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연방 수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연방 수장은 영연방의 상징적인 지도자이며, 1949년 런던 선언을 통해 영국 군주를 연방 수장으로 추대하기 시작했다.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를 거쳐 현재 찰스 3세가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영연방 사무총장, 영연방 의장과 함께 영연방을 이끌어간다. 영연방 수장은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 코먼웰스 게임, 코먼웰스 데이 등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며, 영연방 가맹국 간의 유대와 협력을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영연방 수장은 세습되지 않으며, 영연방 정부 수반들이 차기 수장을 결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연방 수장 - 엘리자베스 2세
    엘리자베스 2세는 70년 이상 재위한 영국 역사상 최장수 군주이자 영연방 수장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에든버러 공작 필립과의 결혼, 4명의 자녀 출산, 그리고 영국 연방의 변화와 위기 속에서도 영국의 상징으로 기능했다.
  • 영연방 수장 - 조지 6세
    조지 6세는 에드워드 8세의 퇴위 후 왕위를 계승하여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을 이끌고 대영제국의 붕괴와 영국 연방으로의 전환을 지켜본 영국의 국왕이다.
영연방 수장
일반 정보
직책연방 수장
관할 기관영국 연방
영어 명칭Head of the Commonwealth
프랑스어 명칭Chef du Commonwealth
좌석말버러 하우스, 런던
임명권자영연방 정부 수반
웹사이트영연방 공식 웹사이트
현직
현직자찰스 3세
취임일2022년 9월 8일
임기종신
역사
형성일1949년 4월 28일
초대 수장조지 6세
이미지
찰스 3세 (2023년 7월)
찰스 3세

2. 역사

대영 제국은 19세기 말부터 식민지들이 자치령 지위를 얻으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1840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 1907년 뉴질랜드,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 1921년 아일랜드가 자치를 획득했다.[3]

이후, 1949년 런던 선언을 통해 영연방 수장 직책이 만들어졌고,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를 거쳐 현재 찰스 3세에 이르고 있다.

2. 1. 영연방의 기원과 발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대영 제국은 여러 식민지가 자유령 지위를 획득하면서 상당한 자치권을 얻게 되어 '국가 연합'으로 불리기 시작했다.[3] 이 연방의 단결은 영국 군주에 대한 공동의 충성에 의해 확립된 것으로 여겨졌다. 아일랜드 독립 전쟁 협상 과정에서 아일랜드 대통령 에먼 데 발레라는 아일랜드와 대영 제국 간의 관계를 외부 연합으로 칭하며, 아일랜드가 공화국이 되고 영국 국왕을 '연합의 수장'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거부되었다. 영국-아일랜드 조약에 따라 아일랜드 자유국은 자유령으로 연방의 일부로 남게 되었다.[4]

1926년 발포어 선언과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은 자유령들이 서로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입법적으로 독립되어, 각자 공유된 국가 원수에 관해 입법할 권리를 갖도록 했다. 에드워드 8세의 퇴위조지 6세의 즉위는 각 자유령에서 별도의 조치가 필요했다. 데 발레라의 지도 아래 아일랜드 자유국은 아일랜드 대통령 직위를 만들고 군주를 외교 관계에서 다른 연방 국가들과의 "협력의 상징"으로서 의례적인 역할만 하도록 헌법을 변경했다.[5] 1948년 아일랜드 공화국법 통과로 국왕의 마지막 역할이 제거되고 1949년에 공화국의 연방 회원 자격이 종료되었다.

1949년 연방 총리 회의를 위해 버킹엄 궁전에 모인 조지 6세 국왕과 연방 총리들


조지 6세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인도, 파키스탄, 실론의 국왕이었다. 그러나 인도는 공화국이 되기를 원했지만, 연방을 떠나고 싶어하지 않았다. 1949년 런던 선언은 인도가 연방에 남기를 원하며, 국왕을 연방 국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의 상징으로 "그리고 그에 따라 연방의 수장"으로 여긴다고 명시했다.[7][8][9][10][11] 1950년 1월 26일 인도 헌법 채택으로 인도 공화국이 성립되자, 조지 6세는 더 이상 인도의 군주가 아니었고(인도 대통령 라젠드라 프라사드가 국가 원수가 됨), 이후 인도는 그를 연방의 수장으로 여겼다.

