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스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스시는 어슐러 K. 르 귄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의 배경이 되는 가상의 세계이다. 바다와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이며, 마법이 존재하고 드래곤이 등장하는 독특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다. 마법은 창조의 언어인 참된 이름을 아는 것을 통해 발현되며, 하드어 사용권과 카르그 제국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마법사 게드, 테너, 레바넨 등이 있으며, 여러 차례 영화 및 TV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어스시 시리즈는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한국어 번역본도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스시 - 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
    《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은 어슐러 K. 르 귄의 《어스시》 시리즈를 원작으로 미야자키 고로가 감독하고 미야자키 하야오의 《슈나의 여행》에서 영감을 받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영화로, 세계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17세 왕자 아렌이 대현자 게드와 함께 재앙의 근원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그린 작품이다.
  • 어스시 - 어스시의 마법사
    어스시의 마법사는 어슐러 K. 르 귄의 판타지 소설로, 마법사 게드의 성장 과정을 통해 삶과 죽음, 선과 악의 균형 등 심오한 주제를 다루며 도교 사상과 융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어스시 세계관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작품이다.
  • 용을 소재로 한 작품 - 에라곤
    에라곤은 크리스토퍼 파올리니가 쓴 판타지 소설로, 14세에 글쓰기를 시작한 작가가 고대 신화 등에서 영감을 얻어 집필했으며, 소년 에라곤이 용 사피라와 함께 드래곤 라이더가 되어 폭군 갈바토릭스에 맞서는 이야기를 다룬다.
  • 용을 소재로 한 작품 - 드래곤 라자
    드래곤 라자는 1997년 이영도가 PC통신에 연재한 판타지 소설로, 인간과 비인간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주인공 후치 네드발과 동료들의 모험을 그리며, 한국 판타지 소설 붐을 일으킨 작품이다.
어스시
기본 정보
찰스 베스가 그린
찰스 베스가 그린 "어스시 전집: 완전 삽화판" 표지
원제Earthsea
장르판타지
청소년 소설 (첫 세 권)
국가미국
출판 정보
저자어슐러 K. 르 귄
삽화가폴린 엘리슨
루스 로빈스
앤 이본 길버트
게일 개러티
마가렛 초도스-어바인
켈리 넬슨
매리언 우드 콜리쉬
찰스 베스
클리프 닐슨
출판사파르나수스 출판사
아테네움 북스
하코트
사가 프레스 (미국)
이와나미 쇼텐 (일본)
출판일1964년–2018년 (소설, 1968년–2001년)
미디어 유형인쇄물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오디오북
시리즈 목록
시리즈 작품어스시의 마법사
아투안의 무덤
머나먼 해변
테하누
어스시 이야기 (단편집)
돌아온 오딘
한국어판 정보
한국어 번역가시미즈 마사코
한국어 출판사이와나미 쇼텐
한국어 출판일1976년-2004년

2. 어스시의 세계

어스시는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진 세계로, 고유한 지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어스시의 세계는 바다와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지도에 없는 바다로 둘러싸인 수백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광대한 군도이다. 어스시에는 큰 대륙이 존재하지 않는다.[1]

어스시의 사람들은 대부분 갈색 피부를 가지고 있다. 군도에서는 "적갈색" 피부가 일반적이지만, 이스트 리치의 사람들은 더 어두운 "흑갈색" 피부색을 가지고 있다. 북쪽의 오스킬 사람들은 더 밝고 창백한 피부색을 가지고 있으며, 카르그의 카르가드 랜드 사람들은 "백색 피부"에 종종 "금발"을 가지고 있다. 작가 어슐러 K. 르 귄은 판타지에서 등장인물이 백인이어야 하고 사회가 유럽의 중세 시대를 닮아야 한다는 일반적인 추정에 대해 비판했다.

마법은 어스시 대부분의 삶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단, 카르기시 랜드는 예외로, 마법이 금지되어 있다. 배에는 날씨를 다루는 마법사가 있고, 배와 건물을 수리하는 기술자, 연예인, 그리고 궁정 마법사가 있다. 마법은 타고난 재능이며 훈련을 통해 연마할 수 있다. 가장 재능 있는 사람들은 로크 섬에 있는 학교로 보내지며, 그들의 기술과 규율이 충분하다고 증명되면 지팡이를 가진 마법사가 될 수 있다.

