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아줄기세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아줄기세포는 초기 포유류 배아의 배반포 단계에서 유래하여 모든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과 자기 재생 능력을 갖춘 세포이다. 1964년 기형암종에서 배아암종(EC) 세포가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1981년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유도 기술이 개발되었고, 1998년에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분리 및 배양에 성공했다. 배아줄기세포는 만능성을 특징으로 하며, 자기 재생 및 구조 복구 능력을 통해 재생 의학, 조직 대체, 신약 개발, 독성 검사, 유전 질환 모델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2006년에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 기술이 개발되어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척수 손상, 파킨슨병 등 다양한 질환의 임상 시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세포 대체 치료 및 유전자 질환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배아 파괴에 대한 윤리적 문제와 면역 거부 반응, 유전자 변이 가능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기 세포 - 제대혈
제대혈은 탯줄 혈액으로, 조혈모 줄기 세포를 다량 함유하여 조혈모세포 이식의 공급원으로 활용되지만, 세포 수 부족으로 생착률이 낮고 조혈 회복이 늦는 단점도 있으며, 제대혈 은행에 보관되고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 줄기 세포 - 조혈모세포
조혈모세포는 혈액 세포를 생성하는 조혈 작용을 수행하며, 뼈의 적색 골수에서 발견되고, 자가 증식과 분화를 통해 혈액 세포 형성에 필수적이며 골수 이식에 활용된다. - 발생학 - 외배엽
외배엽은 발생 과정에서 형성되는 세 개의 배엽 중 하나로, 표피, 신경계, 치아 등 다양한 기관으로 분화하며, 외배엽 유래 조직의 비정상적인 발달을 특징으로 하는 외배엽 이형성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 발생학 - 내배엽
내배엽은 동물 배아 발생 시 가장 안쪽에 위치한 층으로 소화관, 간, 췌장, 폐 등 주요 기관을 형성하며, 낭배 형성 과정에서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분화되고 줄기세포 연구에 활용되며, 식물에서는 뿌리의 피질 가장 안쪽 세포층을 의미한다. - 생명공학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생명공학 - CRISPR
CRISPR은 세균과 고세균이 외래 유전 물질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발전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전 질환 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
배아줄기세포 | |
---|---|
배아 줄기 세포 정보 | |
정의 | |
영어 명칭 | Embryonic stem cells |
한국어 명칭 | 배아 줄기 세포 |
유형 | 다분화능 줄기 세포 |
역사 | |
최초 분리 | 1998년, 제임스 톰슨에 의해 인간 배반포에서 분리됨 |
특징 | |
분화 능력 |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을 포함한 신체의 모든 세포 유형으로 분화 가능 |
자가 복제 | 시험관 내에서 장기간 자가 복제 가능 |
형태 | 미분화 상태에서는 특징적인 형태를 보임 분화 과정에서 형태 변화 발생 |
획득 방법 | |
배반포 | 배반포 내부 세포 덩어리에서 유래 수정 후 4-5일 된 배아에서 획득 |
윤리적 고려 사항 | 배아 파괴를 수반하므로 윤리적 논쟁 존재 |
활용 | |
연구 분야 | 발생 연구 질병 모델링 신약 개발 |
치료 분야 | 세포 치료 재생 의학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척수 손상, 당뇨병 등의 치료 가능성 연구 |
위험 요소 | 기형종 형성 위험 면역 거부 반응 가능성 윤리적 문제 |
기타 | |
참고 자료 | 국립 보건원 (NIH) 줄기 세포 기초 정보 |
2. 역사
1964년, 연구자들은 생식세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 종양인 기형암종에서 단일 세포 유형을 분리했다. 이 세포들은 배양액에서 줄기세포로 복제 및 성장했으며, 현재는 배아 종양(EC) 세포로 알려져 있다.[92] EC 세포는 형태학적 유사성과 만능성 때문에 초기 마우스 발생의 ''생체 외'' 모델로 사용되었지만,[93] 유전자 변이와 비정상적인 핵형을 종종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유전적 이상은 내부 세포 덩어리로부터 직접 만능 세포를 배양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1981년, 마우스 배아에서 두 그룹에 의해 배아줄기세포(ES 세포)가 독립적으로 확립되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전학과의 마틴 에반스와 매튜 카우프만이 처음 보고했으며, 자궁 내 마우스 배아를 배양하여 ES 세포를 확립하는 새로운 기술을 밝혔다.[94]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해부학과의 게일 R. 마틴은 "배아 줄기세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95] 그녀는 배아가 ''생체 외''에서 배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아로부터 ES 세포를 확립할 수 있음을 보였다.
