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지는 'Ganoderma' 속 버섯을 통칭하는 용어로, 갓과 자루로 구성되며 적갈색 또는 황갈색 광택을 띤다.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활엽수 고사목 등에서 발견된다. 칼슘, 칼륨 등 무기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오늘날에는 재배 기술이 발전하여 건강식품으로 활용되며, 면역력 증강, 항암 효과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1년 기재된 균류 - 노루궁뎅이
    노루궁뎅이는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독특한 외형의 버섯으로,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며 신경 성장 인자 생산 촉진 성분을 함유하여 항치매 및 항종양 효과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불로초과 - 민불로초속
    민불로초속은 1905년 쿠바에서 채집된 Amauroderma regulicolor를 기준으로 분류되었으며, 자루가 있는 자실체와 내부 장식 벽을 가진 담자포자를 특징으로 하고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항트리코모나스 질염 단백질을 생성하는 종도 포함된다.
  • 불로초과 - 불로초속
    불로초속은 전 세계에 분포하며 특히 동아시아에서 약용으로 사용되는 버섯 속으로, 크고 다년생인 나무 재질의 자실체를 가지며 전통 의학에서 다양한 효능으로 활용되고 현대 의학에서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약용 균류 - 표고
    표고는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 고목에서 자라는 둥근 갓과 짧은 자루의 버섯으로, 국물 요리에 사용되며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있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건강 효능과 요리 활용도가 높지만, 덜 익혀 먹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약용 균류 - 푸른곰팡이
    푸른곰팡이는 *페니실리움* 속에 속하는 곰팡이의 총칭으로,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며, 치즈 제조나 항생제 생산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식품 부패를 일으키거나 작물에 병을 유발하고 인체에 유해한 마이코톡신을 생성하는 종도 있어 인류에게 유익한 측면과 유해한 측면을 모두 가진다.
영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캘리포니아 참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Ganoderma''
Ganoderma가 캘리포니아에서 참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모습.
학명Ganoderma lucidum
명명자Karst (1881)
이명Boletus lucidus (Curtis)
Polyporus lucidus (Murrill)
형태 정보
자실층 형태구멍
갓 모양없음
갓은 줄기에서 옆으로 뻗음
주름살없음
자루 특징매끈함
해당 없음
포자 색갈색
생태 및 식용 정보
생태 유형기생
식용 여부맛이 없어 먹을 수 없음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레이시
다른 이름만넨타케
혼동 가능라이치 (과일)
문화어 정보
문화어령지

2. 분류 및 명칭

불로초는 일반적으로 구멍장이버섯과의 불로초를 가리키며, 그 밖에 선초(仙草), 길상버섯(吉祥茸), 영지(靈芝), 적지(赤芝) 등으로 불린다.[27] 색에 따라 자지(紫芝), 흑지(黑芝), 청지(靑芝), 백지(白芝), 황지(黃芝)가 있지만, 자지는 근친종으로 Ganoderma japonicum영어 (Fr.) Lloyd로 여겨지며, 다른 네 가지 색의 불로초는 이 두 종 중 하나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28]

Ganoderma lucidum영어 분류군의 역사는 속(genus)으로서 ''Ganoderma''영어의 역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881년 Karsten이 처음으로 ''Ganoderma''영어 속을 기술했을 때, 이 속에는 ''G. lucidum''영어 (Curtis) Karst. 한 종만 포함되었다.[4] 이전에는 ''Boletus lucidus''영어 Curtis (1781), ''Polyporus lucidus''영어 (Curtis) Fr. (1821) 등으로 불렸다.[4] 1889년 Patouillard는 색소가 있는 포자, 부착된 관공, 칠기 같은 딱딱한 표피를 가진 모든 종을 포함하도록 ''Ganoderma''영어 속을 개정하여 총 48종을 분류했다.[5][6]