마른 땅은 카르그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죽은 후에 가는 곳이다. 그곳은 그림자와 먼지로 이루어진 영역이며, 별들이 하늘에 고정되어 있고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영원한 밤의 영역이다. 그곳에 거주하는 영혼들은 공허하고 칙칙한 존재를 하며, 심지어 "연인들은 침묵 속에서 서로를 지나친다". 르 귄은 마른 땅에 대한 아이디어가 "하데스의 그리스-로마 아이디어, 단테 알리기에리의 작품의 특정 이미지, 그리고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비가 중 하나"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했다.

2. 1. 지리

어스시는 하나의 바다 위에 수많은 섬들이 떠 있는 군도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큰 섬인 하브너 섬은 영국과 거의 비슷한 크기이다. 어스시의 전체적인 기후는 온화하며, 지구 북반구의 중위도와 비슷하다. 따뜻한 여름에서 춥고 눈이 많이 내리는 겨울로의 연간 변화가 있으며, 특히 곤트와 오스킬과 같은 북쪽 섬에서 두드러진다. 어스시 남쪽 지역은 훨씬 더 따뜻하다.[1]

나침반은 지구의 북반구와 비슷하게 작동하여, 북쪽으로 가면 기온이 내려가고 남쪽으로 가면 기온이 올라간다. 또한, 남북 방향으로 이동하면 보이는 별자리도 변화한다. 지동설을 전제로 하는 듯한 대사도 있다.

어스시는 크게 마법을 받아들이는 문화를 가진 하드어 사용권과 마법을 싫어하는 칼가드 제국으로 나뉜다. 하드어 사용권에서는 마법이 친숙하며, 의사이자 화학자이며 날씨조차 바꿀 수 있는 마법사는 물론, 주술사라도 마을의 식자층으로서 존경을 받는다.

주요 섬은 다음과 같다.

섬 이름설명
하브너 섬어스시에서 인간이 거주하는 곳 중 가장 큰 섬으로, 다도해 중앙에 위치한다. 하브너 그레이트포트는 하브너 섬에 있는 어스시 최대의 도시이자 항구 도시이다. 과거 어스시 전체를 지배했던 왕조의 수도였으며, "귀환" 이후 어스시 왕이 된 레바넨이 이곳을 수도로 삼았다.
로크 섬다도해 중해에 위치하며, 마법사를 양성하는 학원이 존재하는 섬이다. 어스시 세계의 중심이며, 레바넨이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어스시의 질서를 유지하는 존재로서 강한 영향력을 주었다.
곤트 섬북해역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게드의 고향이다. "곤트의 명산품은 염소와 마법사"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유명한 마법사를 여럿 배출했다.
엔라드 섬북해역에 위치한 섬으로, 레바넨의 고향이다.
아추안 섬카르그의 카르가드 랜드에 속하는 섬 중 하나로, 거의 중부에 위치한다. 테너의 출생지이며, 태고의 힘을 "이름 없는 자"로서 숭배하는 신전이 있다.
셀리더 섬서해역 가장 서쪽에 위치한 어스시의 "가장 먼 섬"이다.


2. 2. 마법

어스시의 마법은 고대 창조의 언어의 힘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사물에는 고대 창조의 언어로 된 참된 이름이 있는데, 이 이름을 알면 그 대상을 지배할 수 있다.[37] 예를 들어 특정 방향으로 바람을 불게 하려면 그 바람의 참된 이름을 알아야 한다. 드래곤들은 기본적으로 이 언어를 사용하며, 이 언어로는 거짓말을 할 수 없지만 드래곤은 예외적으로 거짓말을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참 이름을 함부로 알리지 않고 통칭만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주인공 게드의 참 이름은 '게드'이고, 통칭은 '하이타카'이다. 사람의 참 이름은 성인식 때 마법사나 주술사를 통해 세례 형태로 알려지며, 평생 바뀌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강력한 마법사는 억지로 참 이름을 바꾸어 상대를 다시 태어나게 할 수도 있다. 자신의 참 이름을 상대에게 알려주는 것은 마법사라도 그 상대에게 완전히 무방비가 된다는 뜻이므로, 매우 신뢰하는 경우가 아니면 참 이름을 밝히지 않는다.[37]

마법사들은 로크 섬의 마법 학교에서 참된 이름을 배우고 마법 능력을 연마한다. 마법 학교에서는 24시간 만에 내용이 사라지는 마법 교과서를 통해 참된 이름을 외우는 학습을 한다. 일부 마법사들은 참된 이름을 찾아내는 술법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2. 3. 등장인물