1989년, 마리오 카페키, 마틴 에반스, 올리버 스미시스는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변형 연구를 통해 최초의 "녹아웃 마우스"를 만들었다.[54]
1996년, 에든버러 대학교 로슬린 연구소에서 돌리가 성체 세포로부터 복제된 최초의 포유류로 탄생했다.[55]
1998년,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연구팀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는 기술을 처음 개발했다.[96]
2001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약 60개의 배아줄기세포주(이미 존재)에 대한 연구를 연방 기금으로 지원하도록 허용했다.[58]
2006년, 일본 과학자 야마나카 신야와 카즈토시 타카시는 성체 마우스 섬유아세포 배양에서 유도 만능 줄기 세포(iPSC)를 유도하는 방법을 발표했다.[59]
2009년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게론 코퍼레이션의 척수 손상에 대한 인간 배아 줄기 세포 유래 치료법의 제1상 임상 시험을 승인했다.[60]
2009년 3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행정 명령 13505호에 서명하여 이전 대통령 행정부에서 인간 줄기 세포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에 부과된 제한을 해제했다.[61]
2. 1. 초기 연구
1964년, 루이스 클라인스미스(Lewis Kleinsmith)와 G. 배리 피어스 주니어(G. Barry Pierce Jr.)는 생식세포에서 유래된 종양인 기형암종에서 단일 세포를 분리했다.[147] 이 세포들은 세포배양을 통해 줄기세포로 복제 및 증식되었으며, 현재는 배아암종(EC) 세포로 알려져 있다.[148] 배아암종세포는 초기 마우스 발달을 위한 시험관 모델로 사용되었지만,[149] 유전적 변이와 비정상적인 핵형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유전적 이상은 내부세포괴에서 직접 만능성 세포를 배양할 필요성을 강조했다.1981년, 마틴 에반스와 매튜 카우프만, 그리고 게일 R. 마틴은 각각 독립적으로 마우스 배아에서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Martin Evans영어와 Matthew Kaufman영어은 자궁 내 마우스 배아를 배양하여 세포 수를 늘리고 배아줄기세포를 유도하는 새로운 기술을 발표했다.[150]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의 게일 R. 마틴(Gail R. Martin)은 "배아줄기세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151] 배아를 시험관에서 배양하고 배아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989년, 마리오 R. 카페키, 마틴 J. 에반스(Martin J. Evans), 올리버 스미시스(Oliver Smithies)는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변형 연구를 통해 최초의 "녹아웃 마우스"를 만들었다.[54]
2. 2.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
1996년, 에든버러 대학교 로슬린 연구소에서 체세포 핵 이식 기술을 통해 복제 양 돌리가 탄생했다.[55] 1998년,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의 제임스 톰슨(James Thomson) 연구팀은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152]2001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제한적으로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을 허용했다.[58]
2006년, 야마나카 신야 연구팀은 성체 세포에 4가지 유전자를 도입하여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59]
2009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 제한을 해제했다.[61]
3. 속성
배아줄기세포(ESCs)는 초기 포유류 배아의 배반포 단계에서 유래하며, 모든 배아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고 자기 재생 능력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배아줄기세포는 정상적인 핵형을 가지며, 높은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유지하고, 현저한 장기간의 증식 잠재력을 보인다.[6]
3. 1. 만능성
초기 포유류 배아의 배반포 단계에서 유래한 배아줄기세포는 모든 다른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과 번식 능력으로 구별된다. 배아줄기세포는 일반적인 핵형을 가지고, 높은 텔로머라아제 활성을 유지하며, 장기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120]
내부세포괴의 배아줄기세포는 만능성이며, 이는 배아줄기세포가 원시외배엽을 발생하기 위해 분화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낭배형성 동안 3가지 주요 배엽, 즉 외배엽, 내배엽 및 중배엽으로 분화됨을 의미한다. 배아줄기세포는 성인 신체에 220가지 이상의 각각 세포 유형을 생성할 수 있다. 만능성은 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를 구별하는 중요한 특징인데, 성체줄기세포는 제한된 수의 세포 유형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2. 자기 재생 및 구조 복구
배아줄기세포는 정해진 조건에서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며 무한히 증식할 수 있다.[122] 이러한 자기 재생 조건은 세포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특수화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7] 실험실에서는 혈청과 백혈병 억제 인자가 포함된 배지, 또는 두 개의 억제 약물(MEK 억제제 PD03259010 및 GSK-3 억제제 CHIR99021)로 보충된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여 이러한 조건을 충족한다.[8]배아줄기세포는 세포 주기에서 G1기가 짧아 빈번하게 분열한다. 빠른 세포 분열은 세포가 크기가 아닌 수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도록 해주며, 이는 초기 배아 발달에 중요하다. 배아줄기세포에서 사이클린 A와 사이클린 E는 G1/S 전환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항상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9] 세포 주기 의존성 키나아제(CDK2)는 세포 주기 진행을 촉진하며, 억제제의 하향 조절로 인해 과활성화된다.[10] 전사 인자 E2F가 세포가 S기에 진입할 준비가 될 때까지 이를 억제하는 망막모세포종 단백질은 배아줄기세포에서 과인산화되어 비활성화되므로, 증식 유전자의 지속적인 발현을 유도한다.[9]
분화된 체세포와 달리 배아줄기세포는 DNA 손상을 복구하는 데 다른 전략을 사용한다.[138] 배아줄기세포는 생식세포계열을 포함한 모든 세포 유형을 생성하기 때문에, DNA 복구 오류로 인한 돌연변이는 체세포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배아줄기세포는 DNA 손상을 정확하게 복구하고, 복구가 실패하면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마우스 배아줄기세포는 주로 이중 가닥 파손을 복구하기 위해 높은 정확도의 상동 재조합 복구를 사용한다.[138] 이 복구 방식은 S기 동안 형성되어 G2기 동안 존재하는 두 자매 염색체의 상호작용에 의존하며, 다른 자매 염색체의 온전한 정보를 사용하여 손상된 염색체를 정확하게 복구한다. G1기의 세포는 각 염색체의 사본이 하나뿐이므로 자매 염색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마우스 배아줄기세포는 G1 검문점이 없어 DNA 손상 시에도 세포 주기가 정지되지 않고,[139] 대신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apoptosis)을 겪는다.[140] 세포 사멸은 돌연변이와 암 진행을 막기 위해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는 안전 장치로 사용된다.[141] 이러한 전략으로 인해 마우스 배아줄기세포는 체세포보다 돌연변이 빈도가 약 100배 낮다.[142]
4. 활용
배아줄기세포는 가소성과 자기 재생 능력이 무한하기 때문에, 재생 의학 및 부상이나 질병 후 조직 대체 치료를 위한 줄기 세포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전분화능 줄기 세포는 척수 손상, 연령 관련 황반 변성, 당뇨병, 신경퇴행성 질환(파킨슨병 등), AIDS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7] 또한, 기증자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직/장기의 대체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 윤리적 논쟁이 존재한다( '''윤리적 논쟁''' 섹션 참조).
