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그래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피그래프는 문학 작품의 서두에 제시되는 인용구로, 작품의 주제를 암시하거나,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작품을 더 널리 알려진 문학 작품과 관련시키거나, 비교를 가져오거나, 또는 양식화된 맥락에 참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에피그래프는 소설, 시, 영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며, 작가의 의도를 강조하거나, 독자에게 작품의 내용을 짐작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용 - 고도를 기다리며
《고도를 기다리며》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 두 인물이 고도를 기다리는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고독과 실존적 고뇌, 삶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사무엘 베케트의 희곡이다. - 인용 - 주사위는 던져졌다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기로 결심하며 사용한 유명한 문구로,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을 내렸음을 의미하며, 결단력과 위험 감수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 책 디자인 - 제본
제본은 책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한국에서는 실로 묶는 방식에서 발전하여 금속활자 인쇄술과 함께 발달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본 방식이 사용된다. - 책 디자인 - 서지학
서지학은 기록 및 인쇄된 문서를 조사, 분석, 비평, 연구하여 기술하는 학문으로, 도서의 원문 인식, 판본 비교, 간행 시기 추정 등을 연구하며 오디오 레코딩, 영화, 웹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의 문헌을 대상으로 한다. - 문학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 문학 - 산문
산문은 운율 제약 없이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쓰이는 글로, 소설, 논픽션, 수필, 비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현실 반영, 사회 비판, 개성 표현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에피그래프 | |
|---|---|
| 정의 및 용어 | |
| 정의 | 작품의 서두에 나오는 짧은 인용문, 구절, 시 또는 격언 |
| 목적 | 주제 설정, 분위기 조성, 또는 작품에 대한 통찰력 제공 |
| 어원 | 그리스어 "ἐπιγραφή" (epigraphē)에서 유래, "위에 쓰여진" 또는 "새겨진" 의미 |
| 관련 용어 | 제사 (題詞): 문학 작품의 제목이나 머리말 제사 (題辭): 글 앞에 간단히 적는 글 제명 (題銘): 사물에 이름을 새겨 넣음 제 (題): 제목, 표제 |
| 특징 | |
| 위치 | 책, 논문, 챕터 등의 시작 부분 |
| 내용 | 작품의 주제, 등장인물, 갈등 등을 암시하거나 설명 |
| 출처 | 다른 문학 작품, 역사적 문서, 유명인의 말 등 다양함 |
| 기능 | 독자의 관심을 유도 작품의 의미를 강조 작가의 의도를 드러냄 작품의 해석에 도움을 줌 |
| 사용법 | |
| 소설 | 주제를 암시하거나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냄 |
| 시 | 시의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주제를 강조함 |
| 논문 |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거나 핵심 주장을 요약함 |
| 영화/드라마 | 영화/드라마의 주제를 암시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함 |
| 참고 | |
| 주의사항 |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는 아님 |
2. 정의 및 역할
에피그래프는 서문, 요약, 반례가 될 수도 있으며, 작품을 더 널리 알려진 문학 작품과 관련시키거나, 비교를 가져오거나, 또는 양식화된 맥락에 참여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T. S. 엘리엇은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에서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긴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했는데, 이는 『신곡』 지옥편에서의 Guido I da Montefeltro|귀도 1세 다 몬테펠트로영어의 말[6]과 엘리엇의 시를 형성하는 독백을 관련시킴으로써, 프루프록의 고백에 주석과 중요성을 더하기 위해서였다. 엘리엇은 『Gerontion』에서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뜻대로 하세요』에서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이용하고 있다.
에피그래프는 서문, 요약, 반례가 될 수도 있으며, 작품을 더 널리 알려진 문학 작품과 관련시키거나, 비교를 유도하거나, 양식화된 맥락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르주 페렉의 『Life: A User's Manual|인생 사용법영어』의 서문과 본 전체에 대한 에피그래프는 트릭은 놀이로 즐길 수 있으며, 모든 것이 보이는 대로가 아니라는 것을 독자에게 경고하고 있다.
E. L. 닥터로의 『Ragtime』의 에피그래프는 스콧 조플린이 래그타임을 연주하는 사람들에게의 가르침에서 인용한 것이다. "곡을 빠르게 연주하지 말 것. 래그타임을 빠르게 연주하는 것은 결코 옳지 않다." 이는 20세기로의 전환기의 미국의 가속하는 속도와 대칭적인 입장이다.
작품 자체의 허구성과 관련시키는 의미에서, 허구의 인용구를 사용하는 작가도 있다. 예를 들어, 스티븐 킹의 『미저리』에서는 주인공이 쓴 허구의 소설의 한 구절을 에피그래프로 하고 있다. 또한 재스퍼 포드의 『문학 형사 서즈데이 넥스트 1 - The Eyre Affair|제인 에어를 찾아라!영어』에서는, 아마도 본편에서 그려지는 사건에 대해 쓰인 미래의 책에서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하고 있다. SF 작가는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세계의 인용구를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예를 들어,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와 프랭크 허버트의 『듄』 시리즈가 그 예이다. 그것은 상상의 세계에 신빙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3. 문학 작품에서의 에피그래프
몇몇 작가들은 작품 자체의 허구성과 관련짓는 의미에서 허구의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스티븐 킹의 『미저리』에서는 주인공이 쓴 허구의 소설 한 구절을 에피그래프로 사용한다. 재스퍼 포드의 『문학 형사 서즈데이 넥스트 1 - 』에서는 본편에서 그려지는 사건에 대해 쓰인 미래의 책에서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하기도 한다. SF 작가들은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세계의 인용구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데,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와 프랭크 허버트의 『듄』 시리즈가 그 예이다. 이는 상상의 세계에 신빙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3. 1. 고전 문학
에피그래프는 작품을 더 널리 알려진 문학 작품과 관련시키거나, 비교를 유도하거나, 양식화된 맥락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 S. 엘리엇은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에서 단테의 『신곡』에서 긴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했다. 이는 『신곡』 지옥편에서의 구이도 다 몬테펠트로의 말[6]과 엘리엇의 시를 형성하는 독백을 관련시켜 프루프록의 고백에 주석과 중요성을 더했다. 엘리엇은 『Gerontion』에서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뜻대로 하세요』에서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했다.