  • '''게드/하이타카''' (Sparrowhawk영어): 어스시의 마법사이자 대현자. 북해역의 곤트 섬・십본진의 나무 마을 출신이다. "로크의 학원 이래 최고의 수재"로 평가받았으며, 마지막 대현인. 게드가 물러난 후 대현인은 선출되지 않았다. 용과 교섭할 수 있는 자, 용왕이기도 하다. 학원생 시절에 "그림자"를 불러내 얼굴에 상처를 입었다. 레바넨과 함께 최후의 땅으로 가서 세계의 균형을 되찾지만 마법의 힘을 잃는다.[33]
  • '''아이하르/오지온''': 곤트 섬 남서쪽에 있는 최대 도시, 루・알비에 사는 마법사. 별명은 "침묵의 오지온"이다. 염소치기였던 게드에게 마법사의 재능을 발견하고, 그를 마법 학원이 있는 로크 섬으로 보낸다. 곤트의 대지진을, S파가 오기 전에 스승과 함께 진압하여 피해를 막은 것으로 섬 주민들로부터 존경받고 있다. 번역가 시미즈는 "오기온"(Ogion, 솔방울)을 오역해서, 정정할 수도 없었다고 한다.[38]
  • '''에스타리올/괭이밥''': 게드의 동기생. 동해역의 이피시 섬 출신. "그림자"에게 습격당해 중상을 입고, 자신조차 믿을 수 없게 된 게드를 친구로 인정하고, 자신의 참된 이름을 밝혔다. 게드보다 먼저 졸업했으며, 역시 마법사이다(게드는 사건 때문에 유급했다). 후에, 게드와 함께 "그림자"와의 대결에 임한다. 여동생 케스트(톱풀, 참된 이름은 옛날 말로 피라미), 남동생 바다오리가 있다. 바다오리의 참된 이름은 불명.
  • '''헤레스/달스''': 아이하르의 스승. 옛날, 곤트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당시 일선 마법사였던 아이하르와 함께 곤트 산에 호소하여, 피해가 발생하기 직전에 흔들림을 진압했다. 아이하르와 게드, 테너, 테하누의 집 소유주.
  • '''테너/알하, 고하''': 과거 칼가드 제국에서 아추안의 묘지의 무녀였던 여자. 게드의 활약으로, 무녀 알하(칼가드어로 "먹힌 자")에서 테너로 돌아온다. 후에 아이하르의 보호를 받아, 테하누를 거둔다. 세계의 조화를 지키는 에레스・아크베의 팔찌를 칼가드 제국에서 되찾은 "팔찌의 테너"로서, 참된 이름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는 몇 안 되는 존재.
  • '''테하누/테루''':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학대로 얼굴의 왼쪽 절반이 켈로이드가 된 장애 소녀. 인간 부모에게서 태어난 용의 화신으로 칼레신의 딸이라고 불린다.
  • '''레바넨/알렌''': 엔라드의 왕자. 호칭은 엔라드어로 "검"이다. 참된 이름은 옛날 말로 산사나무를 뜻한다. 게드와 함께 최후의 땅으로 가서, 살아남아 사후 세계에서 돌아와 어스시의 왕좌에 오른다.
  • '''칼레신''': 최장로이자 용족의 장을 맡는 용. 무너져버린 세계의 균형을 다시 바로잡아주는 대신, 게드 등을 원조한다.
  • '''아이리안/드래곤플라이''' (구 번역: 잠자리): 옴・아이리안이라고도 한다. 테하누와 마찬가지로, 인간 부모를 가지면서 용인 존재. 자신의 존재를 탐구해가는 과정에서, 여인 금제가 철저하게 지켜지는 로크의 학원에 예외적으로 초대되어, 자신의 참된 모습을 찾아낸다. 예외적으로 참된 이름을 2개 가진다.
  • '''이에보''': 인간의 영토에 침입하여 정착해 아이를 기르던 용. 평소에는 펜더에 있다. 종종 인간의 배나 거주지를 습격했지만, 게드에게 참된 이름을 간파당해, 조복당한다. 사람의 모습으로 변할 수 있다고 한다.
  • '''게드의 외숙모''': 게드의 어머니의 언니로 그의 태어난 마을의 여자 마법사. 일찍 어머니를 여읜 게드의 어머니 대용이기도 하며 최초의 마법 스승이기도 하다. 고도의 교육은 받지 못했고, 마법을 남용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대현인이 된 게드가 "상당히 강한 힘"이라고 평하는 마법력을 가지고, 제대로 된 술법을 선택하여 조카에게 가르치는 등 교육자로서의 분별도 가지고 있었다.

