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치고 가즈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치고 가즈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미에현립 요카이치추오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4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하여 1985-86년 일본 사커 리그 우승,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다. 1995년 베갈타 센다이로 이적하여 1999년 은퇴할 때까지 활약했으며,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활동하며 A매치 6경기에 출전, 1골을 기록했다. 은퇴 후에는 베갈타 센다이,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마이내비 센다이 레이디스 등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으며, 2019년에는 대만 여자 축구 대표팀 감독을 맡아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팀을 8강으로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이마이 도시아키
이마이 도시아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와세다 대학 축구부와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J리그 팀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 중화 타이베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저우타이잉
중화 타이베이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저우타이잉은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AFC 여자 아시안컵 3회 우승과 MVP를 수상하고, 독일과 일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우승과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에는 대학 및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 대만의 외국인 축구 감독 - 이마이 도시아키
이마이 도시아키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와세다 대학 축구부와 가와사키 프론탈레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J리그 팀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 대만의 외국인 축구 감독 - 이태호 (축구인)
이태호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공격수로서 K리그의 대우 로얄즈에서 활약하며 K리그 우승 3회 등을 기록하고 국가대표로도 1986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1988년 AFC 아시안컵 득점왕 등을 차지했으며, 부상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활약을 펼쳐 '불굴의 투혼'을 상징하는 선수로 평가받는다. - 중화 타이베이 AFC 여자 아시안컵 축구 국가대표팀 - 저우타이잉
중화 타이베이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저우타이잉은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AFC 여자 아시안컵 3회 우승과 MVP를 수상하고, 독일과 일본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우승과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은퇴 후에는 대학 및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 중화 타이베이 AFC 여자 아시안컵 축구 국가대표팀 -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A조와 B조로 나뉘어 중국, 일본, 베트남,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태국, 미얀마 등 각 조에 참가한 국가의 선수들을 포함한다.
| 에치고 가즈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에치고 가즈오 |
| 원어 이름 | 越後 和男 |
| 로마자 표기 | Echigo Kazuo |
| 출생일 | 1965년 12월 28일 |
| 출생지 | 미에현 미에군 |
| 신장 | 171cm |
| 포지션 | 미드필더 |
| 선수 경력 | |
| 유소년 클럽 | 욧카이치 주오 공업 고등학교 (1981-1983) |
| 프로 클럽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1984-1995) 베갈타 센다이 (1996-1999) |
| 클럽 출장 및 득점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174경기 (27골) 베갈타 센다이: 84경기 (13골) 총합: 258경기 (40골) |
| 국가대표팀 | 일본 (1986-1987) |
| 국가대표팀 출장 및 득점 | 6경기 (1골) |
| 수상 내역 (선수) | |
| 소속팀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일본 사커 리그 | 1985/86 우승 |
| JSL컵 | 1986 우승 |
| JSL컵 | 1990 준우승 |
| 천황배 | 1984 준우승 |
| 감독 경력 | |
| 감독 팀 | 마이나비 베갈타 센다이 레이디스 (2017-2018) 중화 타이베이 여자 (2019-2022) |
2. 선수 시절
에치고는 1965년 12월 28일 미에현 미에군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84년 후루카와 전기 (후에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에 입단했다. 이 클럽은 1985-86년 일본 사커 리그와 1986년 JSL컵에서 우승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일본 클럽 최초의 아시아 챔피언십 우승이었다. 1995년에는 브럼멜 센다이 (후에 ''베갈타 센다이'')로 이적했으며, 1999년에 은퇴했다.