2002년 ''PNAS''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인간 배아 줄기 세포는 다양한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식 또는 조직 공학을 위한 세포 공급원으로 유용할 수 있다."[18]
배아줄기세포는 이러한 재생 의학 분야 외에도 초기 인간 발달, 특정 유전 질환 및 ''시험관 내'' 독성학 검사 연구에도 활용된다.[6]
4. 1. 조직 공학
배아줄기세포는 조직 공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성공적인 조직 공학을 위해서는 사용되는 세포가 다음과 같은 특정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기능 |
---|
사이토카인 분비 |
신호 분자 |
인접 세포와의 상호 작용 |
올바른 구조로 세포외 기질 생성 |
배아줄기세포는 자기 재생 능력과 하나 이상의 특수 세포 유형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19] 따라서 조직 공학에 활용될 수 있는 자원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19]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사용은 조직 공학에 많은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지만, 몇 가지 해결해야 할 장벽이 있다. 그중 하나는 배아줄기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했을 때 면역 반응을 유발하지 않도록 변경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하다면 조직 공학의 혁명적인 단계가 될 수 있다는 이론이 있다.[20]
4. 2. 세포 대체 치료
배아줄기세포는 심근 세포, 신경 세포, 간 세포, 골수 세포, 섬 세포, 내피 세포 등 다양한 세포 유형으로 분화될 수 있다.[125] 이러한 세포들은 세포 대체 요법(CRTs)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연구는 배아줄기세포를 이러한 특정 세포 유형으로 분화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125]일례로, 배아줄기세포를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도파민 생성 세포로 분화시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128][129] 또한, 배아줄기세포는 자연 살해 세포와 뼈 조직으로도 분화되었다.[131] 당뇨병 치료를 위해 배아줄기세포를 인슐린 생성 세포로 분화시키거나,[132] 췌장 베타 세포를 대량 생산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133]
이러한 연구들은 척수 손상, 연령 관련 황반 변성, 당뇨병, 신경퇴행성 질환(파킨슨병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 치료에 배아줄기세포가 사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17]
4. 3. 신약 개발 및 독성 검사
배아줄기세포(ESC)는 독성학 분야 및 저분자 약물로 개발될 수 있는 새로운 화학 물질을 찾기 위한 세포 검진에 사용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심근세포는 약물 반응을 테스트하고 독성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시험관 모델로 검증되었다.[125]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는 약리학적 자극에 반응하므로, 다형성심실빈맥 같은 심장 독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26]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된 간세포는 신약 개발의 전임상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모델이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로부터 간세포를 만드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약물 대사를 시험하는 능력을 저해한다. 따라서 현재 연구는 안정적인 1상 및 2상 효소 활성을 갖는 완전한 기능성 배아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를 확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127]
4. 4. 유전 질환 모델
배아줄기세포(ES세포)를 이용하여 유전 질환을 가진 세포주를 만들면 질병 발생 과정을 연구하고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다. 취약 X 증후군, 낭포성 섬유증 등 다양한 유전 질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신뢰할 만한 모델 시스템이 없는 유전 질환 연구에 특히 유용하다.[135]유리 벨린스키는 배아 및 세포 유전학을 전문으로 하는 의학 연구자로, 출생 전 진단을 통해 유전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31] 이 기술은 유전 질환 위험이 높은 부부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모가 유전 질환이 없는 배아를 선택하여, 이미 질병을 앓고 있는 형제자매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31]
과학자들은 인간 배아 줄기 세포를 유도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유전적 기형을 가진 배아로부터 배아줄기세포주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135] 이를 통해 질병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분자 수준의 메커니즘을 찾을 수 있으며, 유전적 결함의 경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135]
2004년에는 시카고 생식 유전학 연구소의 유리 벨린스키 그룹이 유전병을 가진 인간 배아에서 20개의 ES 세포주를 수립하는 데 성공했다.[108] 이는 심각한 유전병 치료 연구에 사용 가능한 최초의 ES 세포이며, 현재 200주 이상의 ES 세포를 보유하여 의약품 스크리닝 등에 사용하고 있다.
5.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인간 배아줄기세포(ESC) 연구는 필연적으로 배아의 파괴를 수반하기 때문에, 배아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배아를 인간 생명으로 간주하는 관점에서는 배아 파괴를 살인 행위로 간주하여 연구에 반대한다.[49] 이들은 배아가 더 발달된 인간과 동일한 윤리적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49]
하지만 배아의 도덕적 지위가 인간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배아는 잠재적으로 인간이 될 수 있지만, 아직 완전한 인격체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인간 배아의 존엄성을 존중하면서도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입장이다. 초기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적절한 도덕적 규제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한다.[178]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관련된 주요 윤리적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 잉여 배아 활용: 체외 수정(IVF) 과정에서 생성된 잉여 배아는 폐기될 운명이므로, 이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덜 문제시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종교계 일각에서는 체외 수정 자체를 반대하기도 한다.[177]
- 연구 목적의 배아 생성: 연구를 위해 배아를 생성하는 것은 인간을 수단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정자나 난자 기증은 불임 부부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연구에 활용하는 것은 기증자의 의사에 반할 수 있다.[177]
- 성세포 기증: 연구 목적으로 정자나 난자를 기증하는 행위는 윤리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성세포는 기증자의 신체 일부이며, 수정 후에는 다른 개체가 될 잠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177]
이러한 윤리적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난치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6. 체세포 핵치환 기술 이용
체세포 핵치환 기술을 이용하면 환자 자신의 체세포를 이용하여 면역 거부 반응이 없는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123] 이 방법은 난자의 핵을 제거하고 환자의 체세포를 넣어 분열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배아줄기세포는 환자의 체세포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이식했을 때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적다.
