | 주석 |
---|---|---|---|
초기 왕조 IIIa 시대 () | |||
선왕조 라가시 () | |||
![]() | (엔-헤갈) | (MC) | |
-- | (루갈상구르) | (MC) | |
초상화 또는 비문 | 통치자 | 통치 연도 및 기간 (MC) | 주석 |
초기 왕조 IIIb 시대 () | |||
라가시 제1왕조 () | |||
![]() | 우르-난셰 (우르-니나) | (MC) | |
![]() | 아쿠르갈 | (MC) (9년) | |
에안나툼 | (MC) (27년) | ||
![]() | 에안나툼 1세 | (MC) (4년) | |
![]() | 엔테메나 | (MC) (27년) | |
![]() | 에안나툼 2세 | (MC) (5년) | |
![]() | 에넨타르지 | (MC) (5년) | |
![]() | 루갈란다 | (MC) (6년 1개월) | |
원-제국 시대 () | |||
![]() | 우루카기나 | (MC) (11년) | |
메지 | 불확실; 원-제국 시대 통치 추정[101] | ||
키투시 | |||
초상화 또는 비문 | 통치자 | 통치 연도 및 기간 | 주석 |
아카드 시대 () | |||
라가시 제2왕조 () | |||
키-쿠-이드 | (MC) | ||
엥길사 | (MC) | ||
우르-A | (MC) | ||
![]() | (루갈-우슈움갈) | (MC) | |
(푸제르-마마) | 불확실; 아카드 시대 통치 추정 | ||
우르-닌기르수 1세[102] | |||
우르-마마 | |||
우르-우투 | |||
루-바바[102] | |||
루굴라[102] | |||
카쿠[102] | |||
![]() | 우르-바바 | (MC) | |
구티 시대 () | |||
구데아 | (MC) | ||
![]() | 우르-닌기르수 2세 | (MC) | |
피리그-메 | (MC) | ||
우르-가르 | (MC) | ||
우르 3 왕조 시대 () | |||
![]() | 남-마하니 | (MC) | |
우르-닌수나 | (MC) | ||
우르-니키마라 | (MC) | ||
루-키릴라자 | (MC) | ||
이르-난나 | (MC) |
역사 시대 이전부터 라가시에는 사람들이 거주했다.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 라가시 제1왕조(기원전 26세기경 - 기원전 24세기경) 하에서 최성기를 맞이했다. 라가시 제1왕조 왕들은 수메르 왕 목록에 기재되지 않았지만, 유적을 통해 라가시가 유력한 국가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신-라르사 시대에는 수메르 왕 목록 형식을 모방한 라가시 왕 목록(라가시 왕 목록)이 작성되었다.
4. 1. 라가시 제1왕조
텔로에서 발견된 40,000 여점의 왕정문서에 따르면, 라가시 제1왕조는 수메르 지역에서 기원전 3000년경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도시였다. 수메르 왕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라가시 제1왕조에 속한 왕들은 건물을 짓고, 관개시설을 보수하며, 주위 도시국가들과 전쟁을 하였다.[104]우르-난쉐(Ur-Nanshe 혹은 Ur-Nina)(기원전 2400년경)와 그의 후계자들은 주위 수메르 도시국가들 특히 움마(Umma)와 영토분쟁이 있었으며, 우르(Ur), 우룩(Uruk), 마리(Mari), 동쪽의 엘람인들, 북쪽의 ''수바르투''(Subartu)와 키시의 왕들과 겨루었다.[104]
라가시 제1왕조 마지막 왕 우루이님기나(혹은 우르카기나)는 움마의 루갈자게시에게 정복당했다.[104]
셈족에 의해 정복되기 전, ''우르-난쉐''(Ur-Nanshe), ''에안나툼''(Eannatum), ''엔메테나''(Enmetena) 등이 다스리던 시절의 일부 작품들은 아주 인상적이다. 특히 전쟁에 나선 군사들과 왕의 모습이 남아있는 에안나툼의 독수리 석판과, 라가시의 문장(紋章)-날개를 펼치고, 발톱으로 사자를 쥐고 있는, 사자머리 독수리-이 새겨진 거대한 은제 물병이 유명하다.[104]
라가시의 왕조는 초기 왕조 시대의 강대국이자 수 세기 동안 주요 도시였음에도 불구하고 ''수메르 왕 명단''(SKL)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후기 구 바빌로니아 시대의 한 점토판, 즉 ''라가시의 통치자들''은 번역자에 의해 "다소 공상적"이라고 묘사되었으며 일반적으로 SKL의 풍자적인 패러디로 간주된다. SKL의 스타일로, 믿기 어려운 통치 기간을 가진 30명의 나열된 통치자에는 우르-난셰, "아네-툼", 엔-엔타르-지드, 우르-닝기르수, 우르-바우, 그리고 구데아를 포함하여 라가시 제1왕조의 알려진 일곱 명의 통치자가 포함되어 있다.[8][9]
