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수승천기념경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승천기념경당은 예수의 승천을 기념하기 위해 지어진 건물로, 현재 예루살렘 이슬람 와크프의 관할 하에 있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숭배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비잔틴 시대에 교회가 건축되었다. 십자군 시대에 재건되었으나, 살라딘에 의해 모스크로 개조되었다. 현재는 모든 종교의 방문객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경당 내부에는 예수의 발자국이 남아있다고 전해지는 "승천 바위"가 있다. 주변에는 다양한 종교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소유권 및 종교 간 갈등과 관련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스타인의 교회당 - 마르 사바
    마르 사바는 사바스 성인이 483년에 세운 키드론 계곡 동쪽의 기독교 수도원으로, 역사적 변천을 거치며 성 요한 다마스쿠스 같은 인물들이 거주했고 비잔틴 전례의 표준이 된 티피콘이 비롯되었으며 남성만 출입이 허용되는 엄격한 규칙을 유지하고 있다.
  • 예수 관련 성유물 - 성십자가
    성십자가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십자가 또는 그 유물 조각을 의미하며, 4세기 헬레나의 발견 이후 전 세계로 분산되어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상징으로 숭배되고 있다.
  • 예수 관련 성유물 - 비아 돌로로사
    비아 돌로로사는 예수의 수난을 기념하는 예루살렘의 순례길로, 14개의 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주 금요일 가톨릭 행렬이 진행된다.
  • 예루살렘의 교회당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예루살렘의 교회당 - 예수님 눈물교회
    예수님 눈물교회는 이스라엘에 위치한 교회로, 예수님이 예루살렘의 멸망을 예언하며 눈물을 흘린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축되었으며, 교회 부지에서는 다양한 시대의 유적과 5세기 비잔틴 시대의 모자이크 등이 발굴되었고, 눈물 방울 모양의 외관과 다양한 모자이크 도안이 특징이다.
예수승천기념경당
위치 정보
기본 정보
건물 이름승천 경당
원어 이름 (히브리어)קפלת העלייה (카펠라트 하알리야)
원어 이름 (그리스어)Εκκλησάκι της Αναλήψεως (에클레사키 티스 아날립세오스)
원어 이름 (아랍어)كنيسة الصعود (카니사트 알수드)
위치앗투르, 올리브산, 예루살렘
종교기독교, 이슬람교
관할 구역앗투르
상태이슬람 관할 하에 있음
건축
건축 양식로마네스크 건축
첫 번째 교회 건축 연도기원후 390년경
현재 경당 건축 연도기원후 1150년경

2. 역사

예수 승천 기념 경당


=== 초기 기독교 시대 (1세기 - 4세기) ===

예수께서 돌아가셨다고 전해지는 지 300년 가까이 지난 후, 초기 기독교인들은 올리브 산의 작은 동굴에 비밀리에 모이기 시작했다.[3]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와 리키니우스가 313년에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면서 기독교인들이 정부의 박해 없이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3]

384년 순례자 에게리아가 예루살렘을 순례할 당시, 숭배 장소는 현재 위치로 옮겨져 에게리아는 근처 동굴에서 언덕 위 "열린 언덕"에서 예수 승천 기념 축제를 목격했다. 동굴 자체는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엘레오나 교회에 통합되었다.[4]

=== 비잔틴 시대 (4세기 - 7세기) ===

384년 순례자 에게리아가 예루살렘을 순례할 당시, 숭배 장소는 현재 위치로 옮겨져 있었으며, 에게리아는 근처 동굴에서 언덕 위 "열린 언덕"에서 예수 승천 기념 축제를 목격했다. 동굴 자체는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엘레오나 교회에 통합되었다.[4]

최초의 교회는 서기 384년에서 390년 사이에 황실 출신의 부유하고 경건한 로마 귀족 여성 포이메니아에 의해 건축되었으며, 그녀는 "예수의 마지막 발자국 주변"에 비잔틴 양식의 교회를 짓는 데 자금을 지원했다.[6] 현재 예배당 부지에 건설된 최초의 건물은 '''''임보몬'''''(그리스어로 "언덕 위에"라는 뜻)으로 알려졌다. 그것은 하늘이 트여 있었고, 원형의 주랑과 아치로 둘러싸인 원형 건물이었다.[6]