엘리자베스 2세는 1952년 즉위하면서 연방의 수장이 되었고, "연방은 과거 제국과 전혀 닮은 점이 없습니다. [...]"라고 말했다.[12] 다음 해, 각 연방 왕국에서 왕실 칭호법이 통과되어 군주의 칭호에 '연방 수장'이라는 용어가 추가되었다.

1960년 5월 윈저 성에서 콰메 은크루마 (오른쪽에서 세 번째)를 포함한 연방 총리들과 함께 있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1년 공화국이 된 후 연방 재가입이 금지되었다. 많은 연방 회원국들과 캐나다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적대적이었다. 1980년대, 엘리자베스 2세는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에 대한 제재 부과 문제에 대해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에 반대하여 대부분의 연방 정부 수반의 편을 들었다.[15] 남아프리카는 최초의 다인종 선거 이후인 1994년에 연방에 재가입했다.[17]

여왕은 아파르트헤이트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적이 없지만, 1961년 가나 아크라를 방문하여 콰메 은크루마 대통령과 춤을 추는 모습이 사진으로 찍혔는데, 이는 여왕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입장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여겨졌다.[20]

여왕의 서거 이후 2022년, 찰스 3세가 연방의 수장이 되었다. 그는 2023년 3월 13일에 그의 첫 연방의 날 메시지를 전달했다.[22]

2. 2. 런던 선언과 영연방 수장의 탄생

1926년 발포어 선언과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을 통해 자유령들은 서로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입법적으로 독립되어, 각자 공유된 국가 원수에 관해 입법할 권리를 갖게 되었다. 1947년 인도(인도 자치령)와 실론 자치령(스리랑카)이 자치령으로 인정받았다. 인도는 공화제를 채택하면서도 영국 연방에 잔류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영국 군주에게 충성을 맹세한다는 기존의 연방 틀은 크게 바뀌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49년 영연방 총리 회의의 결과로 런던 선언이 발표되었다. 이 선언은 인도가 연방에 남기 위해 국왕을 연방 국가들의 자발적인 연합의 상징이자 "그에 따른 연방의 수장"으로 여긴다고 명시했다.[7][8][9][10][11] 이는 인도와 다른 국가들이 연방을 떠나지 않고도 공화국이 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1950년 1월 26일 인도 헌법을 채택하면서 인도 공화국이 성립되었고, 조지 6세는 더 이상 인도의 군주가 아니었지만(인도 대통령 라젠드라 프라사드가 국가 원수가 되었다), 이후 인도는 그를 연방의 수장으로 여겼다. 결과적으로 영연방 가맹국은 영국 군주에 대한 충성 의무에서 벗어나 탈퇴의 자유를 얻고 주체성을 확보하게 되었다.[49]

'영연방 수장'이라는 칭호는 1949년 영연방 총리 회의에서 논의된 결과로 런던 선언에서 고안되었다. 라틴어로는 Consortionis Populorum Princepsla[23][24][25], 프랑스어로는 Chef du Commonwealth프랑스어[26]로 표기된다.

2. 3. 엘리자베스 2세 시대

엘리자베스 2세는 1952년 2월 6일 아버지 조지 6세의 뒤를 이어 즉위하면서 영연방 수장이 되었다. 당시 여왕은 "연방은 과거 제국과 전혀 닮은 점이 없습니다. 그것은 인간 정신의 가장 높은 자질, 즉 우정, 충성심, 자유와 평화를 향한 열망에 기반한 완전히 새로운 개념입니다."라고 말했다.[12] 1953년, 각 연방 왕국에서 통과된 왕실 칭호법에는 처음으로 군주의 칭호에 '연방 수장'이라는 용어가 추가되었다.

1960년 12월, 여왕은 특정 국가의 여왕으로서의 역할과 연관되지 않고 연방의 수장임을 상징하기 위해 개인 깃발을 만들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깃발은 여왕이 국가 원수인 연방 국가를 방문하거나,[13] 국가 원수가 아닌 연방 행사에 영국에서 사용될 때 영국 왕실 기를 대체했다. 여왕이 런던의 연방 사무국 본부를 방문했을 때도 이 개인 깃발이 게양되었다.[14]

196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공화국이 된 후 인종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때문에 연방 재가입이 금지되었다.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포함한 많은 연방 회원국들과 캐나다는 이 정책에 반대했다. 1980년대,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아파르트헤이트 남아프리카에 대한 제재 부과 문제에 대해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에 반대하며 대부분의 연방 정부 수반들 편에 섰다.[15] 전 연방 사무총장 슈리다스 람팔은 "여왕은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에 굳건히 섰고... 다시 한번 대처의 입장에 맞서 굳건히 섰다"라고 말했다.[16] 남아프리카는 1994년 최초의 다인종 선거 이후 연방에 재가입했다.[17] 전 캐나다 총리 브라이언 멀로니는 엘리자베스 2세를 남아프리카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을 위한 "배후 세력"이라고 칭했다.[18][19]