라가시의 처음 두 통치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엔-헤갈은 라가시의 첫 번째 통치자로 여겨진다. 그의 이름이 적힌 점토판에는 그가 토지를 매입하는 사업 거래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엔-헤갈 왕일 가능성이 있다.[10] 그의 지위와 연대는 모두 논쟁의 대상이다.[11] 그는 루갈샤엥구르의 뒤를 이었는데, 그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12] 자신이 키시의 왕이라고 칭했지만 어느 도시 출신인지는 불확실한 메실림은 곤봉 머리에 루갈샤엥구르를 라가시의 "엔시"로 지칭했다.[13]
많은 정보가 부족한 다음 통치자, 우르-난셰의 재위 기간에 대해서는 여러 비문이 발견되었으며, 대부분 라가시에 있었고, 우르에서 발견된 비문은 그가 움마와 함께 전투에서 정복했다고 주장했다.[14] 거의 모든 비문은 사원 건축에 관한 것으로, 그중 하나는 그가 "아모리족에 맞서 살라(Sa[la])/ 살(S[al]) 수로 옆에 서쪽 수로를 건설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구-니.두의 아들"(때로는 "구르:사르의 아들"이라고도 함)로 묘사되며, 그의 비문에는 여러 아들과 딸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15] 여러 비문은 "그는 딜문(Dilmun)의 배가 (라가시에) 조공으로 [목재]를 바치도록 했다"고 말한다. 그의 아들 아쿠르갈이 그의 뒤를 이어 잠시 통치했다.[16]
다음 통치자, 에안나툼(이전에는 "에안나두"라고 불림)은 아쿠르갈의 아들이자 우르-난셰의 손자였으며, 라가시를 메소포타미아의 넓은 지역과 동쪽까지 뻗어나가는 주요 세력으로 만들었다. 고대 아다브에서 발견된 비문이 있다.
또 다른 비문에는 "키쉬, 아크삭, 마리를 안타수르라는 장소에서" 파괴한 내용이 상세히 적혀 있다. 그는 또한 아크샥 도시를 점령하고 그 왕 주주를 죽였다고 주장했다.[18] 에안나툼은 페르시아만에 있는 우루아즈 도시를 점령했으며, 마리까지 조공을 요구했다. 그러나 그가 정복한 많은 왕국들은 종종 반란을 일으켰다.[19]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라가시와 다른 곳에서 사원과 궁전이 수리되거나 세워졌으며, 운하와 저수지가 발굴되었다.[20]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딜문은 주요 무역 파트너였다.[21]
루갈샤앵구르 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국경 분쟁이 움마와 라가시 사이에서 있었다.[22] 움마의 통치자 메실림 시대에 공식적인 국경이 설정되었다. 에안나툼은 메실림의 경계 표지를 포함하여 국경을 복원했다.
기원전 2450년경, 라가시와 인접 도시인 움마는 그들 사이에 있는 비옥한 지역인 구에데나를 둘러싼 국경 분쟁으로 서로 갈등을 겪었다. 단편 7개만 발견된 독수리 비석에 묘사된 바와 같이, 라가시의 현 왕인 에안나툼은 그의 도시의 수호신인 닌기르수에게 영감을 받아 그의 군대와 함께 인근 도시를 정복하기 위해 나섰다.[25] 비석의 조각에 따르면, 양측이 들판에서 만났을 때 에안나툼은 전차에서 내려 자신의 군대를 직접 지휘했다. 창을 내린 후, 라가시 군대는 밀집된 팔랑크스 대형으로 움마 군대를 향해 진격했다.[26] 짧은 충돌 후, 에안나툼과 그의 군대는 움마 군대에 승리했다. 이 전투는 학자들과 역사학자들에게 알려진 가장 초기에 조직된 전투 중 하나이다.[27]
에안나툼은 그의 형제인 엔-안나-툼 1세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많은 비문이 남아 있어 어느 정도 기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의 대부분은 일반적인 사원 건축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긴 토판에는 움마와의 지속적인 갈등이 묘사되어 있다.