하지만 이 기술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난자를 얻는 과정이 어렵고, 불법적인 방법으로 난자를 획득하면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체세포 핵치환 기술로 만들어진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키면 인간 복제가 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돌리는 젖샘 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넣은 후 대리모의 자궁에 착상시켜 태어난 체세포 복제 동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인간 복제를 금지하고 있으며, 체세포 핵치환 기술을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엄격한 규제 아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102][103]
7.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세포)
2006년 8월 10일, 교토 대학 재생의과학연구소의 야마나카 신야 연구팀은 생쥐의 배아 섬유아 세포에 4개의 인자 (Oct3/4, Sox2, c-Myc, Klf4)를 도입하여 ES 세포처럼 분화 다능성을 가진 인공 다능성 줄기 세포(iPS 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를 확립할 수 있음을 과학 저널 셀에 발표했다.[113] 야마나카 신야는 성숙한 세포가 만능성을 가지기 위해 재프로그램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존 거든과 함께 2012년 노벨상을 수상했다.[168]
2007년 11월 20일, 야마나카 연구팀은 사람의 성체 세포에 4종류의 유전자 (OCT3/4, SOX2, C-MYC, KLF4)를 도입하여 ES 세포와 유사한 인공 다능성 줄기 (iPS) 세포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셀지에 발표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114][115] 같은 날, 세계 최초로 ES 세포를 제작한 위스콘신 대학교의 제임스 톰슨 연구팀도 사람의 태아 세포에 4종류의 유전자 (OCT3/4, SOX2, NANOG, LIN28)를 도입하는 방법으로 iPS 세포를 제작하는 논문을 발표했다.[116][115]
두 팀은 각각 개별적으로 연구를 진행했지만, 공교롭게도 비슷한 연구 성과를 같은 날 발표했으며, 대략적인 세포 제작 방법은 유사하지만 도입한 유전자가 일부 다르다.
iPS 세포는 ES 세포 제작 시의 윤리적 문제와 거부 반응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ES 세포를 대체할 세포로서 큰 주목과 기대를 받고 있다. iPS 세포 연구는 ES 세포 연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ES 세포와의 비교 연구가 필수적이므로 앞으로도 ES 세포 연구는 필요하다.
iPS 세포는 배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윤리적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환자 맞춤형 세포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8. 임상 시험
2009년 1월 2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인간 배아 줄기 세포(hESC)에서 유래한 희소돌기아교세포(뇌와 척수의 세포 유형)를 척수 손상 환자에게 이식하는 1상 임상 시험을 승인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인간 ESC 임상 시험이었다.[38] 이 연구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의 한스 키어스테드와 그의 동료들이 수행했으며, 마이클 D. 웨스트 박사가 설립한 제론 공사가 지원했다. 이전 실험에서 인간 ESC를 희소돌기아교세포 계열로 유도한 후 7일 뒤 척수 손상 쥐에게 이식했을 때 운동 회복이 개선되었다.[39] 1상 임상 연구는 부상 후 2주 이내의 하반신 마비 환자 8~10명을 등록하도록 설계되었다. 연구자들은 주사가 환자를 완전히 치료하고 모든 운동 능력을 회복시킬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설치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수초 회복과 운동 능력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이 첫 번째 시험은 주로 절차의 안전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모든 것이 잘 진행된다면 더 심각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향후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40] 이 시험은 2009년 8월에 중단되었지만, 2010년 7월 30일에 재개되었다.[41]
2010년 10월, 애틀랜타의 셰퍼드 센터에서 첫 번째 환자를 등록하고 ESC를 투여했다.[42] 제론 공사는 줄기 세포가 복제되고 치료법의 성공 또는 실패를 평가하는 데 몇 달이 걸릴 것으로 추정했다.
2011년 11월, 제론은 재정적 이유로 시험을 중단하고 줄기 세포 연구에서 철수한다고 발표했지만, 기존 환자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파트너를 찾으려고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다.[43] 2013년, 마이클 D. 웨스트 박사가 이끄는 바이오타임은 척수 손상 연구를 위한 제론의 배아 줄기 세포 기반 임상 시험을 재개하기 위해 제론의 줄기 세포 자산을 인수했다.[44]
바이오타임의 자회사인 아스테리아스 바이오테라퓨틱스는 캘리포니아 재생 의학 연구소(CIRM)로부터 척수 손상에 대한 세계 최초의 배아 줄기 세포 기반 인간 임상 시험을 재개하기 위해 14.3억달러의 전략적 파트너십 상을 받았다. 캘리포니아 공공 기금으로 운영되는 CIRM은 세계 최대의 줄기 세포 관련 연구 개발 자금 지원 기관이다.[45] 이 상은 아스테리아스에게 AST-OPC1의 임상 개발을 척수 손상 환자에게 재개하고, 향후 주요 임상 시험을 위한 대상 인구에서 증량 용량 임상 시험을 확대할 수 있는 자금을 제공한다.[45]
AST-OPC1은 인간 배아 줄기 세포(hESC)에서 유래한 세포 집단으로,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 세포(OPC)를 포함한다. OPC와 그 성숙 유도체인 희소돌기아교세포는 척수와 뇌의 신경 세포에 중요한 기능적 지원을 제공한다. 아스테리아스는 최근 신경학적으로 완전한 흉부 척수 손상 환자에게 저용량 AST-OPC1을 투여한 1상 임상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AST-OPC1이 손상된 척수 부위에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을 보여주었다. AST-OPC1 투여 후 2~3년간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세포와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이식 후 1년 동안 피험자를 면역 모니터링한 결과, AST-OPC1에 대한 항체 기반 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5명의 피험자 중 4명에서 2~3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수행된 MRI 스캔 결과, 척수 공동 형성이 감소했을 수 있으며, AST-OPC1이 척수 조직 악화를 줄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5명의 피험자에게서 국제 척수 손상 신경학적 분류 기준(ISNCSCI) 검사로 평가한 결과, 예상치 못한 신경학적 퇴행이나 개선은 없었다.[45]
2020년 5월 21일, 국립성육의료연구센터는 사람의 ES세포로 만든 간세포를 '요소 회로 이상증'을 앓는 아기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했다고 발표했다.[105] 이식은 성공했으며, 상태는 안정적이라고 한다.[105] 사람의 질병에 ES세포가 사용된 것은 국내 최초이며, ES세포로 만든 간세포 이식은 세계 최초이다.[105] 2023년 10월,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발표하며, 정부에 승인 신청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다.[106]
2023년, 노보 노디스크는 ES세포를 사용한 파킨슨병 임상시험을 그해 안에 시작한다고 발표했다.[107]
9. 배양 기술 및 조건
수정란이 배반포 단계에 도달했을 때 채취하여, 피더 세포(보통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EF)가 사용됨)와 함께 배양하면 내부 세포 덩어리가 증식을 시작한다. 이 내부 세포 덩어리는 태반 등의 배체 외 조직을 제외한 모든 신체 조직으로 분화하는 세포 집단이다. 증식한 내부 세포 덩어리 유래 세포를 분리하여 피더 세포에 계대 배양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ES 세포주"를 확립한다.