여왕은 아파르트헤이트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1961년 가나의 공화국 수립을 기념하기 위해 아크라를 방문하여 가나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와 춤을 추는 모습이 사진으로 찍혔다. (당시 엘리자베스 2세는 가나의 국가 원수였다.) 이 행위는 여왕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입장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여겨졌으며,[20] 백인 남아프리카 정부를 불쾌하게 했다.[15] 그러나, 수도에서 최근 발생한 폭탄 테러에도 불구하고 엘리자베스 2세의 방문은 가나가 소련에 너무 가까워지고 있다는 우려 속에서 가나를 연방에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21]

2. 4. 찰스 3세 시대

엘리자베스 2세의 서거 이후 2022년, 찰스 3세 국왕이 영연방의 수장이 되었다.[22] 2023년 3월 13일, 찰스 3세는 그의 첫 연방의 날 메시지를 전달했는데, 이날은 찰스 3세가 "우리의 정의 가치—평화와 정의, 관용, 존중, 연대, 환경과 우리 중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표현한다고 말한 연방 헌장의 10주년을 기념하는 주였다.[22]

현재 이 직책을 맡고 있는 사람은 지금까지 영국 군주였지만, 세습은 아니다. 2018년 4월 20일, 당시 웨일스 공이었던 찰스 3세가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영어에서 어머니인 엘리자베스 2세의 후임으로 영연방 수장으로 지명되었다. 영국의 테레사 메이 총리와 캐나다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찰스 왕세자의 수장 취임을 사전에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메이 총리는 찰스 3세가 "40년 이상" 영연방을 "자부심을 갖고 지지해 온" 점을 들어 "수장으로서 적합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엘리자베스 2세는 장남인 찰스가 언젠가 수장의 지위를 계승하는 것을 "간절한 소망"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가맹국 사이에서는 이 지위를 가맹국 간의 순환제로 해야 한다는 안도 존재했다.

3. 역할

1949년 영연방 총리 회의의 결과로 런던 선언에서 이 칭호가 고안되었다. 라틴어로는 ''Consortionis Populorum Princepsla''[23][24][25], 프랑스어로는 ''Chef du Commonwealth프랑스어''[26]로 표기된다.

영연방 수장은 영연방 사무총장 및 영연방 의장과 함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다. 찰스 3세영연방 15개 회원국의 국왕이지만, 영연방 수장 자격으로 영연방 국가 내에서 어떠한 헌법적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다. 그는 영연방 사무총장 및 사무국(영연방의 중앙 조직)과의 정기적인 소통을 통해 영연방의 발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27]

영연방 수장 또는 대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CHOGM)에 참석한다. 이는 1973년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CHOGM이 개최되었을 때, 캐나다 총리 피에르 트뤼도의 제안에 따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시작한 전통이다.[28] 정상 회담 기간 동안, 영연방 수장은 영연방 국가의 정부 수반들과 일련의 비공개 회담을 갖고, CHOGM 리셉션과 만찬에 참석하며, 일반 연설을 한다.

또한 영연방 수장 또는 대표는 4년마다 개최되는 코먼웰스 게임에도 참석해왔다. 각 코먼웰스 게임 개막 전에 열리는 여왕의 횃불 봉송은 영연방 수장의 메시지를 모든 영연방 국가 및 영토에 전달한다.[29][30]

매년 3월 둘째 주 월요일인 코먼웰스 데이에 영연방 수장은 약 25억 명의 영연방 인구에게 특별 메시지를 방송한다.[31] 같은 날, 그는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리는 종교 간 코먼웰스 데이 예배에 참석한다.[32]

영연방 수장은 정식적인 임무는 없지만, 영연방 통합의 상징으로서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52년부터 2022년까지 70년 동안 영연방 수장이었던 엘리자베스 2세는 영연방 수뇌와 회담하고, 여러 나라의 국민과 교류해 왔다.