조르주 페렉의 인생 사용법의 서문과 본 전체에 대한 에피그래프는 트릭은 놀이로 즐길 수 있으며, 모든 것이 보이는 대로가 아니라는 것을 독자에게 경고한다.
E. L. 닥터로의 『Ragtime』의 에피그래프는 스콧 조플린이 래그타임을 연주하는 사람들에게 주는 가르침에서 인용한 것이다. "곡을 빠르게 연주하지 말 것. 래그타임을 빠르게 연주하는 것은 결코 옳지 않다." 이는 20세기로 전환기의 미국의 가속하는 속도와 대칭적인 입장이다.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는 제목 페이지에 첫 반절구 "그러니 금모자를 써라"라는 시가 실려 있으며, 토마스 파크 D'인빌리어스의 서명을 받았다. D'인빌리어스는 피츠제럴드의 첫 소설인 ''낙원의 이쪽''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시작 부분에 있는 ''반지 구절''은 소설의 중심 플롯 장치인 힘의 반지를 묘사한다.
3. 2. 현대 문학
4. 영화 및 기타 매체에서의 에피그래프
영화 무사와 탈라데가 나이트는 각각 무사도와 엘리너 루스벨트의 가상 인용문으로 시작하는데, 후자는 희극적인 효과를 위해 사용되었다.[4]
4. 1. 영화
영화 무사는 무사도의 가상의 인용문으로 시작한다. 영화 탈라데가 나이트는 희극적인 효과를 위해 엘리너 루스벨트의 가상의 인용문으로 시작한다.[4]4. 2. SF 및 판타지 소설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삼부작, 프랭크 허버트의 듄 시리즈, 잭 매키니의 로보테크 소설처럼 일부 SF 소설에서는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시대의 가상 미래 역사에서 인용한 구절을 사용한다.[4] 판타지 소설에도 에피그래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슐러 K. 르 귄의 어스시 시리즈에는 어스시 군도의 서사시에서 인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에피그래프가 포함되어 있다.[4]다이앤 듀언의 리한수 시리즈의 첫 번째와 마지막 소설 스타 트렉 소설은 고대 로마의 노래에서 인용한 구절과 로뮬란 문학에서 가져온 가상의 에피그래프를 짝을 이룬다.[4] 다이애나 윈 존스의 판타지랜드 가는 험난한 길잡이에서는 이러한 클리셰를 패러디했다.[4] 재스퍼 포드의 에어 사건에는 이야기의 내용에 대한 가상 미래 작품에서 인용한 구절이 있다.[4] 존 그린의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에는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으로 등장하는 가상의 소설 ''제국의 고통''에서 인용한 구절이 있다.[4] 스티븐 킹의 다크 하프에는 주인공이 쓴 가상의 소설에서 가져온 에피그래프가 있다.[4] 딘 쿤츠의 세어진 슬픔의 책은 쿤츠가 적절한 기존의 선택지가 없을 때 "인용"할 시집으로 시작되었다. 쿤츠는 이 모든 에피그래프를 직접 썼다. 많은 팬들은 이 작품이 쿤츠의 창작물이라는 것을 깨닫기보다는 실제 존재하지만 희귀한 책이라고 믿었다. 쿤츠는 나중에 기존의 구절들을 모아 실제 책으로 엮었다.[5]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시작 부분에 있는 ''반지 구절''은 소설의 중심 플롯 장치인 힘의 반지를 묘사한다.[4] 아카메 마조의 ''타임 앤솔로지''는 각 장의 시작 부분에 가상의 마법서에서 발췌한 내용을 담고 있다.[4] 브랜든 샌더슨은 그의 미스트본과 스톰라이트 연대기 시리즈에서 다양한 에피그래프를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다양한 신들 사이의 편지, 소위 "죽음의 딸랑이", 악당의 일기에서 인용한 구절 등이 포함된다.[4] 에드워드 고리의 ''묶이지 않은 하프''는 가상의 소설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작가는 에피그래프를 위해 가상의 구절을 생각한다.[4]
5. 허구적 인용 (Fictional Quotations)
일부 작가들은 작품 자체의 허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허구의 인용구를 에피그래프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Epigraph
http://www.umich.edu[...]
University of Michigan
2013-12-17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Epigraph
http://literarydevic[...]
Literary Devices
2013-12-17
[3]
서적
Negotiating the New in the French Novel: Building Contexts for Fictional World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8
2013-12-17
[4]
서적
The Sum of All Fears
Harper Collins Publishing
1991
[5]
AV media
Podcast Episode 25: Book of Counted Sorrows 1
http://www.deankoont[...]
2011-07-09
[6]
문서
青空文庫
[7]
웹사이트
Epigraph
http://www.umich.edu[...]
University of Michigan
2013-12-17
[8]
웹인용
제사14 (題詞)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2-23
[9]
웹인용
제사15 (題辭)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2-23
[10]
웹인용
제명5 (題銘)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2-23
[11]
웹인용
제17 (題)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3-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