2. 4. 종족

어스시의 사람들은 대부분 붉은색이나 검은색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흰 피부를 가진 것은 동해역에 있는 카르그의 카르가드 제국 주민들뿐이다.[1]

은 어스시에 사는, 인간과는 다른 지적 생물이다. 인간보다 현명하고 훨씬 장수하며, 대부분 인간을 깔본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인간과 같은 통칭은 가지지 않고 참된 이름만 가진다. 이들이 사용하는 말은 마법에 사용되는 "참된 말"이며, 모든 용은 마법을 사용한다. 참된 말로 거짓말을 할 수도 있으며, 인간은 간파할 방법이 없으므로 속게 된다.

3. 어스시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들

어스시 시리즈는 소설과 단편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종류제목원제연도
소설어스시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1968
소설아투안의 무덤The Tombs of Atuan1971
소설가장 먼 해안The Farthest Shore1972
소설테하누Tehanu1990
소설다른 바람The Other Wind2001
소설어스시 이야기Tales from Earthsea2001
단편해제의 주문The Word of Unbinding1964
단편이름의 법칙The Rule of Names1964
단편드래곤플라이Dragonfly1998
단편다크로즈와 다이아몬드Darkrose and Diamond1999
단편땅의 뼈The Bones of the Earth2001
단편파인더The Finder2001
단편높은 습지에서On the High Marsh2001
단편오드렌의 딸The Daughter of Odren2014
단편불빛Firelight2018
미니시리즈어스시의 전설Earthsea2004
애니메이션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ゲド戦記2006



2004년 미국 사이파이 채널에서 《어스시의 마법사》와 《아투안의 무덤》을 바탕으로 미니시리즈 《어스시의 전설》을 방영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주요 등장인물을 백인 배우가 연기하고, 원작 설정을 무시하여 원작 팬들의 분노를 샀다.[22] 원작자 르 귄은 "영화 제작자들이 어스시를 화이트워싱한 것을 비난하며, 용서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23]

2006년 스튜디오 지브리에서 소설 《가장 먼 해안》과 《테하누》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을 제작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아들 미야자키 고로가 감독을 맡았으나, 르 귄은 영화에 대해 "실망스럽다", "전적으로 다르다"라고 평하며 내용 변경에 불만을 드러냈다.[27]

2019년 제니퍼 폭스가 제작하는 TV 시리즈가 A24에서 제작될 예정이다.[41]

3. 1. 소설

이 소설들은 마법사 '''게드'''의 모험 이야기들이다.

  • 《'''어스시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영어, 1968년)
  • 《'''아투안의 무덤'''》(The Tombs of Atuan영어, 1972년)
  • 《'''머나먼 바닷가'''》(The Farthest Shore영어, 1974년)
  • 《'''테하누'''》(Tehanu: The Last Book of Earthsea영어, 1990년)
  • 《'''다른 바람'''》(The Other Wind영어, 2001년)
  • 《'''어스시 이야기'''》(Tales from Earthsea영어, 2001년)


연도출판사
어스시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1968파르나소스
아투안의 무덤(The Tombs of Atuan)1971아테네움
머나먼 바닷가(The Farthest Shore)1972
테하누(Tehanu)1990
어스시 이야기(Tales from Earthsea)2001하코트
다른 바람(The Other Wind)2001



르 귄은 원래 《어스시의 마법사》를 독립된 소설로 구상했지만, 첫 번째 책의 미결 사항들을 고려하여 속편인 《아투안의 무덤》을 썼다. 이후 추가적인 고려를 거쳐 《머나먼 바닷가》가 나왔다. 이 세 권의 책은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짧은 기간에 쓰여졌으며, 때때로 "오리지널 삼부작"으로 여겨진다. 거의 20년 후, 르 귄은 네 번째 책인 《테하누》(1990)를 썼고, 2001년에 《어스시 이야기》와 《다른 바람》을 썼다. 후자의 세 권의 책은 때때로 "두 번째 삼부작"이라고 불린다. 이 시리즈 전체는 ''어스시 연대기''(Earthsea Cycle)로 알려져 있으며, 2018년에는 찰스 베스의 삽화와 함께 ''어스시의 책: 완전판 삽화본''(The Books of Earthsea: The Complete Illustrated Edition)으로 단일 권으로 출판되었다.[3]