또한, 영연방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는 영연방의 관습과 규범을 받아들이는 것인데, 그중에는 현직 영연방 수장을 수장으로 승인하는 것이 명시되어 있다.[50][51]

4. 승계

영연방 수장의 자리는 세습되지 않으며, 후임자는 영연방 정부 수반들이 선택한다.[33] 일단 직위에 오르면 임기 제한은 없다.

인도 대통령 람 나트 코빈드가 영연방의 차기 수장으로 선택된 찰스 왕세자에게 축하를 보내는 모습


2018년, 엘리자베스 2세가 90대에 접어들면서, 그녀의 장남인 찰스가 영연방의 세 번째 수장이 되어야 할지, 아니면 다른 사람이 되어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36] 영국 신문 평론가들은 찰스 왕세자를 수장으로 선출하는 것이 일회성 결정이 되어야 하는지, 영연방 왕국의 군주가 자동으로 영연방 수장이 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해당 직책이 선출되거나 합의에 의해 선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37][38][39] 또한 순환하는 의례적인 "공화국" 수장직이 제정될 수도 있다는 추측도 있었다.[40][41]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이 직책은 세습되지 않으며, 많은 지도자들이 기구를 더욱 민주적으로 만들기 위해 선출된 수장을 원한다"고 보도했다.[42]

2018년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CHOGM)에서 대표들은 찰스가 영연방의 차기 수장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으며,[44] 해당 역할은 비세습직으로 유지되었다.[45][46] 2022년 9월 8일 엘리자베스 2세의 사망 이후 찰스는 자동으로 영연방 수장이 되었다.[47]

현재 이 직책을 맡고 있는 사람은 지금까지 영국 군주였지만, 세습은 아니다. 2018년 4월 20일, 당시 웨일스 공이었던 찰스 3세가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에서 엘리자베스 2세의 후임으로 영연방 수장으로 지명되었을 때, 영국의 테레사 메이 총리와 캐나다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찰스 왕세자의 수장 취임을 사전에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5. 역대 영연방 수장

대수초상이름재임 시작재임 종료재임 기간
1
164x164px
조지 6세1949년 4월 28일1952년 2월 6일2년 284일
2
153x153px
엘리자베스 2세1952년 2월 6일2022년 9월 8일70년 214일
3
150x150px
찰스 3세2022년 9월 8일재임 중


