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양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막은 수정 후 약 6일째에 두 개의 세포층으로 분화되는 구조로, 착상 및 태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양막은 세포영양막, 융합영양막, 중간영양막으로 구성되며, 세포영양막은 단일 세포층, 융합영양막은 세포 경계가 없는 층, 중간영양막은 착상 부위에 존재한다. 영양막은 착상 과정에서 자궁 내막과 상호작용하며 태반을 형성하고, 임신 유지에 필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며, 모체와 태아 간의 영양분 및 노폐물 교환을 담당한다. 영양막의 기능 이상은 임신중독증, 유착 태반, 임신영양막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영양막줄기세포는 태반에서 모든 종류의 영양막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발생생물학 - 탈피
    탈피는 동물이 성장하며 외골격이나 피부를 벗는 과정으로, 곤충의 변태처럼 형태 변화를 수반하며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생존과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물발생생물학 - 교배
    교배는 생물이 유성 생식을 통해 자손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동물은 종에 따라 다양한 전략으로 외부 또는 내부 수정을 하며, 가축은 인공 수정을 통해 품종을 개량하고, 곤충은 렉 교배와 같은 짝짓기 전략을, 식물과 균류는 수분이나 균사 접합을 통해 유성생식을, 원생생물은 짝짓기나 유성생식을 하며 유전적 다양성 유지와 진화에 기여한다.
영양막
기본 정보
라틴어trophoblastus; massa cellularis externa
그리스어
영어trophoblast
trophectoderm
outer cell mass
설명주머니배와 속세포덩이로 이루어진 주머니배
발생 일수6
발달 이전 구조주머니배
발달 이후 구조태반

2. 구조

착상 시기의 영양막. 세포영양막과 융합영양막의 두 층으로 분화하였다.


영양막은 수정 후 약 6일째에 증식하며 여러 층으로 분화한다. 영양막은 크게 세포영양막, 융합영양막, 중간영양막으로 나뉜다.

위치설명
세포영양막내층(하위 섹션 세포영양막 참고)
융합영양막외층(하위 섹션 융합영양막 참고)
중간영양막착상 부위, 융모막, 융모 (아형에 따라 다름)(하위 섹션 중간영양막 참고)


2. 1. 세포영양막 (Cytotrophoblast)

영양막은 증식하여 안쪽과 바깥쪽의 두 층으로 분화한다. 세포영양막은 두 층 가운데 안쪽의 단일 세포 층을 가리킨다.[13] 사람의 경우 이러한 분리는 수정 후 약 6일째에 일어난다.

위치설명
세포영양막내층영양막의 단일 세포 내층.
융합영양막외층세포 경계가 없는 두꺼운 층으로, 자궁내막 기질로 성장한다.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유지하고 임신을 지속하기 위해 hCG를 분비한다.
중간영양막 (IT)착상 부위, 융모막, 융모 (아형에 따라 다름)태반 (착상 부위 IT)을 고정한다.


2. 2. 융합영양막 (Syncytiotrophoblast)



융합영양막은 영양막의 바깥쪽 층으로, 모체의 자궁내막과 맞닿아 자라 들어가는 층이다. 세포 사이 경계가 사라진 합포체 형태로 되어 있어 두껍다. hCG를 분비함으로써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유지하고 임신을 지속시킨다.[13]

2. 3. 중간영양막 (Intermediate trophoblast)

세포영양막의 일부는 중간영양막(intermediate trophoblast)으로 발달한다.[13] 중간영양막은 착상 부위, 융모막 등에서 발견되며, 태반을 모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3. 기능

영양막은 착상 및 배아와 모체 자궁 탈락막의 상호작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특수한 세포이다.[14] 영양막 세포는 태반을 이루는 중요 성분이며, 태반 융모는 중간엽 세포, 태아 순환계와 탯줄로 직접 연결된 혈관을 포함하는 데, 이들은 두 층의 영양막, 즉 세포영양막과 융합영양막으로 둘러싸여 있다.[14]

3. 1. 착상 및 태반 형성

융모외영양막은 태반에서 자라 나와 자궁 탈락막으로 침투한다. 이 과정은 태반을 모체에 물리적으로 부착하도록 만드는 데에 중요하며, 자궁의 혈관 구조를 바꿈으로써 임신 동안 태아가 충분히 성장하도록 혈액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을 돕는다.[15] 일부 영양막 세포는 자궁 나선동맥 내피세포를 대체하여 모체의 혈관 수축과 무관하게 지름이 넓게 유지되는 통로를 만든다. 이를 통해 태아에게 혈액을 꾸준히 공급할 수 있으며, 산소 농도 변동 때문에 태반이 손상될 위험이 줄어든다.[15]

3. 2. 영양분 및 노폐물 교환

융합영양막은 세포영양막보다 바깥쪽에 위치하여 태반 표면을 덮고 있으며,[13] 모체 혈액과 직접 맞닿으면서 모체와 태아 사이의 영양분, 노폐물, 기체 교환을 촉진한다.[14]

4. 임상적 의의

융모바깥영양막이 자궁으로 침투하는 것은 임신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영양막 침투가 너무 부족하면 전자간증을, 너무 깊으면 유착 태반을 야기할 수 있다.[16]

4. 1. 임신중독증 (전자간증)

융모바깥영양막이 자궁으로 침투하는 것은 임신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영양막이 충분히 침범하지 못하면 전자간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16] [9]

4. 2. 유착태반

융모바깥영양막이 자궁으로 침투하는 것은 임신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영양막이 너무 깊게 침투하면 유착 태반, 침투 태반, 파고 태반과 같은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16]

4. 3. 임신영양막질환

임신영양막병은 융모영양막 및 융모바깥영양막 세포 때문에 발생하는 임신 관련 질환이다.[16] 융모암종은 자궁에서 융모 세포가 형성하는 악성 종양이다.[16]

4. 4. 융모암종

융모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융모암종이라고 한다.[16]

4. 5. 영양막줄기세포 (Trophoblast stem cells, TSCs)

영양막줄기세포(trophoblast stem cell, TSC)는 재생 능력이 있는 줄기세포로, 영양막 발달 초기에 생긴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와 비슷하다.[17] 만능줄기세포이므로 태반에서 모든 종류의 영양막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17]

참조

[1] 서적 Maternal-Fetal and Neonatal Endocrinology
[2] 서적 Encyclopedia of Reproduction
[3] 저널 Transcription Factors That Regulate Trophoblast Development and Function 2017
[4] 저널 Trophoblast Stem Cells: Models for Investigating Trophectoderm Differentiation and Placental Development The Endocrine Society 2009-03-18
[5] 서적 Molecular Biology of Placental Development and Disease
[6] 웹사이트 The trophoblast http://www.embryolog[...]
[7] 저널 Control of human trophoblast function 2007-12
[8] 저널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2019-04-10
[9] 저널 Review: The transcriptional and signalling networks of mouse trophoblast stem cells 2014-02
[10] 서적
[11] 서적
[12] 저널
[13] 웹인용 http://www.embryolog[...]
[14] 서적
[15] 저널
[16] 저널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2019-04-10
[1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