움마 측의 갈등은 통치자 우르-룸마로부터 비롯되었다.
엔메테나는 엔-안나-툼 1세의 아들로 왕위를 계승했다.
엔메테나 다음으로 에안나툼 2세, 에니타르지, 루갈안다를 거쳐 우루이님기나(우루카기나)가 라가시의 왕이 되었다.
우루이님기나 왕은 이 왕조의 마지막 왕이다. 그는 쿠데타로 왕위를 찬탈한 인물로 여겨지지만, 라가시 지배자들의 부정과 관료의 부패를 규탄하고, 약자를 착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기생충 같은 관료를 제거하고, 세금 부담을 경감했다고 주장하는 비문을 남겼다. 이는 왕위를 얻은 그가 정치적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선언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약자 구제의 개념을 보여주는 오래된 문헌으로서 중요하다.
그러나 우루이님기나의 치세에, 숙적 움마의 왕 루갈자게시가 급격히 세력을 확장했다. 루갈자게시는 후에 전 수메르를 지배하는 인물이지만, 라가시는 그의 초기 정복 목표가 되었다. 동시대 기록에는 루갈자게시가 라가시를 정복하고, 신전과 궁전을 불태우고 대규모 약탈을 감행한 것이 기록되어 있으며, 루갈자게시에 대한 증오가 묘사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이 기록은 라가시 측 인물에 의해 남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라가시 제 1왕조의 왕 목록이다.
이름 | 비고 |
---|---|
엔헨갈 | 신화적인 왕 |
루갈샤겐슈르 | 신화적인 왕 |
우르난쉐 | 우르니나라고도 하며, 그부터 엔안나툼 2세까지를 우르난셰 왕조라고도 한다. |
아쿨갈 | |
에안나툼 | |
엔안나툼 1세 | |
엔메테나 | |
엔안나툼 2세 | |
엔에탈지 | |
루갈안다 | |
우루이님기나 | 우루카기나 |
4. 2. 라가시 제2왕조
구티인이 아카드 제국 멸망으로 생긴 권력 공백을 부분적으로 메우는 동안, 구데아 시대의 라가시는 부와 권력으로 특징되는 독립 시대를 맞이했다.[55] 구데아는 사르곤 이후에 스스로를 신격화한 첫 번째 지도자였다.[104]
셈족에 의해 정복되기 전, 우르난쉐, 에안나툼, 엔메테나 등이 다스리던 시절의 일부 작품들은 아주 인상적이다.[104] 특히 전쟁에 나선 군사들과 왕의 모습이 남아있는 에안나툼의 독수리 석판과, 라가시의 문장(紋章)-날개를 펼치고, 발톱으로 사자를 쥐고 있는, 사자머리 독수리-이 새겨진 거대한 은제 물병이 유명하다.[104]
구데아왕 때 '''라가시'''의 수도는 기르수(텔로)였다. 왕국의 영토는 대략 1600km2에 달하였고, 17개의 큰 도시들과, 여덟 개의 지방수도, 많은 마을들(이름이 알려진 것만 40개정도 된다.)을 포함하였다. 한 추정에 따르면, '''라가시'''는 기원전 2075년부터 2030년 사이에 가장 거대한 도시였다.
'''구데아''' 이후에도 '''라가시'''에는 계속해서 사람들이 거주했으나 정치적인 세력은 잃은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이후 그리스 왕국 카라센(Characene)에 편입되고, 그 위에 셀레우시드(Seleucid 또는 '''셀리우키아''') 요새가 건설될 때까지는 라가시를 간접적으로 언급하는 자료들 이외에는 중요한 자료를 찾을 수 없다.
라가시 제2왕조의 군주와 재위 기간은 다음과 같다.