마우스의 경우 LIF(백혈병 억제 인자)라는 분화 억제 인자를 첨가하여 배양한다. 사람 ES 세포주의 경우에는 LIF는 필요 없지만, bFGF(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가 필요하다. 배아줄기세포는 자발적으로 분화하기 쉬운 세포이며, 분화 다능성을 유지한 채 계대 배양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ES 세포임을 나타내는 마커로는 Oct3/4, STAT3, Nanog 등의 유전자 발현이 있다.
9. 1.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체외 수정을 통해 생성된 여러 배아 중, 사용되지 않거나 환자에게 이식하기 부적합한 잉여 배아는 기증자의 동의를 거쳐 기증될 수 있다. 인간 배아 줄기 세포는 이러한 기증된 배아나, 환자의 세포와 기증된 난자를 이용한 체세포 핵 이식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복제 배아에서 추출할 수 있다.[161][62]배아의 배반포 단계에서 내세포괴는 영양외배엽 세포와 분리된다. 면역 외과 및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내세포괴를 분리하고, 지지 세포(feeder cell) 위에 놓는다. 내세포괴 세포는 부착 및 증식하여 미분화된 인간 배아 세포주를 형성한다. 이 세포는 매일 영양분을 공급받고, 4~7일마다 효소 또는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계대 배양된다.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인간 배아 줄기 세포주를 지지 세포에서 제거하거나, 특정 신호 물질을 포함하는 혈청과 함께 배양한다.[162][63]
체세포 핵 이식은 환자의 체세포 핵을 제거된 난자에 이식하여 배아를 만드는 기술이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배아 줄기 세포는 환자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면역 거부 반응 가능성이 매우 낮다. 그러나 난자 획득의 어려움과 윤리적 문제, 그리고 인간 복제의 가능성이 존재한다.[161]
2006년 네이처지에 로버트 란자 박사 연구팀은 배아를 파괴하지 않고 배아 줄기 세포를 추출하는 방법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68]
인간 배아 줄기 세포는 수정란이 배반포 단계에 도달했을 때 채취하여 피더 세포(일반적으로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MEF) 사용)와 함께 배양한다. 증식한 내부 세포 덩어리 유래 세포를 분리하여 피더 세포에 계대 배양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ES 세포주"를 확립한다. 마우스의 경우 LIF (백혈병 억제 인자)라는 분화 억제 인자를 첨가하지만, 인간 ES 세포주의 경우에는 bFGF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가 필요하다. ES 세포임을 나타내는 마커로는 Oct3/4, STAT3, Nanog 등의 유전자 발현이 있다.
9. 2. 다른 동물 유래 배아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는 기증자 모체 동물로부터 채취된 초기 배아의 내부세포괴로부터 유도된다. 마틴 에반스와 매튜 카우프만은 배아 착상을 지연시켜 내부세포괴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는 기증자의 난소를 제거하고,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함으로써 호르몬 환경을 변화시켜 배아를 자궁에서 자유롭게 유지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자궁 내 배양 4-6일 후에 배아를 채취한다. 그리고 내부세포괴가 단일 세포로 분리되고 mitomycin-c로 처리한 섬유아세포에 둘러싸여 “난자 원통형 구조”를 형성할 때까지 체외 배양한다. 복제 세포주는 단일 세포가 자라서 만들어진다. 에반스와 카우프만은 이 배양에서 성장한 세포가 기형종과 배반포 유사체를 형성할 수 있고, 체외 배양에서 분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는데, 이들 모두는 세포가 만능성임을 나타낸다.[150]게일 R. 마틴은 배아줄기세포를 다르게 유도하였다. 그녀는 교미 후 약 76시간에 기증자 모체에서 배아를 제거하고, 혈청을 함유한 배지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했다. 다음날, 그녀는 미세수술을 사용하여 후기 배반포에서 내부세포괴를 제거했다. 추출된 내부세포괴는 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 mitomycin-c를 처리하고, 배아줄기세포에 의해 길들여진 섬유아세포에서 배양했다. 약 1주일 후, 세포 집단이 자랐다. 이 세포들은 배지에서 자랐으며, 기형종을 형성하고, 시험관 내에서 분화하고, 배양체를 형성하는 능력에 의해 입증된 것처럼 만능성 특징을 입증했다. 마틴은 이 세포들을 배아줄기세포로 언급했다.[151]
현재 섬유아세포 피더 세포는 배아줄기세포가 분화되는 것을 막는데 필요한 백혈병 억제 인자(LIF)를 제공하고 혈청은 골형성 단백질(BMPs)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3][164] 이러한 인자는 배아줄기세포 유래 효율성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서로 다른 마우스 계통이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데 서로 다른 효율성을 갖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165]
참조
[1]
논문
Blastocysts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2]
웹사이트
Stem Cell Basics {{!}} STEM Cell Information
https://stemcells.ni[...]
2022-06-05
[3]
논문
Morality and human embryo research. Introduction to the Talking Point on morality and human embryo research.
[4]
서적
Biomedical ethics
https://archive.org/[...]
