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지학은 'bibliographia'에서 유래된 용어로, 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비평, 연구, 기술하는 학문이다. 시대와 관점에 따라 정의가 다양하며, 도서관학 및 문헌정보학의 특수한 분야로 여겨진다. 연구 방법으로는 주제 선정, 자료 수집, 정리, 기술, 분석, 결론 도출의 과정을 거치며, 동양에서는 교수학, 목록학, 판본학과 유사하게 인식된다. 서양에서는 분석서지학, 기술서지학, 열거서지학, 역사서지학으로 분류되며, 책 이외의 매체에 대한 목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지학 - 판본
판본은 원래 목판 인쇄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인쇄 방식과 대량생산품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내용 변경, 장정, 크기, 출판 정보, 미디어 종류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고, 서지학적 관점과 수집가의 관점에 따라 그 정의가 다르게 적용되며, 문학 작품에서는 내용이 유사하나 차이가 있는 여러 종류의 책을 이본이라 하고 원본에 가장 가까운 것을 정본으로 본다. - 서지학 - 해동문헌총록
《해동문헌총록》은 김휴가 1616년부터 1637년까지 20여 년에 걸쳐 편찬한 문헌 해제집으로, 고려사 등 역사서와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총 670여 종의 문헌을 수록하여 임진왜란 이후 문화유산 정비에 기여했다. - 책 디자인 - 제본
제본은 책을 제작하는 과정으로, 한국에서는 실로 묶는 방식에서 발전하여 금속활자 인쇄술과 함께 발달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본 방식이 사용된다. - 책 디자인 - 하드커버
하드커버는 페이지 블록, 보드, 천 등으로 제본하고 유연한 스파인에 접착하며 표지를 보호하기 위해 종이 랩퍼 또는 더스트 재킷을 씌우는 책의 제본 방식이다. - 본문 연구 - 판본
판본은 원래 목판 인쇄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인쇄 방식과 대량생산품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내용 변경, 장정, 크기, 출판 정보, 미디어 종류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고, 서지학적 관점과 수집가의 관점에 따라 그 정의가 다르게 적용되며, 문학 작품에서는 내용이 유사하나 차이가 있는 여러 종류의 책을 이본이라 하고 원본에 가장 가까운 것을 정본으로 본다. - 본문 연구 - 문헌학
문헌학은 텍스트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언어 관계, 원본 복원, 고대 문서 해독 등을 연구하며, 비교언어학, 텍스트 비평 등의 분과로 나뉘고, 텍스트에 대한 비판과 언어학적 직관의 중요성 강조 등의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서지학 | |
---|---|
개요 | |
분야 | 도서관학, 정보학 |
정의 | 도서 및 기타 형태의 기록물의 체계적인 목록 작성 및 연구 |
관련 학문 | 서지학, 문헌정보학, 기록학 |
역사 | |
기원 | 고대 도서관의 목록 작성 활동 |
발전 | 인쇄술 발달과 함께 체계화, 근대적 학문으로 발전 |
주요 인물 | 콘라트 게스너, 가브리엘 노데, 루이 자콥 |
내용 | |
목록 작성 | 도서, 논문, 정기간행물, 전자 자료 등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 목록 작성 |
서지 기술 | 기록물의 서지 정보 (저자, 제목, 출판 정보 등)를 표준화된 형식으로 기술 |
분류 및 정리 | 기록물을 주제, 형태 등에 따라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정리 |
접근성 향상 | 목록, 색인 등을 통해 기록물에 대한 접근성 향상 |
유형 | |
목적에 따른 분류 | 열람 목록 소장 목록 판매 목록 참고 목록 |
범위에 따른 분류 | 전국 서지 국제 서지 특정 주제 서지 |
응용 | |
도서관 | 장서 관리, 이용자 서비스 제공 |
출판 | 도서 정보 제공, 판매 촉진 |
연구 | 학술 연구 자료 제공, 연구 동향 파악 |
관련 용어 | |
서지학 | 기록물의 형태, 내용 등을 분석하는 학문 |
문헌정보학 | 기록물의 수집, 정리, 보존, 이용에 관한 학문 |
데이터베이스 | 서지 정보를 전자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한 시스템 |
기타 | |
관련 단체 | 국제도서관협회연맹 (IFLA) 미국도서관협회 (ALA) |
관련 법규 | 저작권법, 도서관법 |
2. 서지학의 개념 및 정의
서지학(書誌學, bibliography)은 영어 'bibliography'를 번역한 용어이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bibliographia'에서 유래되었는데, 'biblio'(도서)와 'graphia'(쓰다)가 합쳐진 말이다. 본래 bibliography는 책을 베껴 쓰는 것(a writing of books)을 의미했지만, 18세기 중엽 이후 학문이 발전하면서 책에 대해 기술하는 학문(a writing about books)이라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서지학은 도서의 정확한 원문 내용을 인식하고 복원하며, 최선의 판본을 선택하고, 간행 시기를 추정하며, 진본과 위서를 감정하고 해당 서적의 학문적 위치를 판정하는 등 학문의 가장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서지학 연구는 독창성, 정확성, 객관성이 모두 중요하며, 이 중 하나라도 결함이 있으면 연구로 인정받기 어렵다.[16]