''임보몬''은 인근의 엘레오나 바실리카와 감람산의 다른 수도원 및 교회들과 마찬가지로 614년 페르시아 호스로 2세의 군대에 의해 비잔틴-사산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서 파괴되었다.( 602-628년 비잔틴-사산 전쟁 및 예루살렘의 사산 왕조 정복 참조).[5]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이 부지에 최초의 승천 교회는 황후 헬레나가 세웠다고 한다. 326년에서 328년 사이에 성지 순례를 하는 동안 그녀는 감람산의 두 지점을 예수의 생애와 관련된 곳으로 식별했는데, 하나는 그의 승천 장소였고, 다른 하나는 그의 주기도문 가르침과 관련된 동굴이었으며, 로마로 돌아온 후 그녀는 이 두 위치에 두 개의 성전을 지을 것을 명령했다.[6]

=== 초기 이슬람 시대 (7세기 - 12세기) ===

프랑크의 주교이자 순례자인 아르쿨프는 680년경 예루살렘 순례를 묘사하면서 이 교회를 "하늘이 열려있는 둥근 건물로, 남쪽에서 들어가는 세 개의 현관이 있다. 밤에는 예루살렘을 향한 창문을 통해 여덟 개의 램프가 밝게 빛났다. 내부에는 난간 안에 그리스도의 발자국이 먼지에 뚜렷하고 선명하게 새겨진 중앙의 에디큘라가 있었다."라고 묘사했다.[3] 그리스도의 발자국은 돌이 아닌 "'''먼지에 새겨진'''" 것이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3] 이 교회는 7세기 후반에 재건되었다.[3]

=== 십자군 시대 (12세기) ===

십자군은 12세기에 예수승천기념경당을 두 번째로 재건하였다. 그러나 살라딘의 군대가 교회를 파괴하면서 내부 3x3미터 팔각형 성소(마르티리움 또는 에디큘)를 둘러싼, 부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외부 12x12미터 팔각형 벽만 남게 되었다. 이 구조물은 살라딘이 1187년 예루살렘을 정복한 이후 부분적으로 변경되었지만,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 아이유브 왕조와 맘루크 왕조 시대 (12세기 - 16세기) ===

1187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폐허가 된 교회와 수도원은 기독교인들에 의해 버려졌고, 그들은 아크레로 이주했다.[8] 이 시기에 살라딘은 감람산을 알-살리 왈리 알-딘과 아부 하산 알-하카리 두 셰이크에게 위탁된 ''와크프''로 지정했다. 이 ''와크프''는 1188년 10월 20일자 문서에 등록되었다.[8] 예배당은 모스크로 개조되었고, 미흐라브가 설치되었다.[8] 해당 장소를 방문하는 순례자의 대다수가 기독교인이었기에, 살라딘은 타협과 호의의 표시로 기독교인이 주요 예배당을 계속 방문하는 동안 무슬림 예배를 위한 두 번째 모스크를 근처에 건설하도록 명령했다.[10]

1587년 현장 스케치


살라딘의 이러한 관용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의 무슬림과 기독교도 사이의 긴장은 이후 300년 동안 고조되었다. 이 성지와 주변 구조물은 사용되지 않거나 훼손되는 시기를 겪었다. 15세기에는 파괴된 동쪽 부분이 분리 벽으로 나뉘어 더 이상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10]

현재, 이 예배당은 예루살렘 이슬람 와크프의 관할 하에 있으며, 모든 종교의 방문객에게 소정의 요금을 받고 개방되어 있다.[9]

=== 오스만 제국과 현대 (16세기 - 현재) ===

살라딘의 관용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의 무슬림과 기독교도 사이의 긴장은 이후 300년 동안 고조되었다. 이 성지와 주변 구조물은 사용되지 않거나 훼손되는 시기를 겪었다. 15세기에는 파괴된 동쪽 부분이 분리 벽으로 나뉘어 더 이상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10]

현재, 이 예배당은 예루살렘 이슬람 와크프의 관할 하에 있으며, 모든 종교의 방문객에게 소정의 요금을 받고 개방되어 있다.[9]

2. 1. 초기 기독교 시대 (1세기 - 4세기)



예수께서 돌아가셨다고 전해지는 지 300년 가까이 지난 후, 초기 기독교인들은 올리브 산의 작은 동굴에 비밀리에 모이기 시작했다.[3]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와 리키니우스가 313년에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면서 기독교인들이 정부의 박해 없이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3]

384년 순례자 에게리아가 예루살렘을 순례할 당시, 숭배 장소는 현재 위치로 옮겨져 에게리아는 근처 동굴에서 언덕 위 "열린 언덕"에서 예수 승천 기념 축제를 목격했다. 동굴 자체는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엘레오나 교회에 통합되었다.[4]