일본어판은 시미즈 마사코의 번역으로 이와나미 쇼텐에서 출판되었다. 이와나미 소년 문고, 하드커버, 내용은 같지만 성인용으로 디자인을 바꾼 이야기 모음, 영화화 당시 발행한 소프트커버의 4가지 버전이 발매되었다. 「어둠의 저편」만 동일 시대 라이브러리(현재는 종간)에서 발매된 적이 있다.


  • 어둠의 저편」''A Wizard of Earthsea'' (원어판 1968년, 일본어판 1976년)
  • 「아투안의 무덤」''The Tombs of Atuan'' (원어판 1971년, 일본어판 1976년)
  • 「머나먼 바닷가」''The Farthest Shore'' (원어판 1972년, 일본어판 1977년)
  • 「테하누」''Tehanu, The Last Book of Earthsea'' (원어판 1990년, 일본어판 1993년)
  • 「어스시의 바람」''The Other Wind'' (원어판 2001년, 일본어판 2003년)
  • 「게드 전기 외전」''Tales from Earthsea'' (원어판 2001년, 일본어판 2004년)


2007년 현재, 일본어판의 발행 부수는 200만 부이다.[32]

:원제: ''어스시의 마법사'' (1968년)

:게드(하이타카)의 소년기부터 청년기의 이야기. 게드는 재능이 넘치는 소년이었지만, 라이벌보다 자신이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려 로크의 학원에서 금지된 술법을 사용해, 죽은 자의 영혼과 함께 "그림자"를 불러내고 만다. 게드는 그 그림자에 계속 위협받지만, 스승 아이하르('''오지온''')의 조언에 따라 스스로 그림자와 대치하는 것을 선택한다. 클라이맥스에서 게드는 "그림자"가 자신의 어두운 면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원제: ''아투안의 무덤'' (1970년)

:아투안 신전의 대무녀 테나('''알하''')가 중심인 이야기. "이름 없는 자들"을 섬기는 무녀들에게 부모로부터 떨어져 나와 이름(자기)을 빼앗기고 지하 신전의 어둠 속에서 대무녀로 길러지는 테나. 그곳에, 둘로 쪼개져 빼앗긴 "엘레스 아크베의 팔찌"(제)를 원래 있어야 할 곳으로 되돌려 세계의 균형을 회복하려는 대마법사 게드가 나타난다. 팔찌 탈환과 "이름 없는 자들"과의 싸움 과정에서 지하 신전도 붕괴한다. 소녀의 자기 회복과 영혼의 해방 이야기이기도 하며, 게드와 테나의 신뢰, 그리고 사랑의 이야기로도 읽을 수 있다.

:원제: ''어스시의 가장 먼 섬'' (1972년)

:대현자가 된 게드가 등장한다. 세계의 균형이 무너지고 마법사들이 잇따라 힘을 잃는 가운데, 엔라드에서 급한 소식을 전하러 온 젊은 왕자 레반넨('''아렌''')과 함께 그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세상의 끝까지 여행을 떠난다. 게드가 없는 동안 "돌담 너머"에서 "이 세상"으로 침입이 발생하여 마법 학교의 방어도 무너진다.

:원제: ''테하누, 어스시의 마지막 책''(1990년)

:게드의 장년기의 이야기이다. 게드는 지난 여행에서 모든 힘을 잃고, 대현자의 지위를 스스로 내려놓고 고향 섬으로 돌아왔다. 그곳에서는, 아이들을 낳고 미망인이 된 테너(고하)가, 부모에게 불에 타 죽을 뻔한 것을 간신히 구출된 소녀 테하누(테루)와 생활하고 있었다. 게드는 테너와 함께 생활을 시작한다. 그런데 전 대현자와 전 무녀라는 존재는 고향의 일반 마법사들에게는 눈엣가시일 뿐이었고, 3명의 "약한 자"들에게 무자비한 악의에 찬 폭력이 덮친다. 마법의 힘을 잃은 후에 보이는 어스시의 세계를 덮는 가치관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을 작가 스스로가 질문하고 있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원제: ''The Other Wind'' (2001년)