ReferencePoint Press
2011-08-01
[5]
논문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stem cell therapy
[6]
논문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7]
논문
BMP Induction of Id Proteins Suppresses Differentiation and Sustains Embryonic Stem Cell Self-Renewal in Collaboration with STAT3
[8]
논문
The nature of embryonic stem cells
[9]
논문
Concise Review: Control of Cell Fate Through Cell Cycle and Pluripotency Networks
[10]
논문
Developmental activation of the Rb-E2F pathway and establishment of cell cycle-regulated cyclin-dependent kinase activity during embryonic stem cell differentiation
[11]
논문
G1-phase progression in pluripotent stem cells
2021-04-21
[12]
논문
The cell cycle and Myc intersect with mechanisms that regulate pluripotency and reprogramming
2009-08-07
[13]
논문
Distinct Cell-Cycle Control in Two Different States of Mouse Pluripotency
2017-10-05
[14]
논문
The ground state of embryonic stem cell self-renewal
2008-05-22
[15]
논문
Oct-4 controls cell-cycle progression of embryonic stem cells
[16]
논문
A role for NANOG in G1 to S transition in human embryonic stem cells through direct binding of CDK6 and CDC25A
[17]
논문
Stem Cell Applications in Regenerative Medicine and Disease Therapeutics
2016-07-19
[18]
논문
Endothelial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19]
논문
Embryonic Stem Cells and Tissue Engineering: Delivering Stem Cells to the Clinic
2005-08-01
[20]
논문
Cells for tissue engineering
https://www.scienced[...]
2021-04-13
[21]
논문
Use and application of stem cells in toxicology
[22]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cardiomyocytes for heart therapies
[23]
논문
Derivation of midbrain dopamine neuron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24]
논문
Stem-cell-based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25]
논문
Application of stem cells in bone repair
[26]
논문
Production of pancreatic hormone-expressing endocrine cell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27]
뉴스
Giant leap against diabetes
http://news.harvard.[...]
The Harvard Gazette
2014-10-09
[28]
논문
Towards a clinical us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derived-cardiac progenitors: a translational experience
2015-03-21
[29]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 technologies and drug discovery
[30]
논문
Glutathione transferases in hepatocyte-like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31]
뉴스
Dr. Yury Verlinsky, 1943–2009: Expert in reproductive technology
http://www.chicagotr[...]
Chicago Tribune
2009-07-20
[32]
논문
DNA repair by nonhomologous end joining and homologous recombination during cell cycle in human cells
2008-09
[33]
논문
Mouse embryonic stem cells, but not somatic cells, predominantly use homologous recombination to repair double-strand DNA breaks
2010-11
[34]
논문
Restoration of an absent G1 arrest and protection from apoptosis in embryonic stem cells after ionizing radiation
2004-10
[35]
논문
ES cells do not activate p53-dependent stress responses and undergo p53-independent apoptosis in response to DNA damage
1998-01
[36]
논문
DNA repair/pro-apoptotic dual-role proteins in five major DNA repair pathways: fail-safe protection against carcinogenesis
2002-06
[37]
논문
Embryonic stem cells and somatic cells differ in mutation frequency and type
2002-03
[38]
뉴스
FDA approves human embryonic stem cell study – CNN.com
http://www.cnn.com/2[...]
2010-05-01
[39]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 transplants remyelinate and restore locomo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https://escholarship[...]
2019-09-03
[40]
웹인용
FDA OKs 1st Embryonic Stem Cell Trial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9-01-23
[41]
웹사이트
Geron comments on FDA hold on spinal cord injury trial
https://web.archive.[...]
2009-08-27
[42]
뉴스
Embryonic stem cells used on patient for first time
https://www.usatoday[...]
2010-10-12
[43]
뉴스
Geron exits stem cell research
http://www.latimes.c[...]
2011-11-15
[44]
뉴스
Great news: BioTime Subsidiary Asterias Acquires Geron Embryonic Stem Cell Program
http://www.ipscell.c[...]
2013-11-27
[45]
웹사이트
California Institute of Regenerative Medicine
http://www.biotimein[...]
BioTime, Inc.
[46]
논문
Deconstructing Stem Cell Tumorigenicity: A Roadmap to Safe Regenerative Medicine
[47]
논문
Myc maintains embryonic stem cell pluripotency and self-renewal
[48]
논문
C-Myc is Dispensable for Direct Reprogramming of Mouse Fibroblasts
[49]
논문
Ethical issues in stem cell research and therapy
2014-07-07
[50]
논문
Multipotentiality of Single Embryoncal Carcinoma Cells
http://cancerres.aac[...]
2016-04-05
[51]
논문
Teratocarcinomas and mammalian embryogenesis
[52]
논문
Establishment in culture of pluripotent cells from mouse embryos
[53]
논문
Isolation of a pluripotent cell line from early mouse embryos cultured in medium conditioned by teratocarcinoma stem cells
[54]
웹사이트
The 2007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Advanced Information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8-06-25
[55]
웹사이트
The Life of Dolly {{!}} Dolly the Sheep
https://dolly.roslin[...]
2022-02-21
[56]
서적
A Clone of Your Ow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2-21
[57]
논문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
1998-11-06
[58]
뉴스
President George W. Bush's address on stem cell research
http://edition.cnn.c[...]
CNN Inside Politics
2018-06-25
[59]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2006-08-25
[60]
논문
Stem cells ready for primetime
2009-01-27
[61]
논문
Executive Order 13505—Removing Barriers To Responsible Scientific Research Involving Human Stem Cells
https://www.gpo.gov/[...]