1986년 7월 25일, 에치고는 일본 국가대표팀에서 시리아를 상대로 데뷔했다.[1] 그는 또한 1986년 아시안 게임에도 출전했다. 1987년에는 1988년 하계 올림픽 예선을 위해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그는 6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1]
- 요카이치추오 공업고등학교
- 1984년 - 1995년 후루카와 전공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1996년 - 1999년 브람멜 센다이 / 베갈타 센다이
2. 1. 클럽
에치고 가즈오는 1965년 12월 28일 일본 미에현 미에군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 졸업 후 1984년 후루카와 전기에 입단했다. 1985-86년 일본 사커 리그와 1986년 JSL컵에서 우승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1986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는데, 이는 일본 클럽 최초의 아시아 챔피언십 우승이었다. 1995년까지 공식전 196경기 30골을 기록하며 1984년 일왕배 준우승, 1985-86년 일본 사커 리그 우승, 1986년 JSL컵 우승, 1990년 JSL컵 준우승 등에 기여했다. 1996년 베갈타 센다이로 이적하여 1999년까지 4시즌간 공식전 95경기 14골을 터뜨린 후 1999 시즌을 끝으로 15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2. 2. 국가대표팀
1986년 7월 25일 시리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일본 A대표팀에서의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1] 같은 해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2경기를 뛰었으나, 팀은 D조 3위에 머물러 8강 진출에 실패했다.[1]이듬해 열린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에 출전했으나 중국과 이라크에 밀려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에치고 가즈오는 A매치 6경기 1골의 기록을 남기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
| 1. | 1986년 07월 25일 | 쿠알라룸푸르 | ○2-1 | 이시이 요시노부 | 메르데카 대회 | |||
| 2. | 1986년 08월 01일 | 쿠알라룸푸르 | ●1-2(연장) | 메르데카 대회 | ||||
| 3. | 1986년 09월 20일 | 대전 | ○5-0 | 아시안 게임 | ||||
| 4. | 1987년 04월 0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3-0 | 올림픽 예선 | |||
| 5. | 1987년 04월 12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0 | 올림픽 예선 | |||
| 6. | 1987년 09월 1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9-0 | 올림픽 예선 |
2000년 현역에서 물러난 후 1년 뒤, 친정팀인 베갈타 센다이의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까지 역임하며 J리그 디비전 2 2001 준우승 및 차기 시즌 1부 리그 승격에 기여했다.[2]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2군팀의 감독을 역임했다.[2]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베갈타 센다이 유소년팀 감독을 맡았다.[2] [5] 2017년, 일본 여자 축구 리그 소속팀인 마이내비 센다이의 감독을 맡아 2017 시즌 리그 4위에 올려놓았지만,[2] 2018 시즌에는 부진한 성적으로 경질당했다.[2]
3. 지도자 경력
2019년 대만 여자 축구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처음으로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2] 부임 이후 첫 대회인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는 3전 전패로 4팀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격인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대만을 무려 23년만에 아시안컵 토너먼트(8강) 진출이자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지만,[2] 대륙간 플레이오프 C조 1라운드에서 파라과이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2-4로 패하며 32년만의 대만의 여자 월드컵 본선행이 좌절된 뒤 대만 여자 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2]
3. 1. 클럽
2000년 현역에서 물러난 후 1년 뒤, 친정팀인 베갈타 센다이의 코치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하여 2004년까지 역임하며 J리그 디비전 2 2001 준우승 및 차기 시즌 1부 리그 승격에 기여했다.[2]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2군팀의 감독을 역임했다.[2]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베갈타 센다이 유소년팀 감독을 맡았다.[2] [5] 2017년, 일본 여자 축구 리그 소속팀인 마이내비 센다이의 감독을 맡아 2017 시즌 리그 4위에 올려놓았지만,[2] 2018 시즌에는 부진한 성적으로 경질당했다.[2]
3. 2. 국가대표팀
2019년 대만 여자 축구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며 처음으로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2] 부임 이후 첫 대회인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는 3전 전패로 4팀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격인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대만을 무려 23년만에 아시안컵 토너먼트(8강) 진출이자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지만,[2] 대륙간 플레이오프 C조 1라운드에서 파라과이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2-4로 패하며 32년만의 대만의 여자 월드컵 본선행이 좌절된 뒤 대만 여자 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났다.[2]
4. 수상 내역
4. 1. 클럽 (선수)
wikitext일본 사커 리그에서 1985-86 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JSL컵에서는 1986년 우승, 1990년 준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일왕배에서는 1984년 준우승을 거두었다.