2. 2. 비잔틴 시대 (4세기 - 7세기)

384년 순례자 에게리아가 예루살렘을 순례할 당시, 숭배 장소는 현재 위치로 옮겨져 있었으며, 에게리아는 근처 동굴에서 언덕 위 "열린 언덕"에서 예수 승천 기념 축제를 목격했다. 동굴 자체는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엘레오나 교회에 통합되었다.[4]

최초의 교회는 서기 384년에서 390년 사이에 황실 출신의 부유하고 경건한 로마 귀족 여성 포이메니아에 의해 건축되었으며, 그녀는 "예수의 마지막 발자국 주변"에 비잔틴 양식의 교회를 짓는 데 자금을 지원했다.[6] 현재 예배당 부지에 건설된 최초의 건물은 '''''임보몬'''''(그리스어로 "언덕 위에"라는 뜻)으로 알려졌다. 그것은 하늘이 트여 있었고, 원형의 주랑과 아치로 둘러싸인 원형 건물이었다.[6]

''임보몬''은 인근의 엘레오나 바실리카와 감람산의 다른 수도원 및 교회들과 마찬가지로 614년 페르시아 호스로 2세의 군대에 의해 비잔틴-사산 전쟁의 마지막 단계에서 파괴되었다.( 602-628년 비잔틴-사산 전쟁 및 예루살렘의 사산 왕조 정복 참조).[5]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이 부지에 최초의 승천 교회는 황후 헬레나가 세웠다고 한다. 326년에서 328년 사이에 성지 순례를 하는 동안 그녀는 감람산의 두 지점을 예수의 생애와 관련된 곳으로 식별했는데, 하나는 그의 승천 장소였고, 다른 하나는 그의 주기도문 가르침과 관련된 동굴이었으며, 로마로 돌아온 후 그녀는 이 두 위치에 두 개의 성전을 지을 것을 명령했다.[6]

2. 3. 초기 이슬람 시대 (7세기 - 12세기)

프랑크의 주교이자 순례자인 아르쿨프는 680년경 예루살렘 순례를 묘사하면서 이 교회를 "하늘이 열려있는 둥근 건물로, 남쪽에서 들어가는 세 개의 현관이 있다. 밤에는 예루살렘을 향한 창문을 통해 여덟 개의 램프가 밝게 빛났다. 내부에는 난간 안에 그리스도의 발자국이 먼지에 뚜렷하고 선명하게 새겨진 중앙의 에디큘라가 있었다."라고 묘사했다.[3] 그리스도의 발자국은 돌이 아닌 "'''먼지에 새겨진'''" 것이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3] 이 교회는 7세기 후반에 재건되었다.[3]

2. 4. 십자군 시대 (12세기)

십자군은 12세기에 예수승천기념경당을 두 번째로 재건하였다. 그러나 살라딘의 군대가 교회를 파괴하면서 내부 3x3미터 팔각형 성소(마르티리움 또는 에디큘)를 둘러싼, 부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외부 12x12미터 팔각형 벽만 남게 되었다. 이 구조물은 살라딘이 1187년 예루살렘을 정복한 이후 부분적으로 변경되었지만,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2. 5. 아이유브 왕조와 맘루크 왕조 시대 (12세기 - 16세기)

1187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폐허가 된 교회와 수도원은 기독교인들에 의해 버려졌고, 그들은 아크레로 이주했다.[8] 이 시기에 살라딘은 감람산을 알-살리 왈리 알-딘과 아부 하산 알-하카리 두 셰이크에게 위탁된 ''와크프''로 지정했다. 이 ''와크프''는 1188년 10월 20일자 문서에 등록되었다.[8] 예배당은 모스크로 개조되었고, 미흐라브가 설치되었다.[8] 해당 장소를 방문하는 순례자의 대다수가 기독교인이었기에, 살라딘은 타협과 호의의 표시로 기독교인이 주요 예배당을 계속 방문하는 동안 무슬림 예배를 위한 두 번째 모스크를 근처에 건설하도록 명령했다.[10]

살라딘의 이러한 관용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의 무슬림과 기독교도 사이의 긴장은 이후 300년 동안 고조되었다. 이 성지와 주변 구조물은 사용되지 않거나 훼손되는 시기를 겪었다. 15세기에는 파괴된 동쪽 부분이 분리 벽으로 나뉘어 더 이상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10]