참조

[1]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thecommonwea[...] 2022-09-11
[2] 뉴스 Charles 'to be next Commonwealth head' https://www.bbc.com/[...] 2018-04-20
[3] 웹사이트 History – Though the modern Commonwealth is just 60 years old, the idea took root in the 19th century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11-07-29
[4] 웹사이트 Appendix 18: The President's alternative proposals http://debates.oirea[...] Oireachtas 1922-01-10
[5] 간행물 Executive Authority (External Relations) Act 1936 1936-12-12
[6] 웹사이트 Committee on Finance. – Vote 65—External Affairs. https://www.oireacht[...] 1945-07-17
[7] 간행물 London Declaration https://production-n[...] Commonwealth Secretariat 2023-04-24
[8] 간행물 Key Commonwealth Documents: The London Declaration https://sas-space.sa[...] Institute of Commonwealth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023-04-24
[9] 간행물 The London Declaration of the Commonwealth Prime Ministers, April 28, 1949 Wiley on behalf of the Modern Law Review
[10] 서적 Queen Elizabeth II and the Royal Family: A Glorious Illustrated History Dorling Kindersley Limited
[11] 웹사이트 MEETING of PRIME MINISTERS, APRIL, 1949 Text of Final Communique Issued at the Conclusion of the Meeting of Prime Ministers Held at London from 22 to 27 April, 1949, Together with Press Statement by the Right Hon. P. Fraser London, 28 April, 1949 https://paperspast.n[...] 2021-09-06
[12] 웹사이트 Head of the Commonwealth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ecretariat 2009-03-23
[13] 웹사이트 Personal Flags https://www.royal.uk[...] Royal Household 2022-07-27
[14] 웹사이트 Mailbox http://www.royalinsi[...] Royal Insight 2006-09
[15] 간행물 'This Wonderful Man' -- The Queen and Nelson Mandela https://www.thewhig.[...] 2013-12-13
[16] 간행물 The Queen and her stand against racism in the Commonwealth https://www.commonwe[...] Taylor & Francis 2021-03-30
[17] 서적 The National and Provincial Elections in South Africa, 2 June 1999 https://books.google[...] 2023-05-02
[18] 간행물 The day she descended into the fray
[19] 간행물 The Jewel in the Crown
[20] 간행물 How Queen Elizabeth II's Controversial Trip to Ghana Changed the Future of the Commonwealth https://www.biograph[...] Biography/Hearst Digital Media 2023-05-02
[21] 간행물 Queen dancing in Ghana: The story behind her iconic visit to save the Commonwealth https://www.thetimes[...] 2021-08-25
[22] 간행물 2023 Commonwealth Day Message from His Majesty King Charles II https://thecommonwea[...] Commonwealth Secretariat 2023-05-02
[23] 웹사이트 Biography of Elizabeth II (UK) http://www.archontol[...] archontology.org 2009-04-24
[24] 웹사이트 Burke's Peerage https://www.burkespe[...] 2021-04-08
[25] 간행물 1953-05-26
[26] 웹사이트 Lois codifiées Règlements codifiés https://laws-lois.ju[...] 2003-01-01
[27] 웹사이트 Commonwealth Governance https://www.royal.uk[...] 2016-03-11
[28] 간행물 Canadian Monarchist News https://web.archive.[...] Monarchist League of Canada 2010-02-26
[29] 웹사이트 Queen's baton relay http://kl98.thecgf.c[...] 2018-04-04
[30] 뉴스 Commonwealth Games: Queen's Baton Relay route announced https://www.bbc.com/[...] 2021-09-24
[31] 간행물 The Commonwealth Yearbook 2006 Commonwealth Secretariat
[32] 간행물 A Year with the Queen Touchstone
[33] 웹사이트 About us https://thecommonwea[...] The Commonwealth 2022-08-08
[34] 간행물 Statement by the Prime Minister of Canada on Commonwealth Day https://web.archive.[...] Prime Minister of Canada 2014-03-10
[35] 뉴스 Charles wins support to head Commonwealth http://www.nzherald.[...] 2015-11-28
[36] 뉴스 Commonwealth in secret succession plans https://www.bbc.com/[...] 2018-07-21
[37] 뉴스 After seven decades of slogging around the globe, doesn't Prince Charles deserve to lead the Commonwealth? https://www.telegrap[...] 2018-03-23
[38] 뉴스 The next head of the Commonwealth must not be a royal from Brexit Britain - Nalini Mohabir https://www.theguard[...] 2018-02-18
[39] 웹사이트 Prince Charles 'might NOT be next head of Commonwealth if the Queen dies' https://www.express.[...] 2018-02-18
[40] 웹사이트 'Disastrous consequences!' Anger at talks to block Charles' role as Head of Commonwealth https://www.express.[...] 2018-02-18
[41] 웹사이트 What Prince Charles should say to the Commonwealth - Coffee House https://blogs.specta[...] 2018-02-18
[42] 뉴스 State visit to Malta: Queen hints to sceptical leaders that Prince should be next Head of the Commonwealth https://www.telegrap[...] 2015-11-27
[43] 간행물 The Role of Monarchy in Modern Democracy: European Monarchies Compared https://www.constitu[...] Bloomsbury Publishing 2023-05-02
[44] 웹사이트 Commonwealth Heads of Government Meeting 2018 - Leaders' Statement http://thecommonweal[...] The Commonwealth of Nations 2018-04-21
[45] 뉴스 Prince Charles to be next Commonwealth head https://www.bbc.com/[...] 2018-04-20
[46] 뉴스 Prince Charles to succeed Queen as Commonwealth head https://news.sky.com[...] 2018-04-20
[47]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 About Us https://thecommonwea[...]
[48] 웹사이트 英連邦の次の首長はチャールズ英皇太子に決定 女王の強い意向 https://www.bbc.com/[...] BBC뉴스 2023-01-15
[49] 간행물 イギリスのコモンウェルス体制の再編とインド (特集 イギリス帝国の脱植民地化のプロセス――カナダ,インド,アフリカ――) https://cir.nii.ac.j[...] 東北学院大学ヨーロッパ文化研究所
[50] 웹사이트 King CharlesIII is now head of the Commonwealth, but what is it? https://www.lemonde.[...] 2023-01-15
[51] 간행물 ルワンダのコモンウェルス加盟をめぐって
[52] 웹사이트 Prince Charles to be next Commonwealth head https://www.bbc.com/[...] 2023-01-15
[53] 간행물 London Declaration https://production-n[...] Commonwealth Secretariat 2023-04-24
[54] 웹사이트 The Commonwealth - About Us https://thecommonwea[...]
[55] 웹인용 Our history https://thecommonwea[...] 2022-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