19세기 말, 서양의 이러한 학문이 동양에 들어오면서 'bibliography'는 처음에는 서사학(書史學)으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책의 역사를 연구한다는 의미의 한계 때문에 곧 서지학으로 바뀌었다. 서지학은 '서(書, 책)', '지(誌, 기록하다)', '학(學, 학문)'의 합성어로, 책을 조사, 분석, 비평, 연구, 기술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한국과 일본은 서지학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학문을 체계화했지만, 중국은 대체로 교수학(敎授學), 목록학(目錄學), 판본학(板本學)과 같은 전통적인 명칭과 체계로 학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중국의 마도원이 1934년 자신의 저서에 '서지학'이라는 제목을 사용한 것과 같은 예외도 있다.
서지학의 정의는 시대와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한국도서관협회에서 편찬한 '문헌정보학용어사전'에서는 서지학을 "도서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 비평, 연구하여 기술하는 학문"으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역시 서지학을 "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연구하여 기술하는 학문"이라고 간략하게 정의한다.
해로드(Harrod)와 프리처크(Prytherch)의 ''Librarian's Glossary''에서는 서지학을 복합적인 용어로 규정하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많은 사람들이 같은 서지학 용어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해왔다. 둘째, 서지목록은 여러 종류의 서지적 기술이나 배열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서지학을 크게 비평서지학과 체계서지학 두 분야로 나눈다. 프랑스의 라루스(Larousse)는 서지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첫째, 특정 주제에 대한 출판된 도서들과 그 판본에 대한 지식. 둘째, 한 주제와 관련된 저술 목록. 셋째, 최근 저술의 정규적인 목록을 연구하는 학문.
간단히 말해, 서지학은 책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서지학적 관점에서 책은 문자를 통해 표현된 지적 소산이 담긴 물리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지학은 문자로 표현된 본문과 그 내용, 그리고 그것을 담고 있는 물리적 형태를 조사, 분석, 비평, 연구, 기술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βιβλιογραφία|bibliographiagrc라는 단어는 기원후 1세기부터 3세기까지 그리스 저술가들이 손으로 책을 베껴 쓰는 것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2] 12세기에는 "책을 저술하는 지적인 활동"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7세기에는 책의 기술(記述)이라는 현대적인 의미가 등장했다.[2] 현재, 서지학 분야는 책을 물질적 대상으로 고려하는 연구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3]
서지학은 도서관학(또는 도서관정보학, LIS)과 문헌정보학의 특수한 분야이다. 벨기에인 폴 오틀레(1868–1944)가 정보 과학의 한 분야로서 문헌 정보학의 창시자로서 "서지학의 과학"에 대해 저술하면서 확립되었다.[5][6]
3. 서지학의 연구방법
서지학은 도서관학(도서관정보학, LIS)과 문헌정보학의 특수한 분야이다. 벨기에인 폴 오틀레가 정보 과학의 한 분야로서 문헌 정보학의 창시자로 "서지학의 과학"에 대해 저술하면서 확립되었다.[5][6] 그러나 최근에는 "서지학적 패러다임"이 구식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오늘날 LIS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7]
서지정보학은 서지학의 양적 연구 분야이며, 오늘날 LIS에서 영향력 있는 하위 분야이다.[8][9] Unpaywall Journals와 같은 데이터 분석 도구를 통해 빅딜 취소와 같은 주요 자료 수집 결정에 사용된다.[10]
카터와 바커는 서지학을 책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나열하는 열거 서지학과 책을 물리적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기술 서지학의 두 가지 학문 분야로 설명한다. 이 두 가지 개념과 관행은 별개의 이유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다.[17] 이 분야의 혁신가이자 개척자로는 W. W. 그레그, 프레드슨 바워스, 필립 가스켈, G. 토마스 탄셀이 있다.