군주 | 재위 (기원전) | 비고 |
---|---|---|
키쿠이드 | ||
엔길사 | ||
우르아 | ||
루갈우슘갈 | ||
푸제르마마 | 샤르-칼리-샤리와 동시대 | |
우르우투 | ||
우르마마 | ||
루바바 | ||
루갈라 | ||
카쿠 또는 카국 | ||
우르바우 또는 우르바바 | 2093 - 2080 | |
구데아 | 2080 - 2060 | 우르바바의 사위 |
우르닌기르수 | 2060 - 2055 | 구데아의 왕자 |
피리그메 또는 우그메 | 2055 - 2053 | |
우르가르 | 2053 - 2049 | |
남마하니 | 2049 - 2046 | 카쿠의 손자, 우르남무에 패함 |
5. 평가
라가시는 수메르 문명의 발전과 쇠퇴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도시 국가였다. 잦은 전쟁과 지배 세력 교체는 고대 사회의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우루이님기나 왕의 사회 개혁 시도는 이상적인 사회를 향한 열망을 보여주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이는 개혁의 어려움과 한계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우루이님기나는 쿠데타로 왕위에 오른 인물로, 라가시 지배자들과 관료들의 부패를 비판하고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세금 부담을 줄이고 부패한 관료를 제거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주장은 왕위를 획득한 그의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언으로 볼 수 있지만, 약자 구제의 개념을 보여주는 오래된 문헌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1]
그러나 우루이님기나 왕의 통치 기간에 라가시의 숙적이었던 움마의 왕 루갈자게시가 세력을 확장했다. 루갈자게시는 라가시를 정복하고 신전과 궁전을 불태웠으며, 대규모 약탈을 자행했다. 당시 기록에는 루갈자게시에 대한 증오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이 기록이 라가시 측 인물에 의해 작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ETCSLsearch
http://etcsl.orinst.[...]
2016-11-21
[2]
웹사이트
The Pennsylvania Sumerian Dictionary.
http://psd.museum.up[...]
Accessed
2010-12-19
[3]
웹사이트
ePSD: lagaš[storehouse]
http://psd.museum.up[...]
2016-11-21
[4]
서적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Ozymandias Press
2018
[5]
간행물
Dense urbanism and economic multi-centrism at third-millennium BC Lagash
https://www.cambridg[...]
Antiquity
2023
[6]
논문
Kaku of Ur and Kaku of Lagash
https://www.jstor.or[...]
1984
[7]
간행물
Sumerian Diorite Head: Purchased from the Francis Bartlett Donation of 1912
https://www.jstor.or[...]
Bulletin of the Museum of Fine Arts
1927
[8]
논문
The Rulers of Lagaš.
1967
[9]
웹사이트
The rulers of Lagaš
http://etcsl.orinst.[...]
2003-06-01
[10]
간행물
Sumerian Business and Administrative Documents
https://archive.org/[...]
Philadelphia University
1915
[11]
웹사이트
Enhegal
https://cdli.ox.ac.u[...]
2010-01-14
[12]
간행물
King of Kish" in Pre-Sargonic Sumer
https://www.jstage.j[...]
Orient
1981
[13]
문서
Royal Inscriptions of Mesopotamia: Early Periods
RIME 1.08
2007
[14]
문서
Urnanshe’s Family and the Evolution of Its Inside Relationships as Shown by Images
La famille dans le Proche-Orient ancien: réalités, symbolismes et images: Proceedings of the 55e Rencontre Assyriologique Internationale, Paris, edited by Lionel Marti, University Park, USA: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4
[15]
논문
Ur-Nanshe’s Diorite Plaque
1985
[16]
서적
Laga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17]
간행물
Bismaya: Recovering the Lost City of Adab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138, Chicago, Ill, Univ. of Chicago Press
2012
[18]
논문
Eannatum and the Kings of Adab
1977
[19]
서적
The Elamite World
Routledge
2018-01-29
[20]
논문
On Some Early Dynastic Lagaš Temples
2014
[21]
서적
Early City-Sta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22]
간행물
The Umma-Lagash Border Conflict: A View from Above
https://oi.u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021
[23]
문서
Reconstructing History from Ancient Inscriptions:The Lagash-Umma Border Conflict
Sources from the Ancient Near East 2/1; Malibu, CA: Undena
1983
[24]
뉴스
Vase of Lugalzagezi
https://research.bri[...]
British Museum
[25]
논문
After the Battle Is Over: The ‘Stele of the Vultures’ and the Beginning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e Art of the Ancient Near East
1985
[26]
논문
Images and Text on the ‘Stele of the Vultures.’