:과거 게드와 함께 여행했으며 어스시의 왕이 된 레바넨(아렌)이나, 게드의 아내가 된 테너, 그리고 그들의 양녀가 된 테하누(테루)가 이야기의 핵심을 이루어간다. 용이나 이교도인 칼가드인에 의해, 기존의 정의였던 "참된 이름"이라는 마법의 원리에 대한 비판이 가해지며, 지금까지 구축되어 온 어스시의 가치관을 근본부터 무너뜨리는 듯한 이야기 구조를 갖는다. 여성 대현자의 가능성이나 세계의 끝에 있는 이상향, 또한 사생관에 대한 재고, 오랫동안 적대해 온 칼가드 제국과의 화해도 암시된다. 테하누와 용과의 관계도 밝혀지며, 확실히 이야기의 중심은 게드에서 레바넨, 테하누 세대로 옮겨가고 있다.

:원제: ''어스시 이야기''(2001년)

:일본어판 초판 당시에는 "게드 전기 외전"이라는 제목이었지만, 이후 "드래곤플라이 어스시의 다섯 가지 이야기"로 제목이 변경되었다.

『어스시의 바람』 이전에 발표된 중단편 5작품과, 저자에 의한 어스시 세계에 대한 해설을 수록하고 있다. 특히 "드래곤플라이"는 "어스시의 바람"과 깊은 관련이 있어, 먼저 쓰인 이쪽을 읽으면 이해가 빠르다.

; 「수달」

:: 원제: ''The Finder''

:: 로크 학원 설립의 공로자이자 초대 수호자 메드라(수달/물총새)의 일생을 통해 학원의 여명기를 그린다.

; 「다크로즈와 다이아몬드」

:: 원제: ''Darkrose and Diamond''

:: 에실리(다이아몬드)와 로즈의 사랑 이야기(로즈 쪽은 진정한 이름이 밝혀지지 않음).

; 「땅의 뼈」

:: 원제: ''The Bones of the Earth''

:: 아이하르(벙어리, 이후 오지온)가 헤레스(달스)에게 사사받을 때와, 두 사람이 협력하여 곤트의 대지진을 진압했을 때의 전말.

; 「습지에서」

:: 원제: ''On The High Marsh''

:: 로크에서 도망친 마법사 이리오스(오타쿠)와 그를 숨겨준 미망인 에마(메구미), 그리고 이리오스를 쫓아온 대현자 게드의 이야기.

; 「드래곤플라이」(구제: 잠자리)

:: 원제: ''Dragonfly''

:: 『어스시의 바람』의 중요 인물 옴 아이리안(드래곤플라이)의 유년기와 청춘 시대, 로크로의 여행과 장로들과의 대립, 용으로의 각성을 그린다.

; 어스시 해설

:: 어스시의 설정에 대해 문화와 역사, 전설 등을 작가가 해설.

르 귄의 초기 단편집 『바람의 열두 방향』(The Winds Twelve Quarters, 1975년)에는,

  • 「해방의 주문」(The Word of Unbinding, 1964년)
  • 「이름의 규칙」(The Rule of Names, 1964년) - 예보가 이름을 밝히게 된 경위. 이후 게드가 이 경위를 바탕으로 예보와 거래를 했다.


가 있다. 또한, 미번역 단편 2편이 존재한다.

  • ''The Daughter of Odren'', 2014년
  • ''Firelight'', 2018년

3. 2. 단편


  • 《'''해제의 주문'''》(The Word of Unbinding영어, 1964년)
  • 《'''이름의 법칙'''》(The Rule of Names영어, 1964년)
  • 《드래곤플라이》(Dragonfly영어, 1998년)
  • 《다크로즈와 다이아몬드》(Darkrose and Diamond영어, 1999년)
  • 《땅의 뼈》(The Bones of the Earth영어, 2001년)
  • 《파인더》(The Finder영어, 2001년)
  • 《높은 습지에서》(On the High Marsh영어, 2001년)
  • 《오드렌의 딸》(The Daughter of Odren영어, 2014년)[4]
  • 《불빛》(Firelight영어, 2018년)[6]


위 단편 중 《해제의 주문》과 《이름의 법칙》은 르 귄의 초기 단편집 《바람의 열두 방위》에 수록되어 있다. 《이름의 법칙》은 게드가 예보와 거래를 할때 사용한, 예보가 이름을 밝히게 된 경위를 다룬다. 《드래곤플라이》, 《다크로즈와 다이아몬드》, 《땅의 뼈》, 《파인더》, 《높은 습지에서》는 《어스시 이야기》에 수록되어 있다.