''Ganoderma''영어 종의 분류는 혼란스러운 상태였으며, ''Ganoderma lucidum''영어이라는 종 이름은 전통적인 아시아 의학에서 사용되는 붉은 ''Ganoderma''영어 종인 ''Ganoderma sichuanense'' (= ''Ganoderma lingzhi'')영어을 포함한 대부분의 ''Ganoderma''영어 종에 계속 사용되어 왔다.[3] 분자 계통 발생 분석에 따르면, ''G. lucidum''영어은 ''G. sichuanense''영어보다 북미 종인 ''Ganoderma tsugae''영어 및 ''Ganoderma oregonense''영어와 더 가깝다.[1] 2015년 계통 발생 연구에서는 ''Ganoderma''영어 종이 전 세계적으로 세 가지 주요 계통으로 나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0]

린치(灵芝) 차, 태국

2. 1. 어원

학명 ''Ganoderma lucidum''은 '빛나는'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ganos'와 '피부'를 뜻하는 'derma'에서 유래한 ''Ganoderma''와 라틴어 ''lucidus'' ('밝은, 빛나는, 투명한')에서 온 ''lucidum''을 결합한 것이다.[12]

영지는 일반적으로 만년버섯과의 만년버섯(*Ganoderma lucidum*)을 가리키며, 문출버섯, 선초, 길상버섯, 영지초, 적지 등으로도 불린다. 옛 이름으로는 삼수[27], 지[28]가 있다.

3. 형태 및 특징

자실체는 갓과 자루로 구성되며, 갓 표면은 적갈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니스를 칠한 듯한 광택이 있다.[29] 갓 지름은 5~15cm로 신장형에서 원형이며, 두께는 약 1cm이다. 갓은 단단한 과피로 덮여 있으며, 동심원상의 홈이 있고, 자루 밑 부분에는 방사상의 가는 주름이 있다. 조직은 코르크질이고, 상층은 백색, 하층은 연한 계피색이다.

자루는 갓의 측면에 치우쳐 나 있으며, 길이는 약 5~15cm이다. 자루 표면은 적갈색에서 흑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자실층은 밀리미터당 4~5개의 기공을 보인다. 후막포자는 없다. 담자포자는 길이 8.2~12.1 μm(평균 10.7 μm), 폭 4.8~8.9 μm(평균 7.1 μm)이다.[1]

4. 분포 및 서식지

영지버섯(*G. lucidum*)은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열대 및 아열대 우림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3][13][14] 중국, 베트남, 인도에서 오랫동안 이용되어 왔으며,[15][16] 현재는 일본, 한국, 중국 등에서 재배되고 있다.[17][18] 베트남 남부 지역에서는 푸꾸옥 섬(Phú Quốc Island)의 dầu lim 나무에서 자라는 영지버섯을 볼 수 있다.[19][20][21]

한국에서는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벚나무, 단풍나무, 매화나무, 참나무과활엽수의 그루터기, 썩은 나무, 고사목에서 발견된다.

5. 효능 및 이용

전통적으로 불로초는 성인병 예방, 호흡기 질환 완화, 항암 효과, 혈압 강하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41] 칼슘, 칼륨무기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다.[41] 한의학에서는 주로 달여서 추출액을 복용하거나 약용주로 만들어 사용한다.

현대에는 건강식품, 민간 약재, 장식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고대 중국에서는 영지의 효능을 과장하여, 발견자는 이를 채취하여 황제에게 헌상하는 것이 의무였으며, 관리 등에게 뇌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5. 1. 과학적 근거 및 연구

불로초(영지)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주로 시험관 및 동물 실험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람 대상 임상 연구는 제한적이다.[29] β-글루칸, 테르페노이드 등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29][31] 항암, 면역 증강, 항혈소판 응고, 혈압 강하 등의 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에서는 불면증, 신경쇠약, 만성 기관지염 등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불면증의 경우 영지 과립제를 4주간 복용시킨 결과 96%에서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식욕과 기억력 향상, 피로감, 두근거림, 설사 등의 완화도 관찰되었다.[32] 신경쇠약에는 영지 정제를 2주간 복용시킨 결과 88%에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33] 만성 기관지염의 경우 1~2주 복용으로 기침가래가 개선되었으며, 특히 천식에 큰 개선 효과가 있었다.[34]