바워스는 열거 서지학을 특정 분야, 저자, 인쇄업자 또는 제작 시기에 따라 "특정 소장품이나 도서관"에 있는 책을 확인하는 절차라고 언급했다. 그는 기술 서지학을 책을 물질적 또는 물리적 인공물로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 분석 서지학은 책의 인쇄 및 모든 물리적 특징을 조사하여 책의 역사와 전달 과정을 밝히는 증거를 제시하며, 기술 서지학의 초석이다. 분석 서지학은 서지 기술의 예비 단계이며, 기술 서지학자들이 적용하고 그들의 기술적 관행의 기초로 삼는 분석의 어휘, 원칙 및 기법을 제공한다.[17]
기술 서지학자들은 기술에 특정 관례와 관련 분류를 따른다. 제목과 제목 페이지는 준-복제 스타일과 표현으로 전사된다. 삽화, 활자체, 제본, 종이 및 책을 식별하는 데 관련된 모든 물리적 요소는 공식적인 관례를 따른다. 분석 서지학은 책의 객관적인 물리적 분석과 역사에 관심을 두는 반면, 기술 서지학은 분석 서지학이 제공하는 모든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업자의 초기 개념과 의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이상적인 책의 사본이나 형태를 식별하기 위해 이를 체계화한다.[17]
서지 연구는 상호 의존적인 네 가지 접근 방식(열거, 기술, 분석 및 텍스트)으로 구성되며, 바워스는 역사 서지학과 미학 서지학이라는 두 가지 하위 범주를 추가로 언급한다.[11] 인쇄 관행, 도구 및 관련 문서를 조사하는 역사 서지학과 활자와 책 디자인의 예술을 조사하는 미학 서지학은 모두 분석 서지학자들이 자주 사용한다.
D. F. 맥켄지는 서지학의 본질을 "기록된 형태로서의 텍스트와 그 전달 과정(생산 및 수용 포함)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설명한다. 이 개념은 서지학의 범위를 "비서적 텍스트"를 포함하도록 확장하고, 그 물질적 형태와 구조뿐만 아니라 텍스트 변형, 사회문화적 맥락과 효과를 고려하는 기술 및 생산 과정까지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서지학은 책(및 기타 텍스트)의 물질적 조건, 디자인, 편집, 인쇄, 유통, 재인쇄, 수집 방법에 관심을 갖는다.[12]
서지학적 작품은 목적에 따라 세부 사항의 양이 다르며, 일반적으로 특정 범주에서 간행물의 개요를 제시하는 열거 서지학(편찬, 참고 또는 체계적 서지학)과 책의 생산을 연구하는 분석적 또는 비판적 서지학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13][14] 초기에는 서지학이 주로 책에 초점을 맞췄지만, 이제는 두 가지 범주의 서지학이 오디오 레코딩, 영화 및 비디오, 그래픽 개체, 데이터베이스, CD-ROM[15] 및 웹사이트를 포함한 다른 매체의 작품도 다룬다.
중국에서의 서지학은 목록학, 교수학(교감학), 판본학, 집일학, 고증학과 유사하거나, 일부 학문이거나, 상호 보완적인 학문으로 인식되어 왔다.