3. 3. 영상화

2004년 12월, 미국 사이파이 채널은 《어스시의 마법사》와 《아투안의 무덤》을 바탕으로 3시간 분량의 미니시리즈 《어스시의 전설》을 방송했다. 이 작품은 게드 등 주요 등장인물을 백인 배우가 연기하여 원작 팬들의 분노를 샀다.[22] 원작자 르 귄은 "영화 제작자들이 어스시를 화이트워싱한 것에 대해 비난했으며, 그것을 용서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23] 또한, 이 작품은 아투안의 종교적 관습을 다르게 묘사하고, 게드와 테나르의 성적인 관계를 묘사하는 등 원작의 설정을 무시했다. 르 귄은 "감독이 내 입에 말을 집어넣는 것은 특히 짜증나는 일입니다."라며[24] 영화 제작자들의 해석을 부인했다.

스튜디오 지브리는 소설 《머나먼 바닷가》와 《테하누》를 바탕으로 각색하여 애니메이션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을 제작했다. 2006년 7월 29일부터 도호 배급으로 극장 공개되었으며, 미야자키 하야오의 아들 미야자키 고로가 감독했다. 르 귄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영화에 대한 애정으로 판권을 허락했지만,[27] 영화에 대해서는 "실망스럽다", "전적으로 다르다"고 평했다.[27] 르 귄의 공식 코멘트[42]에서 의도와 다른 내용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이 밝혀져 논란이 일었다.

2018년 5월, 제작자 제니퍼 폭스가 영화 각색 판권을 확보했다고 발표되었고,[25] 2019년에는 TV 시리즈로 제작하기로 결정되었다.[26] 제작은 독립 제작사인 A24에서 맡았다.[41]

4. 한국어 번역본

웅진출판에서는 총 6권을 모두 번역하지는 않았다. 2007년 9월 현재 절판된 상태이다. 황금가지에서는 2009년 8월 현재, 어스시 시리즈 6권이 모두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 2008년 8월, 어스시 시리즈 제5권 《어스시의 이야기들》(Tales from Earthsea영어)이 출간되었다.
  • 2009년 8월, 어스시 시리즈 제6권 《또 다른 바람》(The Other Wind영어)이 출간되었다.
  • 2016년 2월, 어스시 시리즈 제1권 《어스시의 마법사》(A Wizard of Earthsea영어)을 비롯한 6권의 책들이 2판 15쇄로 출간되었다.

5. 평가 및 영향

어슐러 K. 르 귄의 어스시 시리즈는 판타지 문학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후대의 많은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올바른 마법은 학교에서 배운다"는 설정은 J. K.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를 비롯한 현대 판타지 작품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1. 수상 내역

도서수상 내역
어스시의 마법사보스턴 글로브-혼 북 상 (1969)[12]
루이스 캐럴 선반 상 (1979)[11]
아투안의 무덤뉴베리 명예상 (1972)[11]
머나먼 바닷가전미 도서상 어린이 도서 부문 (1973)[11]
테하누네뷸러 상 장편 소설 부문 (1990)
로커스 상 판타지 소설 부문 (1991)[11]
어스시 이야기들로커스 상 (2002)[11]
다른 바람월드 판타지 문학상 장편 소설 부문 (2002)[11]