2018-06-25
[62]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origins,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or regenerative therapy
[63]
논문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64]
논문
Inhibition of pluripotential embryonic stem cell differentiation by purified polypeptides
[65]
논문
Myeloid leukaemia inhibitory factor maintain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embryonic stem cells
[66]
논문
Establishment of a germ-line competent C57BL/6 embryonic stem cell line
[67]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adult human fibroblasts by defined factors
[68]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single blastomeres
[69]
뉴스
US scientists relieved as Obama lifts ban on stem cell researc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3-10
[70]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2013-06-06
[71]
논문
Human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Using Adult Cells
2014-06-05
[72]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7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2012 Press Release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7-07-3
[74]
논문
In vitro reprogramming of fibroblasts into a pluripotent ES-cell-like state
2007-07-19
[75]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2006-08-25
[76]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Adult Human Fibroblasts by Defined Factors
2007-11-30
[77]
뉴스
Scientists Cure Mice Of Sickle Cell Using Stem Cell Technique: New Approach Is From Skin, Not Embryo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7-08-31
[78]
논문
Treatment of Sickle Cell Anemia Mouse Model with iPS Cells Generated from Autologous Skin
[79]
뉴스
US team makes embryo clone of men
http://news.bbc.co.u[...]
BBC
2008-01-18
[80]
논문
Human stem cells trigger immune attack
http://cmbi.bjmu.edu[...]
Nature Publishing Group
2009-02-27
[81]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 an immunogenic nonhuman sialic acid
[82]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without feeder cells
[83]
논문
Unique multipotent cells in adult human mesenchymal cell populations
[84]
서적
Muse Cells | SpringerLink
https://www.springer[...]
2022-01-13
[85]
간행물
Quantitative Analysis of SSEA3+ Cells from Human Umbilical Cord after Magnetic SortingCell Transplant
[86]
논문
Multilineage-differentiating stress-enduring (Muse) cells are a primary source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 human fibroblasts
[87]
논문
Muse Cells Provide the Pluripotency of Mesenchymal Stem Cells: Direct Contribution of Muse Cells to Tissue Regeneration
[88]
논문
Mobilization of Pluripotent Multilineage-Differentiating Stress-Enduring Cells in Ischemic Stroke
[89]
논문
Isolation, culture and evaluation of multilineage-differentiating stress-enduring (Muse) cells
[90]
논문
Human Adipose Tissue Possesses a Unique Popul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with Nontumorigenic and Low Telomerase Activities: Potential Implications in Regenerative Medicine
[91]
논문
Awakened by Cellular Stres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Popul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Adipose Tissue
[92]
논문
Embryonic stem (ES) cells and embryonal carcinoma (EC) cells: opposite sides of the same coin
http://cdn.intechope[...]
[93]
논문
Teratocarcinomas and mammalian embryogenesis
[94]
논문
Establishment in culture of pluripotent cells from mouse embryos
[95]
논문
Isolation of a pluripotent cell line from early mouse embryos cultured in medium conditioned by teratocarcinoma stem cells
[96]
논문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97]
논문
Morula-deriv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98]
논문
Embryonic and extra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single mouse blastomeres.
[99]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single blastomeres.
[100]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generated without embryo destruction.
[101]
논문
Deriv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from developing and arrested embryos.
[102]
논문
Nuclear reprogramming of somatic cells by in vitro hybridization with ES cells.
[103]
논문
Nuclear reprogramming of somatic cells after fusion with human embryonic stem cells.
[104]
뉴스
米ジェロン、ES細胞由来の治療薬の臨床試験を打ち切り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4-02-20
[105]
웹사이트
ES細胞、国内初めて治験成功 赤ちゃんに肝細胞を移植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0-05-21
[106]
웹사이트
ES肝細胞移植 今年度中にも国への承認申請目指す 治験で効果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3-10-26
[107]
웹사이트
iPS細胞やES細胞、治験広がる 住友ファーマやノボノルディスク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3-03-24
[108]
문서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http://www.cell.com/[...]
[109]
뉴스
ヒト万能細胞から精子・卵子のもとを作製 英大学など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5-02-14
[110]
뉴스
精子や卵子の元作製、英大学など ES、iPS細胞から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5-02-14
[111]
뉴스
人のES細胞から小脳組織作製 神戸・理研多細胞研
http://www.kobe-np.c[...]
神戸新聞
2015-02-14
[112]
웹사이트
ES細胞7月にも配布 京大、再生医療応用に弾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8-05-22
[113]
저널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114]
저널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Adult Human Fibroblasts by Defined Factors.
[115]
웹사이트
ヒトの皮膚から万能細胞、再生医療に画期的成果 京大チームが成功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7-11-21
[116]
저널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Somatic Cells
[117]
저널
Blastocysts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1998
[118]
웹인용
NIH Stem Cell Basics. What are embryonic stem cells?
http://stemcells.nih[...]
2016-08-19
[119]
저널
Homologous recombination in human embryonic stem cells
2003-02-10
[120]
저널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1998
[121]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2012.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122]
저널
BMP Induction of Id Proteins Suppresses Differentiation and Sustains Embryonic Stem Cell Self-Renewal in Collaboration with STAT3
2003
[123]
저널
Cloned Microglias with novel delivery systems in Multiple Sclerosis
2014
[124]
저널
Endothelial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http://www.pnas.org/[...]
2002-04-02
[125]
저널
Use and application of stem cells in toxicology
https://www.ncbi.nlm[...]
2004-06
[126]
저널
Human embryonic stem cell technologies and drug discovery
https://www.ncbi.nlm[...]
2009-06
[127]
저널
Glutathione transferases in hepatocyte-like cells deriv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https://www.ncbi.nlm[...]
2007-08
[128]
저널
Derivation of midbrain dopamine neuron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http://www.pnas.org/[...]
2004-08-24
[129]
저널
Stem-cell-based strategies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https://www.ncbi.nlm[...]
2007
[130]
저널
Designer’s microglia with novel delivery system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http://linkinghub.el[...]
2014-10
[131]
저널
Application of stem cells in bone repair
https://www.ncbi.nlm[...]
2008-07
[132]
저널
Production of pancreatic hormone-expressing endocrine cells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https://www.ncbi.nlm[...]
2006-11
[133]
웹인용
Giant leap against diabetes
https://news.harvard[...]