영미권의 서지학은 분석서지학, 기술서지학, 열거서지학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되며, 최근에는 역사서지학이 추가되었다.3. 1. 주제 선정 및 자료 수집
서지학 연구에서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할 것은 연구의 주제와 그 범위이다. 연구 결과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거나 이미 연구된 진부한 것이라면 연구의 의미가 없으며, 연구 결과를 얻기에 지나치게 많은 비용이 소요되거나 관련 자료에 접근할 수 없다면 연구 수행이 불가능하다.
연구 주제가 결정되면 제목을 정하고, 자료를 수집, 정리, 기술,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먼저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이때 주된 자료와 방증이 될 자료, 또는 원본과 이본을 망라해야 한다. 수집된 자료는 정리, 배열할 필요가 있다. 자료 목록을 만들어 시대, 인명, 지역, 판종, 활자 등에 따라 자모순으로 배열해 두면 후일 다른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
3. 2. 자료 정리 및 기술
자료를 정리할 때는 주된 자료와 방증 자료, 원본과 이본을 모두 포함하여 수집해야 한다. 수집된 자료는 목록을 만들어 시대, 인명, 지역, 판종, 활자 등에 따라 자모순으로 배열하면 나중에 다른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16]
자료의 내용을 기술할 때는 대상 자료의 표제지, 판권지, 판식, 장정, 내용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기술이 완료되면 계통이 확립되고, 간행 연도나 판의 선후, 우열, 내용의 오탈자, 위작 등에 대한 분석과 비판이 가능해진다.[16]
3. 3. 분석 및 결론 도출
서지학 연구에서 주제가 결정되면 제목을 정하고, 자료를 수집, 정리, 기술,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먼저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이때 주된 자료와 방증이 될 자료, 또는 원본과 이본을 망라해야 한다. 수집된 자료는 정리, 배열할 필요가 있다. 자료의 목록을 만들어 시대, 인명, 지역, 판종, 활자 등에 따라 자모순으로 배열해 두면 후일 다른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다.[18]
자료의 내용을 기술할 때는 대상 자료의 표제지, 판권지, 판식, 장정, 내용 등을 면밀하게 살펴야 한다. 기술이 끝나면 계통이 확립되고, 간행연도나 판의 선후, 우열, 내용의 오탈자, 위작 등에 대한 분석과 비판이 가능하다. 결론은 그 결과로 도출되는 것이다.[18]
이 분야는 책의 활자, 잉크, 종이, 조판, 형식, 인쇄 상태 등과 같은 텍스트 유물의 물질적 특징을 조사하여 그 제작 환경을 재현한다. 분석 서지학은 종종 일반적인 인쇄 관행, 형식의 추세, 디자인에 대한 반응 및 무반응 등과 같은 부수적인 증거를 사용하여 텍스트의 물리적 외관에 깔린 역사적 관습과 영향을 면밀히 조사한다. 서지학자는 기술 서지 또는 텍스트 서지의 형태로 물리적 증거 조사를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한다.[18] 기술 서지는 텍스트의 크기, 형식, 제본 등을 기록하는 물리적 대상으로서의 텍스트에 대한 면밀한 조사 및 목록 작성이며, 텍스트 서지(또는 텍스트 비평)는 "가장 정확한 [텍스트] 형태의 확립"을 결정하기 위해 텍스트의 변형과 변형의 원인을 확인한다.[18]
4. 서지학의 체계
동양에서는 교수학, 목록학, 판본학과 유사하거나 상호 보완적인 학문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서양에서는 열거서지학, 기술서지학, 분석서지학, 역사서지학 등으로 분류된다.[24][25]
중국에서의 서지학은 목록학, 교수학, 판본학, 집일학, 고증학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목록학은 서적의 권수와 글자를 고증하고, 교수학은 판본을 대조하여 글자를 교정하며, 판본학은 서지학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집일학은 없어진 고전을 복원하는 학문이며, 고증학의 한 분파로서 서지학이 발전하기도 했다.