현재, 이 예배당은 예루살렘 이슬람 와크프의 관할 하에 있으며, 모든 종교의 방문객에게 소정의 요금을 받고 개방되어 있다.[9]

2. 6. 오스만 제국과 현대 (16세기 - 현재)

살라딘의 관용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의 무슬림과 기독교도 사이의 긴장은 이후 300년 동안 고조되었다. 이 성지와 주변 구조물은 사용되지 않거나 훼손되는 시기를 겪었다. 15세기에는 파괴된 동쪽 부분이 분리 벽으로 나뉘어 더 이상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10]

현재, 이 예배당은 예루살렘 이슬람 와크프의 관할 하에 있으며, 모든 종교의 방문객에게 소정의 요금을 받고 개방되어 있다.[9]

3. 건축

3. 1. 경당 (에디큘)

경당의 주요 구조는 십자군 시대의 것이다. 석조 돔과 돔이 놓인 팔각형 드럼, 그리고 외벽은 이슬람 시대에 추가된 것이며, 아치와 대리석 기둥만이 원래 기독교 건축의 일부이다. 입구는 서쪽을 향하고 있으며, 모스크/경당의 남쪽 벽에는 이슬람 신자들이 메카 방향을 가리키는 미흐라브가 있다.

3. 2. 승천 바위

경당은 "승천 바위"라고 불리는 돌판을 둘러싸고 있는데, 이 바위에는 예수의 오른쪽 발자국이 남아있다고 전해진다.[3] 왼쪽 발자국이 새겨진 부분은 중세 시대에 알 아크사 사원으로 옮겨졌다.[3] 신자들은 이 발자국이 예수가 하늘로 승천할 때 생긴 것이며, 성육신한 그리스도가 땅에서 마지막으로 닿은 지점이라고 믿고 숭배한다.[3]

4. 주변 시설

경당 맞은편에는 1987년과 1992년 사이에 지어진 작은 교회가 있는 그리스 정교회 예수 승천 수도원이 있다.[17]

승천 경당 남쪽에는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엘레오나 교회 유적과 19세기 파테르 노스터 교회가 있는 수도원이 있다.

1870년에 지어진 러시아 정교회 예수 승천 수녀원은 경당에서 북동쪽으로 약 200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18] 현재 약 40명의 수녀가 거주하고 있다.[19] 길 건너편에는 이슬람교 마카세드 병원이 있다.

더 멀리 북동쪽에는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병원 단지의 일부인 독일 개신교 승천 교회가 있다.

4. 1. 라비아 알 아다위야 모스크와 비잔틴 시대 지하 묘실

예수 승천 기념 경당 남서쪽에는 라비아 알 아다위야의 자와이야[11]로 알려진 사원이 위치한다. 이 사원은 위층의 사원 건물과 지하 묘실의 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11] 지하 묘실은 계단을 통해 내려갈 수 있으며, 동쪽에는 깊이 2m, 너비 1.2m, 높이 1.8m의 방이 있다.[11]

남쪽 벽과 묘지 근처에서는 비잔틴 시대의 그리스어 장례 비문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도미틸라라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어 묘지 주인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16] 그러나 성 펠라기아의 유해가 안치되었다는 믿음 또한 비잔틴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다.[16] 1995년 고고학자 존 셀리그만과 라파 아부 라야는 모스크 남쪽 벽 외부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지하 묘실이 비잔틴 시대의 것이며, 예수 승천 기념 경당 예배당의 묘실이었음을 확인했다.[16] 묘실은 모스크 동쪽에 있으며 입구 오른편에는 가묘 또는 석관이 있다.[11]

세 아브라함 계통 종교는 이 묘지가 각각 다른 여성 성인의 것이라고 믿는다. 기독교 전통에서는 성 펠라지아의 무덤으로 가장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11] 4세기 또는 5세기 기독교 은둔자이자 참회자인 안티오크의 성 펠라지아의 생애에 따르면, 그녀는 감람산에 작은 집을 짓고 수도승으로 위장하여 경건한 삶을 살다가 죽었으며, 성부들이 그녀의 시신을 장례식으로 가져갔다고 한다.[12] 기독교 전통에 따르면 그녀의 작은 집과 무덤은 이전 승천 교회 남서쪽의 '자와이야'에 위치한다.[13] 14세기 서방 기독교 순례자들은 이 무덤을 이집트의 성 마리아의 무덤으로 숭배하기도 했지만, 펠라지아 전통도 여전히 남아있다.[11]