참조

[1] 뉴스 Chronicles of Earthsea https://www.theguard[...] 2004-02-09
[2] 웹사이트 ISFDB: Worlds of Fantasy, Winter 1970 https://isfdb.org/cg[...]
[3] 간행물 The Books of Earthsea: The Complete Illustrated Edition
[4] 웹사이트 The Daughter of Odren http://www.hmhco.com[...]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5-08-12
[5] Amazon The Daughter of Odren (Kindle Single) https://www.amazon.c[...] 2015-08-13
[6] 웹사이트 The Books of Earthsea https://www.orionboo[...] Orion Books 2018-05-14
[7] 웹사이트 Earthsea Cycle – Series Bibliography http://www.isfdb.org[...] 2012-04-09
[8]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of the timeless and beloved A Wizard of Earthsea https://www.hachette[...] Hachette Australia 2018-05-14
[9]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 the Daughter of Odren https://www.ursulakl[...]
[10] Fanzine Dreams Must Explain Themselves 1973-11
[11]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http://www.sfadb.com[...] Locus Science Fiction Foundation 2019-02-26
[12] 웹사이트 Boston Globe–Horn Book Awards – List of past winners http://archive.hbook[...] 2014-11-10
[13]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Short Bibliography http://www.ursulakle[...] Ursula K. Le Guin 2010-05
[14] 웹사이트 Earthsea Cycle https://www.recorded[...] Recorded Books 2014-08-13
[15] 웹사이트 BBC Radio 7 – A Wizard of Earthsea https://www.bbc.co.u[...] BBC 2011-07-10
[16] 웹사이트 Adapting Ursula Le Guin's 'Earthsea' and 'The Left Hand of Darkness' for Radio https://www.bbc.co.u[...] BBC 2015-04-14
[17] 웹사이트 Episodes https://www.bbc.co.u[...] BBC 2015-05-15
[18]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on BBC Radio 4 and 4 Extra https://www.bbc.co.u[...] BBC 2015-04-08
[19] 웹사이트 The Left Hand of Darkness [Episode 1 of 2] https://www.bbc.co.u[...] BBC
[20] 웹사이트 Ursula Le Guin at 85 https://www.bbc.co.u[...] BBC 2015-05-15
[21] 웹사이트 The Le Guin Effect: 7 Bestselling Authors Influenced by Ursula Le Guin https://www.bbc.co.u[...] BBC 2015-05-15
[22] Slate A Whitewashed Earthsea: How the Sci Fi Channel wrecked my books http://www.slate.com[...] 2004-12-16
[23] 웹사이트 Ursula K. Le Guin — Tales of Earthsea or Gedo Senki https://www.ursulakl[...] 2024-07-23
[24] 웹사이트 Earthsea Miniseries: A Reply to Some Statements Made by the Film-Makers of the Earthsea Miniseries Before it was Shown http://www.ursulakle[...] 2015-08-13
[25] 웹사이트 Oscar Nominated Producer Jennifer Fox Nabs Film Rights To 'Earthsea' Book Series https://deadline.com[...] Deadline Hollywood 2018-05-24
[26] 웹사이트 'Earthsea' TV Series Based On Fantasy Books In The Works By A24 & Jennifer Fox https://deadline.com[...] Deadline Hollywood 2019-09-03
[27] 웹사이트 Gedo Senki: A First Response https://www.ursulakl[...] Ursula K. Le Guin 2022-01-16
[28] 서적 帰還:ゲド戦記最後の書 岩波書店
[29] The Guardian Classic of the month: A Wizard of Earthsea http://www.theguardi[...] 2003-09-24
[30] 웹사이트 A Wizard of Earthsea reader's guide http://www.neabigrea[...]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31] The Wall Street Journal Margaret Atwood Chooses ‘A Wizard of Earthsea’ http://online.wsj.co[...] 2014-10-16
[32] 웹사이트 110万冊無料配布。“ゲドを読む。”の狙いを読む-宮崎吾朗監督作品「ゲド戦記」DVDのユニークなプロモーション(2ページ目) http://business.nikk[...] 日経BP
[33] 웹사이트 https://www.iwanami.[...]
[34] 인용문 世界は実に広い。外界は果てしなく続き、とても人間の知識のおよぶところではないわ
[35] 인용문 ゴバルドンにちがいない。南海域でしか見えない星だ。(略)さらに南下すると、ゴバルドンに続いて、もうあと八つの星が順々に水平線のかなたからあらわれて(後略)
[36] 서적 さいはての島へ 第12章
[37] 기타
[38] 서적
[39] 웹사이트 SCIFI.COM Earthsea http://www.scifi.com[...]
[40] 웹사이트 ファンタジー小説「ゲド戦記」再び映画化へ https://www.cinemato[...] 株式会社シネマトゥデイ 2018-05-28
[41] 웹사이트 「ゲド戦記」をA24がテレビドラマ化 https://eiga.com/new[...] 株式会社エイガ・ドット・コム 2020-05-03
[42] 웹사이트 Gedo Senki, a First Response http://www.ursulakle[...]
[43] 웹사이트 乙戯社「リーディング・ミュージカル『ゲド戦記ー影との戦いー』」 https://www.pref.kan[...]
[44] 웹사이트 神奈川県マグカル事業 https://www.pref.k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