영미권의 서지학은 분석서지학, 기술서지학, 열거서지학으로 분류되며, 최근 역사서지학이 추가되었다. 분석서지학은 도서의 물질적 형태와 생성 과정을 연구하고, 기술서지학은 분석서지학의 성과를 기술한다. 열거서지학은 도서나 문서의 서지 사항을 배열한 목록 및 작성법을 가리키며, 역사서지학은 "책의 역사"와 유사한 개념이다.[26]
4. 1. 동양
교수학, 목록학, 판본학과 유사하거나 상호 보완적인 학문으로 인식되어 왔다.[24]학문 | 설명 |
---|---|
목록학 | 역대 서적을 대조하여 권수와 글자의 차이를 고증하고, 고서적의 출처와 진위 여부를 고찰하여 판본의 우열을 가리고 계통을 조사하여 자료적 가치를 확정하는 학문이다. 청나라의 왕명성이 그의 저서 『십칠사상탁』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
교수학 | 교감학이라고도 하며, 판본을 대조하여 글자를 교정하는 학문이다. 청나라의 장학성은 그의 저서 『교수통의』에서 “학문과 학파의 계통까지 연구하는 학문이다”라고 더 넓은 범위를 정의하였다. |
판본학 | 서지학과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다소 애호가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
집일학 | 없어진 고전(일서)을 류서 등에 인용된 문구를 사용하여 복원하는 학문이다. |
고증학 | 청나라 전통의 고증학은 1900년 전후의 중대한 발현에 자극받아, 그 한 분파로서 서지학을 꽃피웠다. |
4. 2. 서양
영미권의 서지학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여기에 "역사서지학"이 추가되었다.[25]- '''분석서지학''' (analytical bibliography) (critical bibliography 또는 textual bibliography라고도 함): 개별 도서의 물질적 형태와 생성 과정을 정밀하고 상세하게 파고드는 학문으로, 본문 교정의 근거 및 기반이 된다. 텍스트 비평 참조.
- '''기술서지학''' (descriptive bibliography): 분석서지학의 성과를 기술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열거서지학''' (enumerative bibliography): 일정한 원리에 따라 도서나 문서의 서지 사항을 배열한 목록(서지·문헌의 목록) 및 그 작성법을 가리킨다 (systematic bibliography라고도 함).
- '''역사서지학''' (historical bibliography): 새로운 개념의 서지학으로, 프랑스의 "책의 역사"와 가깝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26]
5. 한국 서지학의 발달
한국 서지학의 발달에 대한 내용은 제시된 원본 자료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일본 서지학의 발달 과정을 참고하여 한국의 상황에 맞게 내용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에 서목 편찬이 시작되었고, 헤이안 시대에는 『일본국견재서목록』과 같은 한적 목록이 나타났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만엽집』 교감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졌고, 『본조서적목록』이라는 총목록이 편찬되기도 했다. 에도 시대에는 서지학의 대가들이 나타났다.[24] 이러한 일본의 서지학 발달 과정은 한국의 서지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근대 일본에서는 활판 인쇄술의 발달로 독특한 서지학적 문제가 발생했다.[24]
5. 1. 고대 및 중세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에도 시대 이전의 고전적에 대해, 그 성립·장정·전래 등을 포함하여, 그 서적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연구·기술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그 역사적인 첫걸음은 나라 시대의 서목 편찬에서 시작된다. 각 대사의 경장 소장 목록이나 일체경의 장경 목록 등, 경록(불전 목록)류가 활발하게 편수되었다. 헤이안 시대에는 후지와라 사세가 한적 목록인 『일본국견재서목록』을 편찬하였다. 또한, 장서 목록으로는 신사이의 『통헌입도장서목록』이 있다. 헤이안 말기에는 송 간본을 이용한 한적의 교감이나 『만엽집』 등 전본의 대교가 실시되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센가쿠 율사에 의한 『만엽집』 교감이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는 『본조서적목록』이라는 총목록이 편찬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야마이 쿤론, 콘도 마사사이, 카리야 슌사이, 시부에 츄사이, 모리 타테유키 등 서지학의 대가들이 나타났다.[24]