2014-11-24
[134]
웹인용
Expert in reproductive technology
http://www.chicagotr[...]
2009-07-20
[135]
저널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with genetic disorders
https://www.ncbi.nlm[...]
2005-01
[136]
웹인용
Embryonic stem cells help deliver 'good genes' in a model of inherited blood disorder
https://www.scienced[...]
2011-02-13
[137]
저널
DNA repair by nonhomologous end joining and homologous recombination during cell cycle in human cells
https://www.ncbi.nlm[...]
2008-09-15
[138]
저널
Mouse embryonic stem cells, but not somatic cells, predominantly use homologous recombination to repair double-strand DNA breaks
https://www.ncbi.nlm[...]
2010-11
[139]
저널
Restoration of an absent G1 arrest and protection from apoptosis in embryonic stem cells after ionizing radiation
https://www.ncbi.nlm[...]
2004-10-05
[140]
저널
ES cells do not activate p53-dependent stress responses and undergo p53-independent apoptosis in response to DNA damage
https://www.ncbi.nlm[...]
1998-01-29
[141]
논문
DNA repair/pro-apoptotic dual-role proteins in five major DNA repair pathways: fail-safe protection against carcinogenesis
https://www.ncbi.nlm[...]
2002-06
[142]
논문
Embryonic stem cells and somatic cells differ in mutation frequency and type
https://www.ncbi.nlm[...]
2002-03-19
[143]
논문
Deconstructing stem cell tumorigenicity: a roadmap to safe regenerative medicine
https://www.ncbi.nlm[...]
2009-05
[144]
논문
myc maintains embryonic stem cell pluripotency and self-renewal
https://www.ncbi.nlm[...]
2010-07
[145]
논문
c-Myc is dispensable for direct reprogramming of mouse fibroblasts
https://www.ncbi.nlm[...]
2008-01-10
[146]
웹인용
Sir Martin John Evans, British scientist, a co-winner of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in recognition of his gene targeting work (2007)
http://www.cardiff.a[...]
2007-10
[147]
논문
MULTIPOTENTIALITY OF SINGLE EMBRYONAL CARCINOMA CELLS
https://www.ncbi.nlm[...]
1964-10
[148]
논문
Embryonic stem (ES) cells and embryonal carcinoma (EC) cells: opposite sides of the same coin
https://www.ncbi.nlm[...]
2005-12
[149]
논문
Teratocarcinomas and mammalian embryogenesis
https://www.ncbi.nlm[...]
1980-08-15
[150]
논문
Establishment in culture of pluripotential cells from mouse embryos
https://www.ncbi.nlm[...]
1981-07-09
[151]
논문
Isolation of a pluripotent cell line from early mouse embryos cultured in medium conditioned by teratocarcinoma stem cells
https://www.ncbi.nlm[...]
1981-12
[152]
논문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https://www.ncbi.nlm[...]
1998-11-06
[153]
웹인용
FDA approves human embryonic stem cell study
http://edition.cnn.c[...]
2009-01-23
[154]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 transplants remyelinate and restore locomo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https://www.ncbi.nlm[...]
2005-05-11
[155]
웹인용
FDA OKs 1st Embryonic Stem Cell Trial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Post
2009-01-23
[156]
웹인용
Geron comments on FDA hold on spinal cord injury trial.
http://www.geron.com[...]
2009-08-27
[157]
웹인용
"Embryonic stem cells used on patient for first time"
https://usatoday30.u[...]
2010-10-11
[158]
웹인용
Geron exits stem cell research
http://articles.lati[...]
LA Times
2011-11-15
[159]
웹인용
Great news: BioTime Subsidiary Asterias Acquires Geron Embryonic Stem Cell Program
https://ipscell.com/[...]
iPScell.com
2013-10-01
[160]
웹인용
California Institute of Regenerative Medicine.
http://www.biotimein[...]
BioTime, Inc.
[161]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origins,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for regenerative therapy
https://www.ncbi.nlm[...]
2008-02
[162]
논문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https://www.ncbi.nlm[...]
1998-11-06
[163]
논문
Inhibition of pluripotential embryonic stem cell differentiation by purified polypeptides
https://www.ncbi.nlm[...]
1988-12-15
[164]
논문
Myeloid leukaemia inhibitory factor maintain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embryonic stem cells
https://www.ncbi.nlm[...]
1988-12-15
[165]
논문
Establishment of a germ-line competent C57BL/6 embryonic stem cell line
https://www.ncbi.nlm[...]
1991-12
[166]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adult human fibroblasts by defined factors
https://www.ncbi.nlm[...]
2007-11-30
[167]
논문
Induc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from mouse embryonic and adult fibroblast cultures by defined factors
https://www.ncbi.nlm[...]
2006-08-25
[168]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 2012 Press Release".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2-10-08
[169]
논문
In vitro reprogramming of fibroblasts into a pluripotent ES-cell-like state
https://www.ncbi.nlm[...]
2007-07-19
[170]
웹인용
"Embryonic stem cells made without embryos".
https://www.reuters.[...]
2007-11-21
[171]
웹인용
"Scientists Cure Mice Of Sickle Cell Using Stem Cell Technique: New Approach Is From Skin, Not Embryos".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Post. pp. A02
2007-12-07
[172]
논문
Treatment of sickle cell anemia mouse model with iPS cells generated from autologous skin
https://www.ncbi.nlm[...]
2007-12-21
[173]
웹인용
"US team makes embryo clone of men"
http://news.bbc.co.u[...]
BBC. pp. A01.
2008-01-17
[174]
논문
Human stem cells trigger immune attack
http://www.nature.co[...]
2005-01-24
[175]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express an immunogenic nonhuman sialic acid
https://www.ncbi.nlm[...]
2005-02
[176]
논문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without feeder cells
https://www.ncbi.nlm[...]
2005
[177]
웹인용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http://www.bioin.or.[...]
2005-04-27
[178]
서적
완벽에 대한 반론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