4. 2. 클럽 (지도자)
베갈타 센다이에서 J2리그 준우승(2001)을 이끌었다. 마이내비 센다이에서는 일본 여자 축구 리그 4위(2017)를 기록했다.5. 통계
wikitext
에치고 가즈오는 1984년부터 1999년까지 일본 축구 리그와 J리그에서 활동한 선수이다.
|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1984 | 후루카와 전기 | JSL 디비전 1 | 4 | 2 | 3 | 1 | 1 | 0 | 8 | 3 |
| 1985/86 | 22 | 4 | 2 | 1 | 4 | 0 | 28 | 5 | ||
| 1986/87 | 15 | 0 | - | 5 | 1 | 20 | 1 | |||
| 1987/88 | 10 | 0 | 1 | 0 | 2 | 0 | 13 | 0 | ||
| 1988/89 | 20 | 3 | 2 | 0 | 1 | 0 | 23 | 3 | ||
| 1989/90 | 13 | 1 | 1 | 0 | 2 | 1 | 16 | 2 | ||
| 1990/91 | 11 | 4 | 0 | 0 | 0 | 0 | 11 | 4 | ||
| 1991/92 | 13 | 3 | 1 | 0 | 1 | 0 | 14 | 3 | ||
| 1992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J1 리그 | - | 3 | 1 | 9 | 2 | 12 | 3 | |
| 1993 | 22 | 3 | 3 | 0 | 3 | 0 | 28 | 3 | ||
| 1994 | 33 | 7 | 2 | 0 | 2 | 0 | 37 | 7 | ||
| 1995 | 11 | 0 | 0 | 0 | - | 11 | 0 | |||
| 1996 | 브룸멜 센다이 | 풋볼 리그 | 22 | 7 | 3 | 0 | - | 25 | 7 | |
| 1997 | 9 | 2 | 0 | 0 | 3 | 1 | 12 | 3 | ||
| 1998 | 27 | 4 | 4 | 0 | 0 | 0 | 31 | 4 | ||
| 1999 | 베갈타 센다이 | J2 리그 | 26 | 0 | 0 | 0 | 1 | 0 | 27 | 0 |
| 합계 | 258 | 40 | 24 | 3 | 34 | 5 | 316 | 48 | ||
1986-87 시즌에는 후루카와 전공이 아시아 클럽 선수권 1986-87에 출전하여 천황배를 기권했다.[1] 1991년에는 코니카컵에 4경기에 출전하여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1] JSL 올스타 축구에 2회(1986년, 1989년) 출전했다.[1]
에치고 가즈오는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1] 1986년에는 3경기에 출전하여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고, 1987년에는 3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1]
1986년 7월 25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메르데카 대회에서 시리아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둔 경기에 출전했다.[1] 같은 대회에서 8월 1일 말레이시아와의 경기(1-2 패)에도 출전했다.[1] 9월 20일에는 대한민국 대전에서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네팔을 상대로 5-0 승리를 거둔 경기에 출전했다.[1]
1987년에는 1988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 참가하여, 4월 8일 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전(3-0 승),[1] 4월 12일 싱가포르전(1-0 승),[1] 9월 18일 네팔전(9-0 승)에 출전했다.[1] 특히 9월 18일 네팔과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1]
| 연도 | 출전 | 골 |
|---|---|---|
| 1986 | 3 | 0 |
| 1987 | 3 | 1 |
| 합계 | 6 | 1 |
5. 1. 클럽
에치고 가즈오는 1984년부터 1999년까지 일본 축구 리그와 J리그에서 활동한 선수이다.|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J리그컵 | 합계 |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1984 | 후루카와 전기 | JSL 디비전 1 | 4 | 2 | 3 | 1 | 1 | 0 | 8 | 3 |
| 1985/86 | 22 | 4 | 2 | 1 | 4 | 0 | 28 | 5 | ||
| 1986/87 | 15 | 0 | - | 5 | 1 | 20 | 1 | |||
| 1987/88 | 10 | 0 | 1 | 0 | 2 | 0 | 13 | 0 | ||