2003
[27]
서적
Battle
Dorling Kindersley Limited
[28]
문서
Sumerian and Akkadian Royal Inscriptions, I. Presargonic Inscriptions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Translation Series 1, New Haven: American Oriental Society
1986
[29]
논문
A Net Cylinder of Entemena
1916
[30]
논문
A New Inscription of Entemena
1931
[31]
논문
Entemena : A New Incident
1930
[32]
문서
Die Reformtexte Urukaginas
Or. 2
1920
[33]
논문
A New Lagaš Text Bearing on Uruinimgina’s Reforms
1994
[34]
논문
La guerre entre Urukagina et Lugalzagesi
1966
[35]
논문
Notes on Some Economic Texts of the Time of Urukagina
1955
[36]
서적
Altsumerische Verwaltungstexteaus Girsu/Lagaš. Vorderasiatische Schriftdenkmälerder Staatlichen Museen zu Berlin, Neue Folge Heft IX (Heft XXV)
Akademie-Verlag
1991
[37]
논문
The Babylonian Calendar in the Reigns of Lugalanda and Urkagina
1911
[38]
간행물
Irrigation in 3rd millennium southern Mesopotamia: cuneiform evidence from the Early Dynastic IIIB City-State of Lagash (2475–2315 BC)
https://refubium.fu-[...]
Water Management in Ancient Civilizations
2018
[39]
웹사이트
MS 2814 – The Schoyen Collection
https://www.schoyenc[...]
[40]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Holy Warriors at the Dawn of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41]
서적
War Crimes, Genocide, and Justice: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
[42]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43]
논문
Le Nom d'Agadé Sur Un Monument de Sirpourla
1895
[44]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45]
웹사이트
Musée du Louvre-Lens - Portail documentaire - Stèle de victoire du roi Rimush (?)
http://ressources.lo[...]
[46]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1970
[47]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48]
논문
The Sargonic Victory Stele from Telloh
1985
[49]
간행물
Puzur-Mama und die Reise des Königs
1992
[50]
간행물
Ur-Ningirsu I
Gudea and his Dynast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51]
간행물
Pirig-me
Gudea and his Dynast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52]
간행물
Who are the Women in Mesopotamian Art from ca. 2334-1763 BCE?
2008
[53]
논문
The Gates of the Eninnu
1996
[54]
간행물
Ur-Baba
Gudea and his Dynast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55]
간행물
Lagash and the Gutians: a study of late 3rd millennium BC Mesopotamian archaeology, texts and politics
In Context: the Reade Festschrift
2020
[56]
간행물
Neusumerische Bau- und Weihinschriften, Teil 1: Inschriften der II. Dynastie von Lagas
FAOS9/1, Stuttgart
1991
[57]
간행물
Pre-Ur III administrative cuneiform tablets in the British Museum. I. Texts from the archives of Gudea's Dynasty
https://digital.csic[...]
2018
[58]
간행물
The great cylinder inscriptions A & B of Gudea: copied from the original clay cylinders of the Telloh Collection preserved in the Louvre. Transliteration, translation, notes, full vocabulary and sign-lifts
https://archive.org/[...]
Hinrichs
1899
[59]
논문
A New Edition of the Lagaš II Royal Inscriptions Including Gudea’s Cylinders
1998
[60]
서적
Gudea's temple building: A comparison of written and pictorial accounts
Brill
2000
[61]
논문
Gudea's Iranian Slaves: An Anatomy of Transregional Forced Mobility
2022
[62]
논문
A sculpture of Gudea, governor of Lagash
1988
[63]
웹사이트
Year Names of Gudea at CDLI
https://cdli-gh.gith[...]