녹각영지 수확 전(녹각영지 특수 공조 재배)

5. 2. 안전성 및 부작용

神農本草経|신농본초경중국어에서는 상품(上品)으로 분류되어 독이 없고 장기간 복용해도 괜찮으며, 생명을 기른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의 임상 보고에서도, 적절하게 경구로 섭취한다면 안전성이 높다는 것이 제시되고 있지만, 3~6개월의 장기간 복용에 의해 어지럼증, 구갈(입안이 마름), 콧물, 코피, 가려움증, 위 불쾌감, 혈변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다.[30]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경우에는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없으므로 섭취를 피하는 것이 권장된다.[30]

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 LD50 (반수치사량)
  • 레이시의 침출액 투여: 경구 22g/kg, 쥐 복강 내 38.3g/kg[30]


영지는 항혈액응고 작용을 가지므로, 항혈소판제 또는 항응고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하는 사람은 출혈 경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혈압 강하 작용이 있는 약물과 함께 사용하면 그 작용을 강화하여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30]

6. 재배

불로초는 원목 재배와 균상 재배가 가능하다. 균사체 생육 적온은 약 30°C이고, 자실체 발생 적온은 25°C~28°C이다.[36]

원목 재배는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활엽수를 사용하며, 살균 또는 무살균 상태로 자연 환경이나 공조 관리 환경에서 재배한다. 균상 재배는 병, 봉투, 평상자에 균상을 채워 재배하며, 살균 및 접종 후 약 2개월간 배양하고 자갈이나 녹소토로 복토하여 자실체 발생을 촉진한다. 때로는 공조 관리를 하지 않고 자연에 맡기기도 한다.[36]

중국에서는 주로 적색 영지가 인공 재배되며, 신주(信州), 회주(恵州), 남한(南韓), 태산(泰山) 1호, 대별산(大別山) 영지 등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다. 남한 품종은 생육이 빨라 연 3회 수확이 가능하여 널리 보급되었다.[37] 중국에서는 자실체 발생 온도를 24°C~30°C로 관리하며, 습도는 85~90%를 유지한다. 균사체 생육에는 빛이 필요 없지만, 자실체는 충분한 빛이 있어야 정상적으로 자란다. 굴참나무 잎, 콩 줄기, 뽕나무 가지, 옥수수코브밀 등이 탄소, 질소원으로 사용된다.[37]

원목 재배에 사용된 나무는 스펀지처럼 부드러워져 장수풍뎅이 채란에 적합하며, 업계에서는 "영지재(霊芝材)"로 불린다.

7. 기타

고대 중국에서는 영지의 효능이 과장되어, 발견자는 이것을 채취하여 황제에게 헌상하는 것이 의무였다. 또한 관리 등에게 뇌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27][28] 영지는 단단하고 씹을 수 없어 직접 식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으로 판매되는 제품에는 *G. lucidum*이 아닌 다른 종이 포함된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3] 한 연구에 따르면, "G. lucidum"이라고 표시된 GYO 키트의 93%와 건조 버섯 제품의 절반이 실제로는 *G. sichuanense*를 포함하고 있었다.[3]