5. 2. 근세 (조선 시대)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에도 시대 이전의 고문헌에 대해, 그 성립, 장정, 전래 등을 포함하여, 그 서적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연구·기술하는 경우에 서지학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그 역사적인 첫걸음은 나라 시대의 서목 편찬에서 시작된다. 각 대사의 경장 소장 목록이나 일체경의 장경 목록 등, 경록(불전 목록)류가 활발하게 편수되었다. 헤이안 시대가 되면, 후지와라 사세에 의한 한적 목록인 『일본국견재서목록』이 나타난다. 또, 장서 목록으로는 신사이에 의한 『통헌입도장서목록』이 보인다. 헤이안 말기가 되면, 송 간본을 이용한 한적의 교감이나 『만엽집』등의 전본의 대교가 실시되게 되었다. 가마쿠라 시대가 되면, 센가쿠 율사에 의한 『만엽집』의 교감이 그 수준의 높이를 자랑하고 있다. 그 말기에는 『본조서적목록』이라는 총목록이 편찬되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야마이 쿤론, 콘도 마사사이, 카리야 슌사이, 시부에 츄사이, 모리 타테유키 등의 서지학의 대가들이 나타났다.[24]
5. 3. 현대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에도 시대 이전의 고전적에 대해, 그 성립·장정·전래 등을 포함하여, 그 서적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을 연구·기술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그 역사적인 첫걸음은 나라 시대의 서목 편찬에서 시작된다. 각 대사의 경장 소장 목록이나 일체경의 장경 목록 등, 경록(불전 목록)류가 활발하게 편수되었다. 헤이안 시대가 되면, 후지와라 사세에 의한 한적 목록인 『일본국견재서목록』이 나타난다. 장서 목록으로는 신사이에 의한 『통헌입도장서목록』이 있다. 헤이안 말기에는 송 간본을 이용한 한적의 교감이나 『만엽집』 등 전본의 대교가 실시되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센가쿠 율사에 의한 『만엽집』의 교감이 그 수준의 높이를 자랑하고 있다.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는 『본조서적목록』이라는 총목록이 편찬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야마이 쿤론, 콘도 마사사이, 카리야 슌사이, 시부에 츄사이, 모리 타테유키 등 서지학의 대가들이 나타났다.
일본의 근대에 대해서는 인쇄는 주로 활판으로 이루어졌고, 독특한 서지학적 문제를 발생시켰다.[24]
6. 각국의 서지학
기원전 2세기에 시인이자 학자로 활동한 칼리마쿠스(Καλλίμαχος)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방대한 장서를 8개로 분류하고 목록을 작성한 공로로 "서지학의 아버지"로 불린다.[1]
영미권의 서지학은 크게 분석서지학, 기술서지학, 열거서지학 세 가지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역사서지학"이 추가되었다.
6. 1. 중국
중국에서의 서지학은 다음 학문들과 유사하거나, 그 일부, 또는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목록학: 역대 서적을 대조하여 권수와 자구의 출입을 고증하고, 고적의 출처와 진위를 고찰하여 판본의 우열을 보며, 계통을 조사하여 고적의 자료적 가치를 확정하는 학문이다. 청의 왕명성(王鳴盛)이 그의 저서 『십칠사상탁(十七史商榷)』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 교수학: 교감학이라고도 한다. 판본을 대조하여 자구를 교정하는 학문이다. 청의 장학성(章學誠)만이 그의 저서 『교수통의(校讐通義)』에서 보다 넓은 범위를 상정하여, “학문과 학파의 계통까지 연구하는 학문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 판본학: 서지학과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다소 애호가적인 의미를 포함한 학문으로 사용되고 있다.
- 집일학: 망실된 고전(일서(逸書))을 류서(類書) 등에 대한 인용문을 사용하여 복원하는 학문이다.
- 고증학: 청나라 전통의 고증학은 1900년 전후의 중대한 발현에 자극받아, 그 한 분파로서 서지학을 꽃피웠다.
6. 2. 이집트
기원전 2세기에 시인이자 학자로 활동한 칼리마쿠스(Καλλίμαχος)는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방대한 장서를 8개로 분류하고 목록을 작성한 공로로 "서지학의 아버지"로 불린다.[1]6. 3. 영미권
영미권의 서지학은 크게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역사서지학"이 추가되었다.- '''분석서지학''' (analytical bibliography) (critical bibliography 또는 textual bibliography라고도 함)
:: 개별 도서의 물질적 형태와 생성 과정을 정밀하고 상세하게 파고드는 학문. 본문 교정의 근거 및 기반이 된다. 텍스트 비평 참조.