유대교 전통에서는 이 무덤이 예언자 훌다의 것이라고 여기며, 이는 1322년 에스토리 하-파르히의 기록에서 시작된다.[11] 2세기 토세프타에서는 훌다의 무덤이 예루살렘 성벽 안에 있다고 전한다.[16]

마크디시는 14세기 중반 반 십자군 선전 작품인 《예루살렘과 시리아 순례에 대한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책》에서[14][15] 라비아 알 아다위야의 사망 연도를 781/82년경으로 기록하고, 그녀가 이 무덤에 묻혔다고 묘사한다.[16] 그러나 알-하라위(1215년 사망)와 야쿠트(1179–1229)는 라비아의 무덤이 바스라에 있으며, 감람산의 무덤은 수피 아흐마드 이븐 아부 엘 후아리의 아내인 또 다른 라비아의 것이라고 주장한다.[16] 또 다른 이슬람 전통은 이 무덤이 라히바 빈트 하슨이라는 여성의 것이라고 전한다.[16]

셀리그만과 아부 라야는 상부 건물을 중세 시대, 특히 아이유브 왕조 시기로 추정한다.[16] 그러나 데니스 프린글은 서쪽 입구 등의 특징을 근거로 예루살렘 왕국 시대 건물로 추정하며, 미흐라브가 오래된 창 틈새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11]

4. 2. 기타 시설

경당 맞은편에는 1987년과 1992년 사이에 지어진 작은 교회가 있는 그리스 정교회 예수 승천 수도원이 있다.[17]

승천 경당 남쪽에는 콘스탄티누스 시대의 엘레오나 교회 유적과 19세기 파테르 노스터 교회가 있는 수도원이 있다.

1870년에 지어진 러시아 정교회 예수 승천 수녀원은 경당에서 북동쪽으로 약 200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18] 현재 약 40명의 수녀가 거주하고 있다.[19] 길 건너편에는 이슬람교 마카세드 병원이 있다.

더 멀리 북동쪽에는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병원 단지의 일부인 독일 개신교 승천 교회가 있다.

5. 한국과의 관계

6. 논란

6. 1. 소유권 분쟁

6. 2. 종교 간 갈등

참조

[1] 서적 United Nations Conciliation Commission for Palestine Working Paper on the Holy Places https://commons.wiki[...] 1949
[2] 서적 The Status Quo in the Holy Places https://en.wikisourc[...] H.M.S.O. for the High Commissioner of the Government of Palestine 1929
[3] 웹사이트 Chapel of the Ascension 2022-11-16
[4] 서적 The Holy Land: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from Earliest Times to 1700 OUP Oxford 2008
[5] 간행물 "Byzantine-Iranian Relations before and after the Death of Khusrau II: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vidence" 2000
[6] 서적 Women of Bible Lands: A Pilgrimage to Compassion and Wisdom Liturgical Press 2004
[7] 웹사이트 Chapel of the Ascension - On the Mount of Olives - In the Holy city of Jerusalem 2022-11-16
[8] 서적 The Churches of the Crusader Kingdom of Jerusalem: Volume 3, The City of Jerusalem: A Corp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9] 서적 Ordinary Jerusalem, 1840-1940 : opening new archives, revisiting a global city Leiden 2018
[10] 서적 The Churches of the Crusader Kingdom of Jerusalem: Volume 3, The City of Jerusalem: A Corp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1] 서적 The Churches of the Crusader Kingdom of Jerusalem: Volume 3, The City of Jerusalem: A Corp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12] 웹사이트 Chrysostom Press — Lives of the Saints — Pelagia the Nun 2010-02-06
[13] 웹사이트 Chapel of the Ascension Complex - Madain Project (en) 2022-11-17
[14] 서적 Medieval Jerusalem and Islamic Worship: Holy Places, Ceremonies, Pilgrimage BRILL 1995
[1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Impact of the Crusades on the Near East Univ of Wisconsin Press 1985
[16] 간행물 "מקדש לשלוש דתות בהר הזיתים: קבר חולדה הנביאה; קבר פלאגיה הקדושה; קבר רביע אל-עדוויה / A Shrine of Three Religions on the Mount of Olives: Tomb of Ḥulda the Prophetess; Grotto of Saint Pelagia; Tomb of Rabi'a al-'Adawiyya" 2001
[17] 웹사이트 Holy Monastery of the Ascension 2022-11-17
[18] 웹사이트 Русский Спасо-Вознесенский женский монастырь на Елеоне 2022-11-17
[19] 웹사이트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 - Official Website 2022-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