| 1988/89 | 20 | 3 | 2 | 0 | 1 | 0 | 23 | 3 | ||
| 1989/90 | 13 | 1 | 1 | 0 | 2 | 1 | 16 | 2 | ||
| 1990/91 | 11 | 4 | 0 | 0 | 0 | 0 | 11 | 4 | ||
| 1991/92 | 13 | 3 | 1 | 0 | 1 | 0 | 14 | 3 | ||
| 1992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J1 리그 | - | 3 | 1 | 9 | 2 | 12 | 3 | |
| 1993 | 22 | 3 | 3 | 0 | 3 | 0 | 28 | 3 | ||
| 1994 | 33 | 7 | 2 | 0 | 2 | 0 | 37 | 7 | ||
| 1995 | 11 | 0 | 0 | 0 | - | 11 | 0 | |||
| 1996 | 브룸멜 센다이 | 풋볼 리그 | 22 | 7 | 3 | 0 | - | 25 | 7 | |
| 1997 | 9 | 2 | 0 | 0 | 3 | 1 | 12 | 3 | ||
| 1998 | 27 | 4 | 4 | 0 | 0 | 0 | 31 | 4 | ||
| 1999 | 베갈타 센다이 | J2 리그 | 26 | 0 | 0 | 0 | 1 | 0 | 27 | 0 |
| 합계 | 258 | 40 | 24 | 3 | 34 | 5 | 316 | 48 | ||
1986-87 시즌에는 후루카와 전공이 아시아 클럽 선수권 1986-87에 출전하여 천황배를 기권했다. 1991년에는 코니카컵에 4경기에 출전하여 득점은 기록하지 못했다. JSL 올스타 축구에 2회(1986년, 1989년) 출전했다.
5. 2. 국가대표팀
에치고 가즈오는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1] 1986년에는 3경기에 출전하여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고, 1987년에는 3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1]1986년 7월 25일,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메르데카 대회에서 시리아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둔 경기에 출전했다.[1] 같은 대회에서 8월 1일 말레이시아와의 경기(1-2 패)에도 출전했다.[1] 9월 20일에는 대한민국 대전에서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네팔을 상대로 5-0 승리를 거둔 경기에 출전했다.[1]
1987년에는 1988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 참가하여, 4월 8일 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전(3-0 승),[1] 4월 12일 싱가포르전(1-0 승),[1] 9월 18일 네팔전(9-0 승)에 출전했다.[1] 특히 9월 18일 네팔과의 경기에서 득점을 기록했다.[1]
| 연도 | 출전 | 골 |
|---|---|---|
| 1986 | 3 | 0 |
| 1987 | 3 | 1 |
| 합계 | 6 | 1 |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웹사이트
Mynavi Vegalta Sendai
https://www.vegalta.[...]
[3]
웹사이트
1985年JSL最終成績
http://www.geocities[...]
2013-09-06
[4]
뉴스
仙台ユースを強豪に育て上げた指揮官、越後和男の新たな挑戦
http://www.soccerdig[...]
2017-01-17
[5]
간행물
マイナビベガルタ仙台レディース 越後和男監督、村上和弘ヘッド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vegalta.c[...]
ベガルタ仙台
2016-11-16
[6]
뉴스
マイナビ仙台越後監督辞任 後任に千葉強化育成部長
https://www.nikkansp[...]
2018-06-06
[7]
간행물
マイナビベガルタ仙台レディース 越後和男監督 辞任のお知らせ
http://www.vegalta.c[...]
ベガルタ仙台
2018-06-07
[8]
뉴스
越後和男氏が花巻東高TC就任、柱谷TAと2枚看板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8-08-05
[9]
웹사이트
執教資歷完整 越後和男率女足闖東奧資格賽
https://www.chinatim[...]
中國時報
2019-01-19
[10]
웹사이트
足球》運彩盃日本大軍壓境 台灣女足嚴正以待
http://sports.ltn.co[...]
自由時報
2019-01-19
[11]
웹사이트
執仙台七夕社長返日 明春女足隊來台交流
https://www.chinatim[...]
中國時報
2019-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