- '''기술서지학''' (descriptive bibliography)
:: 분석서지학의 성과를 기술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25]
- '''열거서지학''' (enumerative bibliography)
:: 일정한 원리에 따라 도서나 문서의 서지 사항을 배열한 목록(서지·문헌의 목록) 및 그 작성법을 가리킨다 (systematic bibliography라고도 함). 1926년에 초판이 나왔고, 1986년에 전면 개정판(3권)이 나왔다.[25]
- '''역사서지학''' (historical bibliography)
:: 역사서지학은 새로운 개념의 서지학으로, 프랑스의 "책의 역사"와 가깝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26]
7. 비도서 자료 서지학
책 이외의 매체에 대한 체계적인 목록은 '서지'와 유사하게 형성된 용어로 참조할 수 있다.
- 음반 목록 — 녹음된 음악
- 필모그래피 — 영화
- 웹그래피(또는 웹서지) — 웹사이트
- 아라크니오그래피(Arachniography)는 NASA 연구 역사가 앤드류 J. 부트리카(Andrew J. Butrica)가 만든 용어로, 특정 주제에 대한 URL 목록을 의미한다. 이는 책의 서지 목록과 같으며, 거미와 거미줄을 가리키는 ''아라크네(Arachne)''에서 이름이 유래한다.[22][23]
참조
[1]
백과사전
bibliology
[2]
서적
Bibliographia, an inquiry into its definition and designations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Dawson
[3]
웹사이트
Studies in Bibliography
http://etext.lib.vir[...]
[4]
논문
Bibliographic enterprise and the digital age: Charles Evans and the making of early American literature
[5]
서적
Les sciences bibliographiques et la documentation
Institut international de bibliographie
[6]
서적
International organisation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Selected essays of Paul Otlet
FID, Elsevier
[7]
논문
Arguments for 'the bibliographical paradigm'. Some thoughts inspired by the new English edition of the UDC
http://InformationR.[...]
[8]
서적
Bibliography and the Sociology of Tex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A. E. Housman: A Sket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SUNY Negotiates New, Modified Agreement with Elsevier - Libraries News Center University at Buffalo Libraries
https://library.buff[...]
University at Buffalo
2020-04-07
[11]
논문
Four Faces of Bibliography
[12]
서적
A New Introduction to Bibliography
[13]
웹사이트
Descriptive Bibliography
http://www.bibsocame[...]
Bibliographical Society of America
[14]
웹사이트
Analytical bibliography: an alternative prospectus
http://ihl.enssib.fr[...]
Institut d'histoire du livre
[15]
서적
Elements of bibliography: a simplified approach
Scarecrow Press
[16]
웹사이트
National Bibliographic Register
https://www.ifla.org[...]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2017-12-01
[17]
웹사이트
National bibliographies and books in print
http://www.bl.uk/res[...]
British Library
2017-12-01
[18]
서적
Bibliography
[19]
웹사이트
Online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ttp://www.abc-clio.[...]
abc-clio.com
2010
[20]
웹사이트
MLA Field Bibliographers
http://www.mla.org/b[...]
mla.org
2013-10-08
[21]
논문
Review of ''A World Bibliography of Bibliographies''
[22]
서적
Encyclopedia Of Information Technology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3]
서적
Making Meaning: Printers of the Mind and Other Essay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4]
문서
문제점의 위치
[25]
웹사이트
Past Publications
http://www.bibsoc.or[...]
The Biblographical Society
2019-06-23
[26]
웹사이트
The Unofficial D.F. McKenzie Home Page
http://users.ox.ac.u[...]
University of Oxford
2019-06-10
[27]
백과사전
서지학
http://encykorea.ak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장물로 밝혀진 보물…법전 '대명률' 사상 첫 지정 취소
알고 보니 도난당한 장물…'대명률', 보물 지정 취소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