[64]
논문
The Date of Gudea and His Dynasty
1988
[65]
간행물
Networks of Authority and Power in Ur III Times
From the 21st Century B.C. to the 21st Century A.D.: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o-Sumerian Studies Held in Madrid, 22–24 July 2010
2013
[66]
논문
Two Rulers by the Name of Ur-Ningirsu in Pre-Ur III Lagash
1988
[67]
논문
The Laws of Ur-Nammu
1968
[68]
논문
The erín-people in Lagash of Ur III times
1976
[69]
논문
The agricultural texts of Ur III Lagash of the British Museum (V)
1981
[70]
논문
The agricultural texts of Ur III Lagash of the British Museum (VIII)
1992
[71]
서적
Magan Shipbuilders at the Ur III Lagash State Dockyards (2062-2025 BC)
BAR International Series
2008
[72]
서적
Ibbi-Sîn E3/2.1.5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73]
논문
Multi-centric, marsh-based urbanism at the early Mesopotamian city of Lagash (Tell al-Hiba, Iraq)
2022-12
[74]
논문
Response to Emily Hammer’s article:“Multi-centric, Marsh-based urbanism at the early Mesopotamian city of Lagash (Tell al Hiba, Iraq)”
2023
[75]
학술지
Die altbabylonischen Gräber in Surghul und El Hibba.
https://www.degruyte[...]
1887-01-01
[76]
간행물
Uruk and I
https://cdli.mpiwg-b[...]
2024
[77]
서적
Die Inschriften Gudeas von Lagaš
Biblical Institute Press
1966
[78]
기타
The Inscriptions of Telloh.
http://www.sacred-te[...]
1888
[79]
논문
Al-Hiba, 1968–1969: A Preliminary Report
1970
[80]
논문
Al-Hiba, 1970–1971: A Preliminary Report
1973
[81]
논문
Al-Hiba: A summary of four seasons of excavation: 1968–1976
https://findit.libra[...]
1978
[82]
논문
Inscriptions from Lagash, Season Four, 1975–76
1977
[83]
학술지
Excavations in Iraq 1989-1990
https://www.jstor.or[...]
1991
[84]
기타
The Sixth Season at Al-Hiba
1990
[85]
서적
Lagash I: The Ceramic Corpus from Al-Hiba, 1968–1990 A Chrono-Typology of the Pottery Tradition in Southern Mesopotamia during the 3rd and Early 2nd Millenium BCE
Brepols
2021
[86]
논문
A surface survey of Lagash, al-Hiba
https://findit.libra[...]
1990
[87]
웹사이트
Lagash Archaeological Project
https://web.sas.upen[...]
[88]
기타
The Excavations at Tell al-Hiba–Areas A, B, and G
2022
[89]
논문
The Structure and Hydrology of the Early Dynastic City of Lagash (Tell al-Hiba) from Satellite and Aerial Images
https://www.cambridg[...]
2022
[90]
기타
Lagash Archaeological Project, Dhi Qar Province, Iraq: The First Four Seasons, 1LAP-4LAP, 2019-2022
https://web.sas.upen[...]
2023-03-21
[91]
뉴스
Iraq dig uncovers 5,000 year old pub restaurant - Phys.org - Asaad Niazi
https://phys.org/new[...]
2023-02-15
[92]
뉴스
Unearthing the archaeological passing of time at Lagash, a site in southern Iraq - Michele W. Berger, University of Pennsylvania - Phys.org
https://phys.org/new[...]
2023-01-24
[93]
웹사이트
Current Excavations Season 4: Fall 2022 - Penn 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https://web.sas.upen[...]
[94]
학위논문
Late Third Millennium Bce Religious Architecture At Tell Al-Hiba, Ancient Lagash
https://repository.u[...]
2017
[95]
학위논문
The queen of Lagash: ritual economy in a Sumerian State
2002
[96]
학술지
Al-Hiba, 1968-1969, a Preliminary Report
https://www.jstor.or[...]
1970
[97]
학술지
Al-Hiba, 1970-1971: A Preliminary Report
https://www.jstor.or[...]
1973
[98]
논문
Royal building activity at Sumerian Lagash in the Early Dynastic Period
1992
[99]
학위논문
The administrative building at Tell Al Hiba, Lagash
1989
[100]
학술지
Excavations in Iraq 1989-1990
https://www.jstor.or[...]
1991
[101]
학술지
Toward a Chronology of Early Dynastic Rulers in Mesopotamia
https://www.academia[...]
2015-01
[102]
웹사이트
Brief notes on Lagash II chronology [CDLI Wiki]
http://cdli.ox.ac.uk[...]
[103]
문서
この二つの都市国家がチグリス川沿岸のグ・エディン・ナ([[シュメール語]]: GU.EDEN.NA。「平野の境界」の意)という肥沃な土地をめぐって戦争を繰り返しているが、このグ・エディン・ナが[[エデンの園]]のモデルであるとする説がある。
[104]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rchaeology in the Near East II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