참조

[1] 논문 Elucidating 'lucidum': Distinguishing the diverse laccate Ganoderma species of the United States 2018
[2] 서적 Mushrooms demystified: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fleshy fungi Ten Speed Press 1986
[3] 논문 Identifying the 'Mushroom of Immortality': Assessing the Ganoderma Species Composition in Commercial Reishi Products 2018-07-16
[4] 논문 Enumeratio Boletinarum et Polyporarum Fennicarum systemate novo dispositorum
[5] 논문 The Polyporaceae of North America. I. The Genus Ganoderma 1902
[6] 논문 Le genre Ganoderma 1889
[7] 논문 Agaricales (Polyporaceae) https://www.mykoweb.[...]
[8] 논문 Gene phylogeny of the Ganoderma lucidum complex based on ribosomal DNA sequences. Comparison with traditional taxonomic characters http://ntur.lib.ntu.[...] 1995-12
[9]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Ganoderma'' based on nearly complete mitochondrial small-subunit ribosomal DNA sequences 2017-01-30
[10] 논문 Global diversity of the Ganoderma lucidum complex (Ganodermataceae, Polyporales) inferred from morphology and multilocus phylogeny 2015-06
[11] 논문 Phylogenetic Species Recognition and Species Concepts in Fungi 2000-10
[12] 웹사이트 Lucida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22-09-16
[13] 웹사이트 NẤM LINH CHI VÀ CÁCH SỬ DỤNG, PHÒNG TRÁNH NGỘ ĐỘC https://viennongnghi[...] 2024-03-14
[14] 웹사이트 NẤM LINH CHI http://hocvienquany.[...] 2024-03-14
[15] 웹사이트 Nhập nhèm nấm linh chi https://dantri.com.v[...] 2024-03-14
[16] 웹사이트 Cách phân biệt và chọn nấm linh chi tốt https://vnexpress.ne[...] 2024-03-14
[17] 웹사이트 Nấm lim xanh và những tác dụng nhiều mặt cần biết https://dantri.com.v[...] 2024-03-14
[18] 웹사이트 NGHIÊN CỨU KỸ THUẬT NUÔI TRỒNG NẤM LINH CHI ĐỎ (GANODERMA LUCIUM) TẠI KHU VỰC XUÂN MAI https://elib.vnuf.ed[...] 2024-03-14
[19] 웹사이트 Nấm linh chi to như chiếc thúng giữa rừng già Phú Quốc https://vietnamnet.v[...] 2024-03-14
[20] 웹사이트 Nấm linh chi https://kgin.com.vn/[...] 2024-03-14
[21] 웹사이트 Vào rừng tìm nấm linh chi https://thanhnien.vn[...] 2024-03-14
[22] 서적 Field Guide to Mushrooms of Western North Americ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논문 Comparative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and yield of Ganoderma lucidum (Curt.: Fr.) Karst. on different lignocellulosic wastes https://linkinghub.e[...] 2020-04-01
[24] 논문 Effect of Strain, Wood Substrate and Cold Treatment on the Yield and β-Glucan Content of Ganoderma lucidum Fruiting Bodies 2020-10-15
[25] 논문 Culture of Pleurotus ostreatus in pine shavings: isolation of strains and evaluation of their productivity https://myb.ojs.inec[...] 2019-09-25
[26] 논문 Degradation of Pinus sylvestris and Populus tremula by laccate Ganoderma species https://www.degruyte[...] 2024-09-05
[27] 서적 楚辞
[28] 서적 爾雅
[29] 논문 抗癌剤の現状と将来.特に生薬薬理の観点から 日本薬学会
[30] 웹사이트
[31] 서적 サプリメント事典 平凡社
[32] 논문 霊芝顆粒治療失眠症100例臨床觀察 中華中医薬学会
[33] 논문 霊芝片治療神経衰弱60例臨床觀察 湖南省中医薬研究院
[34] 논문 霊芝製剤治療慢性支気管炎臨床療効観察 北京医学院
[35] 논문 五色霊芝的抗輻射的防護研究 中華医学会
[36] 특허 きのこ栽培方法 マンネンタケ https://dl.ndl.go.jp[...] 特許庁/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37] 간행물 我国霊芝人工栽培技術研究現状 時珍国医国薬雑志社 2005
[38] 서적 우리 산야의 자연버섯 2011
[39] 서적 백두산의 버섯도감 2 2014
[40] 서적 한국의 균류 6 : 담자균류 및 변형균류 2021
[41] 뉴스 [건강정보] 영지버섯 효능... 성인병 예방·기혈보충·불면증 개선·심신안정&기침·